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친 학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친 학살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세르비아 준군사조직인 '흰 독수리'에 의해 자행된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1991년 12월 13일, 흰 독수리 부대는 보친 마을에서 최소 43명의 크로아티아계 민간인을 고문, 총격, 화형 등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했다. 학살 이후 크로아티아군이 보친을 점령한 후, 유엔 조사단은 이 사건을 집단학살로 규정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등 관련자들이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기소되었으나, 재판 과정에서 사망하거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학살 - 부코바르 학살
    부코바르 학살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세르비아계 준군사 조직이 부코바르 함락 직후 최소 260여 명의 민간인과 부상병을 학살한 전쟁 범죄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최악의 집단 학살 중 하나로 기록된다.
  • 1991년 학살 - 고스피치 학살
    고스피치 학살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고스피치 지역에서 크로아티아군 지휘 하에 세르비아계 민간인들이 체포되어 살해된 집단 학살 사건으로, 최소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관련자들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
  • 1991년 12월 - 소련의 붕괴
    소련의 붕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체제가 붕괴된 사건으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과 민족주의 운동, 경제 위기, 체르노빌 사고 등이 원인이 되어 각 공화국의 독립 선언 후 1991년 12월 26일 공식 해체되었고 냉전 종식과 새로운 국제 관계 구도를 형성했다.
  • 1991년 12월 - 벨라베자 조약
    벨라베자 조약은 1991년 12월 8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3개국 정상이 소련의 해체와 독립국가연합(CIS)의 창설을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세르비아의 전쟁 범죄 - 세르비아 의용방위군
    세르비아 의용방위군은 1990년 10월에 창설되어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참전하고 인종 청소에 가담했으며, 1996년 4월에 해산되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세르비아의 전쟁 범죄 -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두브로브니크 포위전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몬테네그로군이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를 포위, 공격하여 점령 후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에 병합하려다 실패한 사건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인 두브로브니크 구시가지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전쟁 범죄 논란을 야기했다.
보친 학살
지도
보친 크로아티아 지도
보친 크로아티아 지도
기본 정보
제목보친 학살
전체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위치크로아티아 보친
대상주로 크로아트인 민간인
날짜1991년 12월 13일
유형즉결 처형, 민족 청소
사망자43명
가해자흰 독수리 준군사 조직
동기반가톨릭주의, 반크로아티아 감정, 대세르비아, 세르비아화주의

2. 배경

1991년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바냐루카 주둔 제5군단은 오쿠차니부터 다루바르와 비로비티차까지 서슬라보니아 지역을 북쪽으로 진격하고, 2차로 오쿠차니부터 쿠티나 방면까지 진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임무는 약 일주일간 동슬라보니아에서 진격하는 유고 인민군의 주력이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진격도와 일치했다. 두 부대가 합류한 후 자그레브바라주딘을 향해 서쪽으로 더 진격하기로 계획되었다.

유고 인민군은 노브스카, 노바그라디슈카, 파크라츠 사이에서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에게 저지당했지만, 서슬라보니아 세르브인 자치주(SAO 서슬라보니아) 영토방위군이 파크라츠 북쪽 빌로고라산과 파푸크산, 슬라티나와 비로비티차 인근에 유고 인민군의 지원 없이 진지 구축에 성공했다. 영토방위군은 10월 파푸크산의 보친 마을에 배치된 준군사 조직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있었던 준군사조직은 보이슬라브 셰셸이 지휘하는 흰 독수리였다. 셰셸은 다음 달 보친을 방문해 준군사조직을 선동하여 마을에 거주했던 크로아트인을 박해했다. 보친에서 살아남은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흰 독수리와 몇몇 지역 세르브인이 크로아트인을 위협했으며 이 때문에 1991년 말에는 마을 내 크로아트인이 80명으로 급감했다. 전쟁 기간 마을의 세르브인 비율은 전쟁 이전 약 64%에 비교하여 80%까지 치솟았다.

