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 (금양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미는 조선 선조의 다섯째 딸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에 봉해진 인물이다. 1605년 친공신적장자의 자격으로 숭덕대부에 올랐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광해군 시대에는 폐모 논의와 관련하여 관작을 삭탈당했지만, 인조반정 이후 회맹공신으로 가자되고 혜민서제조에 서용되었다. 그는 서도에 능하여 중국 오흥의 서법을 따랐으며, 장유, 정홍명 등과 교류했다. 그의 가족 관계로는 반남 박씨 가문 출신으로, 선조의 서녀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박세교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2년 출생 - 피에르 가상디
피에르 가상디는 프랑스의 철학자, 과학자, 가톨릭 사제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판하고 에피쿠로스 철학을 부활시켜 원자론을 옹호했으며, 데카르트와의 논쟁을 통해 심신 문제를 제기하고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하며 근대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1592년 출생 -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교육 개혁가이자 신학자, 작가로서 범지학 사상과 감각적 실학주의에 기반하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교육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유네스코는 그의 업적을 기려 코메니우스 메달을 제정했다. - 1645년 사망 -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는 17세기 스페인의 시인이자 소설가, 정치가로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작품과 궁정 생활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적 시각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1645년 사망 - 윌리엄 로드
윌리엄 로드는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찰스 1세의 종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잉글랜드 국교회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나, 반대 세력의 저항을 야기하여 반역죄로 처형되고 그의 정책은 잉글랜드 내전의 한 원인이 되었다. - 조선의 문신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조선의 문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박미 (금양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박미 |
| 작위 | 금양위(錦陽尉) |
| 재임 기간 | 1603년 ~ 1645년 |
| 배우자 | 정안옹주 |
| 자녀 | 박세교(朴世橋) |
| 가문 | 반남 박씨 |
| 아버지 | 금계군 증 좌의정 충익공 참찬 박동량 |
| 어머니 | 정경부인 여흥민씨 |
| 출생일 | 1592년 |
| 사망일 | 1645년 |
| 국적 | 조선 |
2. 생애
박미는 1603년(선조 36) 선조의 다섯째 딸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 1605년 친공신적장자의 자격으로 숭덕대부에 올랐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1613년(광해군 5) 폐모 논의에 연루되어 관작을 삭탈당하는 시련을 겪었으나, 인조반정 이후 복권되어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박미는 문예와 서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2. 1. 초기 생애와 혼인
1603년(선조 36) 선조의 다섯째 딸인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 1605년 친공신적장자(親功臣嫡長子)의 자격으로 2계(二階)를 초자(超資)받아 숭덕대부(崇德大夫)에 올랐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2. 2. 광해군 시대의 시련
1613년(광해군 5) 폐모 논의가 일어났을 때, 아버지가 국구인 김제남과 친교가 깊다는 이유로 화를 입었다.[1] 박미 자신도 폐모론의 정청(庭廳)에 불참하여 김류 등과 함께 10사(十邪)로 불리며 관작을 삭탈당했다.[1]2. 3. 인조반정 이후의 활동
인조반정 이후 1625년(인조 3) 회맹공신(會盟功臣) 책봉 때 구공신적장자(舊功臣嫡長子)로 가자(加資)되었으며, 혜민서 제조(惠民署提調)에 서용되었다.1638년 동지 겸 성절사(冬至兼聖節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금양군(錦陽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어려서부터 문예에 능하였고, 특히 서도(書道)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서법은 중국 오흥을 따랐다.
지금까지 참판 박이서비(朴彝敍碑), 영흥부사 이수준갈(李壽俊碣) 등의 유필이 남아 있다. 장유, 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였다. 조카 박세채가 행장을 짓고, 송시열이 비명을 지었다.
