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50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0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열린 FIFA 월드컵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었다.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브라질이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지역 예선을 거쳐 총 13개국이 본선에 참가했다. 스코틀랜드, 터키, 인도가 기권하면서 프랑스가 초청받았지만, 이동 거리 문제로 불참하면서 13개국만 참가했다. 대회는 4개의 조별 리그와 결선 리그로 진행되었으며,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 우루과이가 결선 리그에 진출했다. 결선 리그에서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브라질은 준우승에 머물렀다. 브라질의 아데미르가 득점왕을 차지했고, 총 88골이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FIFA 월드컵 - 마라카낭의 비극
    마라카낭의 비극은 195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브라질이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브라질 축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 1950년 FIFA 월드컵 -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 개최되는 월드컵 본선 진출국을 가리는 과정이었으나, 여러 국가의 기권으로 최종 13개국만 참가했으며, 유럽, 남미, 북중미,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국이 결정되었고 개최국 브라질과 전 대회 우승국 이탈리아는 자동 진출, 대한민국은 6.25 전쟁으로 불참했다.
  • 1950년 축구 -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50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50은 1949-50 시즌의 라리가 우승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팀 아틀레틱 빌바오가 참가하여 아틀레틱 빌바오가 승리한 대회이다.
  • 1950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9-5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9-50은 스페인 축구 컵 대회로, 아틀레티코 빌바오가 레알 바야돌리드를 꺾고 통산 1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50년 FIFA 월드컵
기본 정보
공식 포스터
대회 이름1950년 FIFA 월드컵
다른 이름IV Campeonato Mundial de Futebol
브라질 1950
개최국브라질
개최 기간1950년 6월 24일 – 7월 16일
참가 팀 수13
대륙 연맹 수3
개최 도시 수6
개최 경기장 수6
결과
우승 팀우루과이
우승 횟수2
준우승 팀브라질
3위 팀스웨덴
4위 팀스페인
통계
총 경기 수22
총 득점88
총 관중 수1,045,246
최다 득점 선수아데미르 (9골)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38
다음 대회1954

2. 개최국 선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FIFA는 월드컵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했다. 전쟁 후유증으로 유럽 국가들이 복구에 전념하면서, FIFA는 대회 개최에 관심을 보이는 국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브라질은 1942년 대회 개최를 신청한 경험이 있었고, 1950년에 대회를 개최하겠다는 제안을 했다.[2]

1946년 7월 22일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시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브라질이 195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2]

3. 지역 예선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많은 국가들이 불참하거나 기권하는 가운데 진행되었다.[3]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팀인 이탈리아는 슈퍼가 항공기 사고로 주전 선수 대부분을 잃었지만, 배를 타고 대회에 참가했다.[3] 브라질(개최국)과 이탈리아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고, 나머지 14장의 출전권은 유럽에 7장, 아메리카에 6장, 아시아에 1장이 할당되었다.

16개국 중 3개국이 기권한 후 참가국들


"본토" 국가들은 17년간의 자발적 추방 후 4년 만에 FIFA에 재가입하여 참가 초청을 받았다.[3] 1949년-1950년 영국 본토 선수권 대회를 예선 조별 리그로 사용하여 잉글랜드가 1위, 스코틀랜드가 2위를 차지했다.[5] 하지만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SFA) 회장 조지 그레이엄은 스코틀랜드가 홈 챔피언십에서 우승해야만 브라질에 갈 수 있다고 말했고,[6][7] 스코틀랜드가 2위에 그치자 참가를 거부했다.[5]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와 벨기에가 기권하면서[3] 스위스와 터키가 자동 진출했다.[4] 터키는 재정적 여건을 이유로 기권했다.[8] 결국 잉글랜드,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유고슬라비아가 유럽 대표로 본선에 진출했다. 철의 장막 뒤에 있는 대부분의 국가들, 예를 들어 소비에트 연방,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는 불참했고,[3] 유고슬라비아만이 유일한 동유럽 국가였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축구협회와의 분쟁 때문에 기권하면서,[3] 칠레,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가 자동으로 진출했다.[3]

북중미&카리브 (CONCACAF) 예선에서는 미국멕시코가 본선에 진출했다.

아시아에서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버마가 모두 기권하여 인도가 유일하게 예선을 통과했지만,[3] 여행 경비, 훈련 시간 부족, 선수 선발 문제, 올림픽 중시 등의 이유로 참가를 포기했다.[11] 전인도축구연맹이 선수들을 신뢰하지 못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4]

FIFA는 스코틀랜드와 터키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포르투갈프랑스를 초청했지만, 포르투갈은 거절했고 프랑스는 처음에는 수락했다가 경기장 간 이동 거리가 너무 멀다는 이유로 기권했다.

