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미 (금양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미는 조선 선조의 다섯째 딸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에 봉해진 인물이다. 1605년 친공신적장자의 자격으로 숭덕대부에 올랐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광해군 시대에는 폐모 논의와 관련하여 관작을 삭탈당했지만, 인조반정 이후 회맹공신으로 가자되고 혜민서제조에 서용되었다. 그는 서도에 능하여 중국 오흥의 서법을 따랐으며, 장유, 정홍명 등과 교류했다. 그의 가족 관계로는 반남 박씨 가문 출신으로, 선조의 서녀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박세교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2년 출생 - 피에르 가상디
    피에르 가상디는 프랑스의 철학자, 과학자, 가톨릭 사제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판하고 에피쿠로스 철학을 부활시켜 원자론을 옹호했으며, 데카르트와의 논쟁을 통해 심신 문제를 제기하고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하며 근대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1592년 출생 -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교육 개혁가이자 신학자, 작가로서 범지학 사상과 감각적 실학주의에 기반하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교육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유네스코는 그의 업적을 기려 코메니우스 메달을 제정했다.
  • 1645년 사망 -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는 17세기 스페인의 시인이자 소설가, 정치가로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작품과 궁정 생활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적 시각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1645년 사망 - 윌리엄 로드
    윌리엄 로드는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찰스 1세의 종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잉글랜드 국교회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나, 반대 세력의 저항을 야기하여 반역죄로 처형되고 그의 정책은 잉글랜드 내전의 한 원인이 되었다.
  • 조선의 문신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조선의 문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박미 (금양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미
작위금양위(錦陽尉)
재임 기간1603년 ~ 1645년
배우자정안옹주
자녀박세교(朴世橋)
가문반남 박씨
아버지금계군 증 좌의정 충익공 참찬 박동량
어머니정경부인 여흥민씨
출생일1592년
사망일1645년
국적조선

2. 생애

박미는 1603년(선조 36) 선조의 다섯째 딸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 1605년 친공신적장자의 자격으로 숭덕대부에 올랐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1613년(광해군 5) 폐모 논의에 연루되어 관작을 삭탈당하는 시련을 겪었으나, 인조반정 이후 복권되어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박미는 문예와 서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2. 1. 초기 생애와 혼인

1603년(선조 36) 선조의 다섯째 딸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 1605년 친공신적장자(親功臣嫡長子)의 자격으로 2계(二階)를 초자(超資)받아 숭덕대부(崇德大夫)에 올랐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2. 2. 광해군 시대의 시련

1613년(광해군 5) 폐모 논의가 일어났을 때, 아버지가 국구인 김제남과 친교가 깊다는 이유로 화를 입었다.[1] 박미 자신도 폐모론의 정청(庭廳)에 불참하여 김류 등과 함께 10사(十邪)로 불리며 관작을 삭탈당했다.[1]

2. 3. 인조반정 이후의 활동

인조반정 이후 1625년(인조 3) 회맹공신(會盟功臣) 책봉 때 구공신적장자(舊功臣嫡長子)로 가자(加資)되었으며, 혜민서 제조(惠民署提調)에 서용되었다.

1638년 동지 겸 성절사(冬至兼聖節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금양군(錦陽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어려서부터 문예에 능하였고, 특히 서도(書道)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서법은 중국 오흥을 따랐다.

지금까지 참판 박이서비(朴彝敍碑), 영흥부사 이수준갈(李壽俊碣) 등의 유필이 남아 있다. 장유, 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였다. 조카 박세채가 행장을 짓고, 송시열이 비명을 지었다.

2. 4. 예술적 재능과 작품

박미는 어려서부터 문예에 능하였고, 특히 서예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그의 서법은 중국 오흥(吳興)을 따랐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그의 유필로는 참판 박이서비(朴彝敍碑), 영흥부사 이수준갈(李壽俊碣) 등이 있다. 장유(張維), 정홍명(鄭弘溟)과 교류하였으며, 조카 박세채(朴世采)가 행장을 짓고, 송시열(宋時烈)이 비명을 지었다.[1]

3. 가족 관계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1]

관계이름비고
증조부박소(朴紹)
조부박응복(朴應福)
조모선산 임씨임구령(林九齡)의 딸, 임억령(林億齡)의 질녀
아버지박동량(朴東亮)
어머니여흥 민씨민선(閔善)의 딸, 이몽량(李夢亮)의 외손녀, 이항복(李恒福)의 질녀
백부박동열(朴東說)
남동생박의(朴倚)제수는 신흠(申欽)의 딸, 조카는 박세채(朴世采)
남동생박유(朴濰)
남동생박자(朴澬)
여동생이명한의 처
여동생홍처심(洪處深)의 처
여동생유성오(柳誠吾)의 처
장인선조조선 제14대 국왕
장모인빈 김씨
정안옹주선조의 서녀
처형정신옹주
형님서경주달성위(達城尉)
처형정혜옹주
형님윤신지해숭위(海嵩尉)
처형정숙옹주
형님신익성동양위(東陽尉)
처제정휘옹주
동서류정량전창군(全昌君)
형님이성
형님신성군
아주머니신립의 딸군부인 평산 신씨
형님이부추존 원종대왕
아주머니인헌왕후인헌왕후 구씨
아주머니김명의 어머니평양 김씨
형님이광
아주머니허성의 딸양천군부인 양천 허씨


3. 1. 본가

관계이름비고
증조부박소(朴紹)
조부박응복(朴應福)
조모선산 임씨임구령(林九齡)의 딸, 임억령(林億齡)의 질녀
아버지박동량(朴東亮)
어머니여흥 민씨민선(閔善)의 딸, 이몽량(李夢亮)의 외손녀, 이항복(李恒福)의 질녀
백부박동열(朴東說)
남동생박의(朴倚)
제수신흠(申欽)의 딸
남동생박유(朴濰)
남동생박자(朴澬)
여동생이명한의 처
여동생홍처심(洪處深)의 처
여동생유성오(柳誠吾)의 처


3. 2. 처가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1]

처가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장인선조조선 제14대 국왕
장모인빈 김씨
정안옹주선조의 서녀
처형정신옹주
형님서경주달성위(達城尉)
처형정혜옹주
형님윤신지해숭위(海嵩尉)
처형정숙옹주
형님신익성동양위(東陽尉)
처제정휘옹주
동서류정량전창군(全昌君)
형님이성
형님신성군
아주머니신립의 딸군부인 평산 신씨
형님이부추존 원종대왕
아주머니인헌왕후인헌왕후 구씨
아주머니김명의 어머니평양 김씨
형님이광
아주머니허성의 딸양천군부인 양천 허씨


3. 3. 기타 친인척

참조

[1] 문서 영조와 영빈 이씨의 장녀이자 화협옹주, 화완옹주의 언니이며, 조선 장조|사도세자의 누나이다
[2] 서적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돌베게 2006
[3] 문서 정묘호란의 패전의 책임을 묻고 처형됨
[4] 문서 구사맹의 외손자이자 조선 인조|인조의 이종 사촌동생이다
[5] 문서 조선 인조|인조와 귀인 조씨 (인조)|귀인 조씨의 둘째아들이다
[6] 웹사이트 국역 국조인물고 - <이중규>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