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방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방읍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한 읍으로, 온양 방씨와 관련된 지명 유래를 가지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온양군에 속했으며, 1914년 아산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 아산시로 통합된 후 200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2010년 인구 5만 명을 돌파하였다. 현재 12개의 법정리와 82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방역, 천안아산역, 탕정역 등이 위치해 교통이 편리하다. 최근 인구 증가에 따라 행정구역 조정 및 분동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행정 구역 - 온양동
온양동은 아산시의 행정구역으로, 온양읍이 온양시로 승격된 후 아산시로 통합되었으며, 아산시 중심부에 위치하고 온양온천역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교육 시설과 주요 시설, 아파트 단지를 갖추고 있다. - 아산시의 행정 구역 - 신창면
신창면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신창군으로 명명되었고, 현재 11개의 법정리와 35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5년 신창읍으로 승격될 예정이며, 신창역, 교육 기관,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한다. - 2009년 설치 - 압구정동
압구정동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하며 한명회의 정자에서 유래, 고급 아파트 단지 조성 후 고소득층 거주 지역으로 발전하여 백화점, 레스토랑, 부티크 등이 밀집한 번화가이자 압구정로데오거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를 흡수하는 쇼핑 명소이며, 편리한 교통과 명문 사립학교, 그리고 대중문화 배경지로도 유명하다. - 2009년 설치 - 청담동
청담동은 강남구에 위치하며, 과거 '청수골'이라 불렸던 지역으로, 도시 개발과 명문고 이전으로 발전하여 고급 주택가, 명품 매장,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밀집한 부촌이자 문화 중심지이지만,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도 심각하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배방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읍사무소 | 배방읍 배방로 38(공수리 151-14) |
홈페이지 | 배방읍 행정복지센터 |
행정 구역 | |
광역시도 | 충청남도 |
시군구 | 아산시 |
법정리 | 12개 |
행정리 | 71개 |
반 | 414개 |
면적 및 인구 | |
면적 | 49.7 |
세대 | 34,318 (2021년 7월 기준) |
인구 | 80,352 (2021년 7월 기준) |
지리 | |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
기타 | |
한자 표기 | 排芳邑 |
로마자 표기 | Baebang-eup |
2. 지명 유래
배방이라는 지명은 온양 방씨와 관련이 있다. 당나라 한림학사인 방지의 6세손 방운이 고려 태조를 도와 고려 창업부터 성종 대까지 60여 년간 공을 세워 온수군에 봉해지고, 온양, 신창, 아산 3읍을 하사받으면서 방씨를 우러러본다는 뜻으로 배방이라 일컬었다. 중리에는 조선 초기 명재상인 맹사성 일가의 고택이 있는 아산 맹씨 행단이 있다.
3. 연혁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온양군 동상면 | 배방면 갈매리, 공수리, 북수리, 세출리, 회룡리 |
온양군 동하면 | 배방면 세교리, 장재리, 휴대리 |
온양군 군내면 | 배방면 수철리, 신흥리, 중리, 남리 |
- 1986년 1월 1일 : 남리(南里)가 온양시로 편입되어 온양시 남동이 되었다.
- 1987년 1월 1일 : 탕정면 구령리(九靈里)를 편입하였다.
- 1995년 1월 1일 : 온양시와 아산군이 도농복합시인 '''아산시'''로 통합되어 아산시 배방면이 되었다.
- 2007년 5월 7일 : 공수리에서 중앙하이츠1차아파트 일대를 공수10리, 중앙하이츠2차아파트 일대를 공수11리, 한성필하우스아파트 일대를 공수12리, 한라비발디아파트 일대를 공수13리, 대우푸르지오아파트 일대를 공수14리로 분할하였다.[1]
- 2007년 9월 17일 : 북수리에서 금호어울림아파트 일대를 북수8리로 분할하였다.[2]
- 2008년 9월 5일 : 공수리에서 한성필하우스2차아파트 일대를 공수15리로 분할, 북수리에서 배방자이2차아파트 일대를 북수9리로, 롯데캐슬아파트 일대를 북수10리로, 중앙하이츠3차아파트 일대를 북수11리로 분할, 갈매리에서 배방자이1차아파트 일대를 갈매3리로 분할하였다.[3]
- 2009년 5월 1일 : 배방면이 배방읍으로 승격하였다.[4]
- 2010년 9월 27일 : 배방읍의 인구가 5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1년 9월 26일 : 장재리에서 용연마을 휴먼시아2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2리로, 휴먼시아3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3리로, STX KAN 4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4리로, 5단지 부지 일대를 장재5리로, 연화마을 STX KAN 6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6리로, 휴먼시아7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7리로, 휴먼시아8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8리로, 9단지 부지 일대를 장재9리로, 10단지 부지 일대를 장재10리로, 장재마을 휴먼시아11단지아파트 일대를 장재11리로 분할하였다.[5]
- 2012년 3월 9일 : 공수리에서 아산배방삼정그린코아아파트 일대를 공수16리로, 아산배방2차푸르지오아파트 일대를 공수17리로 분할, 장재리에서 요진와이시티 일대를 장재12리로, 와이시티오피스텔 일대를 장재13리로, 펜타폴리스 일대를 장재14리로 분할 및 그 외 장재15~18리 분할하였다.[6]
4. 행정 구역
배방읍의 행정 구역은 12개 법정리와 74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는 갈매리, 공수리, 구령리, 북수리, 세교리, 세출리, 수철리, 신흥리, 장재리, 중리, 회룡리, 휴대리이다. 읍 행정복지센터는 공수리에 있다.