10월 29일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은 허리케인-91 작전으로 노브스카와 노바그라디슈카의 유고 인민군 및 영토방위군 병력을, 스와치-10 작전을 통해 비로비티차 남쪽 빌로고라산 지역의 영토방위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스와치-10 작전과 파푸크 지역 탈환의 성공을 발판으로 11월 3일 크로아티아 육군(HV)으로 개명한 크로아티아 군사는 11월 28일 파푸크-91 작전을 시작했다.

2. 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서슬라보니아 공세

1991년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제5(바냐루카) 군단은 오쿠차니에서 다루바르와 비로비티차를 향해 북쪽으로 진격하고, 오쿠차니에서 쿠티나 방향으로 2차 공격을 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 작전은 동부 슬라보니아에서 진격하는 JNA 주력 부대와 약 일주일 안에 합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두 부대가 합류한 후 자그레브바라주딘까지 서쪽으로 추가 진격을 할 예정이었다.

JNA는 노브스카, 노바그라디슈카, 파크라츠 사이에서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에게 저지당했지만, 서슬라보니아 세르브인 자치주(SAO 서슬라보니아) 영토방위군(TO) 부대는 JNA의 지원 없이 파크라츠 북쪽의 빌로고라산과 파푸크산, 비로비티차와 슬라티나 근처에 진지를 구축했다. 10월에는 파푸크산의 보친 마을에 세르비아 준군사 조직이 배치되어 TO를 지원했다. 이 준군사 조직은 보이슬라브 셰셸이 지휘하는 흰 독수리였으며, 셰셸은 다음 달 보친을 방문해 준군사조직을 선동하여 마을에 거주했던 크로아트인을 박해했다.

10월 29일,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은 허리케인-91 작전으로 노브스카와 노바그라디슈카 인근의 JNA 및 TO 점령지를, 스와치-10 작전으로 비로비티차 남쪽 빌로고라산 지역의 TO 점령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1월 3일 크로아티아 육군(HV)으로 개명한 크로아티아 군사는 스와치-10 작전과 파푸크 지역 탈환의 성공을 발판으로 11월 28일 파푸크-91 작전을 시작했다.

2. 2. 서슬라보니아 세르비아계 자치 지역의 상황

1991년 크로아티아 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제5군단은 오쿠차니에서 다루바르와 비로비티차까지 서슬라보니아 지역을 북쪽으로 진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들은 동슬라보니아에서 진격하는 유고 인민군의 주력과 합류할 예정이었다. 유고 인민군은 노브스카, 노바그라디슈카, 파크라츠 사이에서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에게 저지당했지만, 서슬라보니아 세르브인 자치주(SAO 서슬라보니아) 영토방위군은 파크라츠 북쪽 빌로고라산과 파푸크산, 슬라티나와 비로비티차 인근에 유고 인민군의 지원 없이 진지를 구축했다.

10월, 영토방위군은 파푸크산의 보친 마을에 배치된 준군사 조직의 지원을 받았다. 이 준군사조직은 보이슬라브 셰셸이 지휘하는 흰 독수리였다. 셰셸은 다음 달 보친을 방문해 준군사조직을 선동하여 마을에 거주했던 크로아트인을 박해했다. 보친 생존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흰 독수리와 여러 지역 세르브인들은 크로아티아인들을 위협했다.

2. 3. 크로아티아군의 반격 작전

1991년 크로아티아 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바냐루카 주둔 제5군단은 오쿠차니부터 다루바르와 비로비티차까지 서슬라보니아 지역을 북쪽으로 진격하고, 2차로 오쿠차니부터 쿠티나 방면까지 진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임무는 약 일주일간 동슬라보니아에서 진격하는 유고 인민군의 주력이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진격도와 일치했다. 두 부대가 합류한 후 자그레브바라주딘을 향해 서쪽으로 더 진격하기로 계획되었다.

