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남주는 대한민국의 기계공학자로,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및 학장을 역임했다. 1925년 경상북도 청도에서 태어나 청도심상소학교, 계성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위를 받았다. 1970년대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으로 재직하며 기계 특성화 공과대학 지정을 주도하여 대학 발전에 기여했다. 과학기술 진흥 공로로 국민훈장 석류장, 교육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했으며, 2002년에는 마르퀴즈 후즈 후에도 등재되었다. 2013년 89세로 사망하기 전까지 학문과 교육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육공무원 - 교장
교장은 학교 교육 활동을 총괄하고 교직원을 감독하며 학교 운영 전반을 책임지는 교육직 공무원의 최고 직위로, 국가와 학교 규모에 따라 역할과 임용 방식, 자격 요건이 다르다. - 대한민국의 교육공무원 - 교감
교감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장을 보좌하며 교무 관리 및 학생 교육을 담당하고, 학교 행정 업무를 총괄하며 교장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는 직위로, 교원자격증과 교육 경력, 자격연수 이수 등의 임용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 청도 백씨 - 백승탁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교육 행정가인 백승탁은 충청남도 내 학교 교사, 예산고등학교 교장, 문교부 교육연구관, 충청남도 교육감 등을 역임하고 예덕학원 이사장과 여러 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예산군수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고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 청도 백씨 - 백남순 (192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백남순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조선로동당에서 활동하며 대남 협상 전문가이자 외무상으로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 백씨 - 백정기
백정기는 아나키즘 사상을 바탕으로 3·1 운동 참여, 일본 시설 공격, 독립운동 자금 모금, 일본 고위 인사 암살 시도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육삼정 의거로 체포되어 옥사한 독립운동가이다. - 백씨 - 백낙승 (1886년)
백낙승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후까지 직물 사업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일제에 협력했으며, 광복 후에는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을 확장했으나 자유당 정권과의 유착으로 몰락한 기업인으로,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백남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남주 |
출생일 | 1925년 10월 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청도군 대성면 고수동 |
사망일 | 2013년 10월 18일 |
사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
국적 | 대한민국 |
부모 | 백태린(1902~1988), 김서이(1906~1962) |
배우자 | 차양자(車良子, 1930년 ~ ) |
학력 및 경력 | |
경력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 부산대학교 교수 |
병역 | |
종군 | 한국전쟁 |
수상 | |
상훈 | 국민훈장 석류장(1985), 국민훈장 동백장(1991) |
기타 | |
웹사이트 | 나우루 공식 홈페이지 |
2. 생애
2. 1. 출생과 학창시절
1925년 경상북도 청도군 대성면 고수동(高樹洞) 158번지에서 백태린과 청도 김씨(淸道金氏) 김서이(金書伊)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백태린의 선계는 경주 건천의 석현(石峴)에서 영천으로 이거했는데, 백태린이 영천을 나와 청도에서 역무원으로 일하게 되고 가정을 이루면서 청도에서 태어난 것이다. 1937년 청도심상소학교(淸道尋常小學校)와 1943년 계성중학교를 나왔다. 수학을 매우 좋아했지만 계성중학교를 졸업할 무렵이 태평양전쟁이 한창일 때라 우선 일제의 징병을 피해 철도 계통에서 일하였다.2. 2. 교육과 연구
1952년 대학 졸업 후 김임식의 소개로 개성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54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로 옮겼다. 이 때 서길덕 등과 교류했다. 공대를 졸업했음에도 수학교사로 있으면서 박기택의 권유로 부산대학교에 출강하였고, 1958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교수로 부임하였다. 민수홍, 김만식 최내형, 정희채, 이형기 등과 교류하였다.1972년 부산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1]를 받았고, 대한기계학회에서 학술강연[2]을 하였다. 1974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을 맡았을 때는 윤천주 총장을 도와 부산대학교가 기계특성화 공과대학으로 지정[5][6]되는데 기여하였다.[3][4] 1979년 일본국 동북대학 공학부에서 연구하였다. 1983년 5월에는 한국기계공업진흥회에서 열린 대한기계학회의 고체역학 분과에서 학술강연을 하였다.[7]
2. 3. 만년의 활동
1991년 정년을 맞아 부산대학교 명예교수가 되었다. 김임식의 권유로 1996년까지 동의대학교에 초빙되어 연구하였고, 이후 만년에도 인제대학교에 출강하는 등 끝까지 학문과 교육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다.그는 평생의 은인으로 박영출 목사와 윤천주 장관을 마음에 두었다. 박영출 목사는 사후에 그 부인에게, 그리고 윤천주 장관에게는 윤장관 생시에 직접 찾아가 사은(謝恩)의 인사를 했다. 2013년 89세를 일기로 사망하기 얼마 전까지도 수학을 공부하였고, 어머니를 그리워 하였다.