2. 4. 예술적 재능과 작품
박미는 어려서부터 문예에 능하였고, 특히 서예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그의 서법은 중국 오흥(吳興)을 따랐다.현재까지 전해지는 그의 유필로는 참판 박이서비(朴彝敍碑), 영흥부사 이수준갈(李壽俊碣) 등이 있다. 장유(張維), 정홍명(鄭弘溟)과 교류하였으며, 조카 박세채(朴世采)가 행장을 짓고, 송시열(宋時烈)이 비명을 지었다.[1]
3. 가족 관계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1]
| 관계 | 이름 | 비고 |
|---|---|---|
| 증조부 | 박소(朴紹) | |
| 조부 | 박응복(朴應福) | |
| 조모 | 선산 임씨 | 임구령(林九齡)의 딸, 임억령(林億齡)의 질녀 |
| 아버지 | 박동량(朴東亮) | |
| 어머니 | 여흥 민씨 | 민선(閔善)의 딸, 이몽량(李夢亮)의 외손녀, 이항복(李恒福)의 질녀 |
| 백부 | 박동열(朴東說) | |
| 남동생 | 박의(朴倚) | 제수는 신흠(申欽)의 딸, 조카는 박세채(朴世采) |
| 남동생 | 박유(朴濰) | |
| 남동생 | 박자(朴澬) | |
| 여동생 | 이명한의 처 | |
| 여동생 | 홍처심(洪處深)의 처 | |
| 여동생 | 유성오(柳誠吾)의 처 | |
| 장인 | 선조 | 조선 제14대 국왕 |
| 장모 | 인빈 김씨 | |
| 처 | 정안옹주 | 선조의 서녀 |
| 처형 | 정신옹주 | |
| 형님 | 서경주 | 달성위(達城尉) |
| 처형 | 정혜옹주 | |
| 형님 | 윤신지 | 해숭위(海嵩尉) |
| 처형 | 정숙옹주 | |
| 형님 | 신익성 | 동양위(東陽尉) |
| 처제 | 정휘옹주 | |
| 동서 | 류정량 | 전창군(全昌君) |
| 형님 | 이성 | |
| 형님 | 신성군 | |
| 아주머니 | 신립의 딸 | 군부인 평산 신씨 |
| 형님 | 이부 | 추존 원종대왕 |
| 아주머니 | 인헌왕후 | 인헌왕후 구씨 |
| 아주머니 | 김명의 어머니 | 평양 김씨 |
| 형님 | 이광 | |
| 아주머니 | 허성의 딸 | 양천군부인 양천 허씨 |
3. 1. 본가
| 관계 | 이름 | 비고 |
|---|---|---|
| 증조부 | 박소(朴紹) | |
| 조부 | 박응복(朴應福) | |
| 조모 | 선산 임씨 | 임구령(林九齡)의 딸, 임억령(林億齡)의 질녀 |
| 아버지 | 박동량(朴東亮) | |
| 어머니 | 여흥 민씨 | 민선(閔善)의 딸, 이몽량(李夢亮)의 외손녀, 이항복(李恒福)의 질녀 |
| 백부 | 박동열(朴東說) | |
| 남동생 | 박의(朴倚) | |
| 제수 | 신흠(申欽)의 딸 | |
| 남동생 | 박유(朴濰) | |
| 남동생 | 박자(朴澬) | |
| 여동생 | 이명한의 처 | |
| 여동생 | 홍처심(洪處深)의 처 | |
| 여동생 | 유성오(柳誠吾)의 처 |
3. 2. 처가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안옹주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1]처가는 다음과 같다.
| 관계 | 이름 | 비고 |
|---|---|---|
| 장인 | 선조 | 조선 제14대 국왕 |
| 장모 | 인빈 김씨 | |
| 처 | 정안옹주 | 선조의 서녀 |
| 처형 | 정신옹주 | |
| 형님 | 서경주 | 달성위(達城尉) |
| 처형 | 정혜옹주 | |
| 형님 | 윤신지 | 해숭위(海嵩尉) |
| 처형 | 정숙옹주 | |
| 형님 | 신익성 | 동양위(東陽尉) |
| 처제 | 정휘옹주 | |
| 동서 | 류정량 | 전창군(全昌君) |
| 형님 | 이성 | |
| 형님 | 신성군 | |
| 아주머니 | 신립의 딸 | 군부인 평산 신씨 |
| 형님 | 이부 | 추존 원종대왕 |
| 아주머니 | 인헌왕후 | 인헌왕후 구씨 |
| 아주머니 | 김명의 어머니 | 평양 김씨 |
| 형님 | 이광 | |
| 아주머니 | 허성의 딸 | 양천군부인 양천 허씨 |
3. 3. 기타 친인척
- 조카: 박세채(朴世采)
