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로바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로바우는 1930년대 홍콩에서 시작된 과자빵으로, 윗부분이 파인애플과 비슷하여 '파인애플 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쿠키 반죽으로 만든 윗부분과 부드러운 빵 반죽으로 만든 밑부분으로 구성되며, 버터를 넣은 '보로야우'가 특히 인기 있다. 홍콩의 무형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속재료를 넣어 변형된 형태로 판매된다. 일부 보로바우는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다는 지적이 있으며, 기원과 관련한 논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빵 - 꽃빵
    꽃빵은 밀가루, 이스트, 설탕 등을 반죽하여 발효, 숙성 과정을 거쳐 얇게 밀어 말아 찐 빵의 일종이다.
  • 중국의 빵 - 젠빙
    젠빙은 중국 북부에서 유래한 밀과 수수를 주재료로 한 납작빵의 일종으로, 삼국 시대에 제갈량이 개발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현재는 중국 전역과 해외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즐겨 먹는다.
  • 딤섬 - 춘권
    중국에서 유래한 춘권은 얇은 반죽에 채소나 고기 등을 넣어 튀기거나 굽는 음식으로, 봄철 명절 음식으로 유명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재료, 조리법으로 세계 각지에서 즐겨 먹는다.
  • 딤섬 - 훙더우탕
    훙더우탕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달콤하게 만든 중국의 전통 디저트로, 다양한 재료를 추가하여 만들 수 있으며 한국의 팥죽과 유사하지만 쌀 외의 재료를 넣어 변형하는 것이 특징이다.
  • 페이스트리 - 엠파나다
    엠파나다는 "빵을 입히다"라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구운 또는 튀긴 패스트리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하여 지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반영하고 있다.
  • 페이스트리 - 부레크
    부레크는 알제리 아랍어에서 유래된 음식으로, 얇은 페이스트리 반죽에 다진 고기, 양파, 파슬리 등을 넣고 튀겨 만든다.
보로바우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파인애플 빵
다른 이름보 로 바우
국가홍콩
종류달콤한 빵
주요 재료설탕, 계란, 밀가루, 바닐라, 버터
파인애플 빵
중국어 정보
중국어 간체菠萝包
중국어 정체菠蘿包
병음bōluó bāo
광둥어 예일bōlòh bāau
광둥어 성조bo1 lo4 baau1
민난어 POJông-lâi-pau (王梨包)
파인애플 빵
한국어 정보
제과점에서 판매되는 파인애플 빵

2. 역사

보로바우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930년대부터 홍콩에서 과자빵이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9] 초기에는 '바삭한 껍질 빵'으로 불렸으나, 윗부분의 모양이 파인애플과 비슷하여 '파인애플 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콘차를 현지 입맛에 맞게 변형하여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3] 1942년 홍콩의 타이퉁 베이커리(Tai Tung Bakery)에서 처음 판매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4], 이 빵집의 주인인 체 칭-유엔(Tse Ching-yuen)은 11살 때부터 파인애플 빵을 만들어 왔다고 회상한다.[4]

일본멜론빵과의 유사성도 지적되지만, 어느 쪽이 먼저인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보로바우"를 1910년대부터 베이커리에서 구웠다는 홍콩 장인의 이야기도 있어[10], 기원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2014년 6월, 홍콩 정부는 파인애플 빵을 홍콩의 무형 문화 유산으로 지정했다.[5] 70년 이상 파인애플 빵을 만들어 온 위안 롱(Yuen Long)의 타이 퉁 베이커리(Tai Tung Bakery)는 빵 제조 기술을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포함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5]

2. 1. 한국과의 관계

3. 특징

보로바우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윗부분은 설탕, 달걀, 밀가루, 라드 등으로 만든 쿠키 반죽으로, 바삭하고 단맛이 강하다. 밑부분은 홍콩식 빵 반죽으로 만들어져 부드럽고 촉촉하다.[12][6]

'보로바우'라고 부르지만, 전통적인 보로바우에는 파인애플이 들어가지 않는다. 격자무늬의 달콤한 빵 껍질 부분이 황금 갈색이 날 때까지 구워지면 파인애플의 외과피 모양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12] 만드는 방법과 모양을 따서 빵 이름을 붙인 사실이 일본의 멜론 빵과 유사하다.

4. 종류

보로바우는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아무것도 넣지 않은 플레인 보로바우이며, 여기에 버터를 넣어 먹는 '보로야우(菠蘿油)'가 특히 인기가 많다.

