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이족은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이슬람교를 믿으며 중국어와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사용한다. 당나라, 송나라, 몽골 제국 시대에 중앙아시아와 페르시아 등지에서 이주해 온 무슬림들의 후손으로, 중국 정부는 종교와 관계없이 후이족 조상을 둔 사람들을 포함하여 민족으로 정의한다. 중국 내에서 널리 분포하며, 특히 닝샤 후이족 자치구, 간쑤성 등에 많이 거주한다. 후이족은 음식, 결혼 등에서 한족과 다른 문화를 유지하며, 둥간족, 판타이족, 우술족 등 하위 집단으로 나뉜다. 중국 정부는 후이족의 자치를 위해 닝샤 후이족 자치구, 린샤 후이족 자치주 등 자치구역을 설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닝샤 - 닝샤 후이족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로, 황하 상류에 위치하며 농업과 광물 자원이 발달했고, 후이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주요 도시로 인촨이 있고, 서하왕릉 등의 관광지가 있다.
  • 후이족 - 둥간족
    둥간족은 19세기 말 청나라 회민 반란 이후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에 종사하고 중국 문화와 이슬람 문화를 융합한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중앙아시아와 중국 간 문화, 경제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후이족 - 마환
    마환은 명나라 시대 회족 출신 통역관이자 작가로, 정화의 남해 원정에 참여하여 각 지역의 풍습, 산물, 지리 등을 기록한 《영애승람》을 저술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아시아의 민족종교집단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 아시아의 민족종교집단 - 모로족
    모로족은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에 거주하는 다양한 무슬림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스페인 식민 시대 "무어"에서 유래했으며, 독립 및 자치권 요구와 무장 단체 활동, 필리핀 정부와의 갈등을 겪었고, 현재는 방사모로 자치구를 통해 자치권을 확보했으나 평화 정착 과정이 진행 중이다.
후이족
지도
기본 정보
민족명후이족
현지어명
총 인구11,377,914 명 (2020년)
주요 거주 지역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미얀마
태국
언어주로 만다린 중국어 및 기타 중국어 방언
종교주로 수니파 이슬람교
관련 민족한족
바이족
티베트 무슬림
다른 이름




문화
언어중국어
관화
둥간어
페르시아어
이미지
후이족 남성
모스크에서 기도하는 후이족
역사적 배경
기원이슬람교를 믿으면서 무슬림화된 한족.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Huízú
한자 표기回族
둥간어 표기Хуэйзў

2. 정의

후이족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다.[21]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정부는 "후이족"이라는 용어를 10개의 역사적 이슬람 소수 민족 중 하나에 적용했다.[21]

오늘날 중국 정부는 종교와 관계없이 후이족을 민족으로 정의하며, 이슬람교를 실천하지 않는 후이족 조상을 가진 사람들도 포함한다.[21] 중국 인구 통계에서는 비한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공동체의 무슬림 구성원들을 후이족으로 계산하며, 별도의 민족 집단으로 계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이난성의 우츠족 수천 명은 베트남 참족 무슬림 소수 민족의 언어와 관련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인 자트어를 사용한다. 윈난성바이족 중 소수의 무슬림도 바이어를 사용하지만 후이족으로 분류된다.[21] 일부 티베트 무슬림 집단도 후이족으로 분류된다.[21]

2. 1. 기원

후이족은 유럽인, 아랍인, 인도이란계 페르시아인, 몽골인, 투르크계 위구르인 및 기타 중앙아시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14][15] 그들의 조상은 주로 중동,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출신으로 이 지역에 이슬람교를 전파했다. 당나라, 송나라, 몽골 제국 등 여러 중세 중국 왕조 시대에는 주로 무슬림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출신의 외국 이민이 있었으며, 이들 왕조는 이 지역 출신의 무슬림 상인들을 환영하고 중앙아시아 관리들을 임명했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이민자들은 점차 중국어를 사용하고 정착하여 결국 후이족을 형성했다.

2004년 한 연구에 따르면, 후이족의 미토콘드리아 DNA(모계 유전)의 6.7%가 서유라시아 기원이고, 93.3%가 동유라시아 기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닝샤와 구이저우 후이족에 대한 연구에서도 서유라시아 인구의 유전적 기여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16] 구이저우 후이족의 Y염색체 분석 결과, 북부 또는 중앙 아시아 유전형질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쪽 경로를 통한 남성 중심의 이주를 통해 인구가 형성되었고, 그 후 구이저우 원주민이 한족과 후이족 무슬림으로 대규모 동화되었음을 시사한다.[17]

동아시아 Y염색체 하플로그룹 O-M122는 후이족과 가까운 다른 무슬림 집단(동향족, 보안족, 살라르족)에서 약 24~30%의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반면 중앙아시아인, 남아시아인, 유럽인에게서 발견되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a는 이들 중 17~28%에서 발견된다. 서유라시아 mtDNA는 6.6%~8%를 차지한다. 다른 하플로그룹으로는 동아시아인과 시베리아인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하플로그룹 D-M174, N1a1-Tat, Q가 있다. 티베트-버마어족, 한족, 닝샤와 요녕 후이족의 대부분은 중동인이나 유럽인과는 무관한 동아시아 기원의 부계 Y염색체를 공유한다. 중국 무슬림과 유의미하게 관련이 없는 먼 중동인과 유럽인과는 대조적으로, 동아시아인, 한족, 그리고 린샤의 후이족과 동향족 대부분은 서로 더 많은 유전자를 공유한다. 이는 토착 동아시아 인구가 문화적으로 동화되었고, 후이족 인구가 문화 확산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18]

2021년 개관 연구는 중국 북서부 소수 민족의 평균 서유라시아 관련 혼혈 비율을 약 9.1%로 추정했으며, 나머지는 약 90.9%의 동유라시아 조상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중국 북서부(위구르족, 후이족, 동향족, 보안족, 유구르족, 살라르족 포함)의 이러한 소수 민족 간에 밀접한 유전적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들은 특히 신장 지역의 다른 동아시아인, 특히 몽골계 및 퉁구스어 사용자와 밀접하게 묶여 있으며, "알타이어 사용자"의 공통 조상이 최근에 공유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9] 조상 정보 SNP(AISNP) 분석을 사용한 게놈 연구에 따르면 후이족의 서유라시아 유사 혼혈 비율은 3.66%에 불과한 반면, 위구르족은 36.30%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서유라시아 유사 혼혈 비율을 보였다.[20]

회족 공동체에는 보통 모스크(중국어로는 “사원(清真寺)”이라고 표기)가 있으며, 성자묘(聖者廟)가 있는 경우도 있다. 언어는 중국어를 사용하지만, 이슬람교와 관련된 용어에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사용한다.

