먀오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먀오족은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소수 민족으로, 다양한 하위 집단과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춘추전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주와 정착을 반복하며, 한족을 비롯한 주변 민족들과의 교류를 통해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 먀오족은 언어, 의복, 음식 등 다채로운 문화를 유지하며, 특히 은 장신구와 같은 전통 공예는 먀오족 여성의 부와 정체성을 상징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먀오족의 민족적 정체성과 문화 보존, 경제적 발전, 종교적 자유 등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먀오족 - 먀오족 반란
먀오족 반란은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명나라에서 먀오족이 일으킨 여러 차례의 반란으로, 위구르족, 회족 등이 진압에 동원되었으며, 특히 16세기에는 흐몽족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여 흐몽족 성벽 건설 및 잔혹 행위가 있었다. - 몽족 - 몽어파
몽어파는 중국에서 먀오어, 서구권에서 몽으로 불리며 다양한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부 몽어군, 북부 먀오어군, 동부 먀오어군 등으로 분류되며 여러 문자로 기록되지만 표준 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 프랑스의 민족 - 프랑크인
프랑크인은 3세기 중반 라인 강 우안의 게르만 부족 연합에서 시작하여 로마 제국과 협력 및 갈리아 침입을 거쳐 클로비스 1세 때 프랑크 왕국을 건설, 서유럽 주요 세력으로 성장 후 카롤링거 제국으로 발전했으며, 프랑크 왕국 분열 후 프랑스의 어원이 되고 서유럽 기독교인 지칭 용어로도 쓰였다. - 프랑스의 민족 - 벨가이족
벨가이족은 기원전 1세기경 갈리아 북부에 거주하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로마에 저항한 세력으로 등장하는 부족 연맹으로, 켈트족, 게르만족과 관련되어 있고 일부는 브리튼 섬에 정착했다.
먀오족 |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흐몽/흐무브/쏭브/아 흐마오브 |
로마자 표기 | Hmong / Hmub / Xongb / ab Hmaob m̥oŋ˦˧ / m̥ʰu˧ / ɕoŋ˧˥ / a˥˧m̥ao˥˧ |
인구 | 약 1,100만 ~ 1,200만 명 |
거주 지역 | 950만 명 1,393,547명 (2019년) 595,028명 (2015년) 299,000명 (2015년) 250,070명 (2015년) 13,000명 2,190명 |
언어 | 흐몽어군 킴 문어 표준중국어 광둥어 Linglinghua 마오지아어 쑤안탕어 베트남어 타이어군 (라오어 및 태국어) 프랑스어 |
종교 | 묘족 전통 종교 소수: 도교, 무신론, 종교 없음, 기독교, 불교 |
관련 민족 | 한족 리족 |
중국어 | |
중국어 간체 | 苗族 |
중국어 병음 | Miáozú |
다른 언어 표기 | |
우어 | Miau-zoh |
민난어 | Biâu-cho̍k |
객가어 | Mèu-tshu̍k |
월어 | Miêu-tsôk |
베트남어 | Hmông/Mèo |
태국어 | ม้ง/แม้ว (Mong/Maew) |
2. 역사
춘추전국시대 초국이 형성되면서 먀오족의 일부는 숙묘, 일부는 서남방으로 이주(생묘)하여 오늘날 먀오족의 선민이 되었다. 이들은 귀주성이나 사천성 남부 산악 지대를 중심으로 터전을 잡았다.[16]
수, 당 시대에는 남북통일로 먀오족의 수가 늘어났으며, 귀주를 중심으로 운남 등지로 이주하여 이 지역이 먀오족 분포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먀오족은 호남, 호북, 귀주, 운남, 광서, 하북, 섬서성 등지로 이동했고, 동남아 각국으로 유입되어 국제적인 민족이 되었다.
먀오족은 문자가 있었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먀오족과 한족은 오랜 투쟁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한족 문화 형성에 먀오족이 큰 영향을 주었다.[16]
중국 전설에 따르면, 치우가 이끄는 구려 부족에서 갈라져 나온 묘족은 주록 전투(허베이성과 랴오닝성 경계)에서 황제와 염제가 이끄는 화하 부족에 패배했다.[16] 전설에 따르면 산묘는 구려 부족의 후손으로, 동정호 주변에 왕국을 세웠으나 우왕에게 정복당했다. 기원전 704년경 윈난성에 또 다른 묘족 왕국이 등장했지만 기원전 3세기에 중국에 정복당했을 가능성이 있다.
먀오족은 당나라(618~907) 이후 중국 기록에 다시 등장한다. 이후 묘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이주하였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나 변방 지역에 거주하며, 화전 농업 기법을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명나라 시대 묘족 반란 기간 동안 수천 명의 묘족이 황실군에 의해 살해되었고,[18][19] 묘족 소년들의 대량 거세도 자행되었다.[20]
청나라 시대에 묘족은 제국과 세 차례의 전쟁을 벌였다.[21] 1726년 용정제는 묘족 인구가 많은 성의 총독으로 오르타이라는 중요한 관리를 파견했고, 1731년까지 반란을 진압했다.[22] 1735년 구이저우성 남동부에서 묘족은 정부의 강제 동화 정책에 맞서 봉기했다( 묘족의 반란 (1735-36)). 1,224개 마을이 포함된 8개 현이 1738년 반란이 끝날 때까지 싸웠다.
두 번째 전쟁(1795~1806)( 묘족의 반란 1795-1806)은 구이저우성과 후난성을 침범했다. 사삼보와 사류등이 이끌었으나 실패했고, 진압에 11년이 걸렸다.[23]
세 전쟁 중 가장 큰 전쟁(1854~1873)( 묘족의 반란 (1854–73))은 장소매가 구이저우성에서 반란을 이끌다가 후난성 장사에서 체포되어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과 인접한 모든 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 패배로 몽족이 중국을 떠나 라오스와 베트남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중국 남서부에 더 많은 군사 주둔지가 설립되었다. 한족 군인들이 구이저우성 타이장 지역으로 이주하여 묘족 여성과 결혼했고, 아이들은 묘족으로 자랐다.[24][25] 한족에 대한 반란에도 불구하고, 몽족 지도자들은 한족 상인들과 동맹을 맺었다.[26]
황실 정부는 몽족을 정부에 편입시키기 위해 정치적 수단을 사용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인도차이나에 '기아통(Kiatong)'이라는 공식 직책이 만들어졌다. 묘족은 1900년대까지 '기아통' 정부 구조를 사용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 묘족은 마오쩌둥이 국민당을 피해 장정을 할 때 물자와 안내를 제공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베트남에서는 부왕정덕이라는 흐몽족 지도자가 호찌민의 프랑스 반대 민족주의 운동을 도왔고, 베트남 내 흐몽족의 지위를 확보했다.[27]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흐몽족은 공산주의 베트민 편에서 싸웠다. 베트남 전쟁 동안 묘족은 양측 모두에서 싸웠다. 라오스의 흐몽족은 주로 미국을 위해, 베트남에서는 북베트남 연합을 위해 싸웠고, 중국계 먀오족은 공산주의자들을 위해 싸웠다.
2. 1. 고대
춘추전국시대 초국이 형성되면서 일부 먀오족은 숙묘, 일부는 서남방으로 이주(생묘)하여 오늘날 먀오족의 선민이 되었다. 이들은 귀주성이나 사천성 남부 산악 지대를 중심으로 터전을 잡았다.[16]수·당 시대에는 남북통일로 먀오족의 수가 늘어났으며, 귀주를 중심으로 운남 등지로 이주하여 이 지역이 먀오족 분포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먀오족은 호남, 호북, 귀주, 운남, 광서, 하북, 섬서성 등지로 이동했고, 동남아 각국으로 유입되어 국제적인 민족이 되었다.
