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지하철 5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지하철 5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베이징 시내 교통 혼잡 완화와 대중교통 시스템 확충을 위해 건설되었다. 2007년 10월 7일 톈퉁위안 북역~쑹자좡역 구간이 정식 개통되었으며, 총 27.6km 길이에 23개 역을 운영한다. 남북 방향으로 운행하며, 톈퉁위안 북부에서 시작하여 10호선, 13호선, 14호선, 15호선, 2호선, 6호선, 7호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된다. 모든 지하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LCD 화면, 디지털 음성 안내, LCD 승객 정보 디스플레이 등 기술이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200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마드리드 경전철
마드리드 경전철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운영 중인 경전철 시스템으로, 현재 4개의 노선이 마드리드의 여러 지역을 연결하고 있으며, 향후 노선 연장 및 신규 노선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일부는 지연되거나 불확실하다. - 베이징 지하철 5호선 - 장쯔중루역
장쯔중루역은 베이징 지하철 5호선의 역으로, 장쯔중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고, 대합실에는 그의 흉상과 청동 부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개의 출구를 통해 주변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2007년 10월 7일에 개업하였다. - 베이징 지하철 5호선 - 쑹자좡역
쑹자좡역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펑타이구에 있는 베이징 지하철의 역으로, 5호선, 10호선, 이좡선이 지나가며, 10개의 승강장과 7개의 선로를 갖춘 베이징 지하철의 주요 환승역이다. - 베이징 지하철 노선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베이징 지하철 8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총 길이 49.5km에 3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고 여러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 베이징 지하철 노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 노선으로, 1971년 개통 이후 2021년 8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미래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베이징 지하철 5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색 | 자주색 |
다른 이름 | M5 (계획 명칭)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베이징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관할 구역 | 펑타이, 둥청, 차오양, 창핑 |
기점 | 톈퉁위안베이역 |
종점 | 쑹자좡역 |
역 수 | 23 |
일일 승객 수 | 847,500 (2014년 평균) 1,163,000 (2016년 최고) |
운영자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유한공사 |
차량 기지 | 톈퉁위안베이, 쑹자좡 차량기지 |
사용 차량 | 6량 B형 (DKZ13) |
노선 길이 | |
노선 설명 | 자주색으로 동쪽을 남북으로 달리는 노선 |
기술 정보 |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 V 제3궤조방식 |
이미지 | |
![]() | |
노선도 (영업 구간) | |
![]() | |
기타 |
2. 역사
5호선은 베이징의 시가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으로, 역 번호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5호선 건설 공사는 2002년 말에 시작되었으며,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2. 1. 건설 배경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맞추어 새롭게 정비된 노선 중 최초로 개통한 노선으로, 베이징의 시가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이다. 2007년 10월 7일에 개통되었다. 노선 상에는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이나 관련 시설 등이 있고, 베이징 시가지를 남북으로 달리는 지하철이 없었기 때문에 동서를 운행하는 1호선과 더불어 베이징 교통의 대동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1]2. 2. 건설 과정
2002년 12월 28일: 5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13]2004년 3월 28일: 융허궁 라마 사원 및 허핑리베이지에역 아래 터널 굴착이 시작되면서 베이징 시내 5호선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터널은 천단을 지나가게 되었다.
2004년 5월 20일: 융허궁 라마 사원과 장쯔중루역 사이의 터널이 관통되었다.
2005년 11월 11일: 후이신시지에 베이커우역에 철로가 부설되었다.
2006년 7월: 전체 지하철 선로가 완공되었다.
2006년 9월: 5호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시작되었다.
2007년 4월: 5호선이 승객 없이 시운전을 시작하였다.
2. 3. 개통 및 운영
- 2002년 12월 28일: 5호선 건설 시작.[13]
- 2004년 3월 28일: 베이징 시내 5호선 건설의 시작을 알리는 융허궁 라마 사원 및 허핑리베이지에역 아래 터널 굴착 시작. 터널은 천단을 지나게 됨.
- 2004년 5월 20일: 융허궁 라마 사원과 장쯔중루역 사이의 터널 관통.
- 2005년 11월 11일: 후이신시지에 베이커우역에 철로 부설.
- 2006년 7월: 전체 지하철 선로 완공.
- 2006년 9월: 5호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시작.
- 2007년 4월: 5호선 승객 없이 시운전 시작.
- 2007년 10월 7일: 5호선 오후 2시에 정식 개통. 톈퉁위안 북역~쑹자좡역 구간 개통.[5]

- 2007년 11월 23일: 인근 주민의 소음 민원에 따라 5호선 고가 구간에 방음 시설 설치.[14]
- 2014년 12월 29일: 평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간격을 2분 30초에서 2분 15초로 단축.
