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앙은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한 대상에 대해 가지는 믿음, 확신, 또는 헌신을 의미하며, 종교적, 비종교적 영역 모두에서 나타난다. 종교적 신앙은 야훼, 알라, 부처 등과 같은 초월적 존재나 가르침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유대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비종교적 신앙은 인본주의, 합리주의, 특정 가치관이나 대상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과학, 의료, 특정 브랜드 등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도 포함될 수 있다. 신앙은 윤리와 관계를 맺으며,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맹목적인 추종이나 비합리적인 확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존재하지만, 변증론적 관점에서는 합리적인 증거에 기반한 믿음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앙 - 이만 (이슬람교)
이만은 이슬람교에서 마음으로 믿고 혀로 고백하며 행동으로 실천하는 믿음, 확신, 신념을 뜻하는 핵심 개념으로, 신앙의 여섯 기둥을 포함하며 신의 자비와 보상을 받는 중요한 자질로 여겨진다. - 신앙 - 신앙의 해체
신앙의 해체는 종교적 신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재고하는 과정으로, 해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신앙을 다양한 해석과 맥락으로 이해하며, 종교적 이탈, 신념 심화, 탈동일시, 재구성 등 다양한 결과를 초래하며 소셜 미디어를 통해 논의되는 현상이다. - 신앙과 교리 - 믿음
믿음은 정신적 표상에 대한 태도, 기능적 역할, 해석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이해되며, 표상주의, 기능주의, 성향주의, 해석주의 관점에서 연구되고, 완전/부분적 신념, 신뢰, 'de dicto'/'de re' 구분, 집단 신념, 현재적/소질적 믿음, 내재주의/외재주의, 원자론/분자론/전체론 등 다양한 측면과 종교, 인식론, 심리학과 연관된다. - 신앙과 교리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믿음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믿음 - 교리
교리는 종교의 핵심 가르침을 의미하며, 신앙과 실천의 기초를 형성하고 종교와 교파에 따라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신앙 | |
---|---|
기본 정보 | |
정의 | 믿음, 신뢰 |
어원 | 라틴어 "fides"(피데스) |
관련 개념 | 신뢰, 믿음, 확신 |
종교적 의미 | |
공통적 의미 | 초자연적 존재 또는 교리에 대한 굳건한 믿음 |
기독교 | 하느님에 대한 믿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에 대한 믿음, 신뢰와 헌신 |
이슬람 | 알라에 대한 믿음, 무함마드의 예언자로서의 인정, 꾸란의 가르침에 대한 복종 |
불교 |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의 근본, 부처의 가르침에 대한 믿음, 연기법과 해탈에 대한 이해 |
철학적 의미 | |
인식론적 관점 | 증거 없이 받아들이는 믿음, 이성적 판단을 초월하는 확신 |
실존주의적 관점 |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주관적인 선택, 불확실한 세계에 대한 긍정적 태도 |
심리학적 의미 | |
긍정적 기능 | 심리적 안정감 제공, 스트레스 완화, 희망과 용기 부여 |
부정적 기능 | 맹목적 믿음으로 인한 비판적 사고 저해, 사회적 갈등 유발 |
사회적 의미 | |
사회 통합 기능 | 공동체 의식 함양, 사회적 결속력 강화, 도덕적 가치 공유 |
사회 갈등 기능 | 종교적, 이념적 차이로 인한 갈등, 배타적 태도 유발 |
기타 | |
관련 용어 | 신앙심, 종교, 믿음 |
참고 자료 | 성경 코란 불경 |
관련 문서 | 종교 신학 철학 심리학 |
2. 어원
영어 단어 'faith'는 신뢰, 확신, 설득이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프로토인도유럽어 (PIE) 어근 *bheidh-|베이드ine에서 유래하였다.[11] 그리스어 πίστις|피스티스grc는 '믿음'을 뜻하고, 라틴어 fidēs|피데스la는 '신뢰', '믿음', '확신'을 뜻한다.[11]
종교적 신앙은 초월적인 존재, 신성한 가르침, 종교적 공동체 등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영어 'faith'라는 용어는 13세기 중반 앵글로-프랑스어와 고대 프랑스어 형태인 feid|페이드fro와 feit|페이트fro에서 진화하여, 궁극적으로 라틴어 fidēs|피데스la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라틴어 용어는 PIE 어근 *bheidh-|베이드ine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신뢰', '확신', '믿음'과 같은 의미를 포함한다.[11]