먀오족은 문자가 있었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먀오족과 한족은 오랜 투쟁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한족 문화 형성에 먀오족이 큰 영향을 주었다.[16]
중국 전설에 따르면, 치우가 이끄는 구려 부족에서 갈라져 나온 묘족은 주록 전투(허베이성과 랴오닝성 경계)에서 황제와 염제가 이끄는 화하 부족에 패배했다.[16] 전설에 따르면 산묘는 구려 부족의 후손으로, 동정호 주변에 왕국을 세웠으나 우왕에게 정복당했다. 기원전 704년경 윈난성에 또 다른 묘족 왕국이 등장했지만 기원전 3세기에 중국에 정복당했을 가능성이 있다. 2002년, 매사추세츠주 암허스트 대학교 연구원들은 초어가 타이-카다이어족과 묘-야오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17]
일부 묘족과 흐몽족 씨족 이름은 흐몽족 여성과 한족 남성의 결혼에서 비롯된다.[28][29] 쓰촨성에서 "한족 흐몽족"("흐몽 수아")으로 불린 이들은 한족 장례 풍습을 따랐고, 도망친 한족 반란군으로부터 군사 전략을 배웠다.[30][31]
앙드레 조르주 오드리쿠르와 데이비드 스트레커는 먀오족이 중국에 정착한 최초의 민족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46] 이들은 한족이 벼농사와 관련된 많은 단어를 먀오족으로부터 빌렸다고 주장하며, 이는 먀오족이 최초의 벼농사꾼 중 하나였음을 시사한다. 일부 학자들은 먀오족을 다시 문화(5,300년~6,000년 전)와 연결짓기도 한다.[47] 그러나 2006년 산둥성에서 다시 문화보다 더 이전에 벼농사가 존재했던 사실이 발견되었다.[48]
먀오족의 기원을 삼묘나 장사 “무릉만”으로 보는 설도 있지만, 현재의 먀오족과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다. “묘”의 최초 기록은 송나라 주희가 “오계만” 중 하나로 기록한 것이다. 먀오족의 조상은 양자강 유역에서 산악 내륙으로 이동해 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역사적 변천을 확정하기는 어렵다.
1995년경부터 먀오족의 조상을 치우로 보는 주장이 급부상했다.[52] 탁록 전투에서 패배한 치우를 비한족의 대표로 보고, 구려의 후손이 “삼묘”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삼묘”와 현재의 묘족과의 관련성을 증명하는 사료는 없다. 학문적으로는 치우와 묘족의 관계는 부정된다. 이는 1990년대 “중화민족” 통합을 강조하는 중앙 학설과 한족 중심 애국주의 운동에 저항하여 나타난 묘족 지식인들의 새로운 대항 담론이다.
글자가 없고 구전으로 역사를 전해 온 먀오족에게 객관적 사료는 없다. 그러나 민족 의식 고양과 함께 치우 시조설은 정설처럼 이야기되고 있다. 패배한 치우를 비한족의 영웅으로 숭배하고, 묘족의 조상은 치우라는 생각은 묘족 지식인들 사이에서 정설화되었다.
2. 2. 중세, 근세
춘추전국시대에 초국이 형성되면서 일부 먀오족은 숙묘, 일부는 서남방으로 이주(생묘)하여 지금의 먀오족의 선민이 되었다. 이들은 귀주성이나 쓰촨성 남부 산악 지대를 중심으로 터전을 잡았다.수·당 시대에는 남북통일로 먀오족의 수가 늘어나고, 귀주를 중심으로 운남 등지로 이주하여 이 지역이 먀오족 분포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먀오족은 후난성, 후베이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광서, 허베이성, 섬서성 등지로 이동했으며, 동남아 각국으로 유입되어 국제적인 민족이 되었다.
먀오족은 문자가 있었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먀오족과 한족은 오랜 투쟁의 역사 속에서 서로의 문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한족 문화 형성에 먀오족이 큰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묘족은 당나라(618~907) 이후 중국 기록에 다시 등장한다. 이후 묘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이주하였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나 변방 지역에 거주하며, 화전 농업 기법을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명나라 시대 묘족 반란 기간 동안 수천 명의 묘족이 황실군에 의해 살해되었고,[18][19] 묘족 소년들의 대량 거세도 자행되었다.[20]
청나라 시대에 묘족은 제국과 세 차례의 전쟁을 벌였다.[21] 1726년 용정제는 오르타이라는 관리를 파견하여 1731년까지 반란을 진압했다.[22] 1735년 구이저우성 남동부에서 묘족은 정부의 강제 동화 정책에 맞서 봉기했다(묘족의 반란 (1735-36)). 1738년 반란이 끝날 때까지 1,224개 마을이 싸웠고, 묘족 인구의 절반이 전쟁의 영향을 받았다.
두 번째 전쟁(1795~1806)( 묘족의 반란 1795-1806)은 구이저우성과 후난성을 침범했다. 사삼보와 사류등이 이끌었으나 실패했고, 진압에 11년이 걸렸다.[23]
세 전쟁 중 가장 큰 전쟁(1854~1873)( 묘족의 반란 (1854–73))은 장소매가 구이저우성에서 반란을 이끌다가 후난성 장사에서 체포되어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과 인접한 모든 성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이 끝날 무렵 묘족의 30%만이 고향에 남았고, 이 패배로 몽족은 중국을 떠나 라오스와 베트남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중국 남서부에 더 많은 군사 주둔지가 설립되었다. 한족 군인들이 구이저우성 타이장 지역으로 이주하여 묘족 여성과 결혼했고, 아이들은 묘족으로 자랐다.[24][25] 한족에 대한 반란에도 불구하고, 몽족 지도자들은 한족 상인들과 동맹을 맺었다.[26]
황실 정부는 몽족을 정부에 편입시키기 위해 정치적 수단을 사용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인도차이나에 '기아통(Kiatong)'이라는 공식 직책이 만들어졌다. 묘족은 1900년대까지 '기아통' 정부 구조를 사용했다.
일부 묘족과 흐몽족 씨족 이름은 흐몽족 여성과 한족 남성의 결혼에서 비롯된다.[28][29] 한족 출신의 독특한 씨족과 계보는 한족 장례 풍습을 따랐다.[30] 이러한 씨족들은 쓰촨성에서 "한족 흐몽족"("흐몽 수아")으로 불렸으며, 도망친 한족 반란군으로부터 군사 전략을 배웠다.[31] 이러한 한족 "성씨 집단"은 부계 흐몽족 씨족과 비슷하며, 이혼을 실천했다.[32][33][34][35][36]
청나라와 명나라 시대 묘족 반란에 맞서 싸운 한족 남성 군인들은 한족 여성이 덜 선호되었기 때문에 묘족과 같은 비한족 여성과 결혼했다.[37][38][39] 쓰촨성 이빈 지역 궁현의 흐몽족 사이에 설립된 왕씨 씨족은 그러한 씨족 중 하나이며, 명나라가 아 반란을 진압할 무렵 여러 차례의 그러한 결혼으로 그 기원을 추적할 수 있다.[40]
한족 남성과 결혼한 흐몽족 여성은 태국 북부 흐몽족 사이에 새로운 젬 씨족을 세웠다. 흐몽족 여성과 한족 남성이 결혼하여 태국 북부의 라우2 또는 라우지 씨족을 설립했으며, 다른 한족 남성인 등씨가 또 다른 흐몽족 씨족을 설립했다.
