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밧지 연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밧지 연맹은 바이샬리 지역의 밧지족에서 이름을 따온 고대 인도의 부족 연합이다. 히말라야 산맥, 마하난다강, 갠지스강, 사단니라강을 경계로 위치했으며, 리차비족, 비데하족, 나야족 등이 연맹에 참여했다. 기원전 8세기경, 리차비족이 비데하 왕국을 점령한 후 공화정 체제로 시작되었으며, 체타카가 연맹 전체의 수장이었다. 붓다 사후 마가다 왕국과의 갈등 끝에 아자타샤트루에 의해 기원전 468년 멸망하여 마가다에 합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폐지 - 델로스 동맹
    델로스 동맹은 기원전 478년에서 477년 사이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아테네를 중심으로 결성된 군사 동맹으로, 페르시아의 재침공 대비와 복수, 전리품 분배를 목표로 했으나 아테네의 패권 강화로 아테네 제국으로 변모 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하며 해체되었다.
  • 기원전 5세기 인도 - 마가다-앙가 전쟁
    빔비사라가 앙가의 브라마닷타 왕에게 복수하여 앙가를 정복하고 마가다에 병합했으며, 이후 그의 아들 아자타샤트루가 참파의 부왕이 되었다.
  • 기원전 5세기 인도 - 마가다-코살라 전쟁
    마가다-코살라 전쟁은 기원전 6세기경 북인도의 두 강대국 마가다와 코살라 간의 분쟁으로, 코살라 왕 비두다바의 영토 확장 시도가 마가다 왕 아자타샤트루와의 세력 경쟁으로 이어져 코살라가 마가다에 병합되고 마가다가 북인도 최강국으로 부상하는 결과를 낳았다.
밧지 연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하자나파다 (기원전 500년경)
마하자나파다 (기원전 500년경)
현지 이름밧지 연맹
위치비하르 주
수도바이샬리
민족인도아리아인
통용어베다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종교자이나교
불교
브라만교
데모님밧지인
정치 체제
정치 체제공화제(가나상가)
지도자 칭호가나무키야
지도자 이름체타카
지도자 재임 시작? ~ 기원전 468년
역사
건국기원전 7세기
멸망기원전 468년
이전 국가비데하
계승 국가마가다

2. 어원

밧지 연맹이라는 명칭은 연맹의 수도였던 바이샬리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이었던 밧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밧지 연맹이 위치한 이전 비데하 왕국의 더 넓은 지역은 차례로 연합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중국의 순례자 현장에 따르면, "단결된 밧지"를 의미하는 삼밧지라는 이름은 남아시아 북부 사람들이 밧지 연맹에 부여한 것이다.[1]

3. 위치

밧지 연맹은 히말라야산맥마하난다강, 갠지스강, 사단니라강으로 각각 북쪽, 동쪽, 남쪽, 서쪽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2]

밧지 연맹 내에서 리차비족은 갠지스강 바로 북쪽, 사다니라강 동쪽의 남서부 지역에 살았다. 비데하족은 사다니라강과 카우시키강 사이의 히말라야 산기슭을 따라 오늘날 타라이 지역과 낮은 언덕 범위를 포함한 네팔의 남동부 지역과 오늘날 인도 비하르주의 북부 지역에 살았다. 나야족은 쿤다가마(산스크리트어로 쿤다그라마) 또는 팔리어로 쿤다푸라라고하는 작은 마을인 수도 주변의 작은 지역에 위치했으며, 북동쪽으로 바이샬리의 리차비족 및 밧지 수도와 가까운 곳에 있었다.[2]

4. 역사

밧지 연맹은 대마가다 문화권 동부 갠지스 평원의 인도-아리안 부족인 비데하족이 세운 옛 마하비데하 왕국의 영토에 위치했다.[3][4] 기원전 800년경 마하비데하("큰 비데하") 왕국은 서쪽의 사다니라강, 동쪽의 카우시키강, 남쪽의 갠지스강, 북쪽의 히말라야산맥 사이에 세워졌다.

붓다의 생애 직전 또는 도중인 기원전 7세기 또는 6세기경, 마하비데하 왕국은 인도아리아인 부족인 리차비족의 침략으로 미틸라를 일시적으로 점령당했다. 리차비족은 공화정 부족으로, 이들의 비데하 점령으로 인해 이미 약해진 비데하 군주정은 비교적 평화롭게 전복되고 공화정 체제로 대체되었다.

