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칼물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칼물범은 바이칼호에만 서식하는 고리무늬물범속에 속하는 물범이다. 몸길이는 약 1.1~1.4m, 몸무게는 63~70kg으로 작은 편이며, 회색 털을 가지고 있다. 바이칼호의 골로미안카와 코토이데아 오일피쉬를 주로 먹으며, 최대 400m까지 잠수할 수 있다. 2008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러시아 정부의 허가 하에 연간 3천 마리의 상업적 포획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칼호 - 슬류댠카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에 있는 슬류댠카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과 함께 발전하여 시로 승격되었으며, 도시 이름은 풍부한 운모 광물 자원에서 유래되었다. - 바이칼호 - 바이칼스크
바이칼스크는 1961년 제지 공장 건설과 함께 설립되어 1966년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바이칼 호의 오염원이었던 제지 공장 폐쇄로 경제 위기를 겪었지만, 현재는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추고 사우스 레이크 타호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러시아의 고유종 동물 - 스트란드긴꼬리쥐
- 러시아의 고유종 동물 - 캄차카뒤쥐
캄차카뒤쥐는 잿빛 회색 등의 색을 띠고 뒷발이 긴 특징을 가지며 시베리아 남동부 지역에 서식하는 뒤쥐의 일종으로, 4월부터 9월까지 번식하며 암컷은 한 번에 평균 5.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 1788년 기재된 포유류 - 큰수달
큰수달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현존하는 수달 중 가장 긴 몸길이를 가진 족제비과 동물로, 무리 생활을 하는 사회적인 동물이었으나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현재는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 보존을 위해 힘쓰고 있다. - 1788년 기재된 포유류 - 아이아이
아이아이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야행성 영장류로, 독특한 형태와 가늘고 긴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한 먹이 습성을 가지며,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바이칼물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Pusa sibirica |
| 명명자 | Gmelin, 1788 |
| 이명 | Phoca sibirica |
| 러시아어 | нерпа (네르파)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아목 | 개아목 |
| 하목 | 곰하목 |
| 소목 | 곰소목 |
| 상과 | 기각류 |
| 과 | 물범과 |
| 아과 | 물범아과 |
| 속 | 고리무늬물범속 |
| 보전 상태 | |
| IUCN Red List | LC |
| 분포 | |
![]() | |
2. 계통 분류
다음은 물범과의 계통 분류이다.[18]
바이칼물범은 가장 작은 참물범 중 하나이다. 성체의 몸길이는 일반적으로 1.1m~1.4m이며, 몸무게는 63kg에서 70kg이다.[3] 최대 보고된 크기는 몸길이 1.65m 및 몸무게 130kg이다.[4] 몸무게는 연간 큰 변동을 보이며, 봄에 가장 적고 가을에 가장 많아 약 38~42% 더 나간다.[5]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클 뿐 성적 이형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3] 등에는 균일한 강철 회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배에는 황색을 띤 털이 있다. 털이 바래면서 갈색을 띤다.[5] 태어날 때 새끼의 몸무게는 3kg~3.5kg이며, 길이는 약 70cm이다.[1] 흰색의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태어난다. 이 털은 곧 빠지고 성체의 털과 유사한 더 어두운 털로 바뀐다. 드물게 반점이 있는 털을 가진 바이칼물범도 발견된다.[3]
바이칼물범은 바이칼호에만 서식한다.[6] 바이칼물범이 어떻게 이 지역에 오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칼물범의 두개골 구조는 카스피해 물범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두 종의 형태학적 구조는 이들이 북극 고리무늬물범의 후손임을 시사한다.[7] 이들은 강과 시내를 거슬러 헤엄쳐 왔거나, 파라테티스해, 서시베리아 빙하호, 또는 이전 빙하기에 형성된 서시베리아 평원과 같은 대규모 수체를 통해 바이칼호가 어느 시점에서 바다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물범은 약 2백만 년 동안 바이칼호에 서식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8]
암컷 바이칼물범은 3~6세에, 수컷은 4~7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3] 수컷과 암컷은 성적 이형성이 뚜렷하지 않다. 바이칼물범은 출산기 말에 물속에서 짝짓기를 한다. 지연 착상과 9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전체 임신 기간은 약 11개월이다. 임신한 암컷만이 겨울 동안 육지로 올라온다. 수컷은 겨울 내내 얼음 아래 물속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암컷은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쌍둥이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일한 두 종류의 물범 중 하나이다.[5] 매우 드물게 세 마리 또는 네 마리의 새끼를 낳는 경우도 기록되었다.[4] 쌍둥이는 젖을 뗀 후에도 한동안 함께 지내는 경우가 많다. 암컷은 늦겨울에 얼음 위에서 새끼를 낳은 직후 다시 임신하며, 임신 중에도 수유를 하는 경우가 많다.