법정리 | 행정리 | 비고 |
---|---|---|
갈매리 | 갈매1리, 갈매2리, 갈매3리 | 2008년 9월 5일 갈매3리 신설 |
공수리 | 공수1리, 공수2리, 공수3리, 공수4리, 공수5리, 공수6리, 공수7리, 공수8리, 공수9리, 공수10리, 공수11리, 공수12리, 공수13리, 공수14리, 공수15리, 공수16리, 공수17리 |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2007년 5월 7일 공수10~14리 신설 2008년 9월 5일 공수15리 신설 2012년 3월 9일 공수16, 17리 신설 |
구령리 | 구령1리, 구령2리 | |
북수리 | 북수1리, 북수2리, 북수3리, 북수4리, 북수5리, 북수6리, 북수7리, 북수8리, 북수9리, 북수10리, 북수11리 | 2007년 9월 17일 북수8리 신설 2008년 9월 5일 북수9~11리 신설 |
세교리 | 세교1리, 세교2리, 세교3리, 세교4리, 세교5리 | |
세출리 | 세출리 | |
수철리 | 수철1리, 수철2리, 수철3리 | |
신흥리 | 신흥1리, 신흥2리 | |
장재리 | 장재1리, 장재2리, 장재3리, 장재4리, 장재5리, 장재6리, 장재7리, 장재8리, 장재9리, 장재10리, 장재11리, 장재12리, 장재13리, 장재14리, 장재15리, 장재16리, 장재17리, 장재18리 | 2011년 9월 26일 장재2~11리 신설 2012년 3월 9일 장재12~18리 신설 |
중리 | 중1리, 중2리, 중3리 | |
회룡리 | 회룡1리, 회룡2리 | |
휴대리 | 휴대1리, 휴대2리, 휴대3리, 휴대4리 |
2000년대 이후 배방읍은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급증하면서 행정리가 지속적으로 분할 신설되었다. 2007년에는 공수10~14리, 북수8리가, 2008년에는 갈매3리, 공수15리, 북수9~11리가 신설되었다. 2011년에는 장재2~11리가, 2012년에는 공수16·17리, 장재12~18리가 신설되었다.
5. 교육
학교명 | 위치 | 비고 |
---|---|---|
배방초등학교 | 북수리 | |
모산초등학교 | 공수리 | |
금곡초등학교 | 중리 | |
아산북수초등학교 | 북수리 | |
아산공수초등학교 | 공수리 | |
아산세교초등학교 | 세교리 | |
동방초등학교 | 휴대리 | |
연화초등학교 | 장재리 | |
용연초등학교 | 장재리 | |
배방중학교 | 북수리 | |
설화중학교 | 장재리 | |
모산중학교 | 공수리 | |
이순신고등학교 | 세교리 | |
설화고등학교 | 장재리 | |
배방고등학교 | 북수리 | |
호서대학교 | 아산캠퍼스 |
6. 교통
배방읍에는 배방역, 천안아산역, 탕정역이 있다.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도로 이름 |
---|---|
대로 | |
로 | |
길 |
7.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
---|---|---|---|---|---|
배방역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 효성㈜ | ㈜하나자산투자 | 모산로 67 | 2018년 8월 | |
배방 한라비발디 | ㈜한라건설 | 배방로 131 | 2006년 8월 | ||
배방 푸르지오 | 대우건설 | ㈜디엔디홀딩스 | 배방로105번길 31 | 2007년 3월 | |
배방자이 1차 | GS건설 | ㈜한국토지신탁 | 호서로 460 | 2007년 12월 | |
배방자이 2차 | ㈜금강디랜디 | 북수로 116 | |||
배방 1차 한성필하우스 | 한성종합건설㈜ | 배방로 58-43 | 2006년 12월 | ||
배방 2차 한성필하우스 | 배방로 58-46 | 2007년 8월 | |||
배방 3차 한성필하우스 | 모산로 51 | 2017년 10월 | |||
배방 5차 한성필하우스 | 한성개발㈜ | 대유건설㈜ | 모산로 52 | 2018년 11월 | |
배방 6차 한성필하우스 | 한성건설㈜ | 배방 센트럴시티 지역주택조합 | 2020년 8월 | ||
배방오르젠 1단지 중앙하이츠 | 중앙건설 | ㈜GC스페이스 | 배방로 58-10 | 2006년 7월 | |
배방오르젠 2단지 중앙하이츠 | 우인건설㈜ | 배방로 58-11 | |||
새솔마을 중앙하이츠 | ㈜비엔디개발 | 2008년 1월 | |||
연화마을 7단지 휴먼시아 | 경남기업 | 대한주택공사 | 연화로 16 | 2008년 9월 | 국민임대 |
용연마을 1단지 휴먼시아 | 범양건영 | 2008년 10월 | |||
연화마을 8단지 휴먼시아 | 한신공영 ㈜도원이엔씨 | 연화로 36 | 2009년 6월 | ||
용연마을 3단지 휴먼시아 | KCC건설 동산건설㈜ | 용연로 54 |
8. 장재·휴대·세교리의 행정구역 조정 요구
봉강천을 경계로 기존 배방 시가지와 분리된 장재리, 휴대리, 세교리 지역은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쌍용동, 동남구 신방동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을이나 시가지가 붙어 있어, 이 지역 주민들은 1985년부터 생활권과 행정구역 불일치 문제를 제기하며 천안시 편입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7][8][9]