일부 사람들은 장시성 한족을 동남 구이저우성 묘족의 조상으로 주장하며, 19세기 후반 이전에 구이저우성의 타이장현에서 많은 묘족 여성과 결혼한 한족 군인들에게 묘족 아이들이 태어났다.[45]
묘족의 기원을 한나라 시대의 기록된 “삼묘(三苗)”이나 장사 “무릉만(武陵蠻)”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설도 있지만, 현재의 묘족과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다. “삼묘”의 나라는 양자강 중류 지역이나 동정호에서 파양호에 걸친 지역(현재의 후난성, 후베이성, 장시성)에 있었고, 현재에도 구이저우성의 묘족에게는 조상이 장시성에 있었다거나, 동쪽의 큰 강가나 물가에 있었다는 구전이 남아 있어, 상호 연관성을 밝히려는 학자나 지식인이 많다. 아마도 묘족의 조상은 송나라 이후 한족의 남하와 함께 양자강 유역에서 산악 내륙으로 이동해 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사료상 역사적 변천을 확정하기는 어렵다.
1995년경부터는 묘족의 조상을 치우(蚩尤)로 보는 주장이 급부상했다.[52] 이는 중국 고대의 전설[52]에 등장하며 한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화하민족(華夏民族)의 황제(黃帝)와 탁록에서 싸워 패배한 치우(蚩尤)를 비한족의 대표로 보고, 치우(蚩尤)와 함께 싸운 구려(九黎)의 후손이 남쪽으로 도망쳐 나중에 “삼묘”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전설 속의 “삼묘”와 고대의 초나라나 오나라를 구성한 사람들, 그리고 현재의 묘족과의 관련성을 증명하는 사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학문적으로는 치우(蚩尤)와 묘족의 관계는 부정된다. 이는 페이샤오퉁이 주창한 “중화민족 다원일체 격국(中華民族多元一体格局)”(1988년)의 논의에 기반하여 1990년대에 “중화민족”의 통합을 강조하는 중앙의 학설이나 1994년 중국 전역에 전개된 한족 중심의 애국주의 운동에 저항하여 나타난 묘족 지식인들의 새로운 대항 담론이다.
글자가 없고 구전으로 역사를 전해 온 묘족에게는 고대와 현대를 잇는 객관적 사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민족 의식의 고양과 함께 치우(蚩尤) 시조설은 정설처럼 이야기되고 있다. 패배한 치우(蚩尤)를 비한족의 영웅으로 숭배하고, 묘족의 조상은 치우(蚩尤)라는 생각은 묘족 지식인들 사이에서 정설화되어 반론할 수 없게 되었다. 묘족은 글자가 없고 구전에 의해 역사를 전해왔지만, 바로 그 때문에 실증적인 역사와는 다른 독자적인 역사 의식을 새롭게 만들어내려 하고 있다.
중국의 명나라 시대 통치 정책은 각 지역의 수장의 세습 지배권을 인정하여 토사(土司)로 임명하는 간접 통치 정책을 취했으나, 점차 현지와의 괴리가 커졌다. 청나라 시대에는 구이저우성 등 묘족 지역으로 한족의 이주가 증가하여 중앙 정부가 지방관인 “유관(流官)”을 임명하는 직접 통치로 전환되었다. 이를 개토귀류(改土歸流) 정책(토사=소수민족 수장 지배를 개혁하고, 유관=중앙 정부가 임명하는 지방관 지배로 귀속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동화 정책과 청나라의 증세에 저항하여 묘족은 세 차례에 걸쳐 반란을 일으켰다. 특히 장수미(張秀眉)가 지휘한 마지막 반란(묘족의 반란 (1854–73))은 대규모였으며, 묘족 인구의 3분의 1만이 생존했다고도 한다. 그 후 많은 한족 상인들이 현지에 들어와 임업을 중심으로 한 상업망을 구축했고, 묘족을 비롯한 현지 주민들은 억압받게 되었다. 청나라 말기인 1902년부터 1903년에 걸쳐 토리이 류조가 현지에 들어가 구이저우성의 묘족과 윈난성의 이족(彝族)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여, 정밀한 기록인 『묘족조사보고』(1907년)를 남겨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2. 3. 근대
춘추전국시대 초국이 형성되면서, 먀오족의 일부는 숙묘, 일부는 서남방으로 이주(생묘)하여 현재 먀오족의 선민이 되었다. 이들은 구이저우성이나 쓰촨성 남부 산악 지대를 중심으로 터전을 잡았다.[16]수·당 시대에는 남북통일로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고 먀오족의 수도 늘어났다. 이들은 구이저우성을 중심으로 윈난성 등지로 이주하여, 이 지역이 먀오족 분포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이주가 계속되어 후난성, 후베이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허베이성, 산시성 등에 분포하게 되었고, 동남아 각국으로 유입되어 국제적인 민족이 되었다.
먀오족은 문자가 존재했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먀오족과 한족은 오랜 투쟁의 역사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한족 문화 형성에 먀오족이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먀오족은 당나라(618~907) 이후 중국 기록에 다시 등장하며,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은 산악 지대나 변방 지역에 거주하며 화전 농업을 했다.
명나라 시대 묘족 반란 기간 동안 수천 명의 묘족이 황실군에 의해 살해되었고,[18][19] 묘족 소년들의 대량 거세도 자행되었다.[20]
청나라 시대에 묘족은 제국과 세 차례의 전쟁을 벌였다.[21] 1735년 구이저우성 남동부에서 정부의 강제 동화 정책에 맞서 봉기했으나(묘족의 반란 (1735-36)), 1738년 진압되었다. 두 번째 전쟁(1795~1806)은 구이저우성과 후난성을 침범했으나 실패했다.[23] 세 번째 전쟁(1854~1873)은 장수매(Zhang Xiu-mei)가 이끌었으나, 장수매가 체포되어 사망하면서 끝났다. 이 반란은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과 인접한 모든 성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 후 묘족의 30%만이 고향에 남았고, 나머지는 라오스와 베트남으로 이주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중국 남서부에 더 많은 군사 주둔지가 설립되었다. 한족 군인들이 구이저우성 타이장 지역으로 이주하여 묘족 여성과 결혼했고, 아이들은 묘족으로 자랐다.[24][25] 묘족 지도자들은 한족 상인들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26]
황실 정부는 묘족을 정부에 편입시키기 위해 정치적 수단을 사용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인도차이나에 '기아통(Kiatong)'이라는 공식 직책이 만들어졌고, 묘족은 이를 1900년대까지 사용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 묘족은 마오쩌둥이 국민당을 피해 탈출하는 것을 돕고, 물자와 안내를 제공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베트남에서는 부왕정덕(Vuong Chinh Duc)이라는 흐몽족 지도자가 호찌민의 프랑스 반대 민족주의 운동을 도왔고, 베트남 내 흐몽족의 지위를 확보했다.[27]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흐몽족은 공산주의 베트민 편에서 싸웠다. 베트남 전쟁 동안 묘족은 양측 모두에서 싸웠다. 라오스의 흐몽족은 주로 미국을 위해, 베트남에서는 북베트남 연합을 위해 싸웠고, 중국계 묘족은 공산주의자들을 위해 싸웠다. 전쟁 후 베트남은 흐몽족에게 매우 공격적이었고, 흐몽족은 수년간 보복을 당했다. 태국의 대부분의 흐몽족도 전쟁 중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공산주의 봉기를 지지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개토귀류 정책으로 인해 묘족 지역으로 한족의 이주가 증가했다. 이 정책은 중앙 정부가 지방관인 “유관(流官)”을 임명하는 직접 통치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화 정책과 청나라의 증세에 저항하여 묘족은 세 차례에 걸쳐 반란을 일으켰다(1735년-1738년, 1795년-1806년, 1854년-1873년). 특히 장수미(張秀眉)가 지휘한 마지막 반란은 대규모였으며, 묘족 인구의 3분의 1만이 생존했다고 한다. 그 후 많은 한족 상인들이 현지에 들어와 임업을 중심으로 한 상업망을 구축했고, 묘족을 비롯한 현지 주민들은 억압받게 되었다.
