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마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마스컵은 남자 배드민턴 국가 대항전으로, 1949년 시작되어 현재는 2년 주기로 개최된다. 말레이시아(말라야 포함), 인도네시아, 중국, 덴마크, 일본, 인도 등이 우승 경험이 있으며, 인도네시아가 14회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84년부터는 2년 주기로 변경되었으며, 3·4위전이 도입되었다. 2008년 기준 총 21개 국가가 토마스컵 최종 결선에 진출했으며, 덴마크가 26회로 최다 결선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1948년 시작되어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며, 8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리고, 짝수 해에는 FIFA U-20 월드컵 진출 자격이 주어지며, 스페인이 최다 우승국이다.
  • 194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그랑프리는 1948년에 처음 개최되어 포뮬러 원 세계 선수권 대회로 진행되었으며, 네덜란드 출신 드라이버 막스 페르스타펜의 F1 첫 승리를 계기로 2021년부터 잔트포르트 서킷에서 다시 개최된다.
  • 배드민턴 대회 -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는 1977년부터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이 주최하는 배드민턴 대회이며, 21개국이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총 6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배드민턴 대회 - 우버컵
    여자 배드민턴 국가대항전인 우버컵은 세계선수권대회와 함께 배드민턴 최고 권위 대회 중 하나이며, 중국이 최다 우승국이고 대한민국도 우버컵 강국 중 하나이다.
토마스컵
토마스 컵
토마스 컵 트로피
토마스 컵 트로피
스포츠배드민턴
창설1948-1949
주최세계 배드민턴 연맹 (BWF)
참가 자격BWF 회원 협회
현재 챔피언인도 (2022년)
최다 우승중국 (10회)
상세 정보
첫 대회1948-1949
빈도2년마다

2. 역대 대회 결과

토마스컵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2]

연도개최국우승스코어준우승3·4위전
1949영국 프레스턴말라야8–1덴마크
1952싱가포르말라야7–2미국
1955싱가포르말라야8–1덴마크
1958싱가포르인도네시아6–3말라야
1961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인도네시아6–3태국
1964일본 도쿄인도네시아5–4덴마크
1967인도네시아 자카르타말레이시아6–3인도네시아
1970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인도네시아7–2말레이시아
1973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인도네시아8–1덴마크
1976태국 방콕인도네시아9–0말레이시아
1979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인도네시아9–0덴마크
1982영국 런던중국5–4인도네시아
1984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인도네시아3-2중국잉글랜드 3-2 대한민국
1986인도네시아 자카르타중국3–2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3-2 덴마크
1988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중국4–1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5-0 덴마크
1990일본 도쿄중국3-2말레이시아덴마크, 인도네시아
1992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3–2인도네시아중국, 대한민국
1994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인도네시아3–0말레이시아대한민국, 중국
1996홍콩인도네시아5–0덴마크중국, 대한민국
1998홍콩인도네시아3–2말레이시아덴마크, 중국
2000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인도네시아3–0중국대한민국, 덴마크
2002중국 광저우인도네시아3–2말레이시아덴마크, 중국
2004인도네시아 자카르타중국3–1덴마크대한민국, 인도네시아
2006일본 센다이 및 도쿄중국3–0덴마크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2008인도네시아 자카르타중국3–1대한민국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2010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중국3–0인도네시아일본, 말레이시아
2012중국 우한시중국3-0대한민국일본, 덴마크
2014인도 뉴델리일본3-2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중국
2016중국 쿤산시덴마크3-2인도네시아대한민국, 말레이시아
2018태국 방콕중국3-1일본인도네시아, 덴마크
2020덴마크 오르후스코로나19 범유행으로 2021년으로 연기


2. 1. 1949-1982년

초기 토마스컵 대회는 3년 주기로 개최되었다.[2] 1949년 영국 프레스턴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말라야덴마크를 8-1로 꺾고 우승했다.[2] 이후 말라야는 1952년 싱가포르 대회에서 미국을 7-2로, 1955년 싱가포르 대회에서 덴마크를 8-1로 꺾고 3연패를 달성했다.[2]

1958년 싱가포르 대회에서는 인도네시아말라야를 6-3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2] 이후 인도네시아는 1961년 자카르타 대회에서 태국을 6-3으로, 1964년 일본 도쿄 대회에서 덴마크를 5-4로 꺾고 3연패를 달성했다.[2]

