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다위 아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다위 아랍어는 북서 아라비아 아랍어 방언으로, 시나이반도, 네게브 사막, 아라바 계곡 등에서 사용된다.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나뉘며, b-미완료형 사용, 분석적 소유격, 음운 변화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대 아랍어의 특징을 보존하면서도, /q/가 /g/로 변화하는 현상, 가하와 증후군, tanwīn 부재 등 혁신적인 특징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스타인의 언어 - 아랍어
    아랍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셈어어족의 언어로,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고 이슬람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요르단의 언어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요르단의 언어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이스라엘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이스라엘의 언어 - 현대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는 히브리어의 현대적인 형태로, 닿소리는 여러 음운으로 분류되고, 홀소리는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되며,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음운과 다양한 발음 변화를 보인다.
베다위 아랍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북서 아라비아 아랍어
다른 이름레반트 베다위 아랍어
이집트 동부 베다위 아랍어
사용 국가이집트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사용자 수약 3,008,100명 (2021–2023년)
언어 계통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파
중앙셈어파
아랍어군
문자 체계아랍 문자
ISO 639-3avl
Glottologeast2690
Glottolog 이름이집트 동부 베다위 아랍어

2. 분류

북서 아라비아 아랍어는 크게 시나이반도네게브 사막에서 사용되는 서부 방언과 아라바 계곡 동쪽에서 사용되는 동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1] 이 두 방언은 음운, 문법,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와디 럼의 잘라비아(Zalabiah)와 자와이디(Zawaidih)[3], 베둘라인 방언[6] 등은 동부 방언에 속하며, 서부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1. 서부 방언

시나이반도네게브 사막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b-미완료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1] 분석적 소유격이 나타난다.[1]

서부 및 동부 방언 간의 차이점:[1]
서부 방언동부 방언
b-미완료형일반적으로 사용일반 구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분석적 소유격šuġl, šuġlah, šuġlīn, šuġlāt 소유격 표지
제1형 미완료형 서법모음 조화일반화된 /a/
*aw 및 *ay의 반사부분적으로 단모음화; 단모음은 장음소 /ō/ ~ /ū/, /ē/ ~/ī/와 함께 변동잘 정립된 단모음 /ō/ 및 /ē/
가하와 증후군gaháwaghawa ~ gaháwa
I-w 미완료형yawṣal ~ yōṣalyāṣal
목적어 접미사네게브(Negev)에서 -ha/-hiy-ha
목적어 접미사음성학적으로 조건화된 C-ih/-ah, 남부 시나이에서 C-u(h)C-ah
주어 대명사iḥna, aḥnaḥinna, iḥna
중립 환경에서 -ā(ʾ)의 반사-iy-a


2. 2. 동부 방언

아라바 계곡 동쪽, 요르단 남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1] b-미완료형은 일반 구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제1형 미완료형 서법에서 일반화된 /a/가 나타난다. 와디 럼의 잘라비아(Zalabiah)와 자와이디(Zawaidih)[3], 베둘라인 방언[6]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서부 및 동부 방언 간의 차이점:[1]
서부 방언동부 방언
b-미완료형일반적으로 사용일반 구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제1형 미완료형 서법모음 조화일반화된 /a/
*aw 및 *ay의 반사부분적으로 단모음화; 단모음은 장음소 /ō/ ~ /ū/, /ē/ ~/ī/와 함께 변동잘 정립된 단모음 /ō/ 및 /ē/
가하와 증후군gaháwaghawa ~ gaháwa
I-w 미완료형yawṣal ~ yōṣalyāṣal
3FSG 목적어 접미사네게브(Negev)에서 -ha/-hiy-ha
3MSG 목적어 접미사음성학적으로 조건화된 C-ih/-ah, C-u(h) (시나이 남부)C-ah
1CPL 주어 대명사iḥna, aḥnaḥinna, iḥna
중립 환경에서 -ā(ʾ)의 반사-iy-a


3. 음운

베다위 아랍어의 음운 체계는 원시 아랍어의 특징을 상당 부분 유지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q ([g])의 유성 반사음[1]

# 가하와 증후군: (C)''a''XC(V) 시퀀스(X는 /h/, /ʿ/, /ḥ/, /ġ/, /ḫ/ 중 하나)에서 X 뒤에 /a/를 삽입한다. (예: ''gahwa(h)'' > ''gaháwa(h)'' "커피", ''baġl'' > ''baġal'' "노새")[1]

# 정관사 ''al''- 및 관계 대명사 ''alli''는 단어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강조될 수 있다. (예: ''álwalad'', ''áljabal'') 초기 /a/는 -''ī'' (-''iy'') 뒤에 보존될 정도로 안정적이며 삭제된다. (예: ''f-albēt'', ''rāʿ-álġanam'')[1]