3. 노선 특징
5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맞춰 새로 정비된 노선 중 최초로 개통된 노선으로, 베이징 시가지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2007년 10월 7일 개통되었으며, 역 번호는 공개되지 않았다. 노선에는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과 관련 시설이 있으며, 베이징 시가지를 남북으로 잇는 대동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항목 | 내용 |
---|---|
총 길이 | 27.6 km |
역 수 | 23개 |
궤간 | 1435mm (표준궤)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주행 방향 | 우측 통행 |
역 번호 | 미공개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
지상 구간 | 다툰루둥역 - 톈퉁위안베이역 - 타이핑좡 차량기지 |
지하 구간 | 나머지 구간 |
5호선은 남북 방향으로 운행하며, 창핑구의 톈퉁위안 북부 교외에서 시작하여 차오양구, 둥청구, 펑타이구를 지난다. 13호선, 15호선, 10호선, 2호선, 6호선, 7호선, 14호선과 환승할 수 있다. 23개 역을 모두 운행하는 데 49분이 소요된다.
3. 1. 기술
5호선은 베이징 지하철 노선 중 지하역에 스크린도어와 고가역에 승객의 선로 추락을 방지하는 자동 안전 발판을 처음으로 설치한 노선이다.[1] 역에는 또한 다음 열차의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LCD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1] 5호선 열차는 디지털 음성 안내(zh|중국어중국어 및 en|영어영어)와 LCD 승객 정보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다.[1]
4. 역 목록
베이징 지하철 5호선은 역 번호를 매기지 않으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운행된다. 각 역의 정보는 하위 섹션에 표로 상세히 나와있다.
4. 1. 역 목록 (북쪽에서 남쪽 순서)
역명 | 중문명 | 영문명 | 시간 | 환승 노선 | 역간 거리 (km) | 누적 거리 (km) | 소재지 | |
---|---|---|---|---|---|---|---|---|
톈퉁위안베이역 | 天通苑北站 | Tiantongyuan North | 0:00 | 0.000 | 0.000 | 베이징시 | 창핑구 | |
톈퉁위안역 | 天通苑站 | Tiantongyuan | 0:02 | 13호선 | 0.939 | 0.939 | ||
톈퉁위안난역 | 天通苑南站 | Tiantongyuan South | 0:04 | 0.965 | 1.904 | |||
리수이차오역 | 立水桥站 | Lishuiqiao | 0:06 | 13호선 | 1.544 | 3.448 | 차오양구 | |
리수이차오난역 | 立水桥南站 | Lishuiqiao South | 0:09 | 1.305 | 4.753 | |||
베이위안루베이역 | 北苑路北站 | Beiyuanlu North | 0:11 | 1.286 | 6.039 | |||
다툰루둥역 | 大屯路东站 | Datunlu East | 0:15 | 15호선 | 3.000 | 9.039 | ||
후이신시제베이커우역 | 惠新西街北口站 | Huixinxijie Beikou | 0:17 | 1.838 | 10.877 | |||
후이신시제난커우역 | 惠新西街南口站 | Huixinxijie Nankou | 0:19 | 10호선 | 1.122 | 11.999 | ||
허핑시차오역 | 和平西桥站 | Hepingxiqiao | 0:21 | 1.025 | 13.024 | |||
허핑리베이제역 | 和平里北街站 | Hepingli Beijie | 0:23 | 1.059 | 14.083 | 둥청구 | ||
융허궁역 | 雍和宫站 | Yonghegong Lama Temple | 0:26 | 2호선 | 1.151 | 15.234 | ||
베이신차오역 | 北新桥站 | Beixinqiao | 0:28 | 0.866 | 16.100 | |||
장쯔중루역 | 张自忠路站 | Zhangzizhonglu | 0:30 | 0.791 | 16.891 | |||
둥쓰역 | 东四站 | Dongsi | 0:32 | 6호선 | 1.016 | 17.907 | ||
덩스커우역 | 灯市口站 | Dengshikou | 0:34 | 0.848 | 18.755 | |||
둥단역 | 东单站 | Dongdan | 0:36 | 1호선 | 0.945 | 19.700 | ||
충원먼역 | 崇文门站 | Chongwenmen | 0:38 | 2호선 | 0.821 | 20.521 | ||
츠치커우역 | 磁器口站 | Ciqikou | 0:40 | 7호선 | 0.876 | 21.397 | ||
톈탄둥먼역 | 天坛东门站 | Tiantandongmen | 0:42 | 1.183 | 22.580 | |||
푸황위역 | 蒲黄榆站 | Puhuangyu | 0:44 | 14호선 | 1.900 | 24.480 | 펑타이구 | |
류자야오역 | 刘家窑站 | Liujiayao | 0:46 | 0.905 | 25.385 | |||
쑹자좡역 | 宋家庄站 | Songjiazhuang | 0:48 | 10호선, 이좡 선 | 1.670 | 27.055 |
5. 운행 시간
첫 남행 열차는 톈퉁위안 북역에서 오전 4시 59분에 출발한다. 첫 북행 열차는 쑹자좡역에서 오전 5시 19분에 출발한다. 마지막 남행 열차는 톈퉁위안 북역에서 오후 10시 47분에 출발한다. 마지막 북행 열차는 쑹자좡역에서 오후 11시 10분에 출발한다.[8]
6. 차량
베이징 지하철 차량 설비
쑹자좡 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