2. 4. 현대
마오쩌둥이 국민당을 피해 장정을 할 때, 먀오족은 물자와 안내를 제공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7]베트남에서는 부왕정덕(Vuong Chinh Duc)이라는 흐몽족 지도자가 호찌민의 프랑스 반대 민족주의 운동을 도왔고, 이를 통해 베트남 내 흐몽족의 지위를 확보했다.[27]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흐몽족은 공산주의 베트민 편에서 싸웠다. 베트남 전쟁 동안 먀오족은 양측 모두에서 싸웠다. 라오스의 흐몽족은 주로 미국을 위해, 국경 너머 베트남에서는 북베트남 연합을 위해 싸웠고, 중국계 먀오족은 공산주의자들을 위해 싸웠다. 그러나 전쟁 후 베트남은 흐몽족에게 매우 공격적으로 대했고, 흐몽족은 수년간의 보복을 당했다. 태국의 대부분의 흐몽족도 전쟁 중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공산주의 봉기를 지지했다.
1995년경부터는 먀오족의 조상을 치우로 보는 주장이 급부상했다.[52] 이는 중국 고대 전설[52]에 등장하며 한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화하민족의 황제와 탁록에서 싸워 패배한 치우를 비한족의 대표로 보고, 치우와 함께 싸운 구려의 후손이 남쪽으로 도망쳐 나중에 “삼묘”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전설 속의 “삼묘”와 현재의 먀오족과의 관련성을 증명하는 사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학문적으로는 치우와 먀오족의 관계는 부정된다. 이는 페이샤오퉁이 주창한 “중화민족 다원일체 격국”(1988년)의 논의에 기반하여 1990년대에 “중화민족”의 통합을 강조하는 중앙의 학설이나 1994년 중국 전역에 전개된 한족 중심의 애국주의 운동에 저항하여 나타난 먀오족 지식인들의 새로운 대항 담론이다.
글자가 없고 구전으로 역사를 전해 온 먀오족에게는 고대와 현대를 잇는 객관적 사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민족 의식의 고양과 함께 치우 시조설은 정설처럼 이야기되고 있다. 패배한 치우를 비한족의 영웅으로 숭배하고, 먀오족의 조상은 치우라는 생각은 먀오족 지식인들 사이에서 정설화되어 반론할 수 없게 되었다. 먀오족은 글자가 없고 구전에 의해 역사를 전해왔지만, 바로 그 때문에 실증적인 역사와는 다른 독자적인 역사 의식을 새롭게 만들어내려 하고 있다.
중국 내 먀오족 총 인구는 894만 116명으로, 중국 소수민족 중 주앙족(약 1617만 명), 만주족(1068만 명), 후이족(981만 명)에 이어 네 번째로 많다. 거주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인구 |
---|---|
구이저우성 | 429만 9954명 |
후난성 | 192만 1495명 |
윈난성 | 104만 3535명 |
충칭시 | 50만 2421명 |
광시 좡족 자치구 | 46만 2956명 |
후베이성 | 21만 4266명 |
쓰촨성 | 14만 7526명 |
광둥성 | 12만 606명 |
하이난성 | 6만 1264명 |
저장성 | 5만 3418명 |
장쑤성 | 2만 2246명 |
푸젠성 | 2만 2065명 |
먀오족은 중국에 약 730만 명, 동남아시아의 베트남에 약 100만 명, 라오스에 약 46만 명, 태국에 약 16만 명이 거주하며, 그 밖에 미국에 26만 명이 살고 있다.
중국 내 먀오족은 한장어족, 묘요어족에 속하며, 세 개의 방언 집단(후난성 서부의 코션(Qo xiong), 구이저우성 동남부의 무(Hmub), 구이저우성 서부와 윈난성의 몽(Hmong))으로 나뉘고 각각의 “자칭”이 다르다. 종래에는 여성의 의복 색깔과 문양에 따라 흑묘·백묘·청묘·홍묘·화묘 등으로 구분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어 표기의 “먀오족”은 각 집단의 자칭에 가까운 “총칭”이며, 민족 식별에 따라 다양한 사람들이 “먀오족”이라는 명칭으로 묶였다.[53]
현재의 먀오족은 산지에서 상전이나 화전을 일구는 사람들과, 분지나 평야에서 수도 벼농사를 짓는 사람들로 나뉜다. 분포는 광범위하며, 다른 민족과 고도로 분리되어 살거나 혼거하는 경우도 있다.
1968년 당시 라오스 정부의 인구 통계에 따르면, 라오스 전체 인구 280만 명 중 15만 8000명이 몬족이었다.[55]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일부 몬족은 베트민과 협력했고, 다른 일부는 프랑스군과 협력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일부 몬족 부족을 고용하여 파테트라오와 싸우는 부대를 편성했다. 1974년 말, 부대는 해산되었고 일부는 왕국군에 흡수되었다. 다른 몬족 부족은 파테트라오와 함께 싸웠으므로, 같은 민족 내에서도 싸움이 있었다. 미국의 베트남 철수 후 라오스는 공산화되었고, 미국 측에 섰던 수만 명의 몬족이 태국으로 이주하였다. 2005년 현재, 라오스에는 46만 명의 몬족이 거주하고 있다.
3. 분포
먀오족의 중국 내 주요 분포 지역은 구이저우성, 후난성, 쓰촨성, 윈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이다.[72] 구이저우성에 전체 먀오족 인구의 약 50%가 집중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먀오족 인구는 약 960만 명으로 추산된다.
먀오족은 다양한 자칭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성 의복의 가장 특징적인 색깔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은 주요 4개 먀오족 집단의 자칭, 색상, 주요 거주 지역을 나타낸 표이다.자칭 색상 분류 주요 거주 지역 가오슝(Ghao Xong)/고슝(Qo Xiong); 슝(Xong) 홍묘(Red Miao) 후난성 서부 가 네(Gha Ne)/카 나오(Ka Nao); 므브(Hmub) 흑묘(Black Miao) 구이저우성 남동부 아흐마오(A-Hmao) 대화묘(Big Flowery Miao) 구이저우성 서부 및 윈난성 북동부 가무족(Gha-Mu); 흐몽(Hmong), 몽(Mong) 백묘(White Miao), 녹/청묘(Green/Blue Miao), 소화묘(Small Flowery Miao) 윈난성 남부와 동부, 쓰촨성 남부 및 구이저우성 서부
중국 이외 지역에서는 18세기부터 시작된 해외 이주로 인해 태국,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에 먀오족의 하위 집단 또는 몽(Hmong) 민족 구성원들이 거주하고 있다. 1949년부터 1975년까지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 이후 많은 몽족이 미국,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다.
