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담입구시외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담입구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이다. 수도권 및 강원권 방면 노선과 군내버스를 운행하며, 간성, 거진, 속초, 양구, 원통, 인제, 홍천, 춘천 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고양, 동서울, 수원, 안산, 의정부 방면 버스도 운행하며, 원주, 전주행은 터미널 매표소에 직접 예약 문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제군의 건축물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인제군의 건축물 - 원통버스터미널
원통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원통리에 위치하며,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방면 시외버스와 홍천, 가아리, 민박촌, 서화리, 진부령 방면 군내버스가 운행한다. - 인제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인제군의 교통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백담입구시외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담입구시외버스터미널 |
공식 명칭 | 백담입구터미널 |
종류 | 정류장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미시령로 1142 (용대리) |
운영 기관 | 개인사업자 |
표기 | 백담입구 (백담사)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웹사이트 |
2. 운행 노선
백담입구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대한민국의 시외버스가 수도권, 강원권 방면으로 운행된다.
원주, 전주행 버스를 이용하려면 터미널 매표소에 직접 예약 문의를 해야 한다.
2. 1. 수도권 방면
2. 2. 강원권 방면
2. 3. 군내버스
3.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 목록
대전복합, 대전서남부, 유성고속,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동, 양정, 신도안, 엄사, 동학사, 공주, 공암, 공주산성, 유구, 금산, 논산고속,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 홍성, 광천, 내포전북특별자치도 고창, 대산,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공용,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무주),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순창),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공용,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호남제일문,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광주광역시
전라남도광주(유스퀘어), 광주비아,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우산동(하남),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중마,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율포, 순천, 순천북부,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영암),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대구광역시
경상북도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 대구동부 · 대구남부,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 나들목,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부산, 부산서부, 김해국제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마산남부,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서귀포고속도로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금산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