성명은 한족과 거의 같지만, 예언자무함마드를 따른 “마” 성이 많이 보인다. 명나라 시대 아프리카까지 항해한 것으로 알려진 정화(鄭和)도 무슬림이었으며, 본성을 마씨라고 했다. 그 외에 원의 시인 노지도(魯至道)에서 유래한 “백” 성, 원나라의 정치가 나속라정(納速剌丁)에서 유래한 “정” 성도 많다.[164] 특유의 성으로는 “하”, “해”, “사” 등이 있다.

회족은 한족 등과 섞여 살면서도 이슬람에 따른 생활을 하며, 한족과는 식습관이나 혼례장례 등의 풍습이 크게 달라, 이러한 차이가 회족의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의 근거가 되고 있다.

回族의 기원은 대외 무역이 번성했던 당나라에서 원나라 시대에 중앙아시아인도양을 거쳐 온 아랍계·페르시아계 외래 무슬림과, 그들과 통혼하고 개종한 기존의 중국인(주로 한족)에게 있다고 여겨진다.

몽골 제국 시대 무슬림 색목인 관리 사이디 아잘(賽典赤)이 운남성을 통치했기 때문에 운남성에는 이슬람교가 보급되었고, 언어적·형질적으로 한족과 동화된 회족이 현재도 많이 살고 있으며, 그들 중 다수는 사이디 아잘의 후예라고 자칭한다. 명나라의 대항해가 정화(鄭和, 마삼보)와 그의 아버지 마하지(馬哈只)도 그 후예라고 자칭했다.

회족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O2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점이 한족과 공통적이지만, 한족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서유라시아 기원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a(11.1%), Y염색체 하플로그룹 J(9.3%),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b(3.7%) 등이 발견된다.[167] 회족이 한족과 서아시아 무슬림의 혼합체임을 유전자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2. 2. 공식 정의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정부는 '후이족'이라는 용어를 중국의 10개 역사적 이슬람 소수 민족 중 하나에 적용했다.[21] 오늘날 중국 정부는 후이족을 종교와 관계없이 민족으로 정의하며, 이슬람교를 실천하지 않는 후이족 조상을 가진 사람들도 포함한다.[21]

중국 인구 통계는 비한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공동체의 무슬림 구성원들을 후이족으로 계산하며 (공식적으로 인정된 별도의 민족 집단으로는 계산하지 않음) 이에는 남쪽 하이난성의 수천 명의 우츠족이 포함된다. 이들은 베트남 참족 무슬림 소수 민족의 언어와 관련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인 자트어를 사용한다. 윈난성바이족 중 소수의 무슬림도 바이어를 사용하지만 후이족으로 분류된다.[21] 일부 티베트 무슬림 집단도 후이족으로 분류된다.[21]

2. 3. 명칭

"회회(回回중국어)"는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중국의 무슬림(백회), 페르시아 기독교인(흑회), 유대인(청회)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였다. 이는 8세기와 9세기 위구르 카간국(위구르 국가)의 이름이었던 "회흘()" 또는 "회골()"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22] 원나라(1271~1368)[23] 및 명나라(1368~1644) 시대에는 '회회'라는 이름이 언어나 기원에 관계없이 외국인을 지칭하게 되었다.[22]

'회족'은 현재 "회족"(민족)을 위한 표준 용어이며, '회민'은 "회족 사람들" 또는 "회족 한 사람"을 위한 용어이다. 전통적인 표현인 '회회'는 현재 사용이 주로 농촌 지역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현대 도시 중국 무슬림들에게는 고풍스럽게 들리거나 심지어 모욕적으로 들릴 수 있다.[26] 이슬람교를 위한 전통적인 중국어 용어는 "회교(回敎)"였으나, 현재는 "이슬람교(伊斯蘭敎)"가 표준 용어이다. "칭전(清真)"은 무슬림 문화를 위한 인기 있는 용어로, 모스크, 할랄 식당, 목욕탕 등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3. 역사

후이족은 유럽인, 아랍인, 이란계 페르시아인, 몽골인, 투르크계 위구르인 및 기타 중앙아시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이들의 조상은 주로 중동,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출신으로 이 지역에 이슬람교를 전파했다. 당나라, 송나라, 몽골 제국 등 여러 중세 중국 왕조 시대에는 주로 무슬림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출신의 외국 이민이 있었으며, 이들 왕조는 무슬림 상인들을 환영하고 중앙아시아 관리들을 임명했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이민자들은 점차 중국어를 사용하고 정착하여 결국 후이족을 형성했다.

회회(回回중국어)는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중국의 무슬림(백회), 페르시아 기독교인(흑회), 유대인(청회)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였다. 이는 이전의 회흘() 또는 회홀(})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8세기와 9세기 위구르 카간국(위구르 국가)의 이름이었다.[22]

'회족'은 현재 "회족"(민족)을 위한 표준 용어이며, '회민'은 "회족 사람들" 또는 "회족 한 사람"을 위한 용어이다. 전통적인 표현인 '회회'는 현재 사용이 주로 농촌 지역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슬람교는 당나라 시대에 처음 중국에 등장했을 때 다식교(Dashi Jiao)라고 불렸다. "다식법(Dashi Fa)"은 고대 중국어로 "아랍 법"을 의미한다.

회회(Huihui)라는 단어의 또 다른 초기 용례는 요사에서 나온다. 여기에는 12세기 거란-키타이 칸국의 창립자 야율대석사마르칸트 근처에서 회회대식부(回回大食部중국어) 사람들을 물리쳤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1141년 호라즘 통치자 아흐마드 산자르를 패배시킨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호라즘은 몽골비사에서도 회회국(Huihuiguo)으로 언급된다.

회회(Huihui) 또는 회(Hui)는 중국 제국 시대 모든 무슬림을 위한 일반적인 이름으로 남아 있었지만, 특정 집단을 가리키는 데 때때로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위구르인에게는 "천두회(Chantou Hui)"(터번을 쓴 회), 둥샹족과 살라르족에게는 "둥샹회(Dongxiang Hui)"와 "살라회(Sala Hui)", 그리고 때로는 중국 주류 사회에 더 동화된 (아마도 중국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에게는 "한회(漢回)"()("중국 회")가 사용되었다.[29][30]

린샤시할랄() 목욕탕


1930년대, 중국 공산당은 회(Hui)라는 용어를 중국어를 사용하는 무슬림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했다. 1941년, 중국 공산당 위원회는 "회회 민족 문제(回回民族问题, Huíhui mínzú wèntí)"라는 논문에서 회족의 특징을 이슬람과 관련이 있지만 이슬람으로 정의되지 않으며, 주로 몽골이 세운 원나라(1271~1368) 시대에 중국으로 이주한 무슬림의 후손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 및 기타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과 구별되는 민족 집단으로 정의했다.