3. 종교적 신앙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중심으로 하는 신앙이 강조되며, 이슬람교에서는 알라와 경전 꾸란에 대한 믿음이 중요하다. 불교에서는 믿음이 마음을 맑게 하고 열반으로 이끄는 중요한 작용으로 여겨진다. 유대교에서는 신에 대한 신뢰(Emunah|에무나he)가 강조되며, 힌두교에서는 신에 대한 헌신과 사랑(भक्ति|박티sa)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기독교의 믿음은 예수에 대한 단순한 지적 동의가 아닌 신뢰를 의미하며, 이슬람에서는 신앙과 종교를 소중히 여겨 배교자를 처형하기도 한다. 불교의 믿음은 모든 선(善)한 마음과 함께 일어나 마음을 맑게 하고 열반으로 이끄는 불도(佛道)의 첫걸음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구에 살고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신앙인이라고 주장한다"고 말했다.[12]
이 외에도 바하이교, 씨크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신앙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3. 1. 기독교
예수 천국 불신 지옥이라는 말로 상징되는 믿음은 기독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다. 기독교에서 믿음이란 예수에 대한 단순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적 동의가 아니라, 지·정·의가 작용하는 신뢰를 의미한다. 믿음이 성장할수록 "예수에 대한 신뢰가 온전하여지고, 삶의 안정감을 누릴 수 있다"고 한다. 믿음은 인간이 스스로 결정하기보다는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로 이해되며, 성령으로 말미암아 거듭나서 예수를 구주로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다고 한다.[124]
기독교에서 신앙(faith)은 히브리서에 나오는 "희망하는 것에 대한 확신, 보지 않은 것에 대한 확신"으로 정의되기도 한다.[124] 기독교는 예수의 역할과 그가 예언에 따라 고난과 부활을 통해 입증된 구원자(그리스도)라는 믿음에 초점을 맞춘다. 신약성서에 따르면, 기독교 신앙은 예수가 성령에 의해 부활했음을 믿는 것을 포함한다.[125]
다양한 기독교 교파는 '믿음'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지만, 예수가 기독교 신앙의 중심이며, 기독교인이 되기 위해 이러한 믿음이 필수적이라는 점에는 공통적으로 동의한다.
신약 성경에서 "믿음"으로 번역되는 헬라어 단어는 πίστις|pístisgrc이며, "믿음", "충실함", "신뢰"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13] 이 단어는 "신뢰하다, 확신하다, 충실하다, 믿을 만하다, 확신시키다"를 의미하는 헬라어 동사 πιστεύω|pisteuogrc에서도 번역될 수 있다.[14]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에 대한 더 큰 이해를 추구함에 따라 변화하며, 신앙의 성장은 개인의 영적 성숙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칼뱅주의 전통에서는 현세의 번영을 신앙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하기도 한다.[23][24]
가톨릭 교회는 신앙을 하느님의 은총으로 이해하며, 사도신경과 같은 신앙고백을 통해 신앙의 내용을 명확히 한다. 개신교, 특히 감리교에서는 칭의와 새로운 탄생의 과정에서 신앙의 역할을 강조한다.[42] 임마누엘 연합(Emmanuel Association)과 같은 보수적 성결 운동의 감리교 교단에서는 살아있는 신앙을 하나님의 선물로 여기며, 이는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사역을 통해 순종하는 마음에 주어진다고 가르친다.[43]
공관복음서에서는 “믿음”이나 “믿다”라는 낱말이 그리스어로 각각 “pistis”, “pisteuein”이라는 단어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믿음을 나타내는 단어는 구약성경보다 더 자주 사용된다. 믿음은 기적을 행한다(마태 17:20, 21:21, 누가 17:6)고 하며, 믿음은 하나님의 아들 또는 메시아로서 예수가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에 있다고 믿는 것이다(마가 1:24, 3:11, 15:32, 마태 8:29, 14:33, 누가 4:41). 예수의 십자가 처형과 부활 후 “구세주 예수”, “하나님의 아들 예수”에 대한 믿음은 예수의 제자들에 의해 전개되고 확정되어 초기 교회 신앙의 핵심이 되었다[116]고 여겨진다.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유일하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 되었다[116].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죄 사함을 얻을 수 있으며(사도행전 10:43, 26:18)[116], 그리스도를 믿는 것은 구원을 위한 유일한 필요조건이다(사도행전 4:12, 16:31)[116]고 여겨지게 되었다. 3세기에서 5세기가 되면서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론 교리가 확립되고, 신앙 내용은 객관화되었다. 아타나시우스 신조로 구체화되면서, 이렇게 객관적으로 표현된 사항을 믿는 것이 정통으로 여겨졌고, 이 신조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이단으로 간주되게 되었다.[117] 종교 개혁의 선구자였던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는 바울 서신을 인용하여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받는다고 주장했다. 믿음으로 의롭다 함은 그 이후 프로테스탄트의 근간이 되는 명제 중 하나가 되었다.
