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파스트 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파스트 협정은 1998년 4월 10일 벨파스트에서 합의된,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한 두 개의 문서를 의미한다. 이 협정은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 그리고 북아일랜드의 여러 정당 간의 다자간 합의와 영국-아일랜드 간의 국제 합의로 구성된다. 주요 내용은 북아일랜드의 지위,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간의 관계, 그리고 아일랜드 공화국과 영국 간의 관계를 규정하며, 북아일랜드의 자치 정부, 남북 협력 기구, 영국-아일랜드 관계를 위한 기구를 설립했다. 또한, 무장 해제, 수감자 석방, 평등과 인권 보장, 국민 투표를 통해 협정을 승인받았으며, 브렉시트 과정에서 북아일랜드 의정서와 관련된 문제로 이어졌다. 벨파스트 협정은 영국 헌법의 일부가 되었으며, 북아일랜드의 헌법적 지위와 관련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 - 가레스 오코너
    가레스 오코너는 2003년 실종 후 2005년 시신으로 발견되었으며, 리얼 IRA 가입 혐의로 기소되어 보석 상태에서 실종되었고, 무장 단체 연루 의혹과 IRA의 책임 공방이 있었다.
벨파스트 협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협정 종류다자간 협정
조약 종류양자간 국제 협정
서명일1998년 4월 10일
서명 장소벨파스트, 북아일랜드
발효일1999년 12월 2일
협정 당사자아일랜드 정부
영국 정부
북아일랜드 정당들
조약 당사자아일랜드 공화국
영국
조약 서명자토니 블레어
버티 아헌
모 모울럼
데이비드 앤드루스
조약 비준국아일랜드 정부
영국 정부
사용 언어영어
협정 명칭
한국어멀티 파티 협정
영국-아일랜드 협정
아일랜드어
얼스터 스코트어
영어 (일반 명칭)Belfast Agreement
영어 (정식 명칭)Good Friday Agreement
배경
핵심 내용북아일랜드의 미래 지위와 관련한 헌법적 문제 해결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 수립
아일랜드와 영국 간의 관계 재정립
평화와 협력을 위한 제도적 틀 마련
협정의 주요 내용
정치적 합의북아일랜드 의회 설립 및 권한 이양
북아일랜드 행정부 구성 (공동 통치 원칙)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간의 협력 강화
헌법적 문제북아일랜드의 미래 지위에 대한 주민 투표 가능성 명시
아일랜드 헌법 개정 (북아일랜드에 대한 영유권 주장 삭제)
영국 정부의 북아일랜드 정책 변화
인권 및 평등인권 및 평등 위원회 설립
모든 시민에 대한 공정한 대우 보장
치안 및 사법북아일랜드 경찰 개혁
폭력 및 테러 관련 문제 해결 노력
기타수감자 석방
무기 감축 및 폐기
양측 간의 신뢰 구축 노력
협정의 중요성
의미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중요한 이정표
장기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와 안정을 가져오는 데 기여
국제적인 분쟁 해결의 성공적인 사례
추가 정보
관련 정보북아일랜드 문제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
1998년 북아일랜드 총선

2. 역사적 배경

1922년 (영국-아일랜드 조약) 아일랜드 자유국이 수립되었을 때, 아일랜드 섬의 6개 북부 카운티는 영국에 남았습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영국 잔류를 지지하는 유니오니스트와 아일랜드 자유국(후에 아일랜드 공화국)과의 통일을 지지하는 내셔널리스트 사이에 긴장과 논쟁이 발생하여 때로는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이 갈등은 더욱 격렬해지고 폭력적이 되었습니다. 그 후 30년 이상 동안 3,5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북아일랜드 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4]

조지 J. 미첼, 팻 도허티, 버티 아헌 (왼쪽부터 오른쪽, 2018년)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한 진지한 정치적 노력은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1990년대까지 계속되었습니다. 휴전이 선포되었지만 나중에 깨지기도 했습니다.

이 합의는 수년간의 복잡한 회담, 제안, 타협 끝에 이루어졌습니다. 토니 블레어와 버티 아헌은 당시 각각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의 지도자였습니다. 회담은 미국 특사 조지 J. 미첼이 주재했습니다.[5]

3. 협정의 구조

이 협정은 1998년 4월 10일 벨파스트에서 성금요일에 합의된 두 개의 상호 관련된 문서로 구성된다.