칭전(清真중국어, 문자 그대로 "순수하고 진실한")은 원나라나 명나라 이후로 무슬림 문화를 위한 인기 있는 용어이기도 했다. 모스크를 위한 일반적인 용어는 칭전쓰(清真寺중국어), 즉 "진실하고 순수한 사원"이며, 칭전(淸眞)은 일반적으로 할랄 식당과 목욕탕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청나라 시대에 중원인(中原人중국어)이라는 용어는 신장이나 중앙아시아의 한족과 회족을 포함한 모든 중국인을 포괄하는 용어였다. 회족은 한족이 아니지만, 스스로를 중국인으로 여기고 중원인이라는 더 큰 집단에 포함시킨다.[33]

3. 1. 당나라 ~ 원나라 시대

당나라에서 원나라 시대에 걸쳐, 중앙아시아인도양을 통해 온 아랍계, 페르시아계 외래 무슬림들이 후이족의 기원이 되었다. 이들은 주로 상인들이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중국에서 환영받았다.[28]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은 중국어를 사용하고 정착하며, 현지인들과 통혼하고 개종하여 후이족을 형성하였다.

몽골 제국 시대에는 무슬림 색목인 관리가 중국 각지에서 활동했다. 특히 윈난성에는 사이디 아잘(賽典赤)이 통치하여 이슬람교가 보급되었다.[46] 원나라 시대에 무슬림들은 '회회(Huihui)'라고 불렸으며, 이는 외국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22] 쿠빌라이 칸은 무슬림들에게 할랄 음식 준비 방식을 중단하도록 강요하기도 했다.[25]

원나라 시대 중국인들은 무슬림을 '푸스만(Pusuman)'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무슬림 또는 페르시아인을 의미하는 단어의 변형으로 추정된다.[36]

3. 2. 명나라 시대

명나라 시대에도 회족은 중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 담당했다. 특히, 정화는 무슬림으로서 대항해를 이끌었다.[22] 명나라 시대에 '회회'(回回중국어)라는 용어는 이전의 '회흘'(回紇) 또는 '회홀'(回鶻)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8세기와 9세기 위구르 카간국의 이름이었다.[22] 그러나 원나라와 명나라 시대에 '회회'는 언어나 기원에 관계없이 외국인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22] 당시 아랍인은 '백색 두건 회회', 페르시아인은 '흑색 두건 회회', 유대인은 '청색 두건 회회'로 불렸으며, 이슬람 사원과 유대교 회당은 모두 '청진사'(清真寺중국어)라는 같은 단어로 불렸다.[24]

3. 3. 청나라 시대

청나라 시대에 한족화된 무슬림들은 “회민(回民)” 또는 “한회(漢回)” 등으로 불렸다.[29][30] 청나라 말기에는 여러 지역에서 회민 봉기가 발생했다. 1855년부터 1873년까지는 운남성에서 판제의 난이 발생했다. 1862년부터는 섬서성, 감숙성에서 회민인 둥간족의 봉기가 발생했다. 이러한 회민 봉기를 계기로 1860년대에는 신강에서 야쿠브 베크의 난이 발생하여 야쿠브 베크가 일시적으로 정권을 수립했다.

청나라에 진압된 후 회민의 일부는 러시아 제국 영토로 건너가 중앙아시아에 정착했다. 그들의 후손은 둥간족(東干人)이라 불리는 민족 집단이 되어 현재도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에 거주하고 있다.

3. 4. 중화민국 시대

국민당 내에는 많은 회족 군벌과 장군들이 활동하는 등, 중화민국 시대에도 회족은 군대와 정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3. 5.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중화인민공화국은 민족 식별 사업에서 후이족을 무슬림 소수민족으로 인정했다. "후이족"은 애초에 독립 민족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회민 측의 요구에 따라 설정된 특수한 민족 틀이었다.[165] 하지만 민족 정책의 편의상 혈통에 따른 민족 집단으로 변화했고, 후이족 혈통을 이었어도 이슬람교 신앙을 버린 자가 후이족을 자칭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이는 후이족이 소수민족으로서 우대 조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슬람교로 개종한 한족도 후이족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신앙을 버린 후이족을 후이족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신앙을 유지하는 후이족 사이에서도 가장 오래전부터 존재하는 파, 서도당파, 수피즘 각 파, 마보방 시대부터 우대받아 온 이흐완파, 중국 공산당 정부에 의해 신앙이 공인된 살라피즘 계열의 파 등으로 기본적으로 교파가 나뉘어 있다. 교파가 다른 후이족 간의 교류에는 소극적이며 종파는 민족 의식보다 더 중요시된다.[166]

최근 몇 년 동안 후이족 무슬림들은 종교 활동에 대한 탄압을 더욱 심하게 경험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86] 2018년, 최고 지도자 시진핑은 중국 무슬림의 중국화를 목표로 하는 지시를 발표했다.[87] 그 이후로 정부는 "아랍"으로 간주되는 후이족 문화의 여러 측면을 탄압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탄압의 대부분은 미적으로 이슬람적인 건물과 상징물을 제거하는 데 국한되었으며, 정부는 건축물을 더 중국적으로 보이도록 개조하고 후이족 지역에서 아랍어 간판을 금지했다.[88] 사원 폐쇄나 중국 외 지역을 여행한 이맘들의 면허 취소와 같은 더욱 과감한 탄압도 이루어졌다.[89] 후이족을 중국화하기 위해, 닝샤의 학교와 사원들은 전통 한족 건축 양식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변경되었다.[90]

4. 인구 및 분포

후이족은 중국에서 가장 널리 분포한 소수민족이며, 많은 성(省)에서 주요 소수민족이기도 하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는 10,586,087명의 후이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0.79%를 차지하여 한족과 장족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을 형성한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간쑤성에는 백만 명 이상의 후이족이 거주하고 있다. 닝샤에서는 인구의 33.95%가 후이족이다. 후이족은 칭하이성(15.62%), 간쑤성, 산시성의 주요 소수민족이며, 허난성안후이성에서는 전체적으로 가장 큰 소수민족이다.

5. 문화

후이족은 중국 내에서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이슬람교의 영향과 중국 문화의 융합으로 형성되었다.