1967년 자카르타 대회에서는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를 6-3으로 꺾고 우승했다.[2] 그러나 1970년 쿠알라룸푸르 대회에서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를 7-2로 꺾고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2] 이후 인도네시아는 1973년 자카르타 대회에서 덴마크를 8-1로, 1976년 태국 방콕 대회에서 말레이시아를 9-0으로, 1979년 자카르타 대회에서 덴마크를 9-0으로 꺾고 4연패를 달성했다.[2]

1982년 영국 런던 대회에서는 중국인도네시아를 5-4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2]


2. 2. 1984-1988년

1984년부터 토마스컵은 2년 주기로 변경되었고, 3·4위전이 도입되었다. 이 시기에는 중국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연도개최국우승스코어준우승3위스코어4위
1984[1]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3–23–2
1986[2]자카르타, 인도네시아3–23–2
1988[3]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4–15–0



1984 토마스 & 우버 컵

1986 토마스 & 우버 컵

1988 토마스 & 우버 컵

2. 3. 1990년 이후

1990년대에는 인도네시아중국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하는 양상이 지속되었다. 대한민국은 1990년대에는 4강에 머물렀으나, 2008년과 2012년에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1] 2016년에는 덴마크유럽 국가 최초로 토마스컵 우승을 차지했다.[1]

연도개최국우승스코어준우승4강
1990도쿄, 일본--3–2----, --
1992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3-2----, --
1994자카르타, 인도네시아--3–0----, --
1996홍콩--5–0----, --
1998홍콩, 중국 특별행정구--3–2----, --
2000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3–0----, --
2002광저우, 중국--3–2----, --
2004자카르타, 인도네시아--3–1----, --
2006센다이 및 도쿄, 일본--3–0----, --
2008자카르타, 인도네시아--3–1----, --
2010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3–0----, --
2012우한시, 중국--3-0----, --
2014뉴델리, 인도--3-2----, --
2016쿤산시, 중국--3-2----, --
2018방콕, 태국--3-1----, --
2020오르후스, 덴마크코로나19 범유행으로 2021년으로 연기

[1]

3. 주요 강국

역대 토마스컵에서 우승한 국가는 말레이시아(말라야 포함), 인도네시아, 중국, 덴마크, 일본, 인도이다. 인도네시아는 1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이 10회, 말레이시아가 5회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덴마크는 8번의 준우승 끝에 2016년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1] 대한민국은 2008년과 2012년에 준우승을 차지하며, 꾸준히 4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1]

국가우승준우승
14 (1958, 1961*, 1964, 1970, 1973*, 1976, 1979*, 1984, 1994*, 1996, 1998, 2000, 2002, 2020)7 (1967*, 1982, 1986*, 1992, 2010, 2016, 2022)
10 (1982, 1986, 1988, 1990, 2004, 2006, 2008, 2010, 2012, 2018)3 (1984, 2000, 2020)
**5 (1949, 1952, 1955, 1967, 1992*)9 (1958, 1970*, 1976, 1988*, 1990, 1994, 1998, 2002, 2014)
1 (2016)8 (1949, 1955, 1964, 1973, 1979, 1996, 2004, 2006)
1 (2022)
2 (2008, 2012)
1 (1961)
1 (1952)
1 (2018)



:* = 개최국

:** = 말라야 포함

4. 결선 진출국

토마스 컵 최종 결선에 1회 이상 참가한 국가들을 표시한 그림.


2008년을 기준으로 총 21개 국가가 토마스 컵 최종 결선[3]에 오른 경력이 있다. 덴마크가 26회로 제1회 대회부터 지금까지 한 번도 빠짐없이 결선에 진출하였고, 인도네시아중국 또한 대회 참가를 시작한 이후 매번 결선 진출에 성공했다. 지역적으로는 아시아에서 9개국, 유럽에서는 6개국이 1회 이상 결선에 진출했다. 미국캐나다는 팬 아메리카 지역 팀 중 유일하게 결선에 진출한 나라들이며,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가 결선에 진출한 적이 있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나이지리아가 결선 진출국이다.

다음은 2008년 기준 역대 대회에서 각국이 결선에 진출한 횟수를 정리한 것이다.


참조

[1] 웹인용 Badminton: BWF spice things up http://thestar.com.m[...] 2006-12-23
[2] 문서 1948년에서 1982년까지 토마스 컵의 각 단계별 경기들은 2년에 걸쳐서 열렸으며, 여기에 표시된 연도는 결선 대회가 개최된 시기를 나타낸다.
[3] 문서 결승전이 아닌 지역별 예선을 거쳐 올라온 팀들이 벌이는 최종 토너먼트를 뜻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