# 전형적인 베두인 어휘 항목을 가진다. (예: ''gōṭar'' "가다", ''sōlaf'' "말하다, 이야기하다", ''ṭabb'' "도착하다", ''nišad'' ~ ''nišád'' "묻다")[1]

# ''tanwīn'' 및 잔류물이 없다.[1]

# 불완료, 2인칭 여성 단수, 2인칭 남성 복수 및 3인칭 남성 복수에서 최종 /n/이 없다.[1]

# 2인칭 남성 복수의 대명사 접미사는 -''ku'' (-''kuw'')이다.[1]

# 1인칭 단수의 대명사 접미사 스트레스 변형 -''ī'' 및 -''nī''가 있다.[1]

# 복수 comm. 양식 ''haḏalla'', ''haḏallāk'' 등이 있다.[1]

# 완료형의 형태 VII, VIII 및 X의 초기 /a/는 강조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강조된다.[1]

# 여러 불규칙 명사의 초기 /a/ (''amm'', ''aḫt'', ''aḫwan'', ''adēn'', ''afám'')가 있다.[1]

3. 1. 자음

베다위 아랍어는 다양한 유성음과 무성음, 강조 자음을 가지고 있다. /q/는 /g/로 소리 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방언에서는 /rˤ/ (강조 r)가 나타나기도 한다.[1]

colspan="2" rowspan="2" |순음치간음치경음/치조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성문음
plain강세plain강세plain강세
비음
파열음무성음()()
유성음
파찰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전동음()
접근음


  • 괄호 안의 음소는 주변적이거나 방언에 따라 나타난다.
  • 는 의 변이음으로 들릴 수 있다.
  • 는 주로 힌디 및 투와라 방언에서 들린다.

3. 2. 모음

베다위 아랍어는 장모음과 단모음이 모두 나타난다. 단모음 /a/, /i/, /u/는 특정 환경에서 변이음으로 실현된다.[4]

음소/음가변이음비고
느슨한 위치에서
rowspan="2" |느슨한 위치에서
강세 음 앞
rowspan="2" |느슨한 위치에서
강세음 앞이나 뒤
강세음 또는 후설 마찰음 뒤
연구개 자음 앞
rowspan="3" |연구개화 환경에서
인두 자음 뒤
타라빈 방언의 중립 위치에서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전설후설
폐쇄
중설
colspan="2" |


3. 2. 1. 이말라 (Imala)

베다위 아랍어에서 이말라(Imala)는 특정 조건에서 장모음 /aː/가 /eː/ 또는 /iː/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이말라는 단어 내부 이말라와 단어 종결 이말라로 나뉜다.

단어 내부 이말라는 *-ā-*가 인접한 음절에 역사적으로 /i/가 나타나는 패턴에서 /eː/로 변하는 현상이다. 인접한 자음 중 하나가 강조 자음이거나 후설 자음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패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5]

  • *CāCiC의 반사형: ''šēyib'' “노인”, ''ḥēmiy'' “뜨거운”, ''gēyil'' “말한”, ''bēkir'' “아침”, ''wēḥid'' “하나”, ''ṯēniy'' “둘째”
  • *CiCāC(ah)의 반사형: ''srēǧ'' “등유 램프”, ''ktēbih'' “글쓰기”
  • *miCCāC(ah)의 반사형: ''miftēḥ'' “열쇠”, ''miknēsih'' “빗자루”
  • 파열 복수 *CaCāCiC: ''gibēyil'' “부족”, ''šinētiy'' “가방”
  • 미완료형 *yuCāCiC: ''ysēwiy'' “같다”, ''yǧēwib'' “그가 대답한다”


요르단의 Bdul 방언에서도 이와 유사한 모음 상승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minǣsif'' “만사프(복수)”, ''hǣḏi'' “이것(여성)”, ''ḏ̣aygǣt'' “좁은(복수)”, ''iblǣdna'' “우리 땅”과 같다.[6]

단어 종결 이말라는 특정 명사 및 형용사 패턴에서 고대 아랍어 단어 종결 *-ā(ʾ)가 /iy/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강조는 이러한 변화를 막는다. 다음은 네게브 아랍어의 예시이다.

  • *CiCāʾ, *CuCāʾ의 반사: ''štiy'' "우기", ''ḥḏiy'' "신발", ''dʿiy'' "저주", ''ndiy'' "부름", ''zniy'' "간통", ''ġniy'' "노래", ''ʿšiy'' "저녁 기도", ''dliy'' "양동이(복수)", ''mliy'' "가득 찬(복수)", ''rwiy'' "물기가 많은(복수)", ''miy'' "물"
  • *CiCā, *CuCā의 반사: ''lḥiy'' "수염", ''griy'' "환대", ''hdiy'' "바른 인도", ''hniy'' "여기"
  • *CiCCā(ʾ), *CuCCā(ʾ)의 반사: ''yimniy'' "오른쪽", ''yisriy'' "왼쪽", ''sifliy'' "아랫맷돌", ''ʿilyiy'' "윗맷돌", ''miʿziy'' "염소", ''ḥimmiy'' "열", ''ḥinniy'' "헤나", ''juwwiy'' "안", ''ḥiffiy'' "맨발의(복수)", ''mūsiy'' "모세", ''ʿīsiy'' "예수"
  • 여성 형용사 *CaCCāʾ: ''sawdíy'' "검은", ''ṭaršíy'' "귀먹은", ''tarjíy'' "아래로 경사진(땅)", ''šahabíy'' "회색, 옅은 파란색", ''ḥawwíy'' "소금 후추, 흰 반점이 있는 검은색(동물)", ''zargíy'' "파란색", ''ʿawjíy'' "구부러진", ''šadfíy'' "왼손잡이, 왼쪽", ''ḥawlíy'' "사시", ''safʿíy'' "검은 귀(염소)"
  • 파괴 복수 *CaCCā:[5] ''nōmiy'' "잠든(복수)", ''mōtiy'' ~ ''máwtiy'' "죽은(복수)"