당나라 시대에 이슬람교가 중국에 처음 전래되었을 당시에는 "다식교(Dashi Jiao)"라고 불렸다. "다식법(Dashi Fa)"은 고대 중국어로 "아랍 법"을 의미한다.[28] 초기에는 대부분의 무슬림이 외국인 아랍인이나 페르시아인이었기 때문에 중국인들에게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회회(Hui Hui)"라는 명칭이 무슬림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

원나라 시대에는 "회회(Huihui)" 또는 "회(Hui)"가 모든 무슬림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지만, 특정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도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위구르인은 "천두회(Chantou Hui)"(터번을 쓴 회), 동향족과 살라르족은 "동향회(Dongxiang Hui)"와 "살라회(Sala Hui)", 중국 사회에 더 동화된 무슬림은 "한회(漢回)"(중국 회)라고 불렸다.[29][30]

1930년대 중국 공산당(CCP)은 "회(Hui)"라는 용어를 중국어를 사용하는 무슬림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1941년에는 이를 공식화했다.[31]

전통적인 중국어 이슬람교 용어는 "회교(回敎)"였지만, 현대 중국에서는 "이슬람교(伊斯蘭敎)"가 표준 용어로 사용된다.[32] "청진(淸眞)"(문자 그대로 "순수하고 진실한")은 무슬림 문화를 위한 용어로, 모스크(清眞寺)나 할랄 식당, 목욕탕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청나라 시대에는 ''중원인''()이라는 용어가 한족과 회족을 포함한 모든 중국인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33] 둥간족은 ''중원인''이라고 불리기도 했다.[34] 은 투르크계 무슬림들이 중국인을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

원나라 시대 중국인들이 사용했던 ''푸스만(Pusuman)''은 ''무슬림''의 변형이거나 페르시아인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으며, 무슬림 또는 페르시아인을 의미한다.[36]

''중국인 무슬림''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회족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데, 이는 그들이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살라르족과는 달리 중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39][40]

5. 1. 종교

대부분의 후이족은 수니파 무슬림이며, 그들의 이슬람 종파는 게디무(格底目), 이허와니(伊合瓦尼), 살라피(塞莱菲耶派), 시다오탕(西道堂) 등으로 나눌 수 있다.[54] 청나라 시대부터 중국 내 회족 사이에서는 여러 차례 격렬한 종파 분쟁이 발생하였다.

  • '''게디무(格底目)'''(구교(老教)):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널리 퍼져 있는 종파이다. 신도들은 일반적으로 적극적으로 포교하지 않는다. 이 종파는 각각 세습 지도자를 가진 네 개의 주요 수피 수도회(门宦)로 나뉜다. 각 수도회는 지도자의 무덤 역할을 하는 ''궁베이(拱北)''를 가지고 있다.
  • '''자흐리야(哲合忍耶)'''(큰 소리로 암송하는 종파(高念派)로도 알려짐)
  • '''쿠피야(虎夫耶)'''(작은 소리로 암송하는 종파(低念派)로도 알려짐)
  • '''카디리야(格底忍耶)'''( “위대한 자”(“大能者”)를 의미함)
  • '''쿠브라위야(库布忍耶)'''( “위대한 자”(“伟大者“)를 의미함)
  • '''이허와니(伊合瓦尼)'''(신교(新教)): 이 종파는 수피 수도회, ''궁베이'', 세습 지도자를 세우지 않고 꾸란에만 집중한다.
  • '''살라피(塞莱菲耶)'''(신신교(新新教)): 와하비 사상의 영향을 받은 이 종파는 신교를 개혁하고 초기 이슬람의 순수성과 영성으로의 회귀를 주장한다.
  • '''시다오탕(西道堂)'''(한학파(汉学派)): 유지(劉智)와 같은 학자들이 이슬람 경전을 중국어로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설립된 이 종파는 중앙 집중적인 종교 권위를 가지고 있다. 지도자는 종신직이지만 세습되지 않는다.


마 통은 중국의 6,781,500명의 수니파 후이족 중 58.2%가 게디무, 21%가 이허와니, 10.9%가 자흐리야, 7.2%가 쿠피야, 1.4%가 카디리야, 0.7%가 쿠브라위야 수피 학파를 따른다고 기록했다.[54]

북부 후이족 사이에서는 쿠브라위야, 카디리야, 낙시반디야(쿠피야와 자흐리야)와 같은 중앙아시아 수피 학파가 주로 하나피 마즈하브의 영향력이 강했다. 후이족 무슬림들은 유교 가르침과 꾸란 가르침을 종합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당나라 시대부터 유교에 기여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동 개혁 운동에서 영감을 받은 중국 무슬림 종파인 "이허와니" 운동 이전에는 북부 후이족 수피들은 도교 가르침과 무술 연습을 수피 철학과 융합했다.

중국 회족 모스크의 건축 양식은 종파에 따라 다양하다. 전통적인 게딤 하나피 수니파는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국 사찰과 비슷하게 보이는 모스크를 건설한다. 개혁적인 현대주의적 이허완은 원래 살라피즘의 영향을 받아 중동식 양식으로 모스크를 건설한다.

회족 공동체에는 보통 모스크(중국어로는 “청진사(清真寺)”라고 표기)가 있으며, 성자묘(聖者廟)가 있는 경우도 있다.

신앙을 유지하는 후이족 사이에서도 가장 오래전부터 존재하는 게디무, 시다오탕, 수피즘 각 파(), 마보방 시대부터 우대받아 온 이흐완파, 중국 공산당 정부에 의해 신앙이 공인[165]된 살라피즘 계열의 등으로 기본적으로 교파가 나뉘어 있다. 교파가 다른 후이족 간의 교류에는 소극적이며 종파는 민족 의식보다 더 중요시된다.[166]

5. 2. 언어

회족은 대부분 중국어를 모어로 사용하지만, 이슬람과 관련된 용어에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사용한다.[164] 칭하이성, 윈난성, 하이난성에는 한어 이외의 언어를 모어로 하는 후이족 집단이 산재해 있다.[164]

회족이 사용하는 중국어에는 아랍어 등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일부 존재한다. 예를 들어 阿米乃(Āmǐnǎi), 安拉(Ānlā), 古蘭(Gǔlán), 穆罕默德(Mùhànmòdé), 色俩目(Sèliǎmù), 爾咱布(Ěrzǎbù) 등이 있다. 이들 중에는 중국어로 동화된 정도가 높은 어휘도 있고, 여전히 외래어라는 인식이 강한 어휘도 있다. 동화된 정도가 높은 어휘는 그것을 표기하는 한자도 대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되는 한자 그대로 발음되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동화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어휘는 표기하는 한자도 제각각이며, 발음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성조도 불분명하고, 중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원래의 아랍어 등의 원음에 가까운) 음절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