바이칼물범은 바이칼호에만 서식한다.[6] 이들이 어떻게 이 지역에 오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카스피해 물범과 두개골 구조가 유사하고, 북극 고리무늬물범의 후손으로 추정된다.[7] 강과 시내를 거슬러 헤엄쳐 왔거나, 과거 바이칼호가 바다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약 2백만 년 동안 바이칼호에 서식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8]
2008년부터 바이칼물범은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 종으로 등재되었으며,[1] 이는 현재 위협 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4년, 러시아 정부는 바이칼 물범의 개체 수를 104,000마리로 추산했다. 2000년, 그린피스는 자체 조사를 실시하여 약 55,000~65,000마리의 물범이 존재한다고 추정했다.[6] 가장 최근 추정치는 80,000~100,000마리로, 호수의 수용 능력과 거의 일치한다.[1]
2008년부터 바이칼물범은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 종으로 등재되었다.[1] 이는 현재 위협 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4년, 러시아 정부는 바이칼 물범의 개체 수를 104,000마리로 추산했다. 2000년, 그린피스는 자체 조사를 실시하여 약 55,000~65,000마리의 물범이 존재한다고 추정했다.[6] 가장 최근 추정치는 80,000~100,000마리로, 호수의 수용 능력과 거의 일치한다.[1]
[1]
간행물
Pusa sibirica
2021-11-12
물범과 북방물범아과에 속하는 고리무늬물범속에는 바이칼물범 외에 고리무늬물범, 카스피해물범이 있다.
3. 형태

4. 분포 및 서식지
바이칼물범이 서식하는 호수의 지역은 계절과 기타 자연 환경 요인에 따라 변한다. 이들은 1년의 대부분을 고독하게 지내며, 다른 바이칼물범과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칼물범의 높은 밀도는 호수 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겨울이 길어 얼음이 더 오래 얼어붙어 새끼를 낳기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5]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사냥꾼을 피하기 위해 호수 남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했다.[3] 겨울에는 호수가 얼어붙으면 물범은 특정 지역에 몇 개의 호흡 구멍을 유지하며 근처에 머무는 경향이 있어, 근처 물범의 먹이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바이칼물범은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러시아 (바이칼호 및 주변 하천)에 약 9만 마리가 서식한다. 여름에는 호수 전체에 분포하지만, 겨울에는 북부로 모여 그곳에서 월동한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담수에만 서식하는 물범이다. 사이마 호, 라도가 호에도 물범(점박이물범)이 서식하지만, 점박이물범은 해수와 담수 모두에 서식한다. 북극해의 물범이 하천을 따라 바이칼 호에 도달하여 육봉되면서 독자적인 진화를 이룬 것으로 여겨진다. 잠수를 잘하며, 수십 분 동안 잠수를 계속할 수 있다.
5. 번식
바이칼물범은 약간 일부다처제이며, 자신의 영역에 대해 특히 방어적이지는 않지만 약간의 영토성을 보인다. 수컷은 기회가 주어지면 약 세 마리의 암컷과 짝짓기를 한다. 그런 다음 암컷의 굴에 강하고 퀴퀴한 냄새를 풍기는 표식을 하는데, 다른 수컷이 접근하면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암컷은 새끼를 혼자 키운다. 암컷은 얼음 아래에 길이 5m, 너비 2m 이상인 꽤 큰 굴을 판다. 생후 이틀 된 새끼는 굴 주변에 미로와 같은 터널을 파서 굴을 더 확장한다. 새끼는 이 터널로 표면을 깨지 않으므로, 이 활동은 주로 운동을 위한 것이고, 지방층이 형성될 때까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칼물범 새끼는 2~2.5개월 후에 젖을 떼고, 드물게는 3.5개월까지 젖을 먹는다.[1] 이 기간 동안 새끼는 출생 시 체중의 5배까지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새끼가 젖을 떼면 어미는 단각류와 물고기 및 기타 먹이를 굴로 가져와 고형식을 먹도록 한다.
