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는 고대 인도에 존재했던 부족으로, 현재 인도 고라크푸르 지역에 거주했다. 말라족은 쿠시나라와 파바를 수도로 하는 두 개의 공화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밧지 연맹의 일원으로 리차비족 등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말라족은 석가모니의 마지막 날을 쿠시나라에서 보냈고, 석가모니의 사리를 차지하기 위해 다른 부족들과 경쟁하기도 했다. 말라족은 아자타샤트루의 마가다 왕국에 의해 정복당하여 쇠퇴했으며, 가나상가 형태의 정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밧지 연맹 - 바이샬리
    바이샬리는 인도 비하르 주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리차비 공화국의 수도였으며 석가모니 부처와 마하비라가 활동했던 불교 및 자이나교의 중요한 유적지이다.
  • 밧지 연맹 - 리차비족
    리차비족은 기원전 6세기경 바이샬리를 중심으로 공화정을 수립한 인도아리아계 부족으로, 밧지 연맹을 주도하며 번성했으나 마가다 왕국에 멸망한 후에도 굽타 제국과 혼인하고 네팔에 왕조를 세우는 등 영향력을 유지하며 가나상가라는 정치 체제를 운영했다.
  • 가나상가 - 콜리야
    콜리야족은 고대 인도에서 사라유 강에서 히말라야 산맥에 이르는 지역에 위치했던 가나상가 부족으로, 샤카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석가모니의 외가 혈족으로 알려졌으나 코살라 왕국에 정복된 후 정치적 중요성을 잃었다.
  • 가나상가 - 밧지 연맹
    밧지 연맹은 기원전 6세기경 고대 인도 북부에서 밧지족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연합하여 강력한 세력을 유지했던 공화정 연맹으로, 갠지스강을 중심으로 마가다 왕국과 경쟁하다 아자타샤트루 왕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 십육대국 - 마가다
    고대 인도 동부 갠지스 평원에 위치했던 마가다는 철광석 산지와 갠지스강 수운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자이나교와 불교의 발생지이자 여러 왕조와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으며,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는 인도 아대륙 대부분을 지배하는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했다.
  • 십육대국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일반 명칭말라 공화국
상태밧지 연맹의 공화국
시대철기 시대
정치 체제귀족 공화국
의회사바
존속 시작기원전 7세기경
존속 종료기원전 4세기경
후계 국가마가다
현재 국가인도
지리
수도쿠시나라 및 파바
가나상가
말라와 다른 가나상가
마하 자나파다
말라, 밧지 (밧지카 연맹 내 리차비의 속국), 기타 마하자나파다 (후기 베다 시대)
언어 및 종교
공용어프라크리트어
종교역사적 베다 종교, 불교, 자이나교
통치
화폐
통화카르샤파나

2. 위치

말라족은 현재 인도의 고라크푸르 구에 해당하는 지역에 거주했지만, 그 정확한 경계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말라족의 동쪽 사다니라 강 너머에는 리차비족이, 서쪽에는 샤카족, 콜리야족, 모리야족, 코살라족이 이웃해 있었고, 말라족의 남쪽에는 칼라마족과 강가 강이, 북쪽에는 히말라야 산맥이 있었다. 말라족의 영토는 비데하코살라 사이의 땅이었다.

두 말라 공화국의 영토는 히라냐바티 강을 경계로 나뉘었고, 두 말라 공화국의 수도는 각각 쿠시나라(현재 쿠시나가르의 카시아 마을)와 파바(현재 파질나가르)에 있었다. 쿠시나라는 북동쪽에 있는 샤카족의 수도 카필라밧투와 가까웠고, 파바는 리차비족의 수도 베살리와 가까웠다.

갠지스 강 북안에 위치하며, 동쪽은 간다크 강을 사이에 두고 바지국과 접한다. 마가다국에서 보면 북쪽에 있다.

말라국은 동부와 서부로 크게 나뉘어 있었다.


  • 동부의 중심은 '''파바'''(Pāvā, 팔리어 पावा, 현재 우타르 프라데시 주의 간다크 강 서안에 있는 마을 파드라우나)이다.
  • 서부의 중심은 '''쿠시나가라'''(कुशीनगर, 또는 쿠샤바티 कुशावती, 현재 우타르 프라데시 주 쿠시나가르현의 마을 쿠시나가르)이다.