회족이 사용하는 중국어가 아랍어에서 외래어를 받아들일 때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받아들여진다. 아랍어에는 모음의 장단의 구별이 있다. i, u에서는 장단의 구별을 고려하지 않고 받아들이고 있지만, a의 경우에는 장단을 구별하여 받아들이는 예가 많다. 아랍어의 장모음 aː는 모음 a를 포함하는 한자로 받아들이고 (اخرة aakhirah>阿黑热提 aheireti,كافر kaafir>卡非日 kafeiri), 단모음 a는 ai, e의 모음을 포함하는 한자로 받아들이는 예가 많다.(احمد ahmad>艾哈默德 aihamode,كلمة kalimah>克立麦 kelimai)

아랍어에는 일본어의 촉음처럼 같은 자음을 두 번 반복하는 발음이 존재하지만, 중국어에는 그러한 발음이 없으므로, 이것을 받아들일 때는 바로 앞의 모음을 비음어미를 포함하는 한자를 사용하여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اللّه Allah>安拉 Ānlā,حج hajj>罕志 hánzhì)

아랍어에는 l과 r의 구별이 있다. 고대 중국어나 남쪽의 많은 방언에는 이 구별이 없으므로, 옛날에 받아들인 단어는 아랍어의 l과 r을 구별하지 않고, l로 발음하는 한자로 받아들였다.(قرآن qur`aan>古兰 gǔlán,رمضان ramadaan>莱麦丹 láimàidān) 현대 중국어 북방 방언은 l과 r을 구별하므로, 아랍어의 r을 r을 포함하는 한자로 받아들이는 예가 많아지고 있다.(رزقة rizqah>瑞孜给 ruízīgěi,رجیم rajiim>热支目 rèzhīmù)

그 외, 아랍어에는 t, s, z 등에 강세 자음이 있다. 이러한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를 받아들일 때는, 개재 모음 u를 포함하는 한자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شیطان shaitaan>筛团尼 shāituánní,صلاة salaah>索俩提 suǒliǎtí,ضلال dalaal>醉俩里 zuìliǎlǐ)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터키어 등이 이 강세 자음을 구별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것에 비해, 회족의 언어에는 이 구별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마찬가지로 페르시아어 등에서는 구별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유성 인두 마찰음도 회족의 언어에서는 er의 한자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성문음과 구별하여 받아들이고 있는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عزاب azaab>爾咱布 ěr zǎ bù,عیسی 'Iisaa>爾薩 ěr sà)

아랍어의 gh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는 e의 한자로 받아들이는 예가 많다.(مغفرة maghfirah>麦呃非热提 màiefeireti,مغرب maghrib>麦俄力布 màielibu)

q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는 g의 한자로 받아들인다. 현대 북방 중국어에는 gi, ki, hi, fi와 같은 음절 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를 받아들일 때는 gei, kei, hei, fei 등의 한자로 받아들이거나, 아니면 ji, qi, xi 등의 한자로 받아들이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 또한 자음을 단독으로 받아들일 경우, i, u, e 등 입의 개구가 작은 모음을 포함하는 한자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지만, n이나 m에 관해서는 바로 앞의 한자를 비음 어미를 포함하는 한자로 하여 받아들이는 예가 많다. 그 외, 아랍어의 la의 장음이 중국어에서는 lia의 한자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점도 특징적이다.(سلام salaam>色俩目 sèliǎmù,صلاة salaah>索俩提 suǒliǎtí)

중국어는 음절상의 제약이 매우 많은 언어이기 때문에 많은 예외가 존재한다.

한어 이외의 언어를 모어로 하는 후이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집단은 단순히 주변 해당 민족의 언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종교와 음식 외에도 풍습 면에서도 주변 여러 민족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집단은 외래의 후이족이 현지 민족에 동화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주변 민족의 일부 집단이 후이족과 만나 이슬람화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후이족이라는 민족 자체가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여러 민족을 대략적으로 하나로 묶은 개념이며, 당연히 다양한 배경을 가진 무슬림이 포함되어 있다.

5. 3. 이름

회족은 한족과 유사한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흔한 회족 이름은 무슬림 및 페르시아 이름을 중국식으로 음차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성 '마(馬)'는 '무함마드'를 의미한다.[122]

회족은 보통 중국식 이름과 아랍어로 된 무슬림 이름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주로 중국식 이름을 사용한다. 일부 회족은 자신의 무슬림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기도 한다.[121]

회족의 일반적인 성씨와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회족의 일반적인 성씨와 유래
성씨유래
마 (Ma)무함마드 (Muhammad)
무 (Mu)무함마드 (Muhammad)
한 (Han)
하(Ha)하산 (Hasan)
후 (Hu)후세인 (Hussein)
사이(Sai)사이드 (Sa‘id)
사 (Sha)샤 (Shah)
정 (Zheng)샴스 (Shams)
곽 (Guo) (Koay)카마루딘 (Kamaruddin)
채 (Cai) (Chuah)오스만 (Osman)
해 (Hai)하이다르 (Haydar)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전설에 따르면, 나(Na), 소(Su), 라(La), 정(Ding) 등 네 개의 흔한 회족 성씨는 압둘라 샴스 알딘 오마르의 아들인 나스르딘의 자손들이 조상의 이름(''나술라딩'', 중국어)을 서로 나눠 가진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164]

명나라 시대 아프리카까지 항해한 것으로 알려진 정화(鄭和)도 무슬림이었으며, 본성은 마(馬)씨였다. 그 외에 원의 시인 노지도(魯至道)에서 유래한 백 성, 원나라의 정치가 나속라정(納速剌丁)에서 유래한 정 성도 많다.

5. 4. 음식

후이족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할랄(清真) 음식을 섭취한다.[27] 전국적으로 할랄(清真) 음식점에서 서북식 소고기 람면을 제공한다.

상하이의 한 할랄(清真)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란저우 정통 우육면

5. 5. 결혼

후이족의 결혼은 전통적인 중국식 의례를 따르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중국 결혼과 유사하다.[131] 후이족은 주로 자기들끼리 결혼하는 내혼을 실천하지만,[132] 한족과의 혼인도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한족과 후이족 간의 혼인은 한족 남성이 후이족 여성과 결혼할 때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개종 없이 결혼하는 경우는 드물다. 후이족 사회에서는 한족 남성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지 않으면 후이족 여성과의 결혼을 허용하지 않지만, 중국 동부에서는 이러한 결혼이 종종 발생했다. 보통 한족 남녀 모두 이슬람교로 개종해야 결혼할 수 있으며, 이는 후이족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133] 1972년에는 한족 남성이 후이족 여성과 결혼하여 개종 후 후이족으로 인정받은 사례도 있다.[122]