4. 참가국

1950년 FIFA 월드컵에는 총 13개국이 본선에 참가했다. 원래 16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인도, 스코틀랜드, 튀르키예가 기권하면서[5][6][7][8] 최종적으로 13개국이 되었다.

잉글랜드는 이번 대회가 첫 월드컵 출전이었다.[5] 우루과이, 멕시코, 칠레, 파라과이, 볼리비아1930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참가했고, 유고슬라비아 또한 1930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스페인미국1934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스코틀랜드는 홈 챔피언십에서 2위를 기록하여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지만,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 회장 조지 그레이엄이 홈 챔피언십에서 우승해야만 브라질에 갈 수 있다고 했던 약속을[5] 이유로 참가를 포기했다.[5][6][7] 튀르키예는 재정적인 문제로 기권했다.[8] FIFA는 스코틀랜드와 튀르키예를 대신하여 포르투갈, 아일랜드, 프랑스를 초청했지만, 포르투갈과 아일랜드는 거절했고, 프랑스는 초청을 수락했다가[9][10] 경기장 간 이동 거리가 너무 멀다는 이유로 기권했다.

인도는 전인도 축구 연맹이 여행 경비, 훈련 시간 부족, 선수 선발 문제, 그리고 FIFA 월드컵보다 올림픽을 중시한다는 이유로 참가를 포기했다.[11]

다음은 195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국 목록이다.

대륙 연맹출전
국가 수
예선
예선 순위
출전국·지역출전 횟수
CONMEBOL1+4개최국브라지우/Brasilpt4회 연속 4회째
남미 예선7조칠레/Chilees3회 만에 2회째
볼리비아/Boliviaes3회 만에 2회째
8조우루과이/Uruguayes3회 만에 2회째
파라과이/Paraguayes3회 만에 2회째
UEFA1+7전회 우승국이탈리아/Italiait3회 연속 3회째
유럽 예선1조1위잉글랜드/England영어초출전
2위스코틀랜드/Scotland영어출전 포기
2조1위튀르키예/Türkiyetr출전 포기
3조1위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3회 만에 2회째
4조1위스위스/Schweizde3회 연속 3회째
5조1위스웨덴/Sverigesv3회 연속 3회째
6조1위스페인/Españaes2회 만에 2회째
CONCACAF2북중미카리브해 예선9조1위멕시코/Méxicoes3회 만에 2회째
2위미국/United States영어2회 만에 3회째
AFC1아시아 예선10조1위인도/Bhārathi출전 포기


5. 대회 방식

브라질 조직위원회는 경기 수와 티켓 판매를 극대화하기 위해 새로운 경기 방식을 제안했다. 13개 팀은 4개의 1차 조별 리그로 나뉘었고, 각 조의 우승팀은 최종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우승팀을 결정했다.[15] 1934년과 1938년에 사용되었던 단판 토너먼트 방식은 16경기만 치러졌지만, 제안된 2라운드 조별 리그 방식은 30경기를 보장하여 더 많은 티켓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15] 또한, 이 방식은 각 팀이 최소 3경기를 치르도록 보장하여 유럽 팀들이 남아메리카로 건너와 경쟁할 수 있는 더 큰 동기를 부여했다.[15] FIFA는 처음에 이 제안에 반대했지만, 브라질이 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면 개최권을 포기하겠다고 위협하자 재고했다.[15]

각 조에서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을 받았다. 조 1위 결정에 점수가 동률인 경우, 조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플레이오프가 열렸을 것이다.[16]

전체 토너먼트는 4개의 1차 조별 리그가 지리적 기준이 없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여러 팀들은 경기를 완료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해야 했지만, 브라질은 세 경기 중 두 경기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치르고 다른 한 경기는 비교적 가까운 상파울루에서 치를 수 있었다.

6. 개최 도시 및 경기장

1950년 FIFA 월드컵은 브라질 6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수도였던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에서는 마라카낭 참사 경기를 포함하여 8경기가 열렸다.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는 6경기가 열렸다. 이 두 경기장은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개최한 유일한 경기장이었다. 벨루오리존치의 세떼드세템브루 경기장에서는 3경기, 쿠리치바의 두리발 데 브리투 경기장과 포르투알레그리의 우칼리프투스 경기장에서는 각각 2경기, 레시페의 일랴 두 레티루 경기장에서는 1경기가 열렸다. 브라질은 새로운 경기장 건설에 2억 9천만 달러를 투자했고, 마라카낭 건설 비용만 약 2억 7천 5백만 달러였다.[20]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벨루오리존치
이스타디오 두 마라카낭이스타디오 두 파카엠부이스타디오 세떼 드 세템브루
수용 인원: 200,000수용 인원: 60,000수용 인원: 30,000
마라카낭 경기장
파카엠부 경기장
인데펜덴시아 경기장
colspan="3" |
포르투알레그리레시페쿠리치바
이스타디오 두스 우칼리프투스이스타디오 일랴 두 레티루이스타디오 빌라 카파네마
수용 인원: 20,000수용 인원: 20,000수용 인원: 10,000
일랴 두 레티루 경기장
두리발 데 브리투 경기장