3. 명칭

말라족은 팔리어 불경에서는 말라, 자이나교 프라크리트어 경전에서는 말라이, 산스크리트어 불경에서는 말라라고 불린다.[1]

4. 역사

말라족은 갠지스강 동부의 대마가다 문화권에 존재했던 인도아리아계 부족이었다.[4][5] 이들은 내부 문제로 쿠시나라와 파바에 각각 수도를 둔 두 개의 공화국으로 나뉘었다. 두 공화국은 리차비족이 주도하는 밧지 연맹의 일원이었으나, 리차비족에게 정복되지 않아 독자적인 주권을 유지하며 연맹 내 다른 부족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석가모니는 파바의 말라족이 새로 지은 산타가라인 우바타카를 방문했다. 그는 파바에서 쿠시나라로 이동하며 두 강을 건넜는데, 그중 하나가 두 말라 공화국을 나누는 히란냐바티강이었다. 석가모니는 쿠시나라에서 마지막 날을 보냈고, 그의 죽음과 장례식은 쿠시나라의 산타가라에서 논의되었다. 석가모니의 사리를 얻기 위해 여러 부족이 쿠시나라로 왔으며, 말라족은 사리의 일부를 얻어 스투파를 건립하고 축제를 열었다. 자이나교마하비라가 사망한 후에도 말라족은 리차비족과 함께 빛의 축제를 열었다.

말라족이 속한 밧지 연맹은 남쪽의 마가다 왕국과 관계가 좋았으나, 석가모니 사후 사리를 두고 경쟁하는 등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다.[6] 리차비족의 마가다 영토 침공과 빔비사라 왕에 대한 범죄로 관계는 악화되었고, 아자타샤트루 통치하에 적대감이 계속되었다. 아자타샤트루는 밧지 연맹을 멸망시키려 했고, 결국 기원전 468년 밧지 연맹을 패배시키고 영토를 합병했다. 말라족은 마가다의 일부가 되었지만 제한적 자치권을 허용받았고, 마우리아 제국 통치 시기까지 공화 부족으로 존재했다.

4. 1. 초기

말라족은 갠지스강 동부 대마가다 문화권에 존재했던 인도아리아계 부족이었다.[4][5] 대마가다 문화권의 다른 민족과 마찬가지로 말라족도 처음에는 인도아리아인임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브라만화되지는 않았지만, 비데하족과 마찬가지로 나중에 브라만화되어 바세타(팔리어) 또는 바시타(산스크리트어) 고트라를 채택했다.

쿠시나라시를 방어하는 말라족.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산치 남부 관문에 설치된 스투파 1의 부조를 반영함.


사리 전쟁 중 일곱 왕의 포위 공격을 받고 있는 쿠시나라의 말라족 지도자를 묘사한 산치 부조.


어느 시점에서 말라는 내부 문제로 인해 쿠시나라와 파바에 각각 수도를 둔 두 개의 공화국으로 나뉘었고, 이후 두 말라 공화국 간의 관계는 냉랭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말라 공화국은 리차비족이 주도하는 밧지 연맹의 일원이 되었는데, 비데하와는 달리 리차비족에게 정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말라는 밧지 연맹 내에서 독자적인 주권을 유지했고 리차비족, 비데하족, 그리고 이 연맹의 다른 회원이었던 나야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탁샤실라에서 교육을 받은 후 말라족과 코살라 사이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코살라 국왕 파세나디의 장군으로 일하던 반둘라라는 말라인이 그의 아내 말리카와 함께 리차비족의 아비세카-포카라니 신전차를 침범하여 코살라와 리차비족 사이에 무력 적대 행위가 발생하는 등 말라족과 리차비족 사이에 때때로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다. 반둘라는 나중에 파세나디에 의해 그의 아들들과 함께 배신당하며 살해되자 일부 말라인들이 보복으로 파세나디의 아들 비두다바가 반둘라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코살라의 왕위를 찬탈하도록 도왔다.