먀오족 언어는 몽-묘어족(苗瑶语族)의 몽-묘어파에 속하며, 6개 언어와 약 35개 방언(일부는 상호 이해 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먀오족어족 사용자는 약 1,000만 명이다.
중국 내 먀오족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90년 기준으로 중국 먀오족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인 3,600,000명의 먀오족이 구이저우성에 거주했다. 구이저우성의 먀오족과 다음 6개 성의 먀오족이 중국 먀오족의 98% 이상을 차지한다.
위의 성에는 6개의 먀오족 자치주(다른 소수 민족과 공유)가 있다.
또한 23개의 먀오족 자치현이 있다.
대부분의 먀오족은 다음과 같은 언덕이나 산에 거주한다.
수천 명의 먀오족이 광저우시와 베이징시와 같은 대도시로 이주했다.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북부와 다른 대륙에 걸쳐 78만 명의 몽족이 흩어져 살고 있다. 17만 4천 명이 태국에 거주하며, 6개의 주요 산악 부족 중 하나이다.
200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 본토에는 8,940,116명의 먀오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다음은 중국 본토 먀오족의 성별 분포를 나타낸 표이다.
성(省)급 행정구역 | 중국 본토 묘족 인구 중 비율 | 성(省) 총 인구 중 비율 |
---|---|---|
구이저우성 | 48.10% | 12.199% |
후난성 | 21.49% | 3.037% |
윈난성 | 11.67% | 2.463% |
충칭시 | 5.62% | 1.647% |
광시 좡족 자치구 | 5.18% | 1.056% |
후베이성 | 2.40% | 0.360% |
쓰촨성 | 1.65% | 0.179% |
광둥성 | 1.35% | 0.142% |
하이난성 | 0.69% | 0.810% |
기타 | 1.85% | 해당 없음 |
태국과 라오스에서는 몽(Hmông, ม้ง, mong)으로, 흰 몽과 푸른 몽으로 나뉜다. 베트남에서는 '''몽(H'Mông)'''이라고 하며, 검은 몽족, 붉은 몽족, 꽃 몽족 등 다채롭게 나뉜다. 태국과 베트남에서는 메오(Mẹo, แม้ว, mεεo)라고도 불리지만, 이것은 경멸적인 표현이다.
19세기에는 청나라 군대의 가혹한 토벌과 탄압 때문에 많은 몽족이 동남아시아의 베트남 북부, 라오스, 태국, 미얀마로 이주해갔다.
베트남 전쟁 당시, 라오스의 공산화를 막기 위해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일부 몬족 부족을 고용하여 파테트라오와 싸우는 부대를 편성했다. 1975년 라오스에서 미군이 철수한 후, 미군을 협력했던 우파 몽족은 태국으로 피난했다. 태국에서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태국 태생 2세 인구 증가와 마약 만연이 문제화되었다. 태국 난민 수용소 출생자를 포함하면 현재까지 10만 명 가까이가 해외로 이주했다. 이주지는 미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령 기아나 등이다.
4. 명칭
"먀오족(Miao)"이라는 용어는 1949년에 중국 소수민족을 포괄하는 민족(민쭈, ''minzu'')으로 공식적인 지위를 얻었다. 이는 중국 남서부에 거주하는 언어적으로 관련된 여러 소수민족을 식별하고 분류하여 중앙 정부 내 역할을 명확히 하고, 자치구를 설립하고 성 및 중앙 정부의 대표 의석을 할당하는 더 큰 노력의 일환이었다.[6]
역사적으로 "먀오족(Miao)"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한족(Han)이 아닌 민족들에게 일관되지 않게 적용되었다. 초기 중국식 명칭은 묘(Miao), 묘자(Miao-tse), 묘자(Miao-tsze), 묘(Meau), 묘(Meo), 묘(mo), 묘자(Miao-tseu) 등 다양한 표기법을 사용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중국어 "묘(Miao)"에서 파생된 단어들이 그 지역에 거주하는 하위 집단에 의해 경멸적인 의미로 여겨졌다. 이 용어는 명나라(1368–1644)에 다시 등장했는데, 이때는 "오랑캐"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남만(Nanman)의 변형인 이 용어는 한족 문화에 동화되지 않은 중국 남부의 토착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두 집단의 동화 수준과 정치적 협력 수준을 나타내는 "생묘(生 Miao, raw Miao)"와 "숙묘(熟 Miao, cooked Miao)"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분류를 용이하게 했다. 청나라(1644–1911)가 되어서야 보다 세분화된 구분이 기록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렇다 하더라도 다양한 분류에 어떤 민족 집단이 포함되는지 식별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다. 동화와 정치적 협력에 저항한 흐몽족은 "먀오족(Miao)"이라는 용어의 잠재적인 경멸적인 사용 때문에 모든 먀오족을 "흐몽(Hmong)"이라는 용어 아래로 묶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 중국에서는 여전히 중국의 먀오족을 지칭하는 데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7]
먀오족은 다양한 자칭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성 의복의 가장 특징적인 색깔에 따라 분류한다.
자칭 | 색상 지정 | 주요 거주 지역 |
---|---|---|
가오슝(Ghao Xong)/고슝(Qo Xiong); 슝(Xong) | 홍묘(Red Miao) | 후난성(Hunan) 서부 |
가 네(Gha Ne)/카 나오(Ka Nao); 므브(Hmub) | 흑묘(Black Miao) | 구이저우성(Guizhou) 남동부 |
아흐마오(A-Hmao) | 대화묘(Big Flowery Miao) | 구이저우성(Guizhou) 서부 및 윈난성(Yunnan) 북동부 |
가무족(Gha-Mu); 흐몽(Hmong), 몽(Mong) | 백묘(White Miao), 녹/청묘(Green/Blue Miao), 소화묘(Small Flowery Miao) | 윈난성(Yunnan) 남부와 동부, 쓰촨성(Sichuan) 남부 및 구이저우성(Guizhou) 서부 |
「묘족(苗族)」은 한족에 의한 타칭이다. 중국 내에서는 "묘(苗)"라고 부를 수밖에 없지만, "묘(苗)"는 차별과 연결되어 다소 낮춰 보는 뉘앙스를 수반한다.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주로 자칭 몽(Hmong)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묘(苗)/몽(Hmong)"을 병기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참고로, 현재 태국의 람푼(ลำพูน) 부근에 할리푼차이 왕국(11~13세기)을 세운 몽족은 전혀 다른 계통의 사람들이다. 동남아시아 연구자의 저서 등에서는 반드시 어느 몽족을 언급하는지 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중국 외의 사람들은 총칭을 몽(Hmong)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태국과 라오스에서는 몽(Hmông, ม้ง, mong)으로, 흰 몽과 푸른 몽으로 나뉜다. 베트남에서는 '''몽(H'Mông)'''이라고 하며, 검은 몽족, 붉은 몽족, 꽃 몽족 등 다채롭게 나뉜다. 태국과 베트남에서는 메오(Mẹo, แม้ว, mεεo)라고도 불리지만, 이것은 경멸적인 표현이다.