사위가 처가살이를 하는 '조녀(招女婿)' 풍습이 있는데, 한족과 후이족 간의 일부 결혼에서도 이러한 방식이 나타난다. 이 경우 남편은 개종할 필요가 없지만, 아내의 가족은 이슬람 관습을 따른다. 하남성에서는 명나라 시대에 한족 남성과 후이족 여성이 한족 남성의 개종 없이 결혼한 기록이 있으며, 한족과 후이족 마을의 비석에는 이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혈족의 한족과 후이족 구성원들은 함께 조상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134]

1376년, 리 누(李努)는 푸젠성 취안저우의 한족 리씨 가문 출신 리 루(李魯)의 아들로, 호르무즈(페르시아)를 방문하여 페르시아인 또는 아랍인 여성과 결혼하고 그녀를 취안저우로 데려왔다. 이후 그는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명나라 개혁가 리 치의 조상이 되었다.[135][136]

1800년대 감숙성에서는 후이족 여성이 공자의 후손인 다촨(Dachuan)의 한족 공씨(孔氏) 가문에 시집갔는데, 한족 신랑과 그의 가족은 결혼 후에야 이슬람교도 친척들에 의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1715년 운남성에서는 소수의 한족이 후이족 여성과 결혼하고 이슬람교로 개종하기도 했다.

한족 출신의 변황기 기병 장교 강흥주(姜興舟)는 건륭제 말기에 심양에서 무슬림 여성과 결혼했다. 그는 일반 여성과 결혼한 팔기군이라는 이유로 처벌받을까 두려워 직책을 버리고 도망쳤으나, 직무유기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다만, 형이 감형되어 처형되지는 않았다.[137]

둥간 반란 (1895-96) 당시 토파(Topa)(多바)의 무슬림 400명은 반란에 가담하지 않고 중국에 대한 충성을 선언했다. 그러나 한족 남성과 무슬림 아내 사이의 다툼으로 인해, 토파의 무슬림들은 탕카르(Tankar)를 공격하고 동족 종교인들에게 신호를 보내 문을 열고 언덕 위의 사찰을 불태울 것이라는 아내의 위협을 받았다. 이들은 학살당했는데, 남편이 이 사실을 관리에게 보고했고, 다음 날 몇몇 한족에게 시집간 무슬림 여성을 제외한 나머지 무슬림들이 학살당했다.[138][139][140]

21세기에는 후이족 남성과 한족 여성, 그리고 한족 남성과 후이족 여성의 결혼 모두 평균 이상의 교육 수준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141]

6. 하위 집단

미얀마(버마)와 윈난성에 거주하는 중국계 무슬림 집단을 판타이족(Panthay)이라고 부른다.[51] 태국에서는 중국계 무슬림을 친호(Chin Ho, จีนฮ่อ|친호th)라고 부른다.

윈난성 쿤밍의 무슬림 식당


하이난섬 남단, 싼야시 근처에 거주하는 우술족(Utsul)은 차미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이다.[51] 이들은 베트남 중부의 옛 참파에서 베트남의 침략을 피해 도망쳐 온 참족 난민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51] 중국 정부는 문화, 민족, 언어적으로 후이족과 다른 우술족을 이슬람 신앙을 이유로 후이족으로 분류한다.

7. 자치 구역

후이족은 중국 내에서 여러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성(省)급의 자치구, 주(州)급의 자치주, 그리고 현(縣)급의 자치현으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자치 구역으로는 닝샤 후이족 자치구, 간쑤성 린샤 후이족 자치주,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창지 후이족 자치주 등이 있다.