3. 2. 이슬람
이슬람에서 신자의 이슬람 형이상학적 측면에 대한 신앙을 Iman|이만ar(아랍어: الإيمان)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의심하거나 맹목적인 믿음이 아닌, 신의 뜻에 대한 완전한 복종을 의미한다.[67] 사람은 어떠한 합리적인 의심도 없이, 불확실성을 넘어 확고한 신념 위에 자신의 신앙을 세워야 한다.[68] 꾸란에 따르면, Iman|이만ar은 의로운 행위와 함께해야 하며, 이 두 가지는 천국에 들어가는 데 필요하다.[69] 가브리엘의 하디스에서 Iman|이만ar은 ''이슬람''과 이흐산ar과 함께 이슬람 종교의 세 가지 차원을 형성한다.
무함마드는 신앙의 여섯 가지 공리를 가브리엘의 하디스에서 언급했다. "Iman|이만ar이란 당신이 신과 그의 천사들과 그의 경전들과 그의 사자들과 내세와 선과 악의 운명[당신의 신에 의해 정해짐]을 믿는 것이다."[70] 처음 다섯 가지는 꾸란에 함께 언급되어 있다.[71] 꾸란은 신을 기억함으로써 신앙이 성장할 수 있다고 말한다.[72] 또한 이 세상의 어떤 것도 진정한 신자에게 신앙보다 더 소중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73]
이슬람에서는 알라를 신으로 섬기며, 경전인 꾸르안에서도 볼 수 있듯 이슬람 사회에서는 신앙과 종교를 소중히 생각하기 때문에 원래 가졌었던 믿음을 배반하는 것이 금지되어 배교자를 처형하기도 한다. 그래서 원래부터 무신론이었거나, 다른 종교를 믿고 있었던 타인에게 개종을 강요하는 행위도 금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슬람에서 말하고자 하는 신앙의 원리가 IS나 알카에다 등의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에 의해 왜곡과 오해를 사기도 한다. 또 이슬람에서 말하는 신앙의 원리가 왜곡되는 그 원인이 뉴스에 보도된 이슬람에 대한 안 좋은 사건들과 함께 사람들이 기존에 담고 있었던 이슬람에 대한 편협된 시각에서 영향을 받기도 한다.
3. 3. 불교
불교에서 믿음(信)은 단순히 특정 교리나 존재를 '믿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선(善)한 마음과 함께 일어나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 작용이며, 열반에 이르는 불도(佛道)의 첫걸음이다.[47]
초기 불교에서는 삼보(saddhā|삿다pi, śraddhā|슈랏다sa)라 불리는 고타마 붓다, 그의 가르침(''담마''), 영적으로 발달된 추종자들의 공동체 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승가(''상가'')에 대한 믿음을 중요하게 여겼다. 진리를 얻는 데 있어 개인적인 검증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경전, 이성 또는 스승에 대한 신앙은 덜 중요한 것으로 여겨졌다.[52] 신앙은 지혜와 깨달음의 길로 가는 첫 단계였지만, 그 길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쓸모없게 되거나 재정의되었다.
불교의 신앙은 "맹목적인 신앙"을 의미하지 않으며, 고타마 붓다의 영적 성취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 불교의 신앙은 깨달음(''보리'')과 ''열반''을 목표로 하며, 의지적으로 단호하고 용감한 의지의 행위를 의미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신앙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았다.[54] 불성 개념이 발전하고, 정토에 거주하는 부처와 보살에 대한 헌신이 보편화되었다.[56] 법화경 숭배와 정토불교에서 아미타불에 대한 헌신이 발전하면서 신앙은 불교 수행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57] 특히 일본 정토불교에서는 아미타불에 대한 신뢰하는 신앙만이 효과적인 수행 형태로 여겨졌다.[60] 신앙은 자기 부정과 겸손의 감각을 지닌 깨달음과 유사한 상태로 정의되었다.
19세기 이후 불교 근대주의는 불교에서 신앙의 역할을 축소하고 비판해 왔지만, 불교의 신앙은 여전히 현대 아시아와 서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달리트 불교 운동 공동체 내에서는 귀의를 종교적 선택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선택으로도 정의한다.[63]
3. 4. 유대교
Emunahhe(일반적으로 "신앙" 또는 "하느님에 대한 신뢰"로 번역됨)[74]는 유대교에서 긍정적인 가치로 인정받지만, 다른 종교, 특히 기독교나 이슬람교에서처럼 강조되거나 중심적인 요소는 아니다.[75] 유대교에서는 신앙 자체가 아니라 진정한 지식, 진정한 예언, 그리고 실천을 강조한다.[76]
유대교는 믿어야 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76] 하느님을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대신, 탈무드에 인용된 많은 원리들을 바탕으로 유대교를 정의하고, 주로 유대교가 무엇이 아닌지를 통해 하느님에 대한 (개인적인) 관념을 존중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따라서 모든 유대인에게 필수적인 유대교 신앙의 원리에 대한 확립된 공식은 없다.