# 북아일랜드의 대부분의 정당들이 참여한 다자간 합의 (다자간 합의)

# 영국 정부와 아일랜드 정부 간의 국제 협정 (영국-아일랜드 합의).

이 협정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분야와 관련된 복잡한 일련의 조항들을 제시했다.


  • 영국 내 북아일랜드의 지위와 정부 시스템 (1단계)
  •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간의 관계 (2단계)
  • 아일랜드 공화국과 영국 간의 관계 (3단계)[4][5]

4. 참여 정당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 그리고 북아일랜드의 8개 정당 또는 정치 단체가 벨파스트 협정에 참여했다. 참여 정당은 다음과 같다.[6][7]

구분정당명비고
연합주의 정당울스터 연합당20세기 초부터 울스터에서 연합주의를 주도
진보적 연합당울스터 의용군(UVF)과 연계
울스터 민주당울스터 방위 연합(UDA)의 정치 조직
민족주의 정당사회민주노동당
신 페인공화주의 정당이자 임시 아일랜드 공화군과 연계
기타연합당
북아일랜드 여성 연합
노동 연합



미국의 조지 J. 미첼 상원의원이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의해 회담 의장으로 파견되었다.[8]

5. 북아일랜드의 지위

이 협정은 다음 두 가지를 모두 인정했습니다.


  • 북아일랜드 주민 대다수는 영국에 남기를 원한다는 점
  • 북아일랜드 주민 상당수와 아일랜드 섬 주민 대다수는 통일 아일랜드를 이루기를 원한다는 점


이 두 견해 모두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아일랜드 정부는 구속력 있는 국제 합의에서 처음으로 북아일랜드가 영국 영토임을 받아들였습니다.[11] 아일랜드 헌법 또한 아일랜드 섬 양 지역의 주민 대다수가 통일 아일랜드에 동의하는 것을 조건으로 북아일랜드를 영국의 주권 영토로 암묵적으로 인정하도록 개정되었습니다.[9]

합의된 내용은 북아일랜드가 영국의 일부이며,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양측 주민의 다수가 그렇지 않기를 원할 때까지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일이 발생하면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는 그 선택을 이행할 "구속력 있는 의무"를 지닙니다.

북아일랜드의 영국 내 헌법적 지위 또는 통일 아일랜드의 일부와 관계없이 "북아일랜드 주민"의 "자신을 아일랜드인 또는 영국인, 또는 둘 다로 확인하고 받아들여질 권리"(및 영국 또는 아일랜드 시민권 또는 둘 다를 가질 권리)가 인정되었습니다. 합의에서 "북아일랜드 주민"이라는 단어는 "북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출생 당시 영국 시민, 아일랜드 시민 또는 기타 북아일랜드에 거주 기간 제한 없이 거주할 권리가 있는 부모 중 한 명 이상을 가진 모든 사람"을 의미합니다.[13]

두 정부는 또한 북아일랜드의 위치와 관계없이 다음과 같이 합의했습니다.

> 주권 정부의 권력은 그곳에 관할권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정체성과 전통을 가진 모든 사람을 위해 엄격한 공평성으로 행사되어야 하며, 모든 시민의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대한 완전한 존중과 평등, 모든 시민의 차별 없는 자유, 그리고 양쪽 공동체의 정체성, 정신, 열망에 대한 평등한 존중과 공정하고 평등한 대우의 원칙에 기반해야 합니다.

합의의 일환으로 영국 의회1920년 아일랜드 정부법을 폐지했고, 아일랜드 공화국 주민들은 북아일랜드에 대한 영토적 주장을 주장했던 아일랜드 헌법 제2조 및 제3조를 개정했습니다.

6. 새로운 제도

본 협정은 세 가지 "협의체"에 걸쳐 기구 설립 및 운영을 위한 틀을 제시한다.

6. 1. 1단계: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

벨파스트에 있는 스토몬트(Stormont)의 의회 의사당


벨파스트 협정 1단계는 북아일랜드의 민주적 제도를 다루며, 다음 두 가지 주요 제도를 설립했다.

  • 북아일랜드 의회(Northern Ireland Assembly)
  • 북아일랜드 행정부(Northern Ireland Executive)


북아일랜드 의회는 주요 결정에 대해 의무적인 공동체 간 투표(cross-community vote)를 하는 북아일랜드의 분권 입법부이다. 북아일랜드 행정부는 합의정치(consociationalism)에 기반한 권력 분점 행정부이며, 각료직은 드 옹트 방식(D'Hondt method)에 따라 정당 간에 배분된다.

