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치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치현은 중국의 현급 행정 구역으로, 특정 소수 민족의 자치권을 보장하고 문화적 특성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다. 1950년대부터 설치되기 시작하여 2003년까지 120개의 자치현이 생성되었으며, 현재 20개 이상의 성(省)급 행정 구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랴오닝성, 쓰촨성, 윈난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며, 각 지역의 소수 민족의 문화와 자치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 문제와 같이 중국 정부의 통제와 소수 민족 정책 변화에 따라 설치 및 폐지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성 (행정 구역)
    성은 중국에서 수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원나라 시대에 1급 지방 행정 구획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1급 행정 구획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부성급시
    부성급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 구역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도시로, 1994년에 16개 지급시가 부성급시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15개가 존재하고, 성도 또는 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지정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타이완성 (중화인민공화국)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는 행정구역이나, 하나의 중국 원칙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통치권은 행사하지 못하고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향 (행정 구역)
    향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한국 고려 시대에는 천민 거주 지역을 의미했으나 조선 시대에 철폐되었고, 중국에서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재까지 존속하며,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율령제 하에 지방 행정의 최하위 단위로 사용되었다.
자치현
개요
정의
자치현중화인민공화국의 민족 구역 자치 행정 구역 단위 중 하나
역사
설립 근거헌법과 민족구역자치법
특징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설립
법적 지위
규정국가의 단결을 유지하고, 민족 평등, 단결 및 상호 협력을 강화하며, 사회주의적인 민족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특징
인구 구성하나의 소수 민족이 주요 거주
두 개 이상의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
자치 기관자치현 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부
자치권 행사지방 법규와 자치 규정 제정
지역의 경제, 문화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정책 결정
현황 (2024년 2월 기준)
총 개수117개
분포중국 본토 대부분의 성, 자치구
주로 서부 지역과 변방 지역에 집중
행정 구역
구성
기타 행정 구역 단위민족향
소목 (내몽골 자치구)
같이 보기
관련 항목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자치주
자치구
자치기
민족향

2. 자치현 현황

중국에는 여러 성과 자치구에 걸쳐 다양한 소수민족의 자치를 위해 설치된 자치현이 분포해 있다. 이들 자치현은 해당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 전통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자치현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 표로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해당 표를 참고하여 각 자치현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이룽장성두얼보터 몽골족 자치현은 몽골족이 주로 거주하며 몽골어를 사용하고, 충칭시스주 투자족 자치현투자족이 주로 거주한다.[1] 이처럼 각 자치현은 특정 소수민족의 자치권을 보장하고, 그들의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는 6개의 자치현이 있는데, 이 지역은 심각한 인권 문제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사고 있다.[1]

2. 1. 지역별 자치현 목록

중국에는 여러 성과 자치구에 걸쳐 다양한 소수민족 자치현이 존재한다. 이들 자치현은 해당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 전통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치현 목록 (일부)
현(성)급 항목이름중국어병음지정된 소수 민족소수 민족의 언어
충칭시스주 투자족 자치현石柱土家族自治县Shízhù Tǔjiāzú Zìzhìxiàn투자족?
헤이룽장성두얼보터 몽골족 자치현杜尔伯特蒙古族自治县Dù'ěrbótè Měnggǔzú Zìzhìxiàn몽골족몽골어: Dörbed Moŋɣol öbertegen jasaqu siyan
후베이성창양 투자족 자치현长阳土家族自治县Chángyáng Tǔjiāzú Zìzhìxiàn투자족?
우펑 투자족 자치현五峰土家族自治县Wǔfēng Tǔjiāzú Zìzhìxiàn?
내몽골 자치구오로첸 자치기鄂伦春自治旗Èlúnchūn Zìzhìqí오로첸족?
에벤키 자치기鄂温克族自治旗Èwēnkèzú Zìzhìqí에벤키족에벤키어: Ewengki Aimanni Meenji Zhohar Gos
모린다와 다우르족 자치기莫力达瓦达斡尔族自治旗Mòlìdáwǎ Dáwò'ěrzú Zìzhìqí다우르족다우르어: Morin'dawaa Daor weerie ixkiewu guasei


  • 주: 위에 제시된 목록은 전체 자치현 중 일부이며, 다른 성과 자치구에도 자치현이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성/자치구별 하위 문서를 참조.

