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벽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벽사회는 12세기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으로, 원래는 렌게오인에 소장된 두루마리 그림이었다. 고시라카와 법황의 보물창고에 있던 "육도 그림"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섯 폭으로 나뉘었다. 천형성, 전단건달바, 신충, 종규, 비사문천 등 다섯 신이 역귀를 물리치는 장면을 묘사하며, 당시 일본인들의 세계관과 악귀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1985년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나라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작품 - 청자음각 앵무문 정병
    청자음각 앵무문 정병은 12세기경 제작된 높이 39cm의 고려청자 정병으로, 앵무문 음각과 담청녹색 유약, 참외형 몸체를 특징으로 하며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일본의 회화 작품 - 조주진부쓰기가
    조주진부쓰기는 동물, 인물, 풍경을 묘사한 그림 두루마리로, 도바 소조가 창작자로 유력하지만 익명 화가 제작 가능성도 있으며, 갑권, 을권, 병권, 정권으로 구성되어 동물 유희, 사람들의 유희, 궁중 행사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회화 기법 연구, 만화 기원 논쟁, 현대 대중문화 활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는 그림이다.
  • 일본의 회화 작품 - 햐쿠모노가타리 (호쿠사이)
    햐쿠모노가타리 (호쿠사이)는 가쓰시카 호쿠사이가 에도 시대의 괴담집 놀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요괴 그림 연작으로, 다섯 작품을 통해 당시 사회의 공포와 인간 심리, 초자연적 존재를 묘사했으며, 후대 우키요에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나 완성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불화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 불화 - 서울 수국사 아미타불도
    서울 수국사 아미타불도는 1889년 고종 재위 기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화로,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배치한 삼존 형식에 다양한 등장인물이 묘사되었고, 화려한 색감과 문양, 필선으로 19세기 말 불교 회화의 예술적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서울 유형문화재 제350호로 지정되어 수국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벽사회
작품 정보
다른 언어 1other_language_1: ja
다른 제목 1other_title_1: 辟邪絵
작가미상
제작 연도12세기
종류걸개 그림
재료종이
크기높이 25.8~26.0 cm, 너비 39.2~77.2 cm
소장처나라 국립 박물관
소장 위치나라, 나라

2. 역사적 배경

벽사회는 원래 '마쓰다가본(益田家本) 지옥초지 을권'이라는 이름으로 렌게오인(지금의 산주산겐도)에 소장된 하나의 두루마리 그림이었다. 제작 시기는 12세기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로 추정된다. 고시라카와 법황의 렌게오인 보물창고에 보관되어 있던 "육도 그림"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헤이안 시대 궁중에서 열린 연말 의례인 불명회에 사용된 "지옥변" 병풍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섯 폭으로 나뉘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2. 1. 제작 배경

벽사회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12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풍으로 보아 그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확한 제작 배경은 불분명하지만, 고시라카와 법황의 렌게오인(蓮華王院) 보물창고에 보관되었던 "육도 그림"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지옥초지", "아귀초지", "병초지" 등과 한 세트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나라 지역과의 관련성이 높고, 헤이안 시대 궁중에서 열린 불명회에 사용된 "지옥변 병풍"과의 관계도 지적된다. 이는 벽사화가 당시 지배층의 종교적 신념과 예술적 취향을 반영하는 작품임을 시사한다.

이 그림 두루마리는 과거 실업가이자 다인이었던 마스다 타카시가 소장했던 것으로, "지옥초지 마스다가 을본"이라고 불렸다. 마스다 타카시 가문에 소장되어 있던 "사문 지옥초지"를 "지옥초지 갑본"이라고 부르는 것에 상대하여 "지옥초지 을본"이라고 칭해졌지만, 이 그림 두루마리에서 고통받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역병이나 해악을 가져오는 역귀이다. 즉, 이 작품은 지옥의 정경을 그린 것이 아니라 악귀를 퇴치하는 선신을 그린 것이기에 국보 지정 명칭은 "'''벽사 그림'''"이 되었다.