봄에 얼음이 녹고 굴이 무너지면 새끼는 스스로 생존해야 한다. 성장은 20~25세까지 계속된다.
6. 생태
바이칼물범의 서식 지역은 계절과 자연 환경 요인에 따라 변한다. 1년의 대부분을 고독하게 지내며, 다른 바이칼물범과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산다. 호수 북부 지역에서 높은 밀도를 보이지만,[5] 최근에는 사냥꾼을 피해 남쪽으로 이동하기도 한다.[3] 겨울에는 호수가 얼어붙으면 특정 지역에 몇 개의 호흡 구멍을 유지하며,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다.
2008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 종으로 등재되었다.[1] 1994년 러시아 정부는 104,000마리로 추산했고, 2000년 그린피스는 55,000~65,000마리로 추정했다.[6] 최근 추정치는 80,000~100,000마리이다.[1]
지난 세기 동안 사냥 할당량이 증가했지만,[5] 1999년 6,000마리에서 2000년 3,500마리로 감소했다.[3] 2013–2014년에는 2,500마리로 설정되었다.[1] 새로운 사냥 기술이 도입되었고, 2001년 최고급 물범 가죽 한 장은 1,000 루블에 거래되었다.[6] 공식 통계에 따르면 매년 약 2,000마리가 사냥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수가 죽는 것으로 추정된다.[1]
살충제와 산업 폐기물은 바이칼 물범의 질병 유행을 악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먹이 사슬을 통해 농축되어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개 홍역과 흑사병 등에 취약하게 만든다.[1][3] 최근에도 소수의 물범이 죽었지만, 원인은 불분명하다.[3] 지구 온난화는 바이칼물범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1]
불곰이 유일한 자연 포식자로 알려져 있지만,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다.[1] 새끼는 붉은 여우, 검은담비, 흰꼬리수리 등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4]
주요 먹이는 골로미안카로, 연간 생산되는 골로미안카 생물량의 절반 이상을 소비한다.[5] 겨울과 봄에는 먹이의 90% 이상이 골로미안카이다.[4][10] ''Cottocomephorus'', 케슬러두꺼비고기, ''Epischura baikalensis'', 감마루스, 연체동물 등도 섭취한다.[4] 가을에는 골로미안카 섭취량이 줄고, 다른 어종을 더 많이 먹는다.[4] 총 29종의 어류가 식단에서 기록되었다.[1] 주로 황혼 무렵과 밤에 먹이를 먹으며, 최대 400m 깊이까지 잠수할 수 있고, 40분 이상 물 속에 머물 수 있다.[4][1] 대부분의 잠수는 10분 미만이다.[1] 바이칼물범은 혈액량이 많아 최대 70분까지 물 속에 있을 수 있다.
2020년 연구에 따르면, 바이칼물범은 바이칼 호수 내의 단각류를 여과 섭식한다.[11] 특수한 치아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고, 많은 양의 단각류를 모을 수 있다.
2004년 논문에 따르면,[12] 여름밤 동안 물범들은 밤과 낮에 서로 다른 먹이 섭취 전략을 보인다. 낮에는 시각적 단서로 물고기를 사냥하고, 밤에는 촉각적 단서로 갑각류를 사냥한다.
오물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지만, 오물은 식단의 약 0.1%만을 차지한다.[4] 바이칼물범은 골로미안카를 먹음으로써 오물의 경쟁을 줄인다.[5]
초가을에는 만과 작은 만으로 이동하여 케슬러두꺼비고기를 사냥하는데, 이 모래는 위장관을 청소하고 기생충을 배출한다.[5]
세계에서 유일하게 담수에만 서식하는 물범이다. 사이마 호, 라도가 호에도 물범(점박이물범)이 서식하지만, 점박이물범은 해수와 담수 모두에 서식한다. 북극해의 물범이 하천을 따라 바이칼 호에 도달하여 육봉되면서 독자적인 진화를 이룬 것으로 여겨진다. 잠수를 잘하며, 수십 분 동안 잠수를 계속할 수 있다.
