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는 1964년 리처드 토머스에 의해 발견된 땅딸이도마뱀붙이속에 속하는 도마뱀이다. 작은 크기와 독특한 머리 무늬, 용골솟은 비늘, 등 부위의 겹쳐진 비늘 등이 특징이다. 니콜땅딸이와 유전적으로 가깝지만, 크기, 비늘 수, 코가운데비늘 개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는 양막류 중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평균 체장은 18mm이며, 짙은 갈색 바탕에 짙은 색 비늘로 작은 무늬를 이룬다. 버진고다섬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토르톨라섬, 모스키토섬 등에서도 발견되었다. 건조한 관목림을 선호하며, 다른 땅딸이도마뱀붙이류와 마찬가지로 생태와 행동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멸종 위기에 처한 여우원숭이 보존을 위해 모스키토섬에 도입하려는 계획으로 인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phaerodactylus parthenopion |
명명자 | Thomas, 1965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붙이아목 |
과 | 땅딸이도마뱀붙이과 |
속 | 땅딸이도마뱀붙이속 |
특징 | |
크기 | 18 mm |
무게 | 0.15 g |
분포 및 서식지 | |
![]() | |
보전 상태 | |
IUCN | EN (멸종 위기) |
IUCN 기준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75605613/115489476 |
2. 분류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는 1964년 생물학자 리처드 토머스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버진고다섬에서 발견하였다. 땅딸이도마뱀붙이속에 속하며, 작은 크기, 머리의 독특한 무늬, 작지만 용골솟은(keeled, 가운데에 각이 잡힌) 비늘, 등 부위의 서로 겹쳐진 비늘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는 양막류에서 제일 작은 종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체장(주둥이에서 총배설강까지의 길이)은 18mm이고, 최대 체중은 0.15g이다. 등과 다리는 짙은 갈색을 띠며, 더 짙은 색 비늘이 작은 무늬를 이룬다. 눈 사이와 눈 뒷쪽으로 독특한 줄무늬가 있는데, 눈 뒷쪽의 검은 테두리의 황갈색 줄무늬는 관자놀이 너머로 뻗어나가 머리 뒷부분에서 흐려진다. 후두부에는 타원형의, 테두리가 검은 황갈색의 줄무늬가 머리의 한 쪽에서 반대 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때로는 눈 사이의 줄무늬와 이어진다.
버진땅딸이는 원래 버진고다섬에서만 발견되었지만, 그 이후로 토르톨라섬, 모스키토섬에서 발견되어왔다. 토마스가 진행한 최초의 탐사에서는 토르톨라섬, 애너가다섬, 이 외의 작은 섬에서도,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세인트크로이섬, 세인트토머스섬, 세인트존섬에서도 발견하지 못했지만 서식범위는 때때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전체를 아우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녀석의 분포는 비전형적이라고 여겨지는데, 근처 푸에르토리코의 니콜땅딸이와 서로 다른 종으로 나누어졌지만, 푸에르토리코볏두꺼비는 버진아일랜드와 푸에르코리토 양 쪽에 서식하는데도 서로 다른 종으로 나누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는 다른 땅딸이도마뱀붙이류와 마찬가지로 생태와 행동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크기가 워낙 작아 부피 표면적 비율이 높기 때문에 수분 손실에 취약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 종이 어떻게 반건조 서식지에서 생존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행해져왔다. 버진 아일랜드는 사막에 거주하는 도마뱀들과는 달리 탈수를 막기 위한 특별한 적응능력이 없으며 적당히 습한 서식지에 거주하는 도마뱀과 비슷한 비율로 수분을 손실한다. 오로지 크기 차이로 인해 이 종은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큰비늘도마뱀붙에 비해 70% 빠르게 수분을 손실한다. 이 종은 건조한 환경 사이의 습한 미소서식지에 거주하며, 번식주기를 조절하여 알이 한 해에 강수량이 제일 많을 때 부화하도록 하고, 하루에 제일 건조할 때 활동량을 줄여서 생존한다.
버진땅딸이의 개체수 규모, 동향에 대해 파악하기에는 파악해낸 정보가 너무나도 적다. 크기와 주변환경에 녹아드는 능력 때문에 정보를 파악해내기 힘들지만, "평범하게 흔하다"고 보고되었다. 버진 아일랜드에 걸친 버진땅딸이의 분포는 제한된 것으로 보이며, 토지개발로 인해 더더욱 타격을 입을 것이다.
니콜땅딸이(Sphaerodactylus nicholsi)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지만, 외형과 비늘 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니콜땅딸이는 버진땅딸이보다 더 크고 튼실하며, 주둥이에서 총배설강까지의 체장이 20 - 22 mm 에 이른다. 비늘의 개수도 차이가 나는데, 니콜땅딸이는 겨드랑이에서 사타구니까지 19 - 24 개, 몸 가운데 주변에 34 - 42 개, 배쪽에 21 - 26 개의 비늘을 가지는 반면, 버진땅딸이는 각각 30 - 35 개, 50 - 55 개, 26 - 29 개를 가진다. 또한 니콜땅딸이는 코가운데비늘이 한 개 나는 반면, 버진땅딸이는 두 개가 나는 경우가 흔하다. 타운센드땅딸이도마뱀붙이(Sphaerodactylus townsendi)는 버진땅딸이와 니콜땅딸이가 분화된 이후에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3. 설명
성적 이색성은 없지만, 암컷이 수컷보다 다소 커서 암컷의 평균 SVL은 18mm, 수컷은 16mm 정도다. 주둥이는 평범하고 뭉툭하며, 꼬리는 끊어지면 다시 재생한다.