유고 인민군은 노브스카, 노바그라디슈카, 파크라츠 사이에서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에게 저지당했지만, 서슬라보니아 세르브인 자치주(SAO 서슬라보니아) 영토방위군이 파크라츠 북쪽 빌로고라산과 파푸크산, 슬라티나와 비로비티차 인근에 유고 인민군의 지원 없이 진지 구축에 성공했다. 영토방위군은 10월 파푸크산의 보친 마을에 배치된 준군사 조직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있었던 준군사조직은 보이슬라브 셰셸이 지휘하는 흰 독수리였다. 셰셸은 다음 달 보친을 방문해 준군사조직을 선동하여 마을에 거주했던 크로아트인을 박해했다. 보친에서 살아남은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흰 독수리와 몇몇 지역 세르브인이 크로아트인을 위협했으며 이 때문에 1991년 말에는 마을 내 크로아트인이 80명으로 급감했다. 전쟁 기간 마을의 세르브인 비율은 전쟁 이전 약 64%에 비교하여 80%까지 치솟았다.

10월 29일,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은 허리케인-91 작전으로 노브스카와 노바그라디슈카의 유고 인민군 및 영토방위군 병력을, 스와치-10 작전을 통해 비로비티차 남쪽 빌로고라산 지역의 영토방위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스와치-10 작전과 파푸크 지역 탈환의 성공을 발판으로 11월 3일 크로아티아 육군(HV)으로 개명한 크로아티아 군사는 11월 28일 파푸크-91 작전을 시작했다.

3. 보친 학살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세르비아 준군사조직 '흰 독수리'는 1991년 12월 13일 정오부터 12시간 동안 보친에서 크로아티아계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이 학살로 최소 43명이 희생되었다. 희생자 대부분은 56세에서 84세 사이의 고령층이었으며, 이웃을 보호하려던 77세의 세르비아인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크로아티아인이었다.

희생자들은 총격 외에도 고문, 쇠사슬 구타, 화형 등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되었다. 한 부부는 쇠사슬에 묶여 산 채로 불에 타 숨졌고, 두 여성은 도끼에 맞아 사망했으며, 다른 부부는 참수되어 머리가 가방에 담겨졌다.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려던 세르비아인도 구타, 담뱃불 고문, 달궈진 쇠사슬 고문, 피부 껍질 벗기기 등 심각한 고문을 당했다.

흰 독수리 부대는 새벽 3시경 550년 된 축복받은 성모 마리아 교회 건물을 폭파하여 파괴했다. 이들은 수 톤의 폭발물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후 재건된 보친의 축복받은 성모 마리아 교회의 전경. 이 교회는 보친 학살 당시 폭파되었다.


학살 당시 시신은 훼손된 채 보친 외부에 방치되었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도망치지 않으면 죽는다는 경고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3. 1. 학살의 잔혹성과 특징

보친 학살은 1991년 12월 13일 정오부터 12시간 동안 세르비아계 준군사조직 '흰 독수리'에 의해 자행되었으며, 최소 43명의 크로아티아계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희생자 대부분은 56세에서 84세 사이의 고령층이었으며, 이웃을 보호하려던 77세의 세르비아인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크로아티아인이었다.

희생자들은 총격 외에도 고문, 쇠사슬 구타, 화형 등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되었다. 한 부부는 쇠사슬에 묶여 산 채로 불에 타 숨졌고, 두 여성은 도끼에 맞아 사망했으며, 다른 부부는 참수되어 머리가 가방에 담겨졌다.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려던 세르비아인도 구타, 담뱃불 고문, 달궈진 쇠사슬 고문, 피부 껍질 벗기기 등 심각한 고문을 당했다.