육식성이며, 바이칼호 생태계의 최상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둑중개 등의 어류를 주식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부유성 옆새우의 일종을 하루에 4,300마리나 포식하고 있음이 밝혀져 어류보다 영양 단계가 낮은 옆새우를 포식하는 것이 영양 부족 환경에서 번성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14]
7. 보존 상태
지난 세기 동안, 바이칼 물범 사냥 할당량은 여러 번 증가했는데, 특히 1970년대 후반 모피 산업이 호황을 누린 후와 공식적인 개체 수 조사가 이전보다 더 많은 바이칼 물범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시작했을 때였다.[5] 1999년의 할당량 6,000마리는 2000년에 3,500마리로 감소했지만, 그린피스의 추정이 맞다면 여전히 개체 수의 거의 5%에 달했다.[3] 2013–2014년에는 사냥 할당량이 2,500마리로 설정되었다.[1] 또한, 새끼를 잡기 위해 호흡 구멍과 물범 굴을 그물로 막는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었다. 2001년, 최고급 물범 가죽 한 장은 시장에서 1000RUB을 받았다.[6] 2004–2006년, 공식 러시아 통계에 따르면 매년 약 2,000마리의 물범이 사냥되었지만, 같은 기간 동안 어구에 의한 익사, 밀렵 등으로 인해 매년 1,500~4,000마리가 더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1] 2012–2013년에는 매년 2,300~2,800마리가 사냥된 것으로 추정되었다(합법적인 사냥과 밀렵을 합한 수치).[1] 일부 단체들은 더 높은 사냥 할당량을 요구했다.[1]
바이칼 호수의 또 다른 문제는 생태계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이다. 살충제인 DDT와 헥사클로로사이클로헥산뿐만 아니라, 주로 바이칼스크 펄프 및 제지 공장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은 바이칼 물범 개체군에서 여러 질병 유행을 악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먹이 사슬을 따라 농축되어 바이칼 물범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그 결과 1987–1988년에 5,000~6,500마리의 동물을 죽게 만든 심각한 바이칼 물범 유행병의 원인이었던 개 홍역과 흑사병과 같은 질병에 취약하게 만든다고 추정된다.[1][3] 최근 2000년에도 소수의 물범이 죽었지만, 사망 원인은 불분명하다.[3] 개 홍역은 여전히 바이칼 물범 개체군에 존재하지만, 이전의 유행 이후 대량 사망을 일으키지는 않았다.[1] 일반적으로, 1990년대 이후 호수 내 DDT 및 비-ortho PCB의 수준은 감소했으며, mono-ortho PCB의 수준은 변동이 없고, 과불화 화합물의 수준은 증가했다.[1] 바이칼 호수 근처 지역의 산업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현재, 바이칼 물범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물범보다 오염 물질 수준이 낮지만, 북극의 물범보다 높다.[1]
물범의 생존에 대한 가장 심각한 미래의 위협은 지구 온난화일 수 있으며, 이는 바이칼 호수와 같은 폐쇄된 냉수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1]
바이칼 물범 성체의 유일하게 알려진 자연 포식자는 불곰이지만, 이는 자주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1] 물범 새끼는 일반적으로 굴에 숨겨져 있지만, 붉은 여우, 검은담비 및 흰꼬리수리와 같은 작은 육상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4]
8. 인간과의 관계
지난 세기 동안, 바이칼 물범 사냥 할당량은 여러 번 증가했는데, 특히 1970년대 후반 모피 산업이 호황을 누린 후와 공식적인 개체 수 조사가 이전보다 더 많은 바이칼 물범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시작했을 때였다.[5] 1999년의 할당량 6,000마리는 2000년에 3,500마리로 감소했지만, 그린피스의 추정이 맞다면 여전히 개체 수의 거의 5%에 달했다.[3] 2013–2014년에는 사냥 할당량이 2,500마리로 설정되었다.[1] 또한, 새끼를 잡기 위해 호흡 구멍과 물범 굴을 그물로 막는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었다. 2001년, 최고급 물범 가죽 한 장은 시장에서 1,000 루블을 받았다.[6] 2004–2006년, 공식 러시아 통계에 따르면 매년 약 2,000마리의 물범이 사냥되었지만, 같은 기간 동안 어구에 의한 익사, 밀렵 등으로 인해 매년 1,500~4,000마리가 더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1] 2012–2013년에는 매년 2,300~2,800마리가 사냥된 것으로 추정되었다(합법적인 사냥과 밀렵을 합한 수치).[1] 일부 단체들은 더 높은 사냥 할당량을 요구했다.[1]