2. 1. 1. 간쑤성

간쑤성에는 후이족, 위구르족 등 7개의 자치현이 있다.

이름중문명소수 민족관할 행정구역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张家川回族自治县|장자촨 후이족 자치현중국어후이족톈수이시
쑤난 위구족 자치현肃南裕固族自治县|쑤난 위구족 자치현중국어위구르족장예시
아커싸이 카자흐족 자치현阿克塞哈萨克族自治县|아커싸이 카자흐족 자치현중국어카자흐족주취안시
쑤베이 몽골족 자치현肃北蒙古族自治县|쑤베이 몽골족 자치현중국어몽골족주취안시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天祝藏族自治县|톈주 티베트족 자치현중국어티베트족우웨이시
둥샹족 자치현东乡族自治县|둥샹족 자치현중국어둥샹족린샤 후이족 자치주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족 자치현积石山保安族东乡族撒拉族自治县|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족 자치현중국어바오안족, 둥샹족, 살라족린샤 후이족 자치주


2. 1. 2. 광둥성

광둥성에는 야오족, 좡족 자치현이 3곳 있다.

2. 1. 3. 광시 좡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에는 좡족, 야오족, 둥족, 먀오족, 무라오족, 마오난족 등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며, 이들을 위해 12개의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각 자치현은 해당 소수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2. 1. 4. 구이저우성


  • 道真仡佬族苗族自治县|다오전 거라오족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쭌이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务川仡佬族苗族自治县|우촨 거라오족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쭌이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镇宁布依族苗族自治县|전닝 부이족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안순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紫云苗族布依族自治县|쯔윈 먀오족 부이족 자치현중국어 - 안순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关岭布依族苗族自治县|관링 부이족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안순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玉屏侗族自治县|위핑 둥족 자치현중국어 - 퉁런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松桃苗族自治县|쑹타오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퉁런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印江土家族苗族自治县|인장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퉁런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沿河土家族自治县|옌허 투자족 자치현중국어 - 퉁런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威宁彝族回族苗族自治县|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중국어 - 비제시 관할의 자치현이다.
  • 三都水族自治县|싼두 수이족 자치현중국어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관할의 자치현이다.

2. 1. 5. 랴오닝성

랴오닝성에는 만족몽골족을 주축으로 하는 8개의 자치현이 있다.

2. 1. 6. 쓰촨성

쓰촨성에는 이족, 티베트족, 창족이 거주하는 4개의 자치현이 있다.

2. 1. 7.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는 6개의 자치현이 있으며, 이 지역은 심각한 인권 문제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사고 있다.[1] 이러한 상황은 지속적인 관심과 압력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2. 1. 8. 윈난성

윈난성에는 먀오족, 이족, 라후족, 하니족 등 가장 많은 29개의 자치현이 있다.

자치현 이름소수 민족관할 지역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이족, 먀오족쿤밍시
스린 이족 자치현이족쿤밍시
쉰뎬 후이족 이족 자치현후이족, 이족쿤밍시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하니족, 이족, 다이족위시시
신핑 이족 다이족 자치현이족, 다이족위시시
어산 이족 자치현이족위시시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하니족, 이족푸얼시
징둥 이족 자치현이족푸얼시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이족, 하니족, 라후족푸얼시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다이족, 이족푸얼시
모장 하니족 자치현하니족푸얼시
란창 라후족 자치현라후족푸얼시
시멍 와족 자치현와족푸얼시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하니족, 이족푸얼시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다이족, 라후족, 와족푸얼시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린창시
창위안 와족 자치현와족린창시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다이족, 와족린창시
위룽 나시족 자치현나시족리장시
닝랑 이족 자치현이족리장시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먀오족, 야오족, 다이족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야오족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핑볜 먀오족 자치현먀오족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양비 이족 자치현이족다리 바이족 자치주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이족, 후이족다리 바이족 자치주
난젠 이족 자치현이족다리 바이족 자치주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바이족, 푸미족누장 리수족 자치주
궁산 두룽족 누족 자치현두룽족, 누족누장 리수족 자치주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리수족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2. 1. 9. 저장성

저장성에는 서족 자치현이 1곳 있다. 서족 자치현은 소수민족인 서족의 자치를 위해 설치된 현급 행정 구역이다.

2. 1. 10. 지린성

지린성에는 만족, 조선족, 몽골족이 주로 거주하는 자치현이 3곳 있다.