흰 독수리 부대는 새벽 3시경 550년 된 축복받은 성모 마리아 교회 건물을 폭파하여 파괴했다. 이들은 수 톤의 폭발물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학살 당시 시신은 훼손된 채 보친 외부에 방치되었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도망치지 않으면 죽는다는 경고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4. 학살 이후

크로아티아군이 1991년 12월 14일에서 15일로 넘어가는 밤 보친을 점령했다.[4] 크로아티아군은 마을에 있던 세르비아인 소유 주택 여러 채를 불태웠다.[5] 도추멘타에 따르면 보친 점령 과정에서 세르브인 40명이 살해당했다.[5]

유엔 사실조사 임무차 크로아티아에 파견되었던 프랭크 맥클로스키는 보친 재점령 이후 마을에 가장 먼저 도착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맥클로스키는 보좌관에게 다음 날 자그레브에서 기자회견을 열게 준비해달라고 요청했고, 보좌관은 화학무기 사용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크로아티아로 파견되었던 로스앤젤레스 종합의료센터의 임상부교수인 제리 블라스코비치 박사에게 사건 조사에 참여해달라고 설득했다. 기자회견에서 맥클로스키는 보친의 학살을 집단학살이라고 말했다. CNN의 기자인 마크 댈미쉬는 데스크가 살해 사건 보도를 불신해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않았고 나중에 블라스코비치가 학살 조사에 참여한다는 소식을 듣자 이 사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희생자의 시신은 12월 17일 법의학적 검사를 위해 인근의 마을인 슬라티나로 이송되었다. 맥클로스키는 크로아티아 정부에 연락해 희생자들의 검시를 문서화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지만 슬라티나 지방정부에서 접근을 막았다. 맥클로스키는 크로아티아 국방부 장관인 고이코 슈샤크에 연락해 자신을 대신해 개입해달라고 요청했지만 현지 경찰도 슈샤크의 말을 듣지 않았다. 결국 슬라티나에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이 배치되어 슈샤크의 협조명령을 집행하러 하자 이 문제로 무력 충돌이 발생할 뻔 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그레브 대학교 법의학 연구소에서 팀을 슬라티나에 파견해 부검을 실시하고 시신을 수습했으며 나머지 절차는 자그레브에서 진행했다.

지하실이나 옥수수밭 등으로 피신한 생존자들과 생포된 준군사조직의 한 부대원은 나중에 보친 학살을 증언하며 흰 독수리가 자행했다고 주장했다. 철수한 준군사조직은 인사 기록을 포함한 여러 중요 기록을 남겼는데 이를 통해 당시 보친에 있었던 준군사조직이 보이슬라브 셰셸과 관련된 흰 독수리 부대임이 알려졌다.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의 미국 전범수사관인 존 센치치 특수요원은 당시 세르비아의 대통령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학살에 연루되었음을 고위급과의 인터뷰를 통해 밝혀냈다. ICTY는 밀로셰비치를 보친에서 민간인 32명을 학살한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밀로셰비치는 이후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으나 재판 도중 사망했다. 또한 ICTY는 세르브계가 아닌 민간인을 보친에서 강제추방한 혐의로 셰셸을 기소했다.[6]

2014년 3월 크로아티아는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보친에서의 학살이 슬라보니아의 크로아트인을 향한 대규모 집단학살 과정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2015년 ICJ는 제출된 자료가 보친에서 발생한 일에 대한 중대한 의혹을 제기하긴 하지만 해당 지역에서 세르비아군이 의도적으로 크로아트인을 살해했다는 사실에 대해 확실하게 입증할 만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결했다.[6]

4. 1. 국제사회의 대응

보친 재점령 이후, 유엔 사실조사 임무차 크로아티아에 파견되었던 프랭크 맥클로스키가 가장 먼저 마을에 도착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맥클로스키는 보좌관에게 다음 날 자그레브에서 기자회견을 열게 준비해달라고 요청했고, 보좌관은 화학무기 사용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크로아티아로 파견되었던 로스앤젤레스 종합의료센터의 임상부교수인 제리 블라스코비치 박사에게 사건 조사에 참여해달라고 설득했다. 기자회견에서 맥클로스키는 보친의 학살을 집단학살이라고 말했다. CNN의 기자인 마크 댈미쉬는 데스크가 살해 사건 보도를 불신해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않았고 나중에 블라스코비치가 학살 조사에 참여한다는 소식을 듣자 이 사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알려졌다.

