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트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트닝은 액체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체 형태로 만든 지방의 일종이다. 1869년 마가린의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 식물성 쇼트닝의 등장으로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쇼트닝은 제과, 제빵, 튀김 등에 사용되며, 쿠키나 파이의 바삭한 식감을 내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제조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이 생성될 수 있어 건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관련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성 기름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식물성 기름 - 피마자유
    피마자유는 피마자 씨앗에서 추출한 리시놀레산이 주성분인 담황색의 점성 액체로, 완하제 및 윤활유, 코팅제,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 등 다양한 공업적 용도로 사용되지만,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하여 식용으로는 부적합하며 과거 체벌이나 고문에도 악용되었다.
  • 식용유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식용유 - 버터
    버터는 우유 지방을 분리하여 만든 유제품으로,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종교 의식에도 사용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요리, 베이킹 등에 활용되지만 건강 논란도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쇼트닝
기본 정보
크리스코 쇼트닝 한 통
크리스코 쇼트닝 한 통
종류지방
주요 성분식물성 기름
용도제빵
튀김
상세 정보
설명쇼트닝은 많은 종류의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또는 둘 다의 혼합물로 만들 수 있는 고체 지방이다.
사용 목적페이스트리와 다른 구운 제품에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하기 위해 사용된다.
글루텐 형성을 방지하여 부드러운 질감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높은 발연점으로 인해 튀김용으로도 사용된다.
역사쇼트닝은 원래 러드의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제조사프록터 앤드 갬블
브랜드크리스코
구성쇼트닝은 일반적으로 100% 지방이다.
다른 지방과 마찬가지로 쇼트닝은 1그램당 약 9칼로리를 제공한다.
경화쇼트닝의 주요 특성 중 하나는 액체 오일을 고체 지방으로 만드는 과정인 경화를 거쳤다는 것이다.
질감쇼트닝은 질감이 왁스 같아서 일부 사람들은 맛이 없다고 생각한다.
건강 문제한때 쇼트닝은 포화 지방이 적기 때문에 버터와 러드보다 건강에 더 좋은 대안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쇼트닝에 트랜스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건강 문제가 제기되었다.
대체재버터
마가린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2. 역사와 시장

1869년 프랑스 화학자 이폴리트 메제-무리가 쇠기름으로 마가린을 발명하면서 쇼트닝의 역사가 시작되었다.[3] 1901년 독일 화학자 빌헬름 노르만이 지방 수소화 기술을 개발, 1902년에 특허를 받았다.[4] 1907년 독일 화학자 에드윈 쿠노 카이저가 프록터 앤드 갬블(P&G)에 면실유 수소화 기술을 제공했다.[4] 1905년 윌리스 맥코라는 발명가가 면실을 이용한 모조 돼지기름 및 비누 제조법을 특허냈고,[5] 1909년 P&G가 이 특허를 구매하여 이후 쇼트닝 개발에 활용하였다.[6]

1911년 P&G는 "크리스코(Crisco)"라는 식물성 쇼트닝을 출시했다.[4] 크리스코는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냉장 보관이 필요 없어 인기를 끌었다.[7] P&G는 크리스코가 더 경제적이고 깨끗한 식사 준비 방법이며, 중립적인 맛과 높은 발연점으로 음식의 자연스러운 맛을 살린다고 홍보했다.[8][9] 식품 산업화와 저렴한 원재료 수요 증가, 미국 정부의 면실유, 옥수수유, 대두 잉여 지원 정책도 식물성 쇼트닝 시장 형성에 기여했다.[10]

현재 크리스코는 부분/완전 수소화된 대두 및 팜유 혼합물로 제조되며, J.M. 스머커 컴퍼니가 소유하고 있다.[11]

3. 제조 및 성분

쇼트닝은 액체 상태의 식물성 기름에 수소 첨가(Hydrogenation)를 하여 불포화 지방산이중 결합포화시켜 고체 형태로 만든다. 주 성분은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이다.