2. 1. 11. 충칭시

충칭시에는 투자족, 먀오족의 4개 자치현이 있다.


2. 1. 12. 칭하이성

칭하이성에는 투족, 후이족, 사라족, 몽골족 자치현이 7곳 있다.

2. 1. 13. 하이난성

하이난성에는 리족(黎族), 먀오족 자치현이 6곳이 있다.

2. 1. 14. 후난성

후난성에는 둥족, 먀오족, 야오족 자치현이 7곳 있다.

2. 1. 15. 후베이성

후베이성에는 투자족 자치현이 2곳 있으며, 모두 이창시에 속한다.

2. 1. 16. 허베이성

허베이성에는 만주족(만족)과 후이족이 주를 이루는 6개의 자치현이 있다.

2. 1. 17. 헤이룽장성

헤이룽장성에는 몽골족 자치현이 1곳 있다. 자치현은 중국의 소수민족 자치구역 중 하나로, 몽골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2. 2. 지도

중국의 자치구와 지정된 소수 민족

3. 역사

자치현은 1950년에 4개가 처음 설치된 이후, 그 수가 점차 증가해왔다. 1954년에는 31개, 1987년에는 107개, 1990년에는 118개, 2003년에는 120개로 늘어났다.

3. 1. 자치현 설치 연도별 현황

연도해당 연도 자치현 생성 수총계
195044
195126
195239
1953615
19541631
1955536
19561046
1957147
1958552
1962153
1963457
1964158
1965260
1966161
1979263
1980265
1981267
1983269
19841079
19851089
1986291
198716107
19881108
19891109
19909118
20021119
20031120


3. 2. 과거 존재했던 자치현

과거 존재했던 자치현
성(省)급 항목이름설치일폐지일
구이저우성안룽 부이족·먀오족 자치현1965년 11월 13일1981년 9월 21일
랴오닝성베이전 만주족 자치현1989년 6월 29일1995년 3월 21일
구이저우성처청 부이족 자치현1965년 11월 13일1981년 9월 21일
구이저우성단자이 먀오족 자치현1955년 1월 7일1956년 4월 18일
하이난성둥팡 리족 자치현1987년 11월 20일1997년 3월 12일
광시 좡족 자치구팡청 다민족 자치현1978년 12월 25일1993년 5월 23일
광시 좡족 자치구스완다산 좡족·야오족 자치현1957년 3월 26일1958년 2월 22일
광시 좡족 자치구둥싱 다민족 자치현1958년 2월 22일1978년 12월 25일
랴오닝성펑청 만주족 자치현1985년 1월 17일1994년 3월 8일
간쑤성광통 후이족 자치현1955년 5월 14일1956년 9월 11일
후베이성허펑 투자족 자치현1980년 4월 20일1983년 8월 19일
구이저우성후이수이 부이족·먀오족 자치현1955년 1월 7일1956년 4월 18일
구이저우성후이수이 부이족·먀오족 자치현1963년 5월 20일1963년 10월 23일
간쑤성징위안 후이족 자치현1955년 3월 24일1958년 9월 5일
후베이성라이펑 투자족 자치현1979년 12월 19일1983년 8월 19일
구이저우성레이산 먀오족 자치현1955년 12월 26일1956년 4월 18일
구이저우성뤄뎬 부이족 자치현1955년 1월 7일1956년 4월 18일
구이저우성루산 먀오족 자치현1955년 12월 26일1956년 4월 18일
쓰촨성마오원 창족 자치현1958년 4월 21일1987년 7월 24일
윈난성미러 이족 자치현1955년 1월 3일1957년 9월 6일
충칭시첸장 투자족·먀오족 자치현1983년 11월 14일2000년 6월 25일
광시 좡족 자치구친베이 좡족 자치현1957년 3월 26일1959년 3월 26일
광둥성친저우 좡족 자치현1963년 9월 14일1965년 7월 19일
구이저우성타이지앙 먀오족 자치현1955년 12월 26일1956년 3월 18일
구이저우성왕모 부이족·먀오족 자치현1965년 11월 13일1981년 9월 21일
쓰촨성옌위안 이족 자치현1963년 10월 23일1978년 12월 13일
구이저우성전펑 부이족·먀오족 자치현1965년 11월 13일1981년 9월 21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