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카다피 세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카다피 세력은 2011년 리비아 내전에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 반대하여 결성된 다양한 세력을 통칭한다. 이들은 리비아 과도국민위원회, 리비아 국민해방군, 자유 리비아 공군 등 정치적, 무장 세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반리비아 국민회의와 같은 연합체를 형성하기도 했다. 2011년 8월, 반군은 수도 트리폴리를 점령하며 카다피 정권을 붕괴시켰고, 리비아 과도국민위원회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정치 - 자마히리야
    자마히리야는 무아마르 카다피가 제시한 '대중에 의한 국가'라는 정치 철학에 기반한 체제이나, 실제로는 카다피의 군사 독재 체제로 운영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 사회에서 비판받았다.
  • 리비아의 정치 - 토요타 전쟁
    토요타 전쟁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차드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도요타 픽업트럭을 개조한 테크니컬을 사용한 점에서 유래되었으며, 리비아의 지원을 받는 GUNT와 서방의 지원을 받는 하브레 정부 간의 갈등과 차드군의 리비아군 축출, 그리고 아프리카 분쟁에서 비정규군의 역할과 무기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전쟁이다.
  • 2011년 리비아 - 제1차 리비아 내전
    제1차 리비아 내전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초래한 내전으로, 카다피의 장기 집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벵가지 시위로 시작되었으며, 국제 연합의 개입과 카다피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 2011년 리비아 - 리비아 위기
    리비아 위기는 카다피 집권 후 아랍의 봄으로 촉발된 내전과 정권 붕괴 이후 정치적 불안정, 무장 단체 난립, 사회적 혼란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국제 사회가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대한민국도 재건을 지원하고 있다.
  • 2011년 리비아 내전 - 제1차 리비아 내전
    제1차 리비아 내전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초래한 내전으로, 카다피의 장기 집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벵가지 시위로 시작되었으며, 국제 연합의 개입과 카다피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 2011년 리비아 내전 - 오디세이 새벽 작전
    오디세이 새벽 작전은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미국, 영국, 프랑스 등 다국적군이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을 상대로 실시한 군사 작전이다.
반카다피 세력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리비아 국기
왕정 (1951–69) 시대에 사용되었던 구 리비아 국기는 일부 시위대에 의해 반대 세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내전 종결 후, 리비아의 국기로 다시 사용되었다.
상세 정보
기간2011년 2월 – 2011년 10월
국가리비아
전투2011년 리비아 내전

2. 카다피 정부 반대 세력

2011년 리비아 내전을 거치면서 카다피의 정책에 반대하는 다양한 세력들이 연합하여 반정부 운동을 전개했다.


  • 리비아 과도국민위원회
  • 리비아 국민해방군
  • 자유 리비아 공군
  • 리비아 청년 운동
  • 반리비아 국민회의 (NCLO; National Conference for the Libyan Opposition)
  • * 리비아 구제 국민 전선 (NFSL; National Front for the Salvation of Libya)
  • * 리비아 인권 연맹 (LLHR; Libyan League for Human Rights)
  • * Libyan Tmazight Congress
  • 리비아 과도 전국위원회
  • 트리폴리 여단
  • 진탄 여단
  • 미스라타 군사 위원회
  • 유럽 리비아 국민 행동 위원회
  • 리비아 자유 민주주의 운동
  • * 민주당
  • 리비아 야권 전국 회의
  • * [http://www.libyanconstitutionalunion.net/englishmenu.htm 리비아 헌정 연합]
  • * [https://web.archive.org/web/20110822051246/http://www.alt-libya.org/English/ALT.Founding.English.htm 리비아 타마지그 회의]
  • 리비아 이슬람 운동
  • 리비아 국민 의회(국민 과도 위원회,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 리비아 인민군(Libyan People's Army, National Liberation Army)
  • 유럽 리비아 국민 행동 위원회(Committee for Libyan National Action in Europe)
  • 와르팔라족
  • 투아레그 족(투아레그 인)
  • 2011년 리비아 시위 중 사임한 정부 고위 관리 목록
  • 이슬람 마그레브 알 카에다 조직[16]


바니 왈리드 마을에 진입한 리비아 반군.