6. 2. 2단계: 남북 협력

벨파스트 협정의 2단계는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간의 "남북" 문제와 제도를 다룬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북장관협의회
  • 북아일랜드/아일랜드 의회간 협회
  • 북아일랜드/아일랜드 협의 포럼


북아일랜드 아마(Armagh)의 어퍼 잉글리시 스트리트에 있는 북아일랜드/아일랜드 공동장관협의회 사무실

남북장관협의회는 북아일랜드 행정부와 아일랜드 정부의 장관들로 구성된다. 이 협의회는 상호 관심 분야 12개 분야에서 "협의, 협력 및 행동을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여기에는 북아일랜드 행정부와 아일랜드 정부가 공동 정책을 수립하지만 각 관할 구역에서 별도로 이행하는 6개 분야와, 공동의 아일랜드 전역 기관을 통해 이행되는 공동 정책을 개발하는 6개 분야가 포함된다.

협정에 명시된 다양한 "제도적 및 헌법적 조치"는 "서로 연관되어 상호 의존적"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협정의 일환으로, 새로 설립된 북아일랜드 의회와 아일랜드 의회는 양 기관에서 동일한 수의 사람들로 구성된 합동 의회 포럼을 만드는 것을 고려하기로 합의했다. 2012년 10월, 이 포럼은 북아일랜드/아일랜드 의회간 협회로 설립되었다.

협정을 승인한 북아일랜드 정당들은 또한 사회, 문화, 경제 및 기타 문제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회원들로 구성되고 두 행정부가 임명하는 시민 사회를 대표하는 독립적인 협의 포럼 설립을 고려하도록 요청받았다. 북아일랜드/아일랜드 협의 포럼의 개요 구조는 2002년에 합의되었고, 2006년에 북아일랜드 행정부는 설립을 지원할 것이라고 합의했다.

6. 3. 3단계: 영국-아일랜드 관계

벨파스트 협정의 3단계는 아일랜드와 영국(및 왕실령) 간의 동서 문제 및 기관 설립을 다룬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2]

  • 영국-아일랜드 정부간 회의
  • 영국-아일랜드 평의회
  • 확대된 영국-아일랜드 의회간 기구


영국-아일랜드 정부간 회의는 1985년 영국-아일랜드 협정에 따라 설립된 영국-아일랜드 정부간 위원회와 정부간 회의를 대체하기로 합의되었다. 이 회의는 양국 정부 간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영국 및 아일랜드 장관 간의 정기적이고 빈번한 회의 형태를 취한다. 북아일랜드에 위임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 아일랜드 정부는 의견과 제안을 제시할 수 있다. 회의의 모든 결정은 양국 정부 간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지며, 양국 정부는 상호 간의 의견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단호한 노력을 기울이기로 합의했다.

영국-아일랜드 평의회는 영국 및 아일랜드 정부, 영국의 분권 행정부(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뿐만 아니라 왕관령, 맨섬, 저지, 건지의 대표 장관들로 구성된다. 이 평의회의 목적은 협력을 증진하고 공동 정책 수립을 위한 포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협정에 따라 기존의 영국-아일랜드 의회간 기구를 확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 협정 이전에는 이 기구는 영국과 아일랜드 의회 의원들로만 구성되었다. 2001년, 이 협정에서 제안된 대로, 영국-아일랜드 평의회의 모든 회원국의 의원들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7. 무장 해제와 정상화

벨파스트 협정의 참가자들은 정치적 의견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로지 민주적이고 평화적인 수단만을 사용할 것을 약속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이 있었다.


  • 무장 해제: 준군사 조직이 보유한 무기를 해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 북아일랜드 안보 체제 정상화: 영국군 감축, 안보 시설 철거, 특별 비상 권한 철폐 등을 통해 북아일랜드의 안보 체제를 평화로운 사회에 맞게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협정에 참여한 주체는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이었다. 신 페인당과 PUP는 각각 아일라(IRA)UVF와 연계된 정당이었다. UDP는 UDA와 연계되었으나, 협정 체결 3개월 전에 회담에서 철수했다.

다당 합의에 따라 각 당은 협정이 국민투표에서 승인된 후 2년 이내에 모든 준군사 무기를 해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영국 정부는 북아일랜드 내 영국군의 수와 역할을 "정상적인 평화로운 사회와 호환되는 수준"으로 줄이고, 안보 시설 철거 및 북아일랜드의 특별 비상 권한 철폐를 약속했다. 아일랜드 정부는 자국의 국가 범죄법에 대한 광범위한 검토를 약속했다.