5. 언어
먀오어를 사용한다. 먀오족은 고유한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묘요어족(몽미엔어족이라고도 함)에 속한다. 이 어족에는 묘어, 요어 외에 중국 남동부 연안(복건·절강 지방)에 거주하며 요족과 문화적 연관이 있는 사족의 언어만이 속한다. 사는 나라에 따라 중국어나 태국어 등에 통하는 경우도 있다.[51]
6. 하위 집단
묘족은 다양한 자칭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성 의복의 가장 특징적인 색깔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은 주요 4개 묘족 집단의 자칭, 색상 지정, 주요 거주 지역을 나타낸 표이다.
자칭 | 색상 지정 | 주요 거주 지역 |
---|---|---|
가오슝(Ghao Xong)/고슝(Qo Xiong), 슝(Xong) | 홍묘(Red Miao), 고슝묘(Qo Xiong Miao) | 후난 서부 |
가 네(Gha Ne)/카 나오(Ka Nao), 므브(Hmub) | 흑묘(Black Miao), 므브 묘(Mhub Miao) | 구이저우 남동부 |
아흐마오(A-Hmao) | 대화묘(Big Flowery Miao) | 구이저우 서부 및 윈난 북동부 |
가무족(Gha-Mu), 흐몽(Hmong), 몽(Mong) | 백묘(White Miao), 녹/청묘(Green/Blue Miao), 소화묘(Small Flowery Miao) | 윈난 남부와 동부, 쓰촨 남부 및 구이저우 서부 |
한족은 묘족을 "묘족(苗族)"이라 불렀는데, 이는 타칭이다. 이 명칭은 차별적인 뉘앙스를 내포하고 있어, 중국 외 지역에서는 자칭인 몽(Hmong)으로 주로 불리며, 최근에는 "묘(苗)/몽(Hmong)"으로 병기하는 경우가 많다.[7]
태국과 라오스에서는 몽(Hmông, ม้ง, mong)으로 불리며, 흰 몽과 푸른 몽으로 나뉜다. 베트남에서는 '''몽(H'Mông)'''이라고 하며, 검은 몽족, 붉은 몽족, 꽃 몽족 등으로 나뉜다. 태국과 베트남에서는 메오(Mẹo, แม้ว, mεεo)라고도 불리지만, 이는 경멸적인 표현이다.[7]
중국 내 묘족은 다음 3개 방언 집단으로 나뉜다.
7. 문화
먀오족은 대부분 모든 사물에 영혼과 생명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 정령 신앙(精霊信仰)을 가지고 있어 나무, 바위, 산, 강, 샘 등을 숭배한다. 조상신과 조상에 대한 제사를 중요하게 여기며, 매년 음력 10월경 토끼날(卯日)이나 용날(辰日)을 새해맞이 날인 묘년(農年)으로 삼아 조상에게 감사 제사를 지낸다. 이때 남자들은 蘆笙(루생)을 불고, 여자들은 화려한 은장신구와 자수가 놓인 의상을 입고 춤을 춘다. 이 시기는 남녀가 자유롭게 연애를 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며, 유판(歌掛け)이라 불리는 노래를 주고받으며 서로의 마음을 표현한다. 귀주성(貴州省) 첸둥난(黔東南)의 향로산(香爐山)에서 음력 6월 19일에 열리는 치피에(チーピエ, 산에 오르는 의식) 제사는 유명하며, 많은 젊은 남녀가 歌垣(가원)에 모인다.
명나라(明代)와 청나라(清代)에는 한족(漢族)의 유입으로 '한화(漢化)'가 진행되면서 도교(道教)와 불교(仏教)의 영향을 받은 지역도 생겨났다. 19세기 말부터는 기독교(キリスト教) 전파 활동이 활발해져, 귀주성 북서부 석문간(石門坎)은 1905년부터 프로테스탄트(プロテスタント) 전파 거점이 되었다. 이곳에서는 묘어(苗語) 문자가 만들어지고 성경도 간행되어 개종자가 급속도로 늘어났는데, 묘어 성경은 일본 요코하마에서 인쇄되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성립(1949년) 이후, 대약진(大躍進)과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을 거치면서 종교는 탄압받았고, 민간 신앙은 미신으로 간주되어 금지되었다. 종교와 제사 등은 개혁개방(改革開放)이 본격화된 1980년대 중반 이후 부활했지만, 현재는 민족 관광에 활용되는 등 문화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다.
서구 학자들은 먀오족의 사고방식을 애니미즘(アニミズム)의 개념으로 설명하려 했지만, 진화론적 관점에서 원시 종교(原始宗教)로 폄하하는 뉘앙스를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 따라서 애니미즘 개념을 다시 검토하고, 현지의 시각에 맞는 세계관과 우주관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7. 1. 성 역할
중국 일부 지역의 유교적 전통과 비교했을 때, 먀오족 문화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있어 덜 엄격한 편이다.[8] 먀오족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독립성, 이동성, 사회적 자유를 누리며, 강한 의지와 정치적 사고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사회 복지, 교육, 예술, 문화,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사회에 적극적으로 기여한다.먀오족 여성들은 전통 의복과 수공예품을 만드는 데 뛰어난 기술과 예술성을 보여준다. 자수, 직조, 종이 오리기, 바틱, 정교한 보석 세공 등에 능숙하며, 이들의 옷에 새겨진 무늬는 매우 복잡하고 다채로우며 선이 깨끗하다. 먀오족 소녀들은 대략 일곱 살 때부터 어머니와 언니들에게 자수를 배우기 시작하여 십 대가 되면 상당한 수준에 이른다. 먀오족 은장신구는 디자인, 스타일, 장인 정신이 독특하며, 완전히 수작업으로 만들어지고 정교한 장식 무늬로 조각되어 있어, 그 가치가 높고 섬세하며 아름답다.