희생자의 시신은 12월 17일 법의학적 검사를 위해 인근의 마을인 슬라티나로 이송되었다. 맥클로스키는 크로아티아 정부에 연락해 희생자들의 검시를 문서화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지만 슬라티나 지방정부에서 접근을 막았다. 맥클로스키는 크로아티아 국방부 장관인 고이코 슈샤크에 연락해 자신을 대신해 개입해달라고 요청했지만 현지 경찰도 슈샤크의 말을 듣지 않았다. 결국 슬라티나에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이 배치되어 슈샤크의 협조명령을 집행하러 하자 이 문제로 무력 충돌이 발생할 뻔 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그레브 대학교 법의학 연구소에서 팀을 슬라티나에 파견해 부검을 실시하고 시신을 수습했으며 나머지 절차는 자그레브에서 진행했다.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의 미국 전범수사관인 존 센치치 특수요원은 당시 세르비아의 대통령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학살에 연루되었음을 고위급과의 인터뷰를 통해 밝혀냈다. ICTY는 밀로셰비치를 보친에서 민간인 32명을 학살한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밀로셰비치는 이후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으나 재판 도중 사망했다. 또한 ICTY는 세르브계가 아닌 민간인을 보친에서 강제추방한 혐의로 보이슬라브 셰셸을 기소했다.

2014년 3월 크로아티아는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보친에서의 학살이 슬라보니아의 크로아트인을 향한 대규모 집단학살 과정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2015년 ICJ는 제출된 자료가 보친에서 발생한 일에 대한 중대한 의혹을 제기하긴 하지만 해당 지역에서 세르비아군이 의도적으로 크로아트인을 살해했다는 사실에 대해 확실하게 입증할 만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결했다.[6]

4. 1. 1.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재판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보친 학살에서 민간인 32명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했다. 밀로셰비치는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으나, 재판 도중 사망했다.

4. 1. 2. 보이슬라브 셰셸 재판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보이슬라브 셰셸을 보친에서 세르브계가 아닌 민간인을 강제 추방한 혐의로 기소했다.[6] 셰셸은 결국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4. 2. 한국의 관점

보친 학살은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발생한 최악의 전쟁범죄 중 하나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중 세르비아계 민병대 '흰 독수리 부대'가 크로아티아인들을 학살한 사건이다.[4][5] 이 사건은 민족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극적인 결과를 보여주며, 소수 집단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경고한다.

크로아티아군이 보친을 점령한 후, 마을에 남아있던 세르비아계 민간인 40명이 살해되었다.[5] 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유엔 사실조사 임무차 크로아티아에 파견되었던 프랭크 맥클로스키는 보친 학살을 집단학살이라고 규정했다.[6] 그는 크로아티아 정부에 희생자들의 검시를 요청했지만, 슬라티나 지방정부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었다.[6] 결국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이 개입하고 자그레브 대학교 법의학 연구소에서 부검을 실시하여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려 노력했다.

생존자들과 생포된 준군사조직원의 증언에 따르면, 학살은 흰 독수리 부대가 자행한 것으로 밝혀졌다.[4] 또한, 철수한 준군사조직이 남긴 기록을 통해 당시 세르비아 대통령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학살에 연루되었음이 드러났다.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밀로셰비치를 기소했지만, 재판 도중 사망했다.[4]

보친 학살은 국제사회의 개입과 전범 처벌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특히, 흰 독수리 부대와 같은 극우 민족주의 단체의 잔혹 행위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규탄과 제재를 받아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Voćin https://snv.hr/en/zl[...] Serb National Council
[2] 웹사이트 Zločini u Voćinu – Sjećanje na sve žrtve https://www.document[...] 2013-12-13
[3] 웹사이트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Croatia v. Serbia) https://web.archive.[...] icj 2015-01-01
[4] 웹인용 Voćin https://snv.hr/en/zl[...] Serb National Council
[5] 웹인용 Zločini u Voćinu – Sjećanje na sve žrtve https://www.document[...] 2013-12-13
[6] 웹인용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Croatia v. Serbia) https://web.archive.[...] icj 201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