또한, 북아일랜드의 경찰 업무를 검토하기 위해 독립적인 위원회를 설립하고, 영국 정부는 북아일랜드의 형사 사법 제도에 대한 광범위한 검토를 약속했다.

당초 2000년 5월까지 모든 준군사 조직의 무장 해제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이는 지연되었다.[14] 아일라(IRA)는 2001년 10월, 2002년 4월, 2003년 10월에 걸쳐 무장 해제를 진행했고, 2005년 7월 공식적으로 작전 종료를 선언했다. 로열리스트들의 무장 해제는 즉각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9년 6월 UVF는 무장 해제를 완료했다고 발표했고, UDA는 무기고 해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15] 2010년 1월 6일, UDA는 무기를 "검증 가능하게 사용 불가능하게 만들었다"고 발표했다.[16] 무장 해제는 정부의 사면 마감일 5주 전에 완료되었으며, 이후 발견된 무기는 기소 증거로 사용될 수 있었다.[17]

8. 수감자 석방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는 준군사조직 활동과 관련된 징역형을 선고받은 약 400명의 수감자를 조기에 석방하기로 약속했는데, 이는 해당 조직들이 "완전하고 명확한 휴전"을 유지하는 경우에 한했다. 사건들은 형량 심사 위원회에서 개별적으로 검토되었다. 연속 아일랜드 공화군, 로열리스트 자원봉사단, 아일랜드 민족 해방군, 진짜 아일랜드 공화군 소속 수감자들은 해당 조직들이 명확한 휴전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석방 대상이 아니었다.[18][19] 기소되지 않은 범죄에 대한 사면은 없었다.

북아일랜드(형량)법 1998(c. 35)은 1998년 7월 28일 왕실의 재가를 받았다. 1998년 10월까지 167명의 수감자가 석방되었다. 1999년 12월까지 308명의 수감자가 석방되었다. 마지막 수감자 그룹은 2000년 7월 28일 석방되어 총 428명의 수감자가 석방되었다.[18]

9. 평등과 인권

이 합의는 "지역 사회 모든 사람의 상호 존중, 시민권, 종교적 자유"에 대한 약속을 확인했다. 다당 합의는 특히 아일랜드어, 얼스터 스코틀랜드 방언, 그리고 북아일랜드 다른 소수 민족의 언어를 포함하여 "아일랜드 섬의 문화적 풍요의 일부인" 언어 다양성과 관련하여 "존중, 이해 및 관용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영국 정부는 유럽 인권 협약을 북아일랜드 법에 통합하고 북아일랜드 인권 위원회를 설립할 것을 약속했다. 북아일랜드 공공 기관이 "균등한 기회 증진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업무를 수행하도록 법적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특별한 우선 순위로 설정되었다. 아일랜드 정부는 "관할권 내 인권 보호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과 아일랜드 인권 위원회 설립을 약속했다.

인권 관련 조항 중 상당수는 아직 완전히 이행되지 않았으며, 북아일랜드의 권리 장전도 포함된다. 북아일랜드 인권 위원회는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https://nihrc.org/publication/category/bill-of-rights 2008년 12월 10일] 북아일랜드 장관에게 자문을 제공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협정은 상반되는 정치적 열망과 복잡한 정체성을 인정했다.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the-belfast-agreement 1조 (vi)]는 일반적으로 출생권 조항으로 불리며, 양 정부가 "북아일랜드 모든 사람의 자신을 아일랜드인 또는 영국인 또는 양쪽 모두로 확인하고 그렇게 인정받을 출생권을 인정하며, 따라서 영국 및 아일랜드 이중 국적을 가질 권리가 양 정부에 의해 인정되며 북아일랜드의 지위에 대한 미래의 어떤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임을 확인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10. 국민투표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동시에 실시된 벨파스트협정 국민투표 당시의 찬성 캠페인 포스터 북아일랜드 및 아일랜드 공화국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는 1998년 5월 22일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각각 국민투표를 실시하기로 약속했다. 북아일랜드 국민투표는 다당 협상에서 합의된 협정을 승인하기 위한 것이었고, 아일랜드 공화국 국민투표는 영국-아일랜드 협정을 승인하고 협정에 따라 아일랜드 헌법을 개정하기 위한 것이었다.[20]