유대교 성경에서 하느님에 대한 신뢰, 즉 Emunahhe는 하느님이 백성에게 어떻게 행동하시고 그들이 어떻게 그분에게 응답해야 하는지를 가리킨다.[76] 이는 특히 신명기 7장 9절에 명시된 영원한 계약에 뿌리를 두고 있다.[77]
유대교 역사에서 필수적인 신앙을 구성하는 특정 교리와 그것의 시대적 적용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정통 유대교 신자들은 마이모니데스의 13가지 신앙 원리를 받아들였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다.[78]
Emunahhe의 전통적인 예는 아브라함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아브라함은 여러 차례 불가능해 보이는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이고,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하라는 하느님의 지시에 순종하는 행동을 보였다.[79] 초기 유대교와 구약성서에서 신앙은 신에 대한 순종과 신뢰를 의미했으며, 아브라함의 신앙이 그 전형으로 다루어졌다(창세기 15:6, 이사야서 7:9).
3. 5. 힌두교
भक्ति|박티sa(산스크리트어: भक्ति, bhakti)는 문자 그대로 "애착, 참여, 애정, 존경, 신앙, 사랑, 헌신, 숭배, 순수"를 의미한다.[64] 힌두교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신 또는 신을 대표하는 존재에 대한 신자의 헌신과 사랑을 뜻한다.[65]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와 같은 고대 경전에서는 단순히 어떤 노력에 대한 참여, 헌신, 사랑을 의미하지만, '''바가바드 기타'''에서는 에서와 같이 영성과 목샤로 이어지는 가능한 영적 경로 중 하나를 의미한다.[66]
아힘사(비폭력)는 힌두교의 근본적인 원리로서, 모든 인류에게 무조건적인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존과 은총과 지혜 속에서의 진화적 성장을 주장한다.
힌두교에서 대부분의 베다 기도는 옴 찬트로 시작된다. 옴은 자아 안에 자리 잡은 평화를 공명하는 산스크리트어 기호이다. 옴은 찬트하는 사람의 신체와 마음에 심오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며, 평온함, 평화로움, 치유, 힘을 만들어 내부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퍼지게 한다.
3. 6. 기타 종교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구에 살고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신앙인이라고 주장한다"고 말했다.[12]
바하이교에서 신앙은 첫째, 의식적인 지식을, 둘째, 선행의 실천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는 하느님의 계시의 신성한 권위를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82] 바하이교의 관점에서 신앙과 지식은 모두 영적 성장에 필요하다.[82] 신앙은 이러한 권위에 대한 외적인 순종 이상을 포함하며, 종교적 가르침에 대한 깊은 개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82]
씨크교에서 신앙은 종교적 개념이 아니다. 하지만 5가지 씨크교 상징물인 카카르(Kakaars) 또는 5K(펀자브어로는 pañj kakkēpa 또는 pañj kakārpa)는 때때로 ‘신앙의 5가지 요소’라고 불린다. 이 요소들은 kēspa(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음), kaṅghāpa(작은 나무빗), kaṛāpa(원형 강철 또는 철 팔찌), kirpānpa(검/단검), 그리고 kaccherapa(특수 속옷)을 포함한다. 침례를 받은 씨크교도들은 악한 친구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신과 가까이 지내기 위해 항상 이 다섯 가지 신앙의 요소들을 착용해야 한다.[80]
4. 비종교적 신앙
비종교적 신앙은 종교적인 믿음 외에 개인의 가치관, 이념, 사상, 철학 등에 대한 믿음을 포괄한다. 블레즈 파스칼은 『팡세』에서 "신을 느끼는 것은 마음이지, 이성이 아니다. 신앙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라고 말했다.[110] 이처럼 신앙은 종교적 개념, 예를 들어 신, 교리 등을 믿는 것에 사용되기도 한다.[110] 광학사전에 따르면, 신앙은 일반적으로 공포심보다는 어떤 친밀감이 근원에 있다고 한다.[113]
「종교」가 조직이나 제도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말인 반면, 「신앙」이나 「신심」은 사람(혹은 사람들)의 의식에 초점을 맞춘 말이다. 또한, 어떤 대상을 절대적인 것으로 믿고 의심하지 않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114]
중국어에서의 「信仰」 개념은 종교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주의 신앙 등 종교 이외의 신앙도 동등하게 대상으로 삼아 같은 문맥에서 이야기될 수 있다.[115][118]
4. 1. 세속적 신앙
세속적 신앙은 종교적 또는 초자연적인 교리에 기반하지 않는 신념이나 확신을 의미한다.[83] 세속적 신앙은 다양한 출처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개인의 신념과 경험에 따라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철학: 많은 세속적 신념은 인본주의나 합리주의와 같은 철학적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신념 체계는 종종 초자연적 또는 종교적 설명에 의존하기보다는 이성, 윤리 및 인간의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개인적 가치관과 원칙: 사람들은 사회 정의나 환경 보호에 대한 신념과 같이 자신의 가치관과 원칙에 기반하여 세속적 신앙을 발전시킬 수 있다.