석가모니는 파바의 말라족이 우바타카라는 이름을 붙인 새로운 산타가라를 개창한 직후 파바에 도착했다. 석가모니와 그의 추종자들은 파바에서 쿠시나라로 갔고, 가는 길에 두 개의 강을 건너게 되는데, 첫 번째 강은 쿠쿠스타강, 두 번째 강은 말라카의 두 공화국을 분리하는 히란냐바티강이었다. 부처님은 쿠시나라의 말라 공화국에서 마지막 날을 보냈고, 아난다를 보내 쿠시나라의 말라인들에게 자신의 임박한 죽음을 알렸을 때, 아난다는 말라족 평의회가 그들의 산타그라에서 공적인 문제에 대해 회의를 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아난다가 석가모니의 입멸을 알리기 위해 쿠시나라의 말라족에게 다시 갔을 때, 이번에는 그들이 산타가라에서 석가모니의 장례식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석가모니의 화장이 끝난 후 그의 유해는 7일 동안 쿠시나라의 산타그라에 안치되었고, 이 산타그라에서 쿠시나라의 말라족은 마가다, 리차비, 샤카, 불리, 콜리야, 파바의 말라, 모리야의 사신을 맞이했는데, 이들은 모두 석가모니의 사리를 차지하기 위해 쿠시나라로 갔다. 리차비족, 말라족, 샤카족은 사리의 지분을 주장할 수 있었지만, 밧지 연맹의 다른 구성원인 비데하족과 나야족은 독자적인 주권이 없는 리차비족의 종속 부족이었기 때문에 리차비가 지분을 주장할 수 있는 동안에는 독자적인 주장을 펼치지 못했다. 파바의 말라족은 쿠시나라에 군대를 이끌고 가장 먼저 도착했고, 그들은 무례하고 적대적인 용어로 사리에 대한 자신들의 주장을 내세웠다. 결국 각 말라 공화국은 석가모니 사리의 일부를 차지한 후 각자의 스투파를 건립하고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축제를 열었다.

24대 자이나교 티르탕카라마하비라가 사망한 후 말라족과 리차비족은 그의 죽음을 기념하기 위해 공동으로 빛의 축제를 열었다.

4. 2. 쇠퇴

말라족이 속한 밧지 연맹과 남쪽 이웃 마가다 왕국 사이의 관계는 처음에는 좋았지만, 석가모니 사후 사리를 얻기 위해 쿠시나라의 말라족 수도에서 경쟁하는 등 때때로 긴장이 있었다.[6]

리차비족은 한때 갠지스강 건너 마가다 영토를 침공하기도 했으며, 마가다 왕 빔비사라에 대한 중대한 범죄로 인해 관계가 영구적으로 악화되었다. 빔비사라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아자타샤트루의 통치하에 적대감은 계속되었다. 리차비족은 아자타샤트루의 의붓동생 베할라의 반란을 지지했고, 베할라는 밧지 연맹의 수도 바이샬리를 근거지로 사용했다. 반란 실패 후, 베할라는 바이샬리로 도망갔고, 아자타샤트루는 밧지 연맹과 협상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자 기원전 484년 전쟁을 선포했다.

리차비족이 이끄는 바지카 연맹은 코지가마의 마가다-리차비 공동 국경 초소를 관리하며 모든 귀중품을 가져가고 마가다에게는 아무것도 남기지 않아 긴장이 더욱 악화되었다. 아자타샤트루는 밧지 연맹을 파괴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밧지 연맹 영토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정치적 조직 형태의 차이(마가다는 군주제, 밧지 연맹은 공화제) 때문이었다.

밧지 연맹의 구성원인 비데하족, 나야족, 말라족도 위협을 느꼈고, 연맹의 가나 무키야인 체타카는 전쟁 전 말라족 라자와 협의했다. 이들은 마가다에 맞서 연맹 편에서 싸웠다. 밧지 연맹군은 초기에 강력했지만, 아자타샤트루는 10년에 걸친 외교와 음모 끝에 기원전 468년 밧지 연맹을 패배시키고 영토를 합병했다. 전쟁 이후 리차비, 비데하, 나야는 마가다 왕국에 합병되었고, 말라족도 마가다의 일부가 되었지만 제한적인 자치권을 허용받았다. 이들은 마우리아 왕조 통치 시기까지, 혹은 얼마 지나지 않아 공화 부족으로서의 존재를 멈췄다.