아일랜드 양 지역에서 실시된 국민투표 결과, 압도적인 다수가 협정에 찬성했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유권자의 56%가 투표에 참여했으며,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표가 94%에 달했다. 북아일랜드의 투표율은 81%였으며, 협정에 찬성하는 표는 71%였다. 투표한 사람들 중 거의 모든 가톨릭 신자들이 협정에 찬성한 반면, 개신교 신자 중에서는 57%만이 찬성했다. 협정 일부에 대한 공동체 간 열의의 불안정성은 이후 권력 분점 행정부 유지를 어렵게 만든 요인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20]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아일랜드 헌법 제19차 개정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이 개정은 국가가 벨파스트 협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2조와 3조에 포함된 "영토 청구"를 삭제하는 것을 규정했다. 같은 날 암스테르담 조약(아일랜드 헌법 제18차 개정)에 대한 국민투표도 실시되었다.[20]

투표찬성표찬성률 (%)반대표반대율 (%)유효표유효표율 (%)무효표무효표율 (%)총 투표수투표율 (%)유권자 수
1998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협정 국민투표676,96671.1274,97928.9951,94599.821,7380.18953,68381.1
아일랜드 헌법 제19차 개정 국민투표1,442,58394.3985,7485.611,528,33198.9017,0641.101,545,39556.26


11. 협정 이행

웨스트민스터의 직접 통치는 1999년 12월 2일 영국-아일랜드 협정의 시행 명령이 발효되면서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이에 따라 북아일랜드 의회, 북남 장관 협의회, 영국-아일랜드 협의회에 권한이 이양되었다.[21][22][23] 영국 정부는 더블린의 아일랜드 외무부인 아이비하우스에서 열린 TV 중계식에서 아일랜드 외무장관 데이비드 앤드루스와 통보를 교환했다. 타오이세흐인 버티 아헌은 아일랜드 헌법 제2조 및 제3조를 개정하는 선언문에 서명하고, 다일에 영국-아일랜드 협정이 발효되었음을 발표했다.[9][25]

1998년 부활절 봉기 1916년 기념식에서 아헌은 영국 정부가 북아일랜드와 남아일랜드 국민의 동의 없이 아일랜드 통일을 저해할 법적 권리가 없음을 강조했다.[26]

의회와 행정부는 1999년 12월에 설립되었지만, 임시 IRA의 무장 해제가 시작되면서 2000년 5월 재설립되기 전까지 2개월 만에 중단되었다. 무장 해제 문제 외에도 임시 아일랜드 공화군과 충성파 준군사 조직들의 지속적인 활동은 협정 이행에 걸림돌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연합주의자들 사이에서 협정에 대한 신뢰가 손상되었다. 2003년 의회 선거에서 반협정 당인 DUP가 협정 찬성 UUP를 제쳤다. 2002년에는 스토몬트게이트 스캔들로 UUP가 권력 분점 행정부에서 사임하기도 했다.

2004년, 제도 재건을 위한 협상이 있었지만 실패했고, 이후 "포괄적 협정"으로 알려진 문서가 발표되었다. 2005년 9월, 임시 아일랜드 공화군은 무기고를 완전히 해체했다고 발표했지만, 많은 연합주의자들은 여전히 회의적이었다.[27] 2006년 10월에는 세인트 앤드루스 협정이 체결되었다.

2007년 5월, DUP의 이언 페이즐리를 수상으로, 신 페인 당의 마틴 맥기니스를 부수상으로 하는 권력 분점 행정부가 재구성되었다. 2016년, 2017년, 2020년에는 행정부 구성 및 운영 관련 위기가 발생했지만, 협상을 통해 해결되었다.

12. 써닝데일 협정과의 비교

시머스 맬런은 이 협정을 "느림보를 위한 써닝데일"이라고 비판했는데, 이는 1973년 써닝데일 협정에서 제시된 것 이상의 것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28] 그러나 정치학자 리처드 윌포드는 "내용과 협상, 이행, 운영을 둘러싼 상황 측면에서 써닝데일과 벨파스트 [협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고 반박했다.[29]

써닝데일 협정에는 없지만 벨파스트 협정에서 다룬 주요 쟁점은 자결권, 두 국가 정체성의 인정, 영국-아일랜드 정부 간 협력, 공동체 간 투표 및 장관 임명을 위한 도홍트 제도와 같은 권력 분배 의무화 등이었다.[30][31] 전직 IRA 대원이자 언론인인 토미 맥키어니는 주요 차이점으로 영국 정부가 IRA와 가장 타협하지 않는 유니오니스트들을 포함하여 포괄적인 합의를 중재하려는 의도를 꼽았다.[32]