이들 지역 주민들은 천안시 편입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청원서를 제출하고, 시위와 농성을 벌이는 등 천안시 편입을 요구하였다.[7][11] 1994년 정부 중재가 있었으나, 아산시는 천안아산역 역세권과 신도시 개발을 통한 세수 확대를 이유로 반대하여 무산되었다.[12]
8. 1. 천안시 편입 문제
봉강천을 경계로 기존 배방 시가지와 분리된 장재리, 휴대리, 세교리 지역은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쌍용동, 동남구 신방동과 동네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을이나 시가지가 붙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지역 주민들은 1985년부터 생활권과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며 천안시 편입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7][8][9]이들 3개 리 지역은 온양보다 천안 시내와 거리가 더 가깝다. 주민들은 교육,[10] 문화 생활 및 경제 활동 등 대부분의 생활이 천안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행정구역은 아산시로 되어 있어 상수도 공급이나 쓰레기 수거 등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고 주장하였다.[7] 이에 장재리 등 3개 리 주민들은 천안시 편입추진위원회를 구성해 행정자치부와 충청남도 등에 청원서를 제출하고, 여러 차례 시위와 농성을 벌이는 등 신도시 개발 공사로 이주하기 전까지 천안시 편입을 꾸준히 요구하였다.[7][11]
1994년 정부는 충청남도에 천안시와 아산시 간의 행정구역 조정을 중재할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천안아산역 역세권과 신도시를 통한 세수 확대를 원했던 아산시의 강력한 반대로 이 지역의 천안시 편입은 무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신도시권 주민들 사이에서는 행정구역과 생활권 불일치를 이유로 편입 요구가 종종 나오고 있다.[12]
9. 분동 문제
배방읍의 인구가 75,000명으로 폭증하면서, 3~4개 내지 5개의 행정동으로 분동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배방읍을 분동한다면 원도심 지역의 동을 통합하는 조건을 전제로 하여 행정 균형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배방1, 2, 3, 4동 등으로 나누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3]
분동 시 주거 지역, 공업 지역, 미개발 지역 등을 구분하여 분동하기 위해 장유동, 신현읍, 태안읍, 교하읍, 회천읍 등 과거 읍면 지역들의 분동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 용인시의 수지출장소를 수지구로 승격한 사례나, 기흥읍과 구성읍을 통합하여 기흥구를 출범시킨 사례와 비슷하게 분동 여건을 충족시키는 조건을 갖출 필요가 있다.[13]
참조
[1]
조례
아산시조례 제705호
2007-05-07
[2]
조례
아산시조례 제719호
2007-09-17
[3]
조례
아산시조례 제792호
2008-09-05
[4]
조례
아산시 조례 826호
[5]
조례
아산시조례 제1002호
2011-09-26
[6]
조례
아산시조례 제1031호
2012-03-09
[7]
뉴스
시계(市界)를 가다 : 배방면 장재리 - 우린 어느 곳의 시민도 아니다.
http://www.bjynews.c[...]
충남시사신문
2012-09-15
[8]
뉴스
[대전/충남]시-도 경계주민들 "생활권 고려 행정구역 옮겨달라"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9-15
[9]
뉴스
<民願現場>"내고장 이것이 문제"-(108)忠南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0]
문서
설화중학교 개교 전 휴대리 동방초등학교 졸업생 진학 현황
[11]
뉴스
천안시 편입 요구 주민 가두시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2]
뉴스
도내 시·군 '땅뺏기 전쟁' 돌입
http://www.kgnews.co[...]
경기일보
[13]
뉴스
“배방읍 인구 7만명…3개동으로 나누자”
http://www.chungnams[...]
e충남시사신문
202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