- 공동체와 문화: 세속적 신앙은 특정 공동체 또는 문화의 가치관과 신념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민주주의, 인권 또는 표현의 자유 원칙에 대한 신념을 가질 수 있다.[118]
'신앙'이라는 표현은, 비유적으로 어떤 대상을 절대적인 것으로 믿고 의심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121]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들에 대해 사용된다.
- 과학: 과학에 대한 신앙은 '과학 신앙', '과학 숭배' 또는 '과학주의' 등으로 불린다.
- 의료: 의료에 대한 신앙은 '의료 신앙'이라는 호칭이 일반적이다.
- 학력: 학력에 대한 신앙은 '학력 신앙'이나 '학력 숭배'라고 불린다. → 학력 신앙 참조
- 특정 제조업체나 브랜드, '상품', 라이프스타일 등: (예: '에반젤리스트(애플 신자)', '소니 신자', '혼다 신자', '세가 신자', '샤프 신자(혹은 X68000 신자)', '무지러(무인양품 신자)', '스타벅스 신자', '모스 신자', 'ほっこりすと', '프레퍼', '후리건', '일루미네이터', '호메오패스(호메오파시 신봉자)', '모노노후', '2채널러', '마요러', '하루키스트(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의 열렬한 지지자)', '차지마니스트(카르트 TV 애니메이션 차지맨 켄 매니아)')
5. 신앙과 윤리
많은 종교적 신념은 은유적 또는 상징적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되었지만, 신자들에 의해 매우 문자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종교적 신념들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기독교인들은 지구가 엿새 동안 문자 그대로 창조되었다고 믿고, 어떤 무슬림들은 꾸란이 계시 당시 인류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과학적 사실들을 담고 있다고 믿는다. 게다가, 종교적 신념이 은유적 또는 상징적으로 의도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세상에 대한 주장을 한다면 경험적 검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주장은 인류가 우주에서 차지하는 특별한 위치를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과학적 관찰을 통해 검증될 수 있는 경험적 주장을 하기도 한다.[99]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도덕은 신앙에 의존하지 않는다. 어떤 개인들은 자신의 도덕성이 신앙이나 종교적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도덕성은 사회적 및 문화적 규범, 공감 및 이성과 같은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다양한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이 많은 도덕적 가치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는 도덕성이 신앙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또한, 심리학, 신경과학 및 진화 생물학 분야의 연구는 도덕적 의사결정의 기저에 있는 생물학적 및 인지적 메커니즘을 밝혀냈으며, 이는 도덕성이 신앙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님을 더욱 증명하는 증거를 제공한다.[100]
6. 신앙에 대한 비판적 관점
일부 비판론자들은 신앙이 증거 없는 믿음, 비합리적인 확신, 맹목적인 추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버트런드 러셀은 증거가 없는 것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신앙'으로 정의하고, 모든 신앙이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그는 기독교인들이 자신의 신앙은 선을 행한다고 믿지만, 다른 신앙(예: 공산주의 신앙)은 해를 끼친다고 믿는다고 지적하며,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신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감정을 증거로 대체하고 싶을 때만 신앙을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의 대체는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리처드 도킨스는 신앙을 증거 없는 믿음이자, 능동적인 비사고(非思考)의 과정으로 묘사하며, 과학적 사고와 양립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101] 그는 신앙이 개인적인 생각과 왜곡된 인식에만 근거하여 자연에 대한 주장을 하고, 자연에 대한 검증, 신뢰할 수 있고 일관된 예측, 동료 검토를 불가능하게 하여, 결국 자연 세계에 대한 이해를 저하시킨다고 주장했다.[102]
프리드리히 니체는 <반기독교> 51절에서 기독교 신앙이 현실 도피적이며, 인간의 건강한 정신을 억압한다고 비판했다.[104] 그는 기독교가 질병을 필요로 하며, 교회의 구원 시스템은 사람들을 병들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종교인의 "내면 세계"는 과도하게 긴장되고 지친 사람의 "내면 세계"와 유사하며, 기독교가 제시하는 "최고의" 정신 상태는 간질 형태와 같다고 비판했다.