법률가 오스틴 모건은 자결권과 관련하여 두 가지 조건을 지적했다. 첫째,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영토를 양도하는 것은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 간의 국제 협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북아일랜드 주민들은 더 이상 스스로 통일 아일랜드를 가져올 수 없고, 아일랜드 정부뿐만 아니라 이웃 국가 아일랜드 주민들도 통일을 지지해야 한다. 모건은 또한 써닝데일 협정 하에 고안된 1949년 아일랜드 법과 1973년 북아일랜드 헌법과 달리, 1998년 협정과 그에 따른 영국 법률은 통일 아일랜드의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예상했다고 지적했다.[33]

슈테판 볼프는 두 협정에서 다룬 문제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35]

써닝데일 협정벨파스트 협정
동의 원칙
자결권
치안 시스템 개혁
수감자
권리장전
폭력 포기
안보 협력
국경 간 협력
두 정체성 인정
정부 간 협력
아일랜드 공화국의 제도적 역할
권력 분배()
아일랜드 간 협력
권한 이양



볼프는 권력 분배 문제가 써닝데일 협정에서 암묵적으로 다루어졌다고 확인한다.

13. 헌법적 중요성

벨파스트 협정은 북아일랜드의 여러 법률 사항에 대해 영국 정부를 구속하기 때문에 사실상 영국 헌법의 일부가 되었다. 법률 평론가 데이비드 앨런 그린(David Allen Green)은 이를 두고 "영국과 아일랜드의 핵심 헌법 문서이며, 1215년의 대헌장(Magna Carta)이나 권리장전(1689 Bill of Rights)과 같은 존중받는 문서보다 더 일상적인 중요성을 지닌다"고 설명했다.[36]

벨파스트 협정은 정부가 유럽 인권 협약을 법으로 명문화하고 북아일랜드 주민들에게 유럽인권재판소(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접근을 허용할 것을 약속하기 때문에 인권법 1998(Human Rights Act 1998)의 제정을 필요로 했다. 결과적으로 이 협정은 해당 법률의 폐지와 데이비드 캐머런(David Cameron) 총리가 약속했던 영국 권리장전(British Bill of Rights)으로의 대체를 막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36]

이 협정은 또한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을 "유럽 연합의 파트너"로 언급하고 있으며, ''R (밀러) 대 유럽연합 탈퇴 담당 장관(R (Miller) v Secretary of State for Exiting the European Union)'' 사건에서 이 협정은 북아일랜드 유권자의 동의가 유럽 연합 탈퇴(브렉시트(Brexit))에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영국 대법원(UK Supreme Court)은 만장일치로 이러한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판결했지만,[37] 벨파스트 협정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렉시트의 형태를 강하게 형성했다.

14. 브렉시트(Brexit)와의 관계

반(反)북아일랜드 의정서 포스터. 2021년 3월 라른(Larne) 메인 스트리트


영국이 2019년 유럽 연합에서 탈퇴하는 계획에 대한 협상 과정에서, EU는 벨파스트 협정과 관련된 우려를 담은 입장 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는 경계선 강화 방지, 남북 협력, 시민권, 그리고 공통 여행 지역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제기했다.[38][39] 북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아일랜드 시민권을 가진 사람은 브렉시트 이후에도 EU 시민권을 유지할 수 있다.[40] 브렉시트에 대한 유럽 연합 협상 지침에 따라, 영국은 브렉시트 협상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해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었음을 다른 EU 회원국에 입증해야 했다.

남북 협력을 보호하고 아일랜드 국경에 대한 통제를 피하기 위해, 테레사 메이(Theresa May) 총리의 주도로 영국은 협정의 모든 부분을 보호하고 "합의된 해결책이 없는 경우, 영국은 남북 협력, 아일랜드 전역 경제, 그리고 1998년 협정 보호를 현재 또는 미래에 지원하는 내부 시장 및 관세 동맹의 규칙들과 완전히 일치하는 수준을 유지한다"는 데 동의했다. 단, "모든 것이 합의될 때까지 아무것도 합의되지 않는다"는 단서가 붙었다.[36][41][42][43] 이 조항은 영국 의회에서 세 차례 거부된 영국-EU 합의의 일부였다.[44] 메이의 후임인 보리스 존슨(Boris Johnson)은 제안된 철회 협정에서 "아일랜드 백스톱"을 제거할 것을 요구했다.[45] 새로운 북아일랜드 의정서는 존슨이 2019년 10월 17일에 중재한 협정의 일환으로 아일랜드 백스톱을 대체했다.[46][47]

