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수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개수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대고 발음하는 자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기된다. 구개수 파열음, 마찰음, 비음, 전동음, 방출음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아랍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덴마크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영어에는 구개수음이 없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태평양의 토착 언어에서도 드물게 나타난다. 음운론적으로 구개수음은 연구개음과 대조되며, 몇몇 언어에서는 구개음화된 구개수음도 존재한다. 특히 프랑스어, 독일어 등에서는 구개수 전동음 [ʀ]이 사용되며, 무성 파열음 뒤에서는 마찰음 [ʁ] 또는 [χ]으로 변이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구개수음 | |
---|---|
조음 | |
조음 위치 | 구개수음 |
특징 | |
조음 방법 | 폐쇄음, 비음, 마찰음, 전동음, 탄음, 방출음 등이 있음 |
조음 시 혀의 위치 | 혀의 몸통을 목젖 근처 또는 목젖에 대고 조음 |
IPA 기호 | |
폐쇄음 | 무성: q 유성: ɢ |
비음 | ɴ |
마찰음 | 무성: χ 유성: ʁ |
전동음 | ʀ |
탄음 | ɢ̆ |
방출음 | qʼ |
예시 | |
아랍어 | /q/: hoɴ (خبز]) /ʁ/: qahwatʊn (قهوة) |
몽골어 | /ɢ/: mn (몽골) /ɢ/: mn (гэдэс) /ɢ/: mn (уул) mɔŋɢɔ̆ɮ |
체첸어 | χuˑt |
아르메니아어 | bɔ̃ʒuːʁ |
페르시아어 | ʀaːt |
이라크 쿠르드어 | ʛa |
2.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구개수음은 혀의 뒷부분(혀의 몸체)을 구개수(목젖)에 가까이 대거나 닿아서 내는 소리이다.
구개수음은 영어에는 없는 소리이며 (적어도 대부분의 주요 방언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태평양의 토착 언어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원 오세아니아어에 연구개 자음과 분리된 구개수음이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타이완의 현대 포르모사어에서 입증되었으며, 구개수 근사음은 아렌테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구개수음은 많은 중동 및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되며, 특히 아랍어와 소말리아어, 그리고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 두드러진다. 코카서스 산맥과 북서부 북아메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언어에 구개수 파열음과 마찰음이 있다. 두 개의 구개수 R 음소는 프랑스어, 일부 옥시탄어 방언, 대부분의 독일어 방언, 일부 네덜란드어 방언, 덴마크어를 포함한 북서부 유럽의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된다.
구개수음은 인도 아대륙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말토어[7]와 쿠순다어에서 원래 발견되었다.[8] 하지만 아대륙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는 아랍어와 심지어 페르시아어에서 구개수 자음을 차용했으며, 특히 무슬림 통치 시대의 인도 하에 오랫동안 있었던 지역, 예를 들어 펀자브어에서 사용되었다.[9]
무성 구개수 파열음은 IPA와 X-SAMPA 모두에서 로 표기된다. 무성 연구개 파열음 과 다소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혀의 중간 부분이 연구개에서 더 뒤쪽, 즉 목젖 근처에서 발음된다.
구개수 흡착음 는 우비흐어, 틀링깃어, 쿠스코 케추아어 등에서 발견된다. , 의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훨씬 더 드물다. 유성 연구개 파열음 과 같지만 와 같은 구개수 위치에서 발음된다. 이란 페르시아어와 일부 북동 코카서스어, 특히 타바사란어, 태평양 북서부의 크와키우틀어에서 발견된다. 카자흐어에서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유성 구개수 마찰음의 연구개 비음 뒤에 오는 이음이다.
무성 구개수 마찰음 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와 유사하지만, 목젖 근처에서 발음된다.
구개수 탄음은 쿠베어, 함타이어, 바탐방 주에서 사용되는 크메르어 방언에서 보고되었다.
바이족 언어의 엔치 방언은 파열음 /q/, /qʰ/ 및 /ɢ/, 마찰음 /χ/ 및 /ʁ/, 비음 /ɴ/으로 구성된 유난히 완전한 일련의 구개수 자음을 가지고 있다.[10] 구개수 비음의 존재는 유성 파열음의 존재보다 훨씬 더 이례적이다.
알래스카 팬핸들의 틀링깃어에는 10개의 구개수 자음이 있으며, 모두 무성 장애음이다.
터키의 멸망한 언어인 우비흐어는 20개를 가지고 있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 다루는 구개수음은 다음과 같다.
IPA | 이름 | 언어 | 철자 | IPA | 뜻 | |
---|---|---|---|---|---|---|
구개수 비음 | 바이어의 뤄번줘(洛本卓) 방언 | 我/nò | 나 | |||
무성 구개수 파열음 | 아랍어 | قصةٌ qiṣṣatun | 이야기 | |||
유성 구개수 파열음 | 이누크티투트어 | utirama | 내가 돌아오기 때문에 | |||
무성 구개수 마찰음 | 스페인어(카스티야) | enjuto | 피질(皮質)의 | |||
유성 구개수 마찰음 | 프랑스어 | rester | 머무르다 | |||
구개수 전동음 | 루마니아어(몰도바) | România | 루마니아 | |||
구개수 방출음 | 케추아어 | ''q '''allu | 토마토 소스 | |||
유성 구개수 내파음 | 맘어 | '' q '''a | 불 |
2. 1. 구개수 파열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무성 구개수 파열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아랍어에서 ق (q)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으며, 예를 들어 قصّةٌ|qiṣṣatun|킷사툰ar은 '이야기'라는 뜻을 갖는다.[2]유성 구개수 파열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이누이트어에서 uti'''r'''ama ()와 같이 사용되며, '내가 돌아오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가진다.[3]
2. 2. 구개수 마찰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유성 구개수 마찰음은 ⟨ʁ⟩로 표기되며, 프랑스어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소리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단어 'rester|레스떼프랑스어'는 [ʁɛste]로 발음되며, 여기서 'r'이 바로 유성 구개수 마찰음이다.스페인어(카스티야)에서는 ''라는 단어에서 무성 구개수 마찰음 χ가 나타나며, 발음은 [ẽ̞ɴˈχut̪o̞]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에서 구개수 마찰음이 발견된다.
2. 3. 구개수 비음
바이어의 뤄번줘(洛本卓) 방언에서 나타나는 구개수 비음은 我/'''n'''ò로 표기되며, [ɴɔ˦˨]로 발음되고, '나'를 뜻한다.[2]IPA | 설명 | 언어 | 정자법 | IPA | 의미 |
---|---|---|---|---|---|
무성 구개수 비음 | 라모어 | colspan="3" | | |||
ɴ | 유성 구개수 비음 | 바이어 (루오벤주오 방언) | 我/nò | [ɴɔ˦˨] | 나 |
2. 4. 구개수 전동음
루마니아어(몰도바)에서 '''R'''omânia는 România|로므니아ro로 소리나며, 루마니아를 뜻한다.[2]2. 5. 기타 구개수음
IPA | 설명 | 예시 | |||
---|---|---|---|---|---|
언어 | 정자법 | IPA | 의미 | ||
무성 구개수 비음 | 라모어 | colspan=3| | |||
유성 구개수 비음 | 바이 어 (루오벤주오 방언)[2] | 我/nò | [ɴɔ˦˨] | 나 | |
무성 구개수 파열음 | 아랍어 | {{lang|ar|قصّة|q|}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