5. 정치

말라족은 크샤트리아 부족으로, 가나상가(귀족적 과두 공화국)로 조직되었다. 바세타/바시타 고트라에 속한 크샤트리아 씨족의 수장들로 구성된 통치 의회가 있었고, 이들은 라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라자의 지위는 세습되었으며, 그들 중 한 명이 사망하면 그의 장남이 마쿠타 반다나에서 열린 의식을 거쳐 의회에 소개됨으로써 그 뒤를 이었다. 파바의 말라족들도 비슷한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1]

말라 공화국은 자체적인 산타가라에서 회의를 열었다.[2]

5. 1. 의회

말라족은 비데하족, 리차비족, 나야족과 같이 크샤트리아 부족으로, 각 공화국은 가나상가(귀족적 과두 공화국)로 조직되었다. 여기에는 바세타/바시타 고트라에 속한 크샤트리아 씨족의 수장들로 구성된 통치 의회가 있었고, 이들은 라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라자의 지위는 세습되었는데, 그들 중 한 명이 사망하면 그의 장남이 공화국의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지닌 신전이었던 마쿠타 반다나에서 쿠시나라의 말라족들을 위해 열린 의식을 거쳐 의회에 소개됨으로써 그의 뒤를 이었다. 파바의 말라족들도 비슷한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리차비족과 마찬가지로 말라족 의회에도 비슷한 신전이 있었다.[1]

밧지 연맹의 다른 가나상가들과 마찬가지로 말라 공화국은 자체적인 산타가라에서 회의를 열었다.[2] 리차비족과 마찬가지로 말라족의 의회는 드물게 열렸지만, 각 공화국에서 공공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쿠시나라의 말라족은 4명, 파바의 말라족은 5명으로 구성된 말라족 의회의 내부 위원회가 더 자주 열렸다. 이 의회는 말라 공화국의 주권 기구였다.

마라족을 포함한 9개의 부족이 국내 각지에 있으며, 그 거주지에 맞춰 마라국은 9개의 지방으로 구분되었다. 그 구분 안에서 선출된 대표에 의한 회의(संघ 상가)에 의해 국정이 운영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회의의 구성원은 스스로를 "왕"(राजन् 라잔)이라고 칭하는 관습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고대 인도의 국가를 가나 상가국이라고 부르고 있다.

5. 2. 평의회

말라족 의회는 리차비족과 마찬가지로 거의 소집되지 않았다. 의회의 내부 평의회인 말라족 평의회는 쿠시나라의 말라인 4명, 파바의 말라인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더 자주 소집되어 각 공화국 내에서 공공 행정을 수행했다. 이 평의회는 말라 공화국의 주권 기관이었다.[1]

말라카족은 크샤트리아 부족이었으며, 말라카족의 각 공화국은 가나상가(귀족 과두 정치 공화국)로 조직되었다. 여기에는 Vāseṭṭha|바세타sagotra|고트라sa에 속하는 크샤트리아sa 씨족의 수장들로 구성된 통치 의회가 있었고, 이들은 rājā|라자sa라는 칭호를 받았다. rājā|라자sa의 지위는 세습되었으며, 그들 중 한 명이 사망한 후에는 장남이 의회에 소개됨으로써 그의 뒤를 이었다.[2]

말라카 공화국은 자체 santhāgāra에서 의회 및 의회 회의를 열었다.[2]

마라족을 포함한 9개의 부족이 국내 각지에 있으며, 그 거주지에 맞춰 마라국은 9개의 지방으로 구분되었다. 그 구분 안에서 선출된 대표에 의한 회의(संघ 상가)에 의해 국정이 운영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회의의 구성원은 스스로를 "왕"(राजन्|라잔sa)이라고 칭하는 관습이 있었다.

6. 사회와 종교

마누스미리티는 말라족을 크샤트리아로 분류하지 않고, 정통 베다 전통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의례를 치르지 않은 크샤트리아인 Vrāṭyakṣatriya|브라트약샤트리야sa로 언급한다.[1] 말라국에서는 베다의 종교와 함께 신흥 불교자이나교도 널리 신봉되었다.

참조

[1] 논문 Cultural Remnants of the Indigenous Peoples in the Buddhist Scriptures https://www.research[...] 2014
[2] 서적 Bronkhorst, J. (2007). Greater Magadha, Studies in the culture of Early India, p. 6. Leiden, Boston, MA: Brill. http://dx.doi.org/10[...] 2007
[3] 서적 Asiatic Mythology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94
[4] 논문 Cultural Remnants of the Indigenous Peoples in the Buddhist Scriptures https://www.research[...] 2014
[5] 서적 Bronkhorst, J. (2007). Greater Magadha, Studies in the culture of Early India, p. 6. Leiden, Boston, MA: Brill. http://dx.doi.org/10[...] 2007
[6] 서적 Asiatic Mythology https://books.google[...]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