7. 1.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7. 2. 자치주

7. 3. 자치현


참조

[1] 뉴스 By choosing assimilation, China's Hui have become one of the world's most successful Muslim minorities https://www.economis[...] 2016-10-08
[2] 웹사이트 الماتريدية وآثارها في الفكر الإنساني بدول طريق الحرير.. الصين نموذجا http://www.alfaisalm[...]
[3] 웹사이트 الحنفية الماتريدية في بلاد الصين http://midad.com/art[...] midad.com 2020-01-04
[4] 논문 Types of the Ethnic Relationships in Modern China
[5] 서적 Muslim Chinese : ethnic nationalism in the People's Republic Cambridge, Mass
[6] 서적 白崇禧先生訪問紀錄(下冊) 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7] 서적 250 Years History of the Turkic-Muslim Camp in Beijing Department of Islamic Area Studies, Center for Evolving Humanities,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ology, The University of Tokyo
[8] 논문 Globalization and The Chinese Muslim Community in Southwest China
[9] 논문 Chinese Muslims in Transregional Spaces of Mainland China, Taiwan, and Beyond in the Twentieth Century
[10] 서적 Liang an fen zhi: xue shu jian zhi, tu xiang xuan chuan yu zu qun zheng zhi (1945-2000) https://www.worldcat[...] Zhong yang yan jiu yuan jin dai shi yan jiu suo
[11] 웹사이트 中国民族 https://www.gov.cn/t[...] 2024-11-06
[12] 참고자료
[13] 참고자료
[14] 논문 HLA class I polymorphism in Mongolian and Hui ethnic groups from Northern China https://pubmed.ncbi.[...] 2007
[15] 논문 Different matrilineal contributions to genetic structure of ethnic groups in the silk road region in china
[16] 논문 Genetic affinity between Ningxia Hui and eastern Asian populations revealed by a set of InDel loci
[17] 논문 Male-Dominated Migration and Massive Assimilation of Indigenous East Asians in the Formation of Muslim Hui People in Southwest China 2021
[18] 논문 Genetic evidence for an East Asian origin of Chinese Muslim populations Dongxiang and Hui 2016-12-07
[19]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and East-West Population Admixture in Northwest China Inferred From Genome-Wide Array Genotyping 2021
[20] 논문 Forensic ancestry analysis in two Chinese minority populations using massively parallel sequencing of 165 ancestry-informative SNPs https://pubmed.ncbi.[...] 2018-11
[21] 참고자료
[22] 참고자료
[23] 참고자료
[24] 서적 Ethnic China: Identity, Assimilation, and Resistance Lexington Books
[25] 웹사이트 The Integration of Religious Minorities in China: The Case of Chinese Muslims http://www.islamicpo[...] The Fifty-ninth George Ernest Morrison Lecture in Ethnology 2010-11-30
[26] 서적 Mission d'Ollone, 1906–1909. Recherches sur les Musulmans chinois. Paris
[27] 웹사이트 The Integration of Religious Minorities in China: The Case of Chinese Muslims http://www.islamicpo[...] The Fifty-ninth George Ernest Morrison Lecture in Ethnology 2010-11-30
[28] 참고자료
[29] 웹사이트 From Yunnan to Xinjiang:Governor Yang Zengxin and his Dungan Generals http://www.ouigour.f[...] Pacific and Asian Histo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0-07-14
[30] 웹사이트 Editorial http://www.chinaheri[...] 2016-09-17
[31] 참고자료
[32] 서적 Muslim peoples: a world ethnographic surve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10-11-28
[33]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11-28
[34] 서적 The Empire and the Khanate: a political history of Qing relations with Khoqand c. 1760–1860 https://books.google[...] BRILL 2010-11-28
[36] 서적 Aspects of the Maritime Silk Road: From the Persian Gulf to the East China Se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0-05-20
[37] 서적 The Tartar Khan's Englishman https://books.google[...] Cassell
[38] 서적 The journey of William of Rubruck to the eastern parts of the world, 1253-55: as narrated by himself, with two accounts of the earlier journey of John of Pian de Carpine https://books.google[...]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39] 서적 China revolutionized https://books.google[...] The Bobbs-Merrill company
[40] 서적 Chinese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Methuen
[41] 서적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sue 1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42] 서적 China: new faces of ethnograph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43] 서적 Market cultures: society and morality in the new Asian capitalisms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44] 서적 Islamic family law https://books.google[...] BRILL
[45] 뉴스 Islam in Taiwan http://www.saudiaram[...] 1970-07-01
[46] 뉴스 FEATURE: Taisi Township re-engages its Muslim roots http://www.taipeitim[...] 2008-08-31
[47] 서적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Volume 46, Issues 3–4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48] 서적 Studies on Chinese and Islamic Inner Asia Variorum
[49] 서적 Memoir on Chinese Tartary and Khoten https://books.google[...] Th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1835-12-01
[50] 학술지 Inner Asian Frontiers of China 1941-01-01
[51]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2] 서적 Journal of Urusvati Himalayan Research Institute, Volumes 1–3 https://books.google[...] Vedams eBooks 2003-08-01
[53] 학술지 Genetic evidence for an East Asian origin of Chinese Muslim populations Dongxiang and Hui 2016-01-01
[54] 서적 心繫中國穆斯林 — 祈禱手冊 香港前線差會
[55] 서적 From Kaifeng to Shanghai: Jews in China Routledge 2017-01-01
[56] 서적 The Jewish-Chinese Nexus: A Meeting of Civilizations Routledge 2008-01-01
[57] 서적 Journey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view & Analysis https://books.google[...] Kalman Dubov
[58] 서적 Jews in Old China: Studies by Chinese Scholars https://books.google[...] Hippocrene Books 2001-01-01
[59] 서적 The Jews of China: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9-01-01
[60]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1] 서적 Inner Asia, Volume 4, Issues 1–2 https://books.google[...] The White Horse Press for the 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62] 웹사이트 How Many Minzu in a Nation? Modern Travellers Meet China's Frontier Peoples Brill Online http://www.ingentaco[...] 2002-01-01
[63] 서적 The Temple of Memories: History, Power, and Morality in a Chinese Villag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10-01
[64] 웹사이트 New Confucius Genealogy out next year http://www.china.org[...] china.org.cn
[65] 웹사이트 CHINESE-IRANIAN RELATIONS vii. Persian Settlements in Southeastern China during the T'ang, Sung, and Yuan Dynasties http://www.iranicaon[...] Encyclopedia Iranica
[66]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ZDMG, Volume 151 https://books.google[...] Kommissionsverlag F. Steiner
[68] 서적 Land wars : the story of China's agrar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01-01
[69] 서적 Land wars : the story of China's agrar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01-01
[70] 서적 Anti-drug crusades in twentieth-century China : nationalism, history, and state building Rowman & Littlefield
[71] 서적 Annual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04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4-04-24
[72] 서적 Encyclopedia of Arabic Language and Linguistics: A-Ed https://books.google[...] Brill 2015-11-15
[73] 학술지 Chinese Islam: Unity and Fragmentation http://www.biblicals[...] 2003
[74] 웹사이트 Religious Repression of Uyghurs in East Turkestan https://web.archive.[...] 2015-06-26
[75] 서적 The Uyghurs: Strangers in Their Own Lan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4-24
[76] 웹사이트 Faith Flourishes in an Arid Wasteland http://www.scmp.com/[...] 2005-08-17
[77] 잡지 If China Is Anti-Islam, Why Are These Chinese Muslims Enjoying a Faith Revival? https://time.com/309[...] 2014-08-12
[78] 뉴스 Ningxia: Small but Beautiful and Productive http://www.china-bri[...] 2010-08-19
[79] 뉴스 Building on Faith http://www.bjreview.[...] 2015-07-30
[80] 서적 Minority Rules: The Miao and the Feminine in China's Cultural Politic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5-06-26
[81] 서적 Collaborative Nationalism: The Politics of Friendship on China's Mongolian Fronti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06-26
[82] 서적 Muslim Diversity: Local Islam in Global Contex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26
[83] 서적 Handbook of Global Legal Polic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06-26
[84]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0-06-28
[85] 웹사이트 Ban Thwarts 'Year of the Pig' Ads in China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8-04-05
[86] 웹사이트 The State of Religion In China https://www.cfr.org/[...]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8-10-11
[87] 뉴스 A Crackdown on Islam Is Spreading Across China https://www.nytimes.[...] 2019-09-21
[88] 뉴스 China's Repressive Reach is Growing https://www.washingt[...] 2020-05-27
[89] 뉴스 'Afraid We Will Become The Next Xinjiang': China's Hui Muslims Face Crackdown https://www.npr.org/[...] 2019-10-08