귀스타브 르봉은 신앙이 종종 이성보다는 감정에 기초하며, 종교적 또는 정치적 운동의 맥락에서 사람들을 조종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05]
많은 종교 신자들이 '강하고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덕목으로 여기지만, 이러한 신념은 비판적 평가에서 면제되어서는 안 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06]
7. 신앙에 대한 변증론적 관점
개혁된 인식론은 신앙에 대한 인식론의 한 견해로, 신에 대한 믿음이 적절히 기본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해석 철학자인 앨빈 플랜팅가와 니콜라스 월터스토프는 이 견해를 발전시켰다.[91] 플랜팅가는 불가지론자를 설득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더라도 신을 합리적으로 믿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개혁된 인식론과 신앙주의의 차이점 중 하나는 전자가 알려진 반론에 대한 방어를 요구하는 반면, 후자는 그러한 반론을 무관한 것으로 일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92] 플랜팅가는 "정당화된 기독교 신앙"에서 신념에 대한 정당화 요인에 외부 요인이 포함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외부주의의 한 형태로 개혁된 인식론을 발전시켰다.[93]
일부 유신론적 철학자들은 증거주의를 인정하지만, 전제가 정당화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연역적 논증을 통해 유신론을 옹호한다. 이러한 논증 중 일부는 결론이 나지 않지만 무게를 가지는 의미에서, 또는 수학적 확률이 할당되는 의미에서 확률적이다.[88]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것은 영국 철학자 베이실 미첼과 해석 철학자 리처드 스윈번이 제시한 누적 논증으로, 베이즈 확률에 기초한다.[94] 스윈번은 주장을 설명하는 논문에서 최선의 설명에 대한 추론에 호소한다.[95]
옥스퍼드 대학교 수학 교수이자 과학 철학자인 존 레녹스는 신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자연 법칙을 깨뜨릴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예수의 부활과 기적에 대한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정당화한다.[96] 존 레녹스는 "믿음은 어둠 속으로의 도약이 아닙니다. 그것은 정반대입니다. 그것은 증거에 기반한 헌신입니다… 모든 믿음을 맹목적인 믿음으로 축소하고 조롱하는 것은 비합리적입니다. 이것은 지적인 논의를 피하는 매우 반지성적이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믿음이 증거 없이 신념을 갖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는 리처드 도킨스를 비판하며, 이러한 주장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97]
개혁된 인식론에 대한 비판가들은 그것이 신에 대한 믿음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정당화를 제공하지 못하고 종교적 신념과 경험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내용이나 일관성에 관계없이 모든 종교적 신념이 동등하게 유효하고 정당화된 것으로 간주되는 인식론적 상대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개혁된 인식론은 현대 종교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활발한 논쟁과 토론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98]
참조
[1]
웹사이트
Meaning of '''faith''' in English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3-01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faith
https://www.dictiona[...]
2023-03-03
[3]
웹사이트
faith
https://www.merriam-[...]
2023-03-03
[4]
서적
Warranted Christian Belief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1-27
[5]
서적
Faith Has Its Reasons: Integrative Approaches to Defending the Christian Faith
https://books.google[...]
IVP Books
2006-03-01
[6]
서적
Human Society in Ethics and Politics
2009-08-16
[7]
서적
The Faith of a Heret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Imagine No Religion: How Modern Abstractions Hide Ancient Realities
Fordham University Press
2016
[9]
웹사이트
Faith and Reason
https://www.britanni[...]
2023-05-07
[10]
웹사이트
Natural Theology
https://iep.utm.edu/[...]
University of Tennessee
2023-05-07
[11]
웹사이트
Faith -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Etymology Online
2024-02-25
[12]
웹사이트
Laudato si'
https://www.vatican.[...]
Pope Francis
2024-05-11
[13]
웹사이트
Strong's Greek: 4102. πίστις (pistis) – faith, faithfulness
https://biblehub.com[...]
2015-10-14
[14]
서적
New American standard exhaustive concordance of the Bible
A.J. Holman
[15]
서적
The Ten Most Misunderstood Words in the Bible
GES
[16]
multiref
Aristotle's Ethics: 5. The Doctrine of the Mea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5-06
[17]
서적
Roman Faith and Christian Faith: Pistis and Fides in the Early Roman Empire and Early Church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1
[18]
웹사이트
The Gospel Under Siege
http://redeeminggod.[...]
2015-09-11
[19]
서적
The Teaching of Christ: A Catholic Catechism for Adults, Edition: 5, revised
https://books.google[...]