2020년 9월, 미래 무역 협정에 대한 EU와의 협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내부 시장 법안이 발표되었다. 이 법안에서 브랜든 루이스(Brandon Lewis) 북아일랜드 장관은 하원에 영국 정부가 철회 협정에 명시된 EU와의 특정 조약 의무를 우회하는 불구속 조항을 통해 새로운 권한을 도입함으로써 "특정하고 제한적인 방식"으로 국제법을 위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48] 이 법안은 영국과 국제적으로 비판을 받았으며, 스코틀랜드와 웨일즈의 수석장관은 모두 보수당 정부의 제안을 권력 장악과 분권 폐지 시도로 묘사했다.[49][50] 북아일랜드의 대부분 정당은 이 법안에 우려를 표명했지만, 민주연합당 내 일부는 이를 환영했다.[51] 미셸 마틴(Micheál Martin) 아일랜드 총리는 "신뢰가 훼손되었다"고 말했다.[52] 이 법안은 논란이 되는 북아일랜드 조항 없이 2020년 12월에 제정되었다.

민주연합당(DUP)과 기타 브렉시트 지지자들은 영국 정부가 아일랜드 섬과 영국 사이, 즉 "아일랜드 해를 가로질러" 무역 국경을 세운 것을 비난했다. 그들은 아일랜드 섬에 '경계선 강화'를 막기 위해 대신 영국에서 북아일랜드로 이동하는 상품에 관세 및 기타 통제가 부과되었고, 북아일랜드는 여러 목적으로 EU 단일 시장과 관세 동맹에 남아 있으며,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규제 체제의 적용을 받는다고 주장한다.[53]

2021년 3월, 충성파 준군사 조직을 대표하는 충성파 공동체 위원회는 협정에 대한 지지를 일시적으로 철회한다고 밝혔지만, 의정서에 대한 유니오니스트(unionist)의 반대는 "평화적이고 민주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54]