[90] 웹사이트 China's Repression of the Hui: A Slow Boil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1-06-14
[91] 뉴스 Internment camps make Uighurs' life more colourful, says Xinjiang governor https://www.theguard[...] 2018-10-16
[92] 뉴스 Chinese officials defensive over Muslim re-education camps https://www.csmonito[...] 2018-11-15
[93] 뉴스 Xinjiang's Hui Muslims Were Swept Into Camps Alongside Uighurs https://foreignpolic[...] 2020-03-07
[94] 서적 Great Britain and Chinese, Russian and Japanese interests in Sinkiang, 1918–1934 https://books.google[...] Esselte studium 2010-06-28
[95] 웹사이트 Uyghur Muslim Ethnic Separatism in Xinjiang, China http://www.apcss.org[...] 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 2010-06-28
[96] 서적 Nationalism and ethnoregional identities in Chin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1-11
[97] 학술지 Jihad in China? Marketing the Turkistan Islamic Party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15-09-18
[98] 웹사이트 Terrorism and Islamic Radicalization in Central Asia A Compendium of Recent Jamestown Analysis https://web.archive.[...] 2015-09-18
[99] 웹사이트 Chinese Salafism and the Saudi Connection https://web.archive.[...] 2014-10-28
[100] 웹사이트 Chinese Salafism and the Saudi Connection https://thediplomat.[...] 2014-10-23
[101] 서적 Nationalism and Ethnoregional Identities in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16
[102] 서적 Women and Heroin Addiction in China's Changing Socie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10-03
[103] 서적 Anti-drug Crusades in Twentieth-century China: Nationalism, History, and State Building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10-03
[104] 뉴스 Police shut Muslim quarter in Lhasa https://web.archive.[...] 2008-03-28
[105] 뉴스 Tibetan-Muslim tensions roil China https://www.latimes.[...] 2010-06-28
[106] 서적 The other global city https://books.google[...] Taylor Francis 2010-07-30
[107] 웹사이트 In China, rise of Salafism fosters suspicion and division among Muslims https://www.latimes.[...] 2016-02-00
[108] 웹사이트 ISIS uses soothing music as a recruiting tool — in China https://www.pri.org/[...] 2015-12-08
[109] 웹사이트 Audio http://sitemultimedi[...] 2019-10-20
[110] 논문 Ethnicity and Politics in Republican China: The Ma Family Warlords of Gansu Sage Publications, Inc. 1984-07-00
[111] 서적 Seven Years in Tibet Rupert Hart-Davis Publisher
[112] 서적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ume 39, Issues 1–6 https://books.google[...] The Association 2010-06-28
[113] 논문 The Divine Word Missionaries in Gansu, Qinghai and Xinjiang, 1922–1953: A Bibliographic Note
[114] 서적 Discrimination, corruption and moral decl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uslim Hui uprising in Yunnan, China, 1856–1873 https://books.google[...] The Harry S. Truman Research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The Hebrew University 2010-06-28
[115] 서적 The Chinese sultanate: Islam, ethnicity, and the Panthay Rebellion in southwest China, 1856–1873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16] 서적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transnationalism and diaspor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1-01
[117] 서적 The religions of China: Confucianism and Tâ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odder and Stoughton 2010-06-28
[118]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octrine, discipl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Volume 3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Press 2011-01-23
[119]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Islam: Circumcision of boys https://www.bbc.co.u[...]
[120] 논문 Notes on some joking relationships between Hui and Han villages in Henan https://journals.ope[...]
[121] 서적 Pakistan horizon, Volumes 1–3 https://books.google[...] Pakist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010-06-28
[122] 서적 China off center: mapping the margins of the middle kingdo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04-09
[123] 서적 Muslim diversity: local Islam in global contex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04-09
[124] 웹사이트 The completion of the idea of dual loyalty towards China and Islam https://web.archive.[...] 2010-06-28
[125] 서적 Last Stand of Chinese Conservatism the T'Ung-Chih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26] 서적 Shuo fang dao zhi https://books.google[...]
[127] 서적 https://books.google[...] Tianjin Ancient Books Publishing House (天津古籍出版社)
[128] 서적 https://books.google[...] Mongolian and Tibetan Affairs Commission
[129] 논문 The Panthay Mission of 1872 and its Legacies 1985-03-00
[130] 서적 The Chinese repository, Volume 13 https://books.google[...] 2011-05-08
[131] 서적 Zenon von Ki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0-11-28
[132] 서적 The marriage customs among China's ethnic minority groups https://books.google[...] 中信出版社 2011-05-12
[133] 웹사이트 Plurality and Unit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People https://web.archiv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0-10-31
[134] 논문 Notes on some joking relationships between Hui and Han villages in Henan https://web.archive.[...] 2010-06-28
[135]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29
[136]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04-01
[137] 간행물 GZSL,juan1272, QL 52.1.8 1787-02-25
[138] 서적 With the Tibetans in Tent and Temple Fleming H. Revell Company 2014-04-24
[139] 서적 With the Tibetans in Tent and Temple: Narrative of Four Years' Residence on the Tibetan Borders and of a Journey Into the Far Interior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20-05-06
[140] 서적 With the Tibetans in Tent and Temple: Narrative of Four Years' Residence on the Tibetan Border, and of a Journey Into the Far Interior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141] 논문 The Cross-Cultural Patterns of Interracial Marriage http://paa2005.princ[...] Department of Sociology Brigham Young University 2010-10-31
[142] 뉴스 Muslim women do it their way in Ningxia http://www.taipeitim[...] 2006-12-20
[143]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4, Spagyrical Discovery and Invention: Apparatus, Theories and Gif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144] 서적 The earliest Muslim communities in China https://www.kfcris.c[...] King Faisal Center For Research and Islamic Studies
[145] 서적 Cheng Ho and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06-28
[14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147] 서적 Muslims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2010-06-28
[148] 서적 The Moslem World, Volume 10 https://books.google[...]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2011-06-06
[149]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9-16
[150] 서적 In the Land of the Laughing Buddha – The Adventures of an American Barbarian in China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6-28
[151] 서적 Frontier passages: ethnopolitics and the rise of Chinese communism, 1921–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52] 서적 The Tibetan nation: a history of Tibetan nationalism and Sino-Tibet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2010-06-28
[153] 웹사이트 The Hui – China's preferred Muslims? DW 09.12.2016 https://www.dw.com/e[...] 2021-12-06
[154] 간행물 If China Is Anti-Islam, Why Are These Chinese Muslims Enjoying a Faith Revival? https://time.com/309[...] 2021-12-06
[155] 웹사이트 Chinese Muslims in Malaysia History and Development http://www.islam.org[...]
[156] 뉴스 Baiqi to Koay Jetty 2005-03-06
[157] 서적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Volume I: Overviews and Topics; Volume II: Diaspora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6-09-16
[158] 서적 Intelligence Digest https://books.google[...] Intelligence International Limited 2016-10-03
[159] 서적 China Considers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 B. Tauris 2016-09-16
[160] 서적 Mi Kungmubu Han'guk Kungnae Sanghwang Kwallyŏn Munsŏ https://books.google[...] 국방부軍事編纂硏究所 2016-10-03
[161] 서적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ume 277 https://books.googl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2010-06-28
[162] 뉴스 Tibetans, Muslim Huis clash in China http://www.cnn.com/2[...] CNN 2010-01-15
[163] 웹사이트 China - The Hui Ethnic Group http://www.china.org[...]
[164] 웹사이트 第十二章 回族的姓氏习俗 http://www.nx.xinhua[...] 新华网宁夏频道 2019-10-15
[165] 서적 Guide to Islamist Movements M.E. Sharpe 2010-06-28
[166] 뉴스 Chinese Salafism and the Saudi Connection The Diplomat 2014-10-23
[167] 논문 Paternal Population History of East Asia: Sources, Patterns, and Microevolutionary Processes https://www.ncbi.nlm[...] 2001
[168] 웹인용 회족 https://terms.naver.[...] 2020-05-21
[16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