버터 파인애플 번


홍콩의 차찬텡과 다이 파이 동에서는 버터 조각을 안에 채운 보로야우(菠蘿油)를 판매한다.[13] 보로야우는 보로바우를 반 갈라 버터 조각을 끼워 만든다.[13] '보로'는 파인애플을, '야우'는 기름 즉, 버터를 칭한다.[13] 버터 대신 커스터드를 사용하기도 한다.[13]

갓 구운 보로바우나 전자레인지로 데운 보로바우에 빵처럼 수평으로 칼집을 넣고, 두껍게 썬 차가운 버터를 끼운 햄버거와 같은 형태의 보로야우는 홍콩의 차찬텡의 대표 메뉴이다.[7] 최근 대만에도 전해져 테이크 아웃이나 노점에서 판매되면서 화제가 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7]

보로바우는 팥앙금,[13][7] 커스터드 크림,[13][7] 중국식 돼지고기 바비큐,[13] 코코넛 채[13] 등을 넣어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코코넛을 넣은 야쓰뽀로바오/椰絲菠蘿包중국어, 팥소를 넣은 홍떠우뽀로바오/紅豆菠蘿包중국어, 커스터드 크림을 넣은 나이황뽀로바오/奶黃菠蘿包중국어, 파인애플 앙금을 넣은 뽀로뽀로바오/菠蘿菠蘿包중국어, 스팸을 넣은 찬육뽀로바오/餐肉菠蘿包중국어, 차슈 앙금을 넣은 차사오뽀로바오/叉燒菠蘿包중국어 등이 판매되고 있다.[7] 작게 만들어 통조림 햄을 넣고 샌드위치처럼 만들어 먹기도 한다.[13] 최근에는 실제 파인애플을 넣은 보로바우도 등장하고 있다.[13]

보로바우와 비슷한 빵으로는 멜론빵과 소보로빵이 있다.[13] 소보로빵은 독일의 슈트로이젤과 질감이 비슷한 재료를 위에 얹어 만들지만, 보로바우와는 달리 파인애플 모양을 내지 않는다.[13]

4. 1. 다양한 속재료

보로바우는 팥앙금,[13][7] 커스터드 크림,[13][7] 중국식 돼지고기 바비큐,[13] 코코넛 채[13] 등을 넣어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코코넛을 넣은 椰絲菠蘿包(야쓰뽀로바오), 팥소를 넣은 紅豆菠蘿包(홍떠우뽀로바오), 커스터드 크림을 넣은 奶黃菠蘿包(나이황뽀로바오), 파인애플 앙금을 넣은 菠蘿菠蘿包(뽀로뽀로바오), 스팸을 넣은 餐肉菠蘿包(찬육뽀로바오), 차슈 앙금을 넣은 叉燒菠蘿包(차사오뽀로바오) 등이 판매되고 있다.[7] 작게 만들어 통조림 햄을 넣고 샌드위치처럼 만들어 먹기도 한다.[13] 최근에는 실제 파인애플을 넣은 보로바우도 등장하고 있다.[13]

5. 논란

일부 보로바우에는 쇼트닝이 사용되어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다는 지적이 있다. 2007년 홍콩 소비자 위원회와 식품 안전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일부 보로바우에서 0.25g에서 0.44g의 트랜스 지방이 검출되었다.[11]

2020년에는 일본의 한 빵집이 '대만 파인애플 빵'이라는 이름으로 보로바우를 판매하면서, 제품의 기원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빵집 ''세 트레 푸''(c'est très fou)는 제품 소개에 빵이 홍콩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했음에도, 제품이 대만에서 유래한 것처럼 암시했다는 비판을 받았다.[8]

6. 기타

홍콩에서는 보로바우 모양의 마그넷 등 관련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2006년에는 일본의 도요샤에서 발매한 미니어처 식품 모형 컬렉션 "홍콩 차찬텡(홍콩 카페)"에 보로바우가 포함되기도 했다.

참조

[1] 뉴스 Hong Kong food: 40 dishes we can't live without – 6. 'Pineapple' bun http://travel.cnn.co[...] CNN Travel 2010-07-13
[2] 웹사이트 What Is a Pineapple Bun http://www.wisegeek.[...] Conjecture Corporation null
[3] 웹사이트 Pineapple Bun: A Breakfast Dish And Symbol of Cultural Heritage https://www.slurrp.c[...] null
[4] 웹사이트 What Hong Kong-Style Pineapple Buns Are Really Made Of https://www.tastingt[...] 2022-09-08
[5] 뉴스 The secrets behind serving up Hong Kong's 'hot cross bun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09-08
[6] 웹사이트 Where's The Pineapple? http://mykitchenmyla[...] My Kitchen: My Laboratory 2007-05-27
[7] 웹사이트 Korean Soboro Bread http://koreanslate.c[...] 2009-10-28
[8] 웹사이트 Japan wrongly called the inventor of Hong Kong pineapple buns https://chinapost.no[...] 2021-01-19
[9] 서적 食べ物が語る香港史
[10] 서적 食べ物が語る香港史
[11] 간행물 選擇月刊 香港消費者委員會編 2008-05
[12] 웹인용 Where's The Pineapple? http://mykitchenmyla[...] 2007-05-27
[13] 웹인용 Korean Soboro Bread http://koreanslate.c[...] 2009-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