180px


전통적으로 목화씨기름, 쇠기름, 콩기름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나, 현대에는 주로 대두유, 팜유 등이 사용된다.

쇼트닝의 제조 및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897년 프랑스 화학자 폴 사바티에가 유기 물질의 수소화를 처음 개발했다.
  • 1901년 독일 화학자 빌헬름 노르만이 지방 수소화를 개발하여 1902년에 특허를 받았다.[4]
  • 1907년, 독일 화학자 에드윈 쿠노 카이저는 프록터 앤드 갬블과 사업 계약을 맺고, 면실유를 수소화하는 두 가지 공정을 제시했다.[4]
  • 1905년, 윌리스 맥코는 저렴한 면실을 모조 돼지기름과 비누로 바꿀 수 있는 공법을 특허냈다.[5]
  • 1909년, 프록터 앤드 갬블은 맥코를 고용하고 그의 특허를 구매하여, 이후 쇼트닝 개발에 활용했다.[6]
  • 1911년, 프록터 앤드 갬블은 "크리스코(Crisco)"라는 이름으로 쇼트닝을 판매하기 시작했다.[4]


2002년부터 J.M. 스머커 컴퍼니가 소유한 크리스코는 부분적 또는 완전 수소화된 대두 및 팜유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쇼트닝 브랜드이다.[11] 아일랜드와 영국에서는 Trex가, 호주에서는 코코넛 오일로 만들어진 Copha가 인기 있다.

3. 1. 특징

쇼트닝은 목화씨기름, 쇠기름, 콩기름 등을 섞어 굳힌 지방질 100%의 유지이다.[3] 원래 쇼트닝은 돼지기름과 같은 의미였으나, 1869년 프랑스 화학자 이폴리트 메제-무리가 쇠기름으로 마가린을 발명하면서 마가린도 이 용어에 포함되었다. 20세기 초 수소화 식물성 기름이 발명된 이후, "쇼트닝"은 거의 대부분 수소화 식물성 기름을 의미하게 되었다.[3]

쇼트닝은 돼지기름과 비슷한 특징을 많이 공유한다.[3] 둘 다 버터나 마가린보다 발연점이 높아 튀김 요리에 적합하다. 또한 물 함량이 적어 튀김할 때 기름이 튀는 현상이 덜해 안전하다. 돼지기름과 쇼트닝은 버터, 마가린(약 80%)보다 지방 함량이 높아, 쿠키파이를 만들 때 넣으면 껍질이 연해지고 바삭바삭한 식감을 낼 수 있다.[3] 설탕과 함께 사용하면 촉감이 좋아져 과자케이크를 만들 때 많이 사용된다. 케이크용 마가린과 쇼트닝에는 친수성 재료인 전분, 설탕 등과 잘 섞이도록 돕는 모노글리세리드가 몇 퍼센트 함유되어 있기도 하다.[3]

액체 상태의 식물성 기름은 수소 첨가를 통해 불포화 지방산이중 결합포화시켜 고체 형태로 만든다. 공업적으로 생산되므로 품질이 균일하고, 사용 목적에 맞는 물성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여러 가공 식품에 사용된다.

4. 용도

쿠키파이를 만들 때 쇼트닝을 넣으면 껍질이 연해지고 바삭바삭하게 구워지며, 설탕을 함께 사용하면 촉감이 좋아지므로 과자케이크를 만들 때 많이 쓴다.[2] 쇼트 도우는 부스러지거나 고운 질감을 가진 반죽이다. 쇼트 도우의 반대말은 "롱" 도우로, 늘어나는 반죽이다.[2] 타르트에 흔히 사용되는 쇼트 도우를 만들려면 쇼트닝을 푸드 프로세서, 페이스트리 블렌더, 식칼 한 쌍, 손가락 또는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밀가루에 잘라 넣어서 혼합물이 고운 옥수수 가루와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한다.