바이칼 호수의 또 다른 문제는 생태계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이다. 살충제인 DDT와 헥사클로로사이클로헥산뿐만 아니라, 주로 바이칼스크 펄프 및 제지 공장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은 바이칼 물범 개체군에서 여러 질병 유행을 악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먹이 사슬을 따라 농축되어 바이칼 물범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그 결과 1987–1988년에 5,000~6,500마리의 동물을 죽게 만든 심각한 바이칼 물범 유행병의 원인이었던 개 홍역과 흑사병과 같은 질병에 취약하게 만든다고 추정된다.[1][3] 최근 2000년에도 소수의 물범이 죽었지만, 사망 원인은 불분명하다.[3] 개 홍역은 여전히 바이칼 물범 개체군에 존재하지만, 이전의 유행 이후 대량 사망을 일으키지는 않았다.[1] 일반적으로, 1990년대 이후 호수 내 DDT 및 비-ortho PCB의 수준은 감소했으며, mono-ortho PCB의 수준은 변동이 없고, 과불화 화합물의 수준은 증가했다.[1] 바이칼 호수 근처 지역의 산업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현재, 바이칼 물범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물범보다 오염 물질 수준이 낮지만, 북극의 물범보다 높다.[1]
물범의 생존에 대한 가장 심각한 미래의 위협은 지구 온난화일 수 있으며, 이는 바이칼 호수와 같은 폐쇄된 냉수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1]
일본에서는 비와코 박물관 등 몇몇 시설에서 전시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바이칼물범은 연기를 시키는 것이 어렵지만, 하코네엔 수족관은 일본 최초로 바이칼물범 쇼를 성공시켜 2008년 4월부터 진행하고 있다.[15] 하코네엔 수족관에서는 속칭 "온천 물범"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2006년 4월에는 니가타의 마린피아 일본해에서 암컷 아기 "칼"이, 2019년 3월에는 이케부쿠로의 선샤인 수족관에서 수컷 아기 "메로"가, 2020년 3월에는 미에의 토바 수족관에서 수컷 아기 "니코"가 태어났다.
참조
[2]
서적
National Audubon Society Guide to the Marine Mammals of the World
Alfred A. Knopf
[3]
웹사이트
Baikal Seal (Phoca Sibirica)
http://www.pinnipeds[...]
Seal Conservation Society
2007-09-27
[4]
웹사이트
Baikal seal
http://baikal.ru/en/[...]
baikal.ru
2017-06-01
[5]
웹사이트
The Face of Baikal – Nerpa
http://www.bww.irk.r[...]
Baikal Web World
2007-09-27
[6]
뉴스
Lake Baikal's Vanishing Nerpa Seal
http://www.themoscow[...]
2007-09-27
[7]
학술지
The Muscles of Mastication in the Caspian Seal (Phoca caspica)
2001-04
[8]
학술지
The enigma of the landlocked Baikal and Caspian seals addressed through phylogeny of phocine mitochondrial sequences
2006
[9]
웹사이트
Phoca Sibirica
http://animaldiversi[...]
2007-08-27
[10]
웹사이트
Mysterious Fish of Lake Baikal
https://scfh.ru/en/p[...]
Science First Hand
2017-06-01
[11]
학술지
Ultrahigh foraging rates of Baikal seals make tiny endemic amphipods profitable in Lake Baikal
2020-12-08
[12]
학술지
Foraging tactics of Baikal seals differ between day and night
https://www.int-res.[...]
2004-09
[13]
학술지
Hydroacoustic measurement of the density of the Baikal macrozooplankter Macrohectopus branickii
1993
[14]
웹사이트
バイカルアザラシのユニークな生態:わずか0.1グラムの小さな獲物を1匹ずつ食べていた
https://www.nipr.ac.[...]
2020-11-17
[15]
웹사이트
(No.35)山の上の飼育係〜ショーの回〜 (箱根園水族館 山の上から)
http://blog.princeho[...]
2009-09-24
[16]
문서
Pusa sibirica
2016
[17]
간행물
Pusa sibirica
https://www.iucnredl[...]
2017-06-01
[18]
문서
Biogeography and taxonomy of extinct and endangered monk seals illuminated by ancient DNA and skull morphology.
http://www.pensoft.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