박유(朴濰) 박자(朴澬) 처형 정신옹주(1583년 ~ 1653년) 형님 달성위 서경주(1579년 ~ 1643년) rowspan="12" | 서경주와 정신옹주의 자녀 처조카 서미생(徐楣生, 1597~1666) 처조카사위 김제남의 아들 진사 김규(金珪, 1592~1613) 연안 김씨 처조카며느리 삼척 심씨 감찰 심열(沈說)의 딸 경주 이씨 판서 이시발(李時發)의 딸 처조카 풍덕부사 서정리(1599~1664) 처조카 서예생(徐禮生, 1601~?) 처조카사위 이명인(李命寅, 1601~?) 전주 이씨 현감 이유원(李幼源)의 아들 좌랑 처조카 서희생(徐喜生, 1603~?) 처조카사위 심항(沈伉) 청송 심씨 공조참의 심종직(沈宗直)의 아들 처조카 서지순(徐止順, 1614~?) 처조카사위 권우(權堣, 1610∼1685) 안동 권씨 동부승지 권확(權鑊, 1568∼1638)의 아들 예조참판 처조카 삼척부사 서정리(1617~1678) 처조카며느리 경주 김씨 이조참판 경천군 김남중(金南重, 1596~?)의 딸 처조카며느리 의령 남씨 사직 남호학(南好學, 1585~?)의 딸 처조카 서지효(徐止孝, 1620~?) 처조카사위 이만웅(李萬雄) 전의 이씨 처조카 서진리(徐晉履, 1622~1661) 처형 정혜옹주(1584년 ~ 1638년) 형님 해숭위(海嵩尉) 윤신지(1582년 ~ 1657년) rowspan="4" | 윤신지와 정혜옹주의 자녀 처조카 윤지(尹墀, 1600~1644) 처조카며느리 남양 홍씨 처조카 윤구(1606~1637) 처조카며느리 청풍 김씨 처형 정숙옹주(1587년 ~ 1627년) 형님 동양위(東陽尉) 신익성(1588년 ~ 1644년) rowspan="12" | 신익성과 정숙옹주의 자녀 처조카 신혜순(申惠順, 1604년 ~ 조졸) 처조카 신경강(申敬康, 1606년 ~ 1649년) 처조카사위 홍명하(1608년 ~ 1668년) 처조카 신면(申冕, 1607~1652) 처조카며느리 해평 윤씨 윤훤[3]의 딸이며 심의겸의 외손녀 처조카 신변(申昪, 1610~1664) 처조카며느리 전주 이씨 이민구의 딸 처조카 신경(申炅, 1613~1664) 처조카며느리 창원 황씨 황일호의 딸 청주 한씨 한립의 딸 처조카 신순강(申順康, 1615~?) 처조카사위 강문두(姜文斗, ?~1646) 소현세자빈 민회빈 강씨의 동생 처조카 신지강(申止康, 1617~1667) 처조카사위 김좌명(1616~1671) 명성왕후의 큰아버지 처조카 신최(申最, 1619~1658) 처조카며느리 청송 심씨 심희세[4]의 딸이며 심의겸의 손녀 처조카 신향(申晑, 1623~1642) 처조카며느리 선산 김씨 김세렴의 딸 형님 의안군 이성(義安君 李珹, 1577년 ~ 1588년 3월 20일) 처조카 능원대군 이보(1598년 5월 15일 ~ 1656년 1월 26일) 추존왕 원종의 삼남. 형님 신성군 이후(1579년 1월 6일 ~ 1592년 12월 8일) 아주머니 군부인 평산 신씨(1578년 -1622년)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평산(平山) 신씨 신립(申砬)의 딸. rowspan="3" | 신성군 이후와 군부인 평산 신씨의 자녀 처조카 이씨(李氏) 안홍량의 처(妻) 처조카 능창대군 이전(1599년 9월 5일 ~ 1616년 1월 5일) 추존왕 원종의 사남, 파양. 처조카 평운군 이구(1624년 - 1662년) 경창군(慶昌君)의 3남. 형님 추존 원종대왕 이부(1580년 8월 2일 ~ 1620년 2월 2일) 아주머니 인헌왕후 구씨(1578년 5월 23일 ~ 1626년 2월 10일) 처조카 인조대왕 이종(1595년 12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추존왕 원종의 장남 아주머니 평양 김씨 처조카 능풍군 이명(1596년 ~ 1604년) 추존왕 원종의 차남이자 서장자 형님 의창군 이광(1589년 ~ 1645년) 아주머니 양천군부인 양천 허씨 허성(許筬)의 딸 처조카 낙선군 이숙(1641년 12월 9일 ~ 1695년 4월 26일) 인조의 막내 아들이었으나[5] 의창군의 양자로 들어갔다. 처조카며느리 동원군부인 강릉 김씨(? ~ 1722) 김득원(金得元)의 딸 처제 정휘옹주(1593년 ~ 1653년) 동서 전창군 효정공 류정량(1591년 ~ 1663년) rowspan="7" | 류정량과 정휘옹주의 자녀 처조카 예조참판 전평군 류심(1608~1667) 처조카며느리 영월 엄씨 응교 엄성(嚴惺)의 딸 해평 윤씨 현감 윤경(尹敬)의 딸 처조카 금천군수 류흡(1611~?) 처조카며느리 반남 박씨 참봉 박성(參奉 朴煋)의 딸 처조카 유백임(柳伯任, 1616~?) 처조카사위 이중규(1614~1637?)[6] 전주인 부제학 이민구(1589∼1670)의 아들 진사 처조카 숙부인 유중임(柳仲任, 1617~?) 처조카사위 정화제(1618~1674) 동래인 형조참판 정양필(鄭良弼, 1593∼ ?)의 아들 종성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