천형성, 전단건달바, 신충, 종규, 비사문천왕 그림이 각각의 벽사신 역할이 적힌 사서와 함께 그려져 있다. 과거에는 그림 두루마리였으나, 전후에 절단되어 현재는 5폭의 족자 형태이다. 이 그림과 도쿄 국립 박물관 소장본 『지옥초지』, 후쿠오카 시립 미술관 소장본 『견당의 귀 그림』의 사서는 동일 필치라는 설이 있다.

3. 구성

3. 1. 천형성 (天刑星)

Tenkeisei


천형성(天刑星, 덴케이세이)은 문자 그대로 하늘의 형벌을 내리는 별로서, 본래 음양술에서 부리는 귀신이었으나, 일본 밀교에서는 가지기도(加持祈祷)를 들어주는 신으로 신봉되었다. 《벽사회》에서는 교토 기온샤의 신이 되는 역신 우두천왕을 잡아먹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세로 길이는 26cm, 가로 길이는 39.2cm이며 등록번호는 1106-1번이다.

3. 2. 전단건달바 (栴檀乾闥婆)

전단건달바(栴檀乾闥婆, 센단겐다쓰바)는 본래 인도의 음악 수호신으로서 팔부신 중 하나이며,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나오는 관세음보살의 33가지 화신 중 하나이다. 15종 악신의 해악으로부터 동자를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졌다. 밀교의 《동자경만다라》(童子経曼荼羅, 도지만다라)에도 이와 비슷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Sendan Kendatsuba (Candana Gandharva)


이 그림은 세로 25.8cm에 가로 77.2cm이며 등록번호는 1106-2번이다.

3. 3. 신충 (神虫)

신충(神虫)은 누에벌레의 모습으로 그려지며, 일찍부터 신격화되어 그 영험함이 널리 알려졌다. 나방의 모습에 호랑이이 합쳐진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길이는 세로 25.8cm에 가로 70cm이며 등록번호는 1106-3번이다.

신충(神虫).

3. 4. 종규 (鍾馗)

Shōki


종규(鍾馗, 쇼키)는 불교 설화에서 당 현종의 꿈속에 나타나 벽귀로부터 현종을 지켰다고 전해지는 신이다. 《벽사회》에서는 덥수룩한 수염과 큰 눈의 외모, 검은 옷과 관모에 긴 장화를 신은 행색으로 그려졌으며, 작은 귀신을 즈려밟고 법화경 수행자를 수호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길이는 세로 25.8cm, 가로 45.2cm에 등록번호는 1106-4번이다.

3. 5. 비사문천 (毘沙門天)

비사문천(毘沙門天)은 다문천왕을 달리 부르는 이름으로 사왕천 중 한 천왕이다. 《벽사회》에서는 활을 겨누며〈묘법연화경〉의 수행자들을 악귀로부터 수호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비사문천이 지니고 있는 장비는 이나 대의 서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 길이는 세로 25.8cm, 가로 76.5cm이며 등록번호는 1106-5번이다.

비사문천(毘沙門天)

4. 예술적 특징

4. 1. 필체

5. 현대적 의의

《벽사회》는 1985년 6월 6일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등록번호는 1106호이다. 현재 나라현 나라시나라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12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시라카와 천황 재위 시기로 추정되나 가마쿠라 시대에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원래는 렌게오인에 소장되었던 "마쓰다가본 지옥초지 을권"이라는 하나의 두루마리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섯 본으로 나뉘었다.

이 그림은 일본 문화, 중국 문화, 인도 문화를 포함한 여러 문화에서 기원한 다섯 명의 선신이 역귀를 물리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예술 작품을 넘어, 당시 일본인들의 세계관과 종교관, 그리고 그들의 삶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았던 악귀와 벽사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벽사화는 나라 시대의 시대 분위기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헤이안 궁중의 불명회(仏名会, 연말 의례)에 사용되었던 '지옥변' 병풍과도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