남부 시나이 방언에서 단어 종결 이말라는 일반적으로 /iʾ/를 생성한다. 몇 가지 예시는 ''íštiʾ'' "겨울", ''ǧiʾ'' "그가 왔다", ''ḏiʾ'' "이, 이것들", ''tižibhiʾ'' "당신은 그것을 얻는다", ''ifṭarniʾ'' "우리는 아침 식사를 했다"이다. 중부 시나이 및 네게브 방언과 마찬가지로, CaCCāʾ 패턴의 색상 및 결함의 여성 형용사의 이말라는 강세 /íy/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sōdíy'' "검은색; 나쁜"과 같다.

4. 특징

북서 아라비아 아랍어 방언은 원시 아랍어에서 여러 혁신을 보여준다.[1]


  • 정관사 ''al''- 및 관계 대명사 ''alli''는 단어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강조될 수 있다. (예: ''álwalad'', ''áljabal'') 초기 /a/는 -''ī'' (-''iy'') 뒤에 보존될 정도로 안정적이며 삭제된다. (예: ''f-albēt'', ''rāʿ-álġanam'')[1]
  • 전형적인 베두인 어휘 항목이 다수 존재한다. (예: ''gōṭar'' "가다", ''sōlaf'' "말하다, 이야기하다", ''ṭabb'' "도착하다", ''nišad'' ~ ''nišád'' "묻다")[1]
  • 2인칭 남성 복수의 대명사 접미사는 -''ku'' (-''kuw'')이다.[1]
  • 1인칭 단수의 대명사 접미사 스트레스 변형 -''ī'' 및 -''nī''가 나타난다.[1]
  • 복수 comm. 양식 ''haḏalla'', ''haḏallāk'' 등이 사용된다.[1]
  • 완료형의 형태 VII, VIII 및 X의 초기 /a/는 강조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강조된다.[1]
  • 여러 불규칙 명사의 초기 /a/ (''amm'', ''aḫt'', ''aḫwan'', ''adēn'', ''afám'')가 나타난다.[1]
  • 정관사 ''al''-과 관계 대명사 ''alli''에서 초성 /a/가 유지된다.[1]
  • /g/ (< */q/)와 /k/의 파찰음 변이가 나타나지 않는다.[1]
  • 장소 전치사 ''fi'' (''fiy'')가 사용된다.[1]
  • 2인칭 여성 단수 불변 대명사 접미사 -''ki''가 사용된다.[1]

4. 1. 고어적 특징

원시 아랍어에서 보존된 몇 가지 고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2인칭 및 3인칭 복수 대명사, 대명사 접미사, 유한 동사 형태에서 성별 구분이 유지된다.

# 제4형태(''a''C1C2''a''C3, ''yi''C1C2''i''C3)가 생산적으로 사용된다.

# 축소형이 빈번하고 생산적으로 사용된다. (예: ''glayyil'' "조금", ''ḫbayz'' "빵")[1]

4. 2. 혁신적 특징


  • q ([g])의 유성 반사음이 나타난다.[1]
  • ''가하와'' 증후군이 나타난다. 이는 X가 /h/, /ʿ/, /ḥ/, /ġ/, 또는 /ḫ/인 (C)''a''XC(V) 시퀀스에서 X 뒤에 /a/를 삽입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gahwa(h)'' > ''gaháwa(h)'' "커피", ''baġl'' > ''baġal'' "노새"와 같이 변한다.[1]
  • tanwīn 및 그 잔재가 나타나지 않는다.[1]
  • 불완료형에서 2인칭 여성 단수, 2인칭 남성 복수, 3인칭 남성 복수형을 만들 때, 어미의 /n/이 나타나지 않는다.[1]

참조

[1] 백과사전 Northwest Arabian Arabic
[2] 논문 Remarks of the Arabic dialect of the Hwetat tribe 2004
[3] 학위논문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Wadi Ramm Arabic https://salford-repo[...] 2015-04
[4] 학위논문 The Bedouin Dialects of the Northern Sinai Littoral.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rab World 1999
[5] 서적 A Grammar of Negev Arabic: Comparative Studies, Texts, and Glossary in the Bedouin Dialect of the ʻAzāzmih Tribe Harrassowitz Verlag 2012
[6] 논문 The Bduul Dialect of Jordan 1984
[7] 문서 Gordo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