참조

[1] 웹사이트 North-South Ministerial Council: Annual Report (2001) in Ulster Scots https://www.northsou[...] 2020-09-22
[2] 웹사이트 Ethnic Conflict and the Two-State Solution: The Irish Experience of Partition https://web.archive.[...] 2009-02-15
[3] 웹사이트 The Good Friday Agreement https://www.bbc.co.u[...] 2017-06-10
[4]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21-01-17
[5] 뉴스 20 years on: What was agreed in the Good Friday Agreement? https://www.independ[...] 2018-03-28
[6] 뉴스 Sinn Fein Endorses Peace Pact https://www.washingt[...] 1998-05-10
[7] 웹사이트 Sinn Féin's delegates endorse North Ireland peace agreement https://web.archive.[...] 1998-05-11
[8] 웹사이트 Good Friday Agreement: The peace deal that ended the Northern Ireland Troubles 20 years ago https://www.independ[...] 2019-01-21
[9] 웹사이트 The Belfast Agreement - a practical legal analysis http://www.cain.ulst[...]
[10] 서적 The politics of Northern Ireland: beyond the Belfast Agreement Routledge
[11] 서적 The Hand of History? Legal Essays on the Belfast Agreement The Belfast Press Limited
[12] 서적 Making Constitutions in Deeply Divided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Annex 2 of the British-Irish Agreement (Good Friday Agreement)
[14] 서적 Terrorism Issues and Developments Nova Publishers
[15] 뉴스 Loyalist weapons put 'beyond use' http://news.bbc.co.u[...] 2009-06-27
[16] 뉴스 UDA confirm guns decommissioned http://news.bbc.co.u[...] 2010-01-08
[17] 뉴스 UDA confirm guns decommissioned http://news.bbc.co.u[...] 2010-01-08
[18] 웹사이트 Prisoner Release: Northern Ireland Good Friday Agreement {{!}} Peace Accords Matrix https://peaceaccords[...]
[19] 웹사이트 The Good Friday Agreement Prisoners https://www.bbc.co.u[...] BBC Northern Ireland 2015-02-20
[20] 논문 Who voted for peace? Public support for the 1998 Northern Ireland agreement 2007-10-19
[21] 웹사이트 BRITISH-IRISH AGREEMENT ACT, 1999 (COMMENCEMENT) ORDER, 1999, S.I. No. 377 of 1999 http://www.irishstat[...] Irishstatutebook.ie
[22] 웹사이트 BRITISH-IRISH AGREEMENT (AMENDMENT) ACT, 1999 (COMMENCEMENT) ORDER, 1999 http://www.irishstat[...] Irishstatutebook.ie
[23] 웹사이트 The Northern Ireland Act 1998 (Appointed Day) Order 1999 http://www.opsi.gov.[...] Opsi.gov.uk
[24] 웹사이트 The Agreement https://www.dfa.ie/m[...]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25] 웹사이트 Constitutional issues https://www.bbc.co.u[...] BBC
[26] 웹사이트 Britain has been 'ruled out of the equation' on North, says Ahern https://www.irishtim[...] Irish Times
[27] 뉴스 Paramilitary arms destroyed http://news.bbc.co.u[...] 1998-12-18
[28] 웹사이트 Along The road to Irish unity? http://homepage.eirc[...]
[29] 웹사이트 Context and Content: Sunningdale and Belfast Compared http://www.stefanwol[...]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31] 서적 Northern Ireland: can Sean and John live in peace? Brandylane
[32] 서적 The Provisional IRA: From Insurrection to Parliament Pluto Press
[33] 서적 The Northern Ireland Question: the peace process and the Belfast Agreement Bassingstoke
[34] 기타
[35] 서적 Peace at Last?: The Impact of the Good Friday Agreement on Northern Ireland Berghahn Books
[36] 뉴스 How Ireland is shaping Britain's post-Brexit trade https://www.ft.com/c[...] 2017-12-15
[37] 법률 2017-01-24
[38]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publishes guiding principles on Ireland and Northern Ireland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7-09-07
[39] 웹사이트 Guiding Principles for the dialogue on Ireland/Northern Ireland https://ec.europa.eu[...] 2017-09-07
[40] 뉴스 Northern Irish will be able to remain EU citizens under Brexit deal https://www.independ[...] 2017-12-08
[41] 웹사이트 The Brexit options, explained https://www.brooking[...] The Brookings Institution 2018-01-05
[42] 웹사이트 Joint report from the negotiator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Kingdom Government on progress during phase 1 of negotiations under Article 50 TEU on the United Kingdom's orderly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https://ec.europa.eu[...] The European Commission 2017-12-08
[43] 웹사이트 Joint report from the negotiator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Kingdom Government on progress during phase 1 of negotiations under Article 50 TEU on the United Kingdom's orderly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TF50 (2017) 19 – Commission to EU 27) https://web.archive.[...] EC Task Force 50 2017-12-08
[44]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rejects Brexit divorce deal for third time https://www.politico[...] 2019-03-29
[45] 뉴스 Brexit: Boris Johnson says 'anti-democratic' backstop must be scrapped https://www.bbc.com/[...] 2019-08-20
[46] 뉴스 Brexit breakthrough enabled by an almost complete British retreat https://www.irishtim[...] 2019-10-19
[47] 뉴스 Brexit: What is in Boris Johnson's new deal with the EU? https://www.bbc.com/[...] 2019-10-21
[48] 웹사이트 Government admits new Brexit bill 'will break international law' https://www.theguard[...] 2020-09-08
[49] 웹사이트 Why is the PM's Brexit Bill causing outrage in Brussels, Cardiff and Edinburgh? https://uk.news.yaho[...]
[50] 뉴스 British government drops Northern Ireland food blockade fears amid Brexit deal optimism https://www.irishnew[...] 2020-09-25
[51] 뉴스 A step forward or using Northern Ireland as a pawn: Parties divided over Boris Johnson's proposals to break EU deal https://www.belfastt[...]
[52] 저널 'Trust has been eroded' over UK's Brexit plan - Martin https://www.rte.ie/n[...] Raidió Teilifís Éireann 2020-09-10
[53] 뉴스 The Tories have betrayed Northern Ireland with their Brexit deal https://www.telegrap[...] 2021-01-13
[54] 뉴스 Loyalist groups withdraw support for Good Friday Agreement https://www.rte.ie/n[...] 2021-03-04
[55] 서적 Context and Content: Sunningdale and Belfast Compared http://www.stefanwol[...]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