은장신구는 먀오족의 매우 귀중한 공예품이자 문화적 전통이며, 먀오족 여성의 부를 상징하기도 한다.[9] "은이나 자수로 장식되지 않은 소녀는 소녀가 아니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먀오족 여성은 때때로 착용하거나 소유한 은장신구의 양으로 정의되기도 한다.[9] 특히 결혼식, 장례식, 봄 축제와 같은 중요한 행사와 축제 기간에는 무겁고 정교한 은제 머리 장식과 장신구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며,[9] 은장신구는 묘족 결혼에서 신부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다.[9] 먀오족 가족들은 딸을 위해 어린 시절부터 은장신구를 모으기 시작하며, 딸들이 많은 양의 은장신구를 통해 가족의 부를 나타내고 좋은 결혼을 하기를 바란다.[9] 현대에 들어 먀오족 인구가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고 있지만, 새로운 세대는 가족의 은 유산을 존중하고 문화적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9]
먀오족 여성들은 엄격한 규제를 받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가부장적 사회와 마찬가지로 남성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남성이 주된 경제적 주체이자 가족의 안정적인 수입원인 반면, 여성은 주로 사회복지, 가사일에 종사하며 부수적인 수입을 얻는다.[8]
관광 산업이 발전하면서 먀오족 여성들은 노동 시장에 참여하고 수입을 얻을 기회가 더 많아졌다. 여성들은 주로 관광 가이드, 공예품 및 기념품 판매, 화환 만들기 교육, 민족 의상 대여 등 현대적인 고객 서비스 기술이 필요한 일자리를 맡는다.[8] 이러한 일자리는 낮은 수입을 제공하지만, 부드러운 기술과 환대, 공공장소에서의 높은 가시성을 요구한다.[8] 반면, 먀오족 남성들은 도로 공학, 호텔, 배, 정자 건설 등 공공장소에서의 가시성이 낮고 더 많은 체력을 요구하는 일자리를 맡으며, 일반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수익성 있는 수입원을 제공한다.[8] 이러한 불평등한 노동 분업은 중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성이 여전히 가족의 재정적 중추로 여겨짐을 보여준다.[8]
먀오족은 독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남성은 가족의 가장이자 생계를 책임지는 주요 인물, 여성은 요리와 청소와 같은 가사일에 종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8] 여성에게는 "현숙한 아내와 좋은 어머니"가 되고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사덕(四德)"을 준수해야 한다는 엄격한 사회적 기준이 존재하며, 이는 여성 행동에 대한 문화적 도덕적 규범을 포함한다.[8]
먀오족 여성은 자신이 선택한 남성과 결혼할 수 있는 문화적 자유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지만,[8] 혼인에는 엄격한 문화적 관습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가 부족 외혼(clan exogamy)으로, 혈연관계가 없거나 같은 지역 사회 출신이 아니더라도 같은 씨족 성을 가진 사람과 결혼하는 것은 금기시된다.[8]
일반적인 장자 상속 관행과 달리, 먀오족의 상속은 막내아들에게 돌아간다.[8] 형제들은 가족을 떠나 대개 같은 성(省) 안에서 가족과 가까운 곳에 자신의 거처를 마련하며,[8] 막내아들은 결혼 후에도 노년의 부모와 함께 살면서 부모를 돌볼 책임이 있다.[8] 그는 가족 재산의 더 큰 부분과 어머니의 은제 장신구를 상속받는데, 이는 혼수 또는 지참금으로 사용된다.[8]
7. 2. 종교와 민속
묘족은 대부분 모든 사물에 영혼과 생명이 깃들어 있다고 믿으며, 나무, 바위, 산, 강, 샘 등을 숭배한다. 조상신과 조상에 대한 제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매년 음력 10월경 토끼날(卯日)이나 용날(辰日)을 새해맞이 날인 묘년(農年, Nong Nian)으로 삼아 조상에게 감사하는 제사를 지낸다. 남자들은 蘆笙(루생)을 불고, 여자들은 화려한 은장신구와 자수가 놓인 의상을 입고 춤을 춘다. 이때는 남녀의 자유연애 기회이기도 하며, 유판(歌掛け)이라 불리는 노래를 주고받으며 감정을 표현한다. 귀주성(貴州省) 黔東南(첸둥난)의 향로산(香爐山)에서 음력 6월 19일에 거행되는 치피에(チーピエ, 산에 오르는 의식) 제사는 유명하며, 많은 젊은 남녀가 歌垣(가원)에 모인다.黔東南에서는 13년에 한 번씩 열리는 큰 조상 제사인 농뉴(ノン・ニュウ, Nong Niu)를 부계 氏族(씨족)이 공동으로 거행하며, 많은 물소와 돼지를 제물로 바쳐 조상을 제사 지낸다. 농(Non)은 ‘먹는다’는 뜻이고, 뉴(Niu)는 ‘북’이라는 뜻으로, 조상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지는 봉향수(楓香樹)로 만든 목고(木鼓)를 쳐서 조상의 영혼을 불러내어 교류한다. 銅鼓(동고)를 사용하기도 한다.
黔東南의 묘족 사이에서는 봉향수에서 태어난 나비 메이팡메이류(メイパンメイリュウ, Mei Pang Mei Liu)가 나무 아래의 물거품과 사랑에 빠져 12개의 알을 낳고, 그중 하나에서 인간이 태어나고, 다른 알에서 태어난 용과 물소와 형제라는 창세 신화가 전해진다. 그 후 인류는 하늘의 뇌신과 다투어 대홍수를 일으키고, 표주박을 타고 오빠와 여동생이 살아남아 결혼하여 (오누이 시조 신화) 그 자손이 현재의 묘족이 되었다고 한다. 농뉴는 신화에 따라 나비와 오누이 시조, 조상과 죽은 자의 영혼을 제사 지내고, 다시 동쪽에 있다고 여겨지는 궁극의 고향으로 되돌려 보내는 제사이다.
한편, 명나라(明代)와 청나라(清代)에는 한족(漢族)이 유입되어 ‘한화(漢化)’됨에 따라 道教(도교)와 仏教(불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도 있다. 19세기 말부터 キリスト教(기독교) 전파 활동이 활발해졌고, 귀주성 북서부의 석문간(石門坎)은 1905년부터 プロテスタント(프로테스탄트) 전파의 거점이 되어 묘어(苗語) 문자가 만들어지고 성경도 간행되어 개종자가 급속도로 늘었다. 묘어 성경은 일본 요코하마에서 인쇄되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성립(1949년) 이후, 대약진(大躍進)과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을 거치면서 종교는 탄압되었고, 민간 신앙은 미신 활동으로 금지되었다. 종교와 제사 등은 개혁개방(改革開放)이 본격화된 1980년대 중반 이후 부활했지만, 현재는 민족 관광에 활용되는 등 문화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다.
서구 학자들은 묘족의 사고방식을 精霊信仰(정령신앙)의 개념으로 설명하려고 했지만, 진화론적 관점에 선 原始宗教(원시종교)의 뉘앙스가 있어 낮춰 보는 가치관을 없애지 못한다. 애니미즘 개념을 재검토하고, 현지의 시각에 따른 세계관·우주관의 제시가 필요하다.
묘족의 신화는 다음과 같다.
- 홍수 신화: 태고의 홍수 때 묘족의 한 쌍의 남녀가 하늘의 정령(Yawm Saub(타이 묘족))의 지시에 따라 표주박(배, 북인 경우도 있음)을 타고 피난하는 신화이다.
- 사일 신화: 묘족의 영웅(Kaj Yuam(타이 묘족))이 태고에 아홉 개 있던 태양을 여덟 개나 쏘아 떨어뜨린 신화이다. 중국의 사일 신화와 유사하다.
7. 3. 음식 문화
먀오족은 대부분 쌀을 주식으로 하며, 채소, 고기, 생선 등을 고추, 소금, 식초 등으로 간을 한 부식과 함께 하루 세 끼를 먹는다. 독자적인 요리로는 '산탕(酸湯)'을 들 수 있다. 한족(漢族) 요리와 비슷한 볶음 요리나 찜 요리, 생선 튀김 등도 있다.[50] 먀오어(苗鱼 miáo yǘ)는 생선을 신선한 허브, 청피망, 생강 조각, 마늘을 섞어 쪄서 만든 요리이다.연중행사인 명절이나 결혼식 등 경사스러운 날에는 찹쌀로 떡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으며, 풀을 넣어 다섯 가지 색깔로 만들어 먹는 곳도 있다. 술로 손님을 접대하며, 즉흥적인 노래를 부르며 대접한다. 콩류도 중요한 식품이며, 된장도 먹는다. 일본의 나레즈시와 비슷한 발효시킨 초밥을 먹으며, 조상 제사에는 반드시 차린다. 메밀국수도 만들어 고추장과 간장으로 양념하여 먹는다. 먀오족(苗族)만의 설인 '묘년(苗年)'에는 찹쌀로 만든 떡과 밥, 술에 돼지고기를 준비한다.
1990년대 이후에는 구이저우성(貴州省) 구이양(貴陽), 카이리(凱里), 베이징(北京市|北京) 등 중국 도시에 먀오족 요리 전문점이 생겨나고 있지만, 마을의 요리를 변형한 창작 요리가 많다.