갠지스강 남쪽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마가다국에 맞서, 리차비족은 옛 비데하 왕국의 남쪽 부분에 공화국을 설립하고 정치 중심지를 바이샬리로 옮겼다. 한편 새로운 비데하 공화국은 미틸라를 중심으로 리차비의 북쪽에 위치한 제한된 영토에 존속했다. 리차비족에 복종했던 비데하 귀족의 많은 구성원이 바이샬리로 이동하여 리차비 지배 귀족 의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이후 리차비족은 자신들이 주도하는 임시 연맹을 결성했는데, 이 연맹은 바이샬리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이자 연맹 구성 부족 중 하나로 자체 주권을 지니고 있던 밧지족의 이름을 따 밧지 연맹으로 불리게 되었다.

비데하 공화국은 미틸라와 그 주변에 거주하며 리차비 총회라는 이름으로 통치하는 크샤트리야 의회에 의해 통치되었다. 비데하 공화국은 리차비 공화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밧지 연맹에 가입하여 외교 정책은 리차비족에게 완전히 통제되었고 국내 행정에 대해서만 제한된 자율성을 가졌다. 비데하족의 하위 그룹인 나야족은 독립 부족을 형성하여 밧지 연맹의 또 다른 구성 공화국이 되었으며, 전쟁과 외교 정책을 밧지 연맹에 위임했다. 말라족은 밧지 연맹에 가입하여 불안정한 시기에 공동으로 직면했을 위험을 처리했는데, 리차비족에게 종속된 다른 동맹 부족과는 달리 밧지 연맹 내에서 주권을 유지했으며, 리차비족, 비데하족, 나야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지만 이들 공화국 사이에서 가끔 다툼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원전 6세기, 리차비족의 가나 무키야("공화국의 수장")는 체타카였으며, 밧지 연맹은 그를 연맹 전체의 수장으로 삼았다. 체타카의 여동생 트리샬라는 나야족의 가나 무키야인 싯다르타와 결혼했는데, 이는 나야족이 바이샬리와 가까운 중요한 지리적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싯다르타가 정치적으로 중요했고, 밧지 평의회 회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싯다르타와 트리샬라의 아들은 24대 자이나교 티르탕카라마하비라였다.

붓다 입멸 후, 리차비족, 말라족, 샤카족은 그의 유물 몫을 주장했지만, 비데하족과 나야족은 리차비족의 종속 부족이었기 때문에 몫을 주장하는 국가 목록에 나타나지 않아 자신들의 몫을 내세울 수 없었다.

4. 1. 마가다국과의 전쟁

마가다 왕국과 밧지 연맹의 관계는 처음에는 좋았지만, 붓다 사후 유물 획득 경쟁 등으로 긴장이 발생했다.[1]

아자타샤트루가 왕위를 찬탈한 후, 밧지 연맹이 그의 의붓동생 베할라의 반란을 지원하면서 적대감이 심화되었다. 베할라는 밧지 연맹의 수도 바이샬리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아자타샤트루는 밧지 연맹과의 협상이 결렬되자 기원전 484년에 전쟁을 선포했다.[1]

밧지 연맹이 갠지스강 국경 초소에서 마가다에게 불리하게 행동하면서 긴장이 더욱 악화되었다. 아자타샤트루는 밧지 연맹을 파괴하기로 결심했는데, 이는 그의 어머니가 밧지 연맹의 일원이었던 비데하 출신이었기 때문에 옛 마하비데하 왕국 영토를 탐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군주제 국가인 마가다는 공화제인 밧지 연맹과 정치 체제가 달랐던 것도 갈등의 원인이었다.[1]

밧지 연맹의 구성원인 비데하족, 나야족, 말라족도 위협을 느꼈고, 연맹은 마가다에 맞서 함께 싸웠다. 초기에는 밧지 연맹의 군대가 강력했지만, 아자타샤트루는 10년간의 외교와 음모를 통해 기원전 468년에 밧지 연맹을 패배시키고 영토를 합병했다.[1]

전쟁 이후 리차비, 비데하, 나야는 마가다 왕국에 합병되었고, 말라족도 마가다의 일부가 되었다. 이들은 제한된 자치권을 허용받았으나, 마우리아 제국이 마가다를 통치하면서 공화 부족으로서의 존재는 중단되었다. 하지만 리차비족은 마가다 통치 하에서도 어느 정도 지역 자치권을 유지하며 존속했다.[1]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Civilisation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2]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Gupta Dynasty University of Calcutta 1953
[3] 저널 Cultural Remnants of the Indigenous Peoples in the Buddhist Scriptures https://www.research[...] 2022-06-04
[4] 서적 Bronkhorst, J. (2007). Greater Magadha, Studies in the culture of Early India, p. 6. Leiden, Boston, MA: Brill. http://dx.doi.org/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