6. 1. 경기장 목록

1950년 FIFA 월드컵은 브라질 6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수도였던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에서는 마라카낭 참사 경기를 포함하여 8경기가 열렸다.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는 6경기가 열렸다. 이 두 경기장은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개최한 유일한 경기장이었다. 벨루오리존치의 세떼드세템브루 경기장에서는 3경기, 쿠리치바의 두리발 데 브리투 경기장과 포르투알레그리의 우칼리프투스 경기장에서는 각각 2경기, 레시페의 일랴 두 레티루 경기장에서는 1경기가 열렸다. 브라질은 새로운 경기장 건설에 2억 9천만 달러를 투자했고, 마라카낭 건설 비용만 약 2억 7천 5백만 달러였다.[20]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벨루오리존치
이스타디오 두 마라카낭이스타디오 두 파카엠부이스타디오 세떼 드 세템브루
수용 인원: 200,000수용 인원: 60,000수용 인원: 30,000
colspan="3" |
포르투알레그리레시페쿠리치바
이스타디오 두스 우칼리프투스이스타디오 일랴 두 레티루이스타디오 빌라 카파네마
수용 인원: 20,000수용 인원: 20,000수용 인원: 10,000


6. 1. 1. 리우데자네이루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6. 1. 2. 상파울루

아무런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6. 1. 3. 벨루오리존치

아무 내용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에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6. 1. 4. 쿠리치바

(내용 없음)

6. 1. 5. 포르투알레그리

(내용 없음)

6. 1. 6. 헤시피

내용이 없습니다.

7. 선수 명단

195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195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조별 리그

경기 시작 시각은 모두 현지 시간(UTC-3) 기준이다.

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브라질3210825
2유고슬라비아3201734
3스위스3111463
4멕시코30032100


  • 1950년 6월 28일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에서 열린 브라질스위스의 경기에서 아우프레도와 바우타자르[33]가 각각 브라질의 골을, 파통이 스위스의 2골을 넣어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은 42,032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2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스위스의 경기에서 바데와 안테넨[37]이 스위스의 골을, 카사린이 멕시코의 골을 넣어 스위스가 2-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3,580명이 입장했다.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스페인330061+56
2잉글랜드31022202
3칠레310256-12
4미국310248-42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잉글랜드 2 - 0 칠레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스페인 3 - 1 미국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스페인 2 - 0 칠레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미국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스페인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칠레 5 - 2 미국

  • 에스타디오 이야 두 레시피(레시페) (관중: 8,501명)
  • 주심: 마리우 갈데리 (브라질)
  • 득점:
  • * 칠레: 로블레도 (16'), 크레마시 (32', 60'), 프리에토 (54'), 리에라 (82')
  • * 미국: 윌리스 (47'), 마카 (48' 페널티골)


C조는 스웨덴, 이탈리아, 파라과이로 구성되었다. 인도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0][41][44][45][46][47]

순위득점실점승점
1스웨덴110543
2이탈리아101432
3파라과이011241


1950년 6월 25일 15:00

스웨덴 3 - 2 이탈리아
1950년 6월 29일 15:30

스웨덴 2 - 2 파라과이
1950년 7월 2일 15:00

이탈리아 2 - 0 파라과이

프랑스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8] 계속되는 초청국[49]들의 기권으로 인해 D조는 우루과이볼리비아의 경기만 유일하게 진행되었다.

순위득점실점승점
1우루과이100802
2볼리비아001080


1950년 7월 2일 15:00

우루과이 8 - 0 볼리비아

8. 1. A조

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브라질3210825
2유고슬라비아3201734
3스위스3111463
4멕시코30032100

8. 1. 1. 경기 결과 (A조)

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브라질3210825
2유고슬라비아3201734
3스위스3111463
4멕시코30032100


  • 1950년 6월 28일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에서 열린 브라질스위스의 경기에서 아우프레도와 바우타자르가 각각 브라질의 골을, 파통이 스위스의 2골을 넣어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은 42,032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보베크, Ž. 차이코프스키(2골), 토마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의 골을, 오르티스가 멕시코의 골을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4-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1,078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2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스위스의 경기에서 바데와 안테넨이 스위스의 골을, 카사린이 멕시코의 골을 넣어 스위스가 2-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3,580명이 입장했다.