2. 1. 정치적 반대 세력

2011년 리비아 내전 중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여 결성된 임시 정부인 리비아 과도국민위원회가 대표적인 정치적 반대 세력이다. 이 외에도 여러 반체제 단체들의 연합체인 반리비아 국민회의(NCLO)가 있다. 반리비아 국민회의는 리비아 구제 국민 전선, 리비아 인권 연맹, Libyan Tmazight Congress 등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민주당, 리비아 자유민주전선, 리비아 청년 운동, 유럽 리비아 국민 행동 위원회, 리비아 이슬람 운동 등도 카다피 정권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이다.

2. 2. 무장 반대 세력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카다피 정권에 맞서 싸운 주요 무장 세력은 리비아 국민해방군이다. 자유 리비아 공군은 리비아 국민해방군을 지원했다.

그 외에도 트리폴리 여단, 진탄 여단, 미스라타 군사 위원회, 리비아 구원을 위한 투부 전선 등이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여 무장 투쟁을 벌였다.

2. 3. 지휘 및 통제

2011년 3월 5일, 벵가지에서 리비아 대부분 지역의 대표 33명으로 구성된 정치 기구인 국가 과도 위원회가 창설되었다. 위원회 의장은 무스타파 압델 잘릴이며, 압둘 하피즈 고가는 부의장, 마흐무드 지브릴은 집행 위원회 의장이다.[4] 오마르 엘-하리리는 2011년 5월까지 군사 업무를 담당했으며, 그 후 잘랄 알-디게일리가 국방부 장관직을 맡았다.[4] 2011년 8월 8일, 잘랄은 집행 위원회 위원 14명과 함께 해고되었으나, 2011년 10월 초에 다시 임명되었다.[5]

최고 사령관은 2011년 7월 사망할 때까지 압둘 파타 유니스 장군이었다. 유니스의 최고 부관인 술레이만 마흐무드가 그의 뒤를 이어 육군 사령관이 되었다. 칼리파 하프타르 대령은 또 다른 최고 군사 지휘관이었다.[6] 각 세력에서 대의원이 선출되어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인 "평의회"가 구성되었다. 의용군은 "군사 위원회"가 통솔하고 있다. 서로 다른 세력의 연합체이기 때문에 결속력은 강하지 않아, 내전 중에는 군사 위원회의 참모총장이 암살되는 사건도 발생했다.[17]

2. 4. 무기 및 장비

리비아 반군은 주로 정부군이나 무기고에서 노획한 차량과 무기를 사용했다.[7] 벵가지 제2차 전투에서 노획한 T-55 전차와 아주 소량의 T-72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일반 차량과 테크니컬을 전투 지역 근처에서 운전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7] 2011년 3월 9일, 국제 전략 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벵가지와 토부르크의 몇몇 기계화 부대와 바이다 근처의 몇몇 장갑 대대를 제외하고는 반군 통제 지역은 가다피 지지 세력의 거점인 트리폴리를 공격할 만한 상당한 장비를 갖추지 못했다.[7]

아즈다비야 전투에서는 가다피 세력에서 탈주한 전투기 2대가 반군에 합류하여 무장 유조선 1척과 다른 2척에 피해를 입혔고, 벵가지에 주둔한 탈주 부대로부터 여러 대의 헬리콥터를 얻어 자유 리비아 공군을 형성했다.[7] 이 항공기 중 하나인 소련제 MiG-23BN은 적기로 오인되어 벵가지 상공에서 아군 사격으로 격추되었다.[7]