Our Sunday Visitor Pub. Division
2009-04-21
[20]
서적
Faith seeking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W.B. Eerdmans
[21]
서적
The faith of the Christian church: an introduction to theology
William B. Eerdmans
[22]
서적
Draw Near to God: 100 Bible Verses to Deepen Your Faith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9
[23]
문서
Compare prosperity theology
[24]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and Other Writings
https://books.google[...]
Penguin
[25]
서적
Inquis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multiref
The Age of Faith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1-06-07
[27]
서적
The Norton History of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28]
서적
Fading Faith: The Rise of the Secular Age
https://books.google[...]
Gustav Broukal Press
[29]
서적
Becoming Atheist: Humanism and the Secular Wes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01-12
[30]
서적
The Mid-Victorian Literature and Loss of Faith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31]
서적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Order of Things: Explorations in Scientific The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3]
웹사이트
Word Pictures in the New Testament
http://www.ccel.org/[...]
2014-01-26
[34]
웹사이트
Faith is about 'just trusting' God isn't It?
https://www.bethinki[...]
2007-11-09
[35]
서적
Gunning for God: Why the New Atheists Are Missing the Target
https://books.google[...]
Lion
[36]
서적
A Faithful Guide to Philosophy: A Christian Introduction to the Love of Wisdom
https://books.google[...]
Authentic Media Inc
2023-05-29
[37]
서적
A Faithful Guide to Philosophy: A Christian Introduction to the Love of Wisdom
https://books.google[...]
Authentic Media
[38]
서적
The Christ's Faith: A Dogmatic Account
T&T Clark Studies in Systematic Theology
2009-00-00
[39]
서적
Faith Has Its Reasons: Integrative Approaches to Defending the Christian Faith
IVP Books
2006-03-01
[40]
서적
Warranted Christian Belief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Splendor of Faith: The Theological Vision of Pope John Paul II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2003-00-00
[42]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Reference Library)
Baker Publishing Group
2001-05-01
[43]
서적
Guidebook of the Emmanuel Association of Churches
Emmanuel Association
2002-00-00
[44]
웹사이트
Authorship and History of the Lectures on Faith
https://rsc.byu.edu/[...]
2020-03-06
[45]
서적
Lectures on Faith
https://rsc.byu.edu/[...]
2018-10-08
[46]
서적
The Lectures on Faith in Historical Perspective
Brigham Young University, Religious Studies Center
2018-10-08
[47]
백과사전
Faith
http://www.ahandfulo[...]
Macmillan Reference USA, Thomson Gale
2004-00-00
[48]
간행물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http://www.ahandfulo[...]
George Allen & Unwin
1963-00-00
[49]
백과사전
Worship
http://www.ahandfulo[...]
Macmillan Reference USA, Thomson Gale
2004-00-00
[50]
간행물
Histoire du Bouddhisme Indien, des origines à l'ère Śaka
http://www.ahandfulo[...]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Institut orientaliste
1988-00-00
[51]
백과사전
The spread of Buddhism in Serindia
Brill Publishers
2007-00-00
[52]
서적
The notion of diṭṭhi in Theravāda Buddhism: the point of view
RoutledgeCurzon
2004-00-00
[53]
서적
The Way of Wisdom: The Five Spiritual Faculties
https://www.accessto[...]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09-01-19
[54]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https://tolerated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0-00
[55]
서적
Eastern philosophy: key readings
http://www.mohamedra[...]
Routledge
2000-00-00
[56]
백과사전
Buddha
https://www.politica[...]
Thomson Gale
1987-00-00
[57]
백과사전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Lotus Sūtra''
http://www.ahandfulo[...]
Wiley-Blackwell
2013-00-00
[58]
백과사전
Buddhism, Pure Land
https://books.google[...]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09-00-00
[59]
간행물
East Asian Buddhism
http://www.ahandfulo[...]
Wiley-Blackwell
2013-00-00
[60]
백과사전
Buddhist meditation: East Asian Buddhist meditation
https://www.politica[...]
Thomson Gale
2005-00-00
[61]
서적
Jodo Shinshu: Shin Buddhism in medieval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00-00
[62]
서적
Popular conceptions of Zen
http://www.ahandfulo[...]
Macmillan Reference USA, Thomson Gale
2004-00-00
[63]
뉴스
Rising caste-related violence pushes many Indians to new faith
https://www.houstonc[...]
Religion News Service
2016-10-01
[64]
서적
Sanskrit Dictionary
Monier-Williams
[65]
백과사전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6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67]
서적
An Introduction to Islam
Faran Foundation
[68]
서적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5-11-02
[69]
문서
[70]
문서
Al-Jami' al-sahih
Muslim
[71]
qref
[72]
qref
[73]
qref
[74]
웹사이트
What Is Emunah – Beyond Belief – Essentials
https://www.chabad.o[...]