등의 비늘은 작고, 날카롭고, 용골솟고, 서로 겹쳐져 있다. 복부의 비늘은 둥글고 부드럽고 서로 겹쳐져있다. 등의 중간에는 작은 비늘이 빽빽하게 모여 있으며 요철 모양의 비늘은 없다.
근연종인 자라구아땅딸이, 니콜땅딸이, 큰비늘땅딸이와 비교하여 크기, 비늘 수, 무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니콜땅딸이는 버진땅딸이보다 더 크고 튼실하며, 비늘의 개수도 더 적다. 니콜땅딸이는 코가운데비늘이 한 개 나는 반면, 버진땅딸이는 두 개가 나는 경우가 흔하다. 큰비늘땅딸이는 버진땅딸이보다 훨씬 크며, 비늘은 더 크고 굵다.
4. 분포와 서식지
버진땅딸이는 돌로 뒤덮인 산비탈의, 대개 선인장과 가시돋친 덤불이 섞인 건조한 관목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녀석들은 해수면 높이의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연안대의 해조 더미나 썩어가는 야자수 잔해 더미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이는 서식 범위를 공유하는 좀 더 덩치가 크고 흔한 큰비늘난쟁이도마뱀붙이와 동일하다. 또한 큰비늘땅딸이와 달리 잎더미에서 "무리지어 모이지" 않으며, 다만 이따금 바위 밑에서 숨어있는 것이 발견될 뿐인데, 이러한 곳은 이 녀석들의 건조한 생태적 지위 안의 습하거나 중습성을 띄는 미소서식지로 여겨진다.
5. 생태와 행동
6. 보존
2011년 초, 리처드 브랜슨 경이 마다가스카르의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여우원숭이 보전운동을 위한 포획사육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모스키토섬에 도입시킬 계획을 발표했을 때 국제적인 관심을 받았다. 생물학자들, 보존주의자들, 일반 대중은 새로운 종이 섬에 도입되었을 때의 영향에 대해 재빠르게 우려를 표하였다. 특히 사람들은 여우원숭이가 "공격적이고, 잡식성이므로" “세계에서 제일 드문 도마뱀 중 하나”라 불리는 버진땅딸이를 섬에서 절멸시키지 않을까 두려워했다. 어떤 연구자들은 여우원숭이의 번식능력이나 여우원숭이와 함께 해로운 병원체가 도입될 가능성에 대해 지적했다. 브랜슨의 환경영향평가단의 대표는 여우원숭이를 도입하는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기 전부터 어떤 종을 도입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해왔다. 브랜슨은 여우원숭이는 주로 식물성 물질을 섭취하기 때문에 도마뱀붙이류를 먹을 일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브랜슨은 결국 한 발 물러서서, “게코, 특히 드워프 게코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수행할 전문가를 구할 때까지 여우원숭이를 풀어두지 않겠다. 만일 후속 연구를 통해 게코들에게 가해질 어떠한 위협이라도 드러난다면 우리는 여우원숭이를 계속해서 가둔 채로 둘 것이다.” 라고 말했다.
6. 1. 리처드 브랜슨의 여우원숭이 도입 논란
2011년 초, 리처드 브랜슨 경이 마다가스카르의 멸종 위기에 놓인 영장류인 여우원숭이를 보전 목적으로 모스키토 섬에 도입종으로 도입하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는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생물학자, 환경 보호론자 및 일반 대중은 여우원숭이가 섬의 토착종에 미칠 영향에 대해 즉시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사람들은 여우원숭이가 "공격적이고 잡식성" 행동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도마뱀 중 하나"라고 불리는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의 지역 개체군을 전멸시킬 것이라고 두려워했다. 다른 연구자들은 여우원숭이가 번성할 수 있는 능력 또는 그들이 도입할 수 있는 병원체에 대한 우려에 초점을 맞췄다. 브랜슨의 환경 영향 평가 책임자는 여우원숭이 도입 계획이 발표되기도 전에 도입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버진아일랜드땅딸이도마뱀붙이와 관련하여 브랜슨은 여우원숭이가 대부분 식물 재료를 먹고 도마뱀붙이를 거의 먹지 않기 때문에 우려는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브랜슨은 결국 "전문가들이 도마뱀붙이, 특히 땅딸이 도마뱀붙이에 대한 추가 조사를 실시할 때까지 여우원숭이를 가두어 둘 것이다. 이러한 연구에서 이 도마뱀붙이에게 실질적인 위험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여우원숭이를 가두어 둘 것이다."라고 말하며 물러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