5. 트랜스 지방 문제와 건강

쇼트닝 제조 과정에서 지방산이 일부 트랜스화되어 트랜스 지방산이 생성된다. 트랜스 지방산은 자연계에도 존재하지만, 다량 섭취하면 심장병, 알레르기 등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일부 국가에서는 식품 사용을 규제한다.[12][13][14][15][16]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르면 일본은 1인당 평균 섭취량이 기준 미만이라 규제하지 않는다.

21세기 초, 식물성 쇼트닝은 부분 경화 식물성 기름으로 제조되어 건강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2004년 미국 크리스코(Crisco)는 저 트랜스 지방 제품을 출시했고, 2007년 1월부터는 1인분당 1g 미만의 트랜스 지방을 함유하도록 변경했다.[17]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부분 경화유 금지 조치[18] 이후, 프록터 앤드 갬블은 완전 경화 팜유를 사용하고, 대두유와 팜유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쇼트닝 배합을 변경했다.[19] 그러나 팜유 사용 증가는 열대 우림 파괴 등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20]

부분 경화 오일 대신 완전 경화 오일을 사용하는 대안으로, 식물 스테롤을 활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J. 랄프 블란치필드(J Ralph Blanchfield)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식물 스테롤은 쇼트닝 등에 사용되어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여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21]

5. 1. 대한민국의 대응

대한민국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통해 트랜스 지방 함량 표시를 의무화하고, 저감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식품 안전 규제 강화를 통해 국민 건강을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주 섭취하는 식품에 대한 트랜스 지방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참조

[1] Etymonline shortening
[2] 웹사이트 Learn About Each Variety of Shortening to Use in Baking https://www.thespruc[...] 2020-09-12
[3] 간행물 Margarines and Shortenings Wiley-VCH, Weinheim 2005
[4] 간행물 Giants of the Past: The Battle Over Hydrogenation (1903–1920) http://www.ars.usda.[...] 2007
[5] 웹사이트 Annual report of the Commissioner of Patents for the year 1905 https://library.si.e[...]
[6] 서적 Accepted Fables https://books.google[...] Indigo Custom 2024-02-04
[7] 웹사이트 Shortening and Cooking Oils https://www.foodtime[...]
[8] 웹사이트 1919 Ad Crisco Woman Cooking Shortening Frying Lard - ORIGINAL ADVERTISING SEP4 https://www.periodpa[...] Period Paper 2023-11-24
[9] 웹사이트 933 Crisco Vintage Ad, Advertising Art, Magazine Ad, 1930's Dinner, Advertisement, 1930's Recipes, Great for Framing. https://www.etsy.com[...] 2023-11-25
[10] 뉴스 Grease is the Word http://environment.g[...] The Guardian 2006-09-27
[11] 웹사이트 Products - Shortening - All-Vegetable Shortening - Crisco http://www.crisco.co[...] Crisco.com 2010-09-30
[12] 논문 Trans fatty acid isomers in human health and in the food industry
[13] 논문 Trans fatty acids in hydrogenated fat inhibited the synthesis of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phospholipid of arterial cells 2004-04
[14] 논문 Influence of trans fatty acids on infant and fetus development
[15] 논문 Metabolic aspects of trans fatty acids 1997-10
[16] 논문 Trans-fatty acids, dangerous bonds for health? A background review paper of their use, consumption, health implications and regulation in France 2013-06
[17]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I can't find the ''Crisco'' green can anywhere http://www.crisco.co[...] Crisco.com
[18] 웹사이트 Final Determination Regarding Partially Hydrogenated Oils https://www.federalr[...] 2024-10-14
[19] 웹사이트 Nutritional Information https://crisco.com/p[...] 2023-11-25
[20] 웹사이트 Palm Oil https://www.worldwil[...] 2023-11-25
[21] 웹사이트 Phytosterol esters (Plant Sterol and Stanol Esters) https://www.ifst.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