2015-10-14
[75]
서적
Paul the Convert
Yale University Press
[76]
서적
Reverberations of faith: a theological handbook of Old Testament theme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7]
서적
The [[Torah]] – A Modern Commentary
Union of American Hebrew Congregations
[78]
multiref
The Limits of Orthodox Theology: Maimonides' Thirteen Principles Reappraised
http://studentorgs.u[...]
[79]
성경
[80]
웹사이트
Sikhism: Five Articles of Faith
http://www.realsikhi[...]
2015-10-14
[81]
웹사이트
The Bahá'í Community of Canada
https://www.bahai.ca[...]
2022-02-22
[82]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the Baháʼí Faith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83]
multiref
Society without God: What the Least Religious Nations Can Tell Us About Contentment
2008-11-25
[84]
서적
Mere Christianity: a revised and amplified edition, with a new introduction, of the three books, Broadcast talks, Christian behaviour, and Beyond personality
HarperSanFrancisco
[85]
백과사전
Fideism
https://plato.stanfo[...]
2015-10-14
[86]
백과사전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서적
Divine nature and human language: Essays in philosophical theology
Cornell University Press
[88]
백과사전
Religious Epistemology
https://iep.utm.edu/[...]
2004-10-02
[89]
학술지
1896
https://educ.jmu.edu[...]
[90]
백과사전
Foundationalism
https://iep.utm.edu/[...]
2010-06-10
[91]
서적
Faith and Rationality: Reason and Belief in Go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92]
백과사전
The Epistemology of Religion
https://plato.stanfo[...]
2009-03-11
[93]
서적
Warranted Christian Belief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4]
multiref
The Existence of God
Clarendon Press
[95]
multiref
Is there a Go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6]
웹사이트
God Delusion Debate (Dawkins – Lennox)
https://www.youtube.[...]
2017-02-08
[97]
서적
God's Undertaker: Has Science Buried God?
https://archive.org/[...]
Lion UK
[98]
서적
Reformed Epistemology and the Problem of Religious Diversity
Pickwick Publications
2011-06-08
[99]
multiref
The Epistemology of Religious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01
[100]
multiref
The Science of the Mind
MIT Press
[101]
서적
The God Delusion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02]
웹사이트
Is Science a Religion?
http://www.thehumani[...]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1997-01-01
[103]
서적
A Manual for Creating Atheists
Pitchstone Publishing
[104]
서적
The Anti-Christ
Sharp Press
[105]
서적
The Crowd: A Study of the Popular Mind
[106]
논문
Should Religious Beliefs Be Exempt from the Duty to Think Critically?
2014-03-01
[107]
서적
学問と信仰の世界ー特に法学の場合ー
成文堂
2013
[108]
웹사이트
yahoo!辞書 デジタル大辞泉-信仰
https://kotobank.jp/[...]
[109]
문서
confidence or trust in a person or thing
[110]
웹사이트
Dictionary.com - faith
http://dictionary.re[...]
[111]
웹사이트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 faith
http://www.iep.utm.e[...]
[112]
서적
広辞苑
[113]
문서
畏怖の気持ちが根源にあるものについては、別の語("崇敬"など)をあてるのが一般的。
[114]
웹사이트
yahoo!辞書 デジタル大辞泉-信仰
https://kotobank.jp/[...]
[115]
서적
現代中国の宗教:信仰と社会をめぐる民族誌
昭和堂
2013
[116]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 III
[117]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 III
[118]
문서
超絶的存在という語を使用しているのは、宗教を定義する時に「超絶的存在」「超越的存在」といった言葉を用いつつ行うのがひとつのオーソドックスで古典的な方法であり、概念構造がはっきりとし、便宜上好ましいからである(例えば『宗教学辞典』(東京大学出版会)の宗教の項などを熟読のこと)
[119]
문서
「旧約聖書」「新約聖書」に含まれる「約」の字は「約束」「契約」を意味している。
[120]
문서
ユダヤ教、キリスト教、イスラム教においては聖典が特に重視されていることから、それらを指す「聖典宗教」という呼称も存在する。
[121]
웹사이트
yahoo!辞書-信仰
http://dic.yahoo.co.[...]
[122]
서적
Warranted Christian Belief
http://www.ccel.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2-01
[123]
서적
Faith Has Its Reasons: Integrative Approaches to Defending the Christian Faith
https://books.google[...]
IVP Books
2006-03-01
[124]
백과사전
Faith
Encyclopaedia Britannica
1964
[125]
성경
The importance of a belief in the resurrection is substantiated in several way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꼬리에 꼬리 무는 낱말 이야기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