8. 2. B조

B조에는 스페인, 잉글랜드, 칠레, 미국이 편성되었다.[38] 스페인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 리그에 진출했다.[38]

승점경기
스페인6330061+5
잉글랜드23102220
칠레2310256-1
미국2310248-4



1950년 6월 25일 15:00

잉글랜드 2 - 0 칠레



1950년 6월 25일 15:00

스페인 3 - 1 미국

1950년 6월 29일 15:00

스페인 2 - 0 칠레

1950년 6월 29일 18:00

미국 1 - 0 잉글랜드
미국 대 잉글랜드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미국은 잉글랜드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1950년 7월 2일 15:00

스페인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8:00

칠레 5 - 2 미국

8. 2. 1. 경기 결과 (B조)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스페인330061+56
2잉글랜드31022202
3칠레310256-12
4미국310248-42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잉글랜드 2 - 0 칠레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스페인 3 - 1 미국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스페인 2 - 0 칠레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미국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스페인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칠레 5 - 2 미국

  • 에스타디오 이야 두 레시피(레시페) (관중: 8,501명)
  • 주심: 마리우 갈데리 (브라질)
  • 득점:
  • * 칠레: 로블레도 (16'), 크레마시 (32', 60'), 프리에토 (54'), 리에라 (82')
  • * 미국: 윌리스 (47'), 마카 (48' 페널티킥)

8. 3. C조

C조는 스웨덴,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라과이로 구성되었다. 인도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0][41][44][45][46][47]

승점경기
스웨덴3211054+1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2210143+1
파라과이1201124-2
인도기권



1950년 6월 25일,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이탈리아의 경기에서 스웨덴이 3-2로 승리했다.[39] 스웨덴의 제프손이 2골, 안데르손이 1골을 넣었고,[40] 이탈리아는 카라펠레세무치넬리가 득점했다.[41]

1950년 6월 29일, 쿠리치바의 쿠투 페헤이라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파라과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42][43] 스웨덴은 선퀴비스트와 팔메르가 득점했고,[42][43] 파라과이는 A. 로페즈와 C. 로페즈가 득점했다.[44][45]

1950년 7월 2일,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파라과이의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46][47] 이탈리아의 카라펠레세와 판돌피니가 득점했다.[46][47]

스웨덴은 1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리그에 진출했다.

8. 3. 1. 경기 결과 (C조)

안데르손 (득점 34분) - 카라펠레세 (득점 7분)
무치넬리 (득점 78분)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

관중: 36,502명

주심: 장 루츠

  • ---

SWE/1950년 6월 29일}} 15:30

순드크비스트 (득점 17분)
팔멜 (득점 26분) - 로페스 프레테스 (득점 35분)
로페스 (득점 74분)

(쿠리치바)

관중: 7,903명

주심: 로버트 미첼

  • ---

ITA/1950년 7월 2일}} 15:00

카라펠레세 (득점 12분)
판돌피니 (득점 63분)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

관중: 25,811명

주심: 아서 엘리스

  • ---

8. 4. D조

프랑스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8] 계속되는 초청국[49]들의 기권으로 인해 D조는 우루과이볼리비아의 경기만 유일하게 진행되었다.

승점경기
우루과이2110080+8
볼리비아0100108-8
{{llang기권



1950년 7월 2일 18:00 (벨루오리존치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볼리비아의 경기에서 미구에스가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비달, 쉬아피노, 페레스, 기지아가 득점하며 우루과이가 8-0으로 승리했다.[50][51][52][53][54][41] 이 경기의 관중 수는 5,284명이었고, 주심은 잉글랜드의 조지 리더였다.

8. 4. 1. 경기 결과 (D조)

비달
스키아피노
페레스
기하 에스타디오 세테 지 세템브루(벨루오리존치)관중: 5,284명주심: 조지 리더 ()

9. 결선 리그

1950년 FIFA 월드컵 결선 리그는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 우루과이가 진출했다.[18] 결선 리그는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우루과이가 2승 1무로 우승을 차지했다.[18] 브라질스웨덴을 7-1, 스페인을 6-1로 대파했지만,[18] 우루과이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1-2로 역전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마라카낭의 비극')[19]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321075+25
23201144+104
33102611-52
43012411-71



※경기 시작 시각은 모두 현지 시각(UTC-3) 기준.

'''1950년 7월 9일