또한 다수의 ZU-23-2와 ZPU 대공포, 로켓 추진 유탄, KPV 중기관총, 14.5×114mm Dshk 기관총, FN FAL, F2000 및 AK-47 소총, FN MAG, AA-52 및 PK 기관총을 노획했다.[8][9][10] 영국은 반군 통제 지역의 경찰에 방탄복 5,000벌, 군복 6,650벌, 통신 장비를 보냈다.[11]

재래식 무기와 급조 무기 외에도, 반군은 원격 제어 장난감 자동차 등을 사용하여 무인 지상 차량을 제작하기도 했다.[12]

3. 2011년 리비아 내전의 전개

2월 27일 벵가지에서 리비아 국민 평의회가 결성되면서 무스타파 압델 잘릴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동부 각지에 자치 정권이 탄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2월 하순, 최초의 시위가 확대되어 내전이 불가피해지자, 이미 해방되었던 동부 각지에 자치 정권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내전이 확대되면서 각지의 자치 정권 통합이 진행되었고, 3월 5일 벵가지에서 열린 대규모 회합을 통해 거의 모든 세력이 국민 평의회 산하로 들어갔다. 8월 22일에는 수도 트리폴리가 함락되면서 반체제파는 승리하였다.

3. 1. 주요 전투

2월 27일 벵가지에서 결성된 리비아 국민 평의회는 무스타파 압델 잘릴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동부 각지에 자치 정권이 탄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내전이 확대되면서 각지의 자치 정권 통합이 진행되었고, 3월 5일 벵가지에서 열린 대규모 회합을 통해 거의 모든 세력이 국민 평의회 산하로 들어갔다. 8월 22일에는 수도 트리폴리가 함락되면서 반체제파는 승리하였다.

3. 2. 국제사회의 개입

4. 내전 중 인권 침해

차드 정부는 NATO 연합군에게 반군 점령 지역에 있는 자국민을 보호해 달라고 요청했다. 차드 정부는 자국민 수십 명이 카다피를 위한 용병 혐의로 처형되었다고 주장했다.[13]

5. 결과

2011년 8월, 반군이 수도 트리폴리를 함락하면서 카다피 정권은 붕괴되었다. 국가과도위원회는 리비아를 대표하는 과도 정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리비아는 이후 장기간의 정치적 혼란과 무력 분쟁을 겪게 되었다.

참조

[1] 뉴스 Bahrain in crisis and Middle East protests – live blog https://www.theguard[...] 2011-02-19
[2] 뉴스 Ferocious Battles in Libya as National Council Meets for First Time http://www.news.com.[...] NewsCore 2011-03-06
[3] 웹사이트 Libyan Showdown http://www.internati[...]
[4] 웹사이트 The Libyan Interim National Council https://web.archive.[...] ntclibya.com 2011-11-02
[5] 뉴스 Jibril vows to quit after Libya 'liberation' http://english.aljaz[...] 2011-10-03
[6] 뉴스 Libyan Rebels Get Organized http://www.aljazeera[...]
[7] 웹사이트 Libyan Rebels' Weapons Deficit http://www.iiss.org/[...]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8] 웹사이트 Libya's uncertain front lines http://english.aljaz[...]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9-03
[10] 뉴스 Inferior Arms Hobble Rebels in Libya War https://www.nytimes.[...] 2011-04-25
[11] 뉴스 Britain providing body armor to rebel police Austin American Statesman 2011-07-01
[12] 뉴스 Libyan rebels built combat robots, remotely operated weapon systems http://www.technewsd[...] 2024-12-01
[13] 뉴스 Chad says citizens abused in rebel-held Libya https://web.archive.[...] 2011-04-04
[14] 웹사이트 Violent repression of protests rocks Libya, Bahrain, Yemen http://www.kansascit[...] 2011-02-19
[15] 웹사이트 Bahrain in crisis and Middle East protests – live blog http://www.guardian.[...] 2011-02-19
[16] 웹사이트 Al Qaeda's North African wing says it backs Libya uprising http://edition.cnn.c[...] CNN 2011-02-24
[17] 뉴스 http://www.telegrap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