3. 기여와 평가
백남주는 1970년대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 재임 시절, 정부의 지역별 특성화 공과대학 지정 정책 추진 과정에서 부산대학교가 기계 특성화 공과대학으로 지정되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8] 당시 청와대 경제제2수석비서관이었던 오원철 등과 협의하여 부산대학교는 '기계', 경북대학교는 '전자', 전남대학교는 '화공', 충남대학교는 '공업교육' 특성화 공과대학으로 지정되도록 하였다.[8]
이러한 노력을 통해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계열에 당시 38만 달러의 외자를 포함한 대규모 교육시설 투자를 유치하여[9][10] 대학의 질적, 양적 성장에 기여하였으며, 졸업생들은 창원, 울산 등 각 지역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 대한민국 기계공업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1985년에는 과학기술 진흥 공로로 대한기계학회의 추천을 받아 국민훈장 석류장을 수훈하였다.[11] 1991년에는 교육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하였다.[12] 2002년에는 세계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 후'에 등재되었다.
4. 학력
5. 경력
1948년 경산 모계중학교 임시교사로 교육계에 발을 들였다.[13] 1952년 부산개성중학교 교사, 1954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를 거쳐,[13] 1958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전임강사로 임용되었다.[13] 이후 1960년 조교수, 1963년 부교수를 거쳐 1968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교수가 되었다.[13] 1974년에는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을 역임하였고,[13] 1980년에는 일본국 동북대학 공학부 객원교수로 활동하였다.[13] 1991년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로 추대되었으며,[13] 같은 해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13]
6. 상훈
백남주는 부산대학교 연구업적상, 대한교원연합회 공로상, 대한기계학회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처 장관 표창, 문교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1985년 과학의 날에는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석류장을, 1991년에는 교육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하였다.
7. 가족관계
백남주의 아버지는 백태린(白泰麟, 1902년 ~ 1988년)이며, 어머니는 청도 김씨(淸道金氏) 김서이(金書伊, 1908년 ~ 1962년)이다. 김서이는 김대수(金大洙)의 딸이다.
8. 저서
백남주는 제어공학 (형설출판사, 1976), 금속재료학 (광림사, 1979), 기계공작법실습: 공작기계, 주조편 (광림사, 1979), 공업역학 (동일출판사, 1980), 공구설계 (김영호 공저, 탑출판사, 1981) 등을 저술했다.
9. 기고
백남주는 1959년 부산대학교 부산공대학보에 〈자동제어기초〉를 기고했다. 1967년에는 부산대공대 학생회지에 〈기술발전은 연구개발·선진기술 도입으로 : 과학기술분야 : 한국공업의...〉를 기고했다.
10. 일화
부산대학교가 '기계특성화 공과대학'으로 지정되면서 부산공대 기계공학과는 6개 학과로 세분되어 기계공학 계열의 입학 정원이 대폭 늘고[14] 교수 충원이 시급해졌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 시절, 한국과학원(KAIST) 원장을 직접 찾아가 그 해 기계공학과 졸업생 전원을 달라고 하여 실제로 그 중 20명을 한꺼번에 교수로 신규 채용하였다.[14] 이런 인연으로 그 젊은 신임 총각 교수들이 결혼할 때마다 주례를 부탁받았고, 또 몇 년 뒤에는 그 많은 기계계열 졸업생들까지 결혼할 때마다 기꺼이 주례를 서게 되었다.[14]
참조
[1]
뉴스
새 박사 252명 배출 각 대학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2-03-02
[2]
뉴스
대한기계학회 춘계학술강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4-05-24
[3]
뉴스
공과대학 실태조사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3-05-09
[4]
뉴스
박대통령 연두기자회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4-01-18
[5]
뉴스
기계.전자.화공대로 특성화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6-09-24
[6]
뉴스
박대통령 시정연설 요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6-10-04
[7]
뉴스
고체역학 학술강연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3-05-04
[8]
뉴스
부산.경북.전남.충남 4개 특성화 대학 선정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7-04-04
[9]
뉴스
대학선택 어디로 갈 것인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12-12
[10]
뉴스
대학시설 확장에 459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8-09-15
[11]
뉴스
서훈자 명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04-18
[12]
뉴스
퇴직교원 훈.포상자 명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02-20
[13]
뉴스
정부인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8-20
[14]
뉴스
4공대 국제수준화 교수.학생 대폭 증원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7-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