8. 한국과의 관계
토리이 류조(鳥居龍蔵)가 메이지 35~36년에 실시한 조사에서, 원래 광서성(広西省)을 기원으로 하는 춘가묘(狆家苗)의 의복에 일본의 동탁(銅鐸)과 유사한 문양이 새겨져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그들이 악기로 사용하는 동고(銅鼓)에도 동일한 문양이 있으며, 일본과 먀오족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음을 시사했다.[67]
마쓰마에 켄(松前健)은 홍수형 형제자매 시조신화(洪水型兄妹始祖神話)에서 형과 여동생이 큰 나무 주위를 도는 것, 첫째 아이가 눈과 입이 없는 아이라는 점 등이 일본의 국생이 신화(国産み神話)와 유사성을 보인다고 지적했다.[68]
한편, 유전학적으로는 도호쿠 지방의 일본인이나 티베트인 등에서 고빈도로 나타나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D가 먀오족에게 반드시 많은 것은 아니다.[69]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연구를 통해 먀오족 조상의 일본 이주 가능성을 언급하는 연구자도 있다.[70]
참조
[1]
Brief
The Asian Population: 2010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012
[2]
웹사이트
Hmong in the U.S. Fact Sheet
https://www.pewsocia[...]
[3]
논문
The Countries of Birth and Ethnicities of Australia's Hmong and Lao Communities: An Analysis of Recent Australian Census Data
http://laostudies.or[...]
2010
[4]
웹사이트
Hmong-Mie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1-04-19
[5]
뉴스
探访海南苗族"金第璊"
http://www.wsnews.co[...]
2021-04-21
[6]
서적
The Hmong in Transition
https://files.eric.e[...]
Center for Migration Studies of New York
1986
[7]
논문
Cultural Accommodations in Southwest China: The "Han Miao" and Problems in the Ethnography of the Hmong
2002
[8]
논문
Women's Work, Men's Work: Gender and Tourism among the Miao in Rural China
https://www.academia[...]
2013
[9]
웹사이트
Where Women Can't Marry without Silver
http://www.bbc.com/t[...]
2017-10-13
[10]
서적
The Retreat of the Elephants: An Environmental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
[11]
서적
Spreading the Dao, Managing Mastership, and Performing Salvation: The Life and Alchemical Teachings of Chen Zhixu
Indiana University
2008
[12]
뉴스
Tunbao People Spring Performance
http://english.peopl[...]
2005-02-27
[13]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
[14]
서적
The Flaming Womb: Repositioning Women in Early Modern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15]
서적
The Flaming Womb: Repositioning Women in Early Modern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16]
논문
Commentary: Challenges and Complexity in the Re-Construction of Hmong History
https://www.ingentac[...]
2019-03-10
[17]
웹사이트
Chu Language Rhymes
http://www.umass.edu[...]
2024-08
[18]
서적
Negotiating ethnicity in China: citizenship as a response to the stat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0-06-28
[1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20]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0-06-28
[21]
웹사이트
Chinese Odyssey: Summer Program offers Students rare opportunity to learn Hmong history in China
http://www.hmongnet.[...]
[22]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3]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1
[24]
서적
Contributions to Southeast Asian ethnography, Issue 7
https://books.google[...]
Board of Editors, Contributions to Southeast Asian Ethnography
2010-06-28
[25]
서적
Butterfly mother: Miao (Hmong) creation epics from Guizhou, China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0-06-28
[26]
서적
The dream of the Hmong kingdom: resistance, collaboration, and legitimacy under French colonialism (1893–195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0-06-28
[27]
웹사이트
In Search of a Hmong King
http://www.thingsasi[...]
[28]
서적
Unity and Diversity: Local Cultures and Identities in China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96
[29]
서적
The Impossibility of Self: An Essay on the Hmong Diaspor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0
[30]
서적
Making Place: State Projects, Globalisation and Local Responses in Chin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4
[31]
서적
The Hmong of China: Context, Angency, and the Imaginary
https://books.google[...]
BRILL
2001
[32]
서적
Encyclopaedia of the South East Asian Ethnography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2004
[33]
서적
Encyclopaedia of the South-east Asian Ethnography: A-L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2004
[34]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https://books.google[...]
G.K. Hall
1993
[35]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Hall
1991
[36]
서적
Cultures of the world: selections from the ten-volume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Library Reference
[37]
서적
Minority Rules: The Miao and the Feminine in China's Cultural Politic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38]
서적
Chinese Femininities, Chinese Masculinities: A Rea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39]
서적
Women Out of Place: The Gender of Agency and the Race of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0]
서적
Unity and Diversity: Local Cultures and Identities in China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96
[41]
서적
The Hmong of China: Context, Angency, and the Imaginary
https://books.google[...]
BRILL
[42]
서적
The Hmong of China: Context, Angency, and the Imaginary
https://books.google[...]
BRILL
[43]
서적
Sovereignty and Rebellion: The White Hmong of Northern Thaila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Asian Folklore Studies
https://books.google[...]
Nanzan University Institute of Anthropology
[45]
서적
Butterfly Mother: Miao (Hmong) Creation Epics from Guizhou, China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06
[46]
학술지
Hmong–Mien (Miao–Yao) Loans in Chinese
[47]
학술지
Genetic Structure of (H)mong-Mien Speaking Populations in East Asia as Revealed by mtDNA Lineages
[48]
학술지
Houli Culture Rice from the Yuezhuang Site, Jinan
[49]
학술지
Human Migration through Bottlenecks from Southeast Asia into East Asia during Last Glacial Maximum Revealed by Y Chromosomes
2011
[50]
웹사이트
舌尖上的中国:正宗苗家古法腌鱼,可保存上10年不变质
https://3g.163.com/v[...]
2019-03-10
[51]
학술지
Genomic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the Southern Chinese
Frontiers Media SA
2022-06-30
[52]
문서
史記による五帝本紀
[53]
서적
西南中国の少数民族ー貴州省苗族民俗誌ー
古今書院
[54]
서적
インド支那の労働問題
国際労働局
[55]
서적
Un village Hmong vert du haut Laos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aris
[56]
서적
ベトナム秘密報告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編 サイマル出版
[57]
서적
ラオスの歴史
同文館
[58]
뉴스
NY TIMES
1970-03-17
[59]
서적
Montagnards Revoltes et Guerres Revolutionnaires en Asie du Sud-Est Continentale
D.K. BookHouse
[60]
잡지
Readers Digest
1980-10
[61]
서적
Contemporary Laos
Queensland University Press
[62]
서적
Migrants of the Mountains - The Cultural Ecology of the Blue Miao (Hmong Njua) of Thailand
Clarendon Press, Oxford
[63]
서적
同書
[64]
서적
The Hmong of Thailand - Opium People of Golden Triangle
Anti-Slavery Society
[65]
서적
[66]
학술지
Hmong Religion
Nanzan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67]
서적
中国の少数民族地帯をゆく
朝日新聞社出版局
1980-01-01
[68]
서적
神々の系譜
吉川弘文館
2016-01-13
[69]
학술지
Genetic origin of Kadai-speaking Gelong people on Hainan island viewed from Y chromosomes
https://www.nature.c[...]
2010-07
[70]
학술지
Genetic Structure of Hmong-Mien Speaking Populations in East Asia as Revealed by mtDNA Lineages
https://doi.org/10.1[...]
2005-03-01
[71]
웹사이트
後藤仁公式サイト「後藤 仁(GOTO JIN)のアトリエ」
https://gotojin.web.[...]
[72]
저널
What is the actual number of (H)mong in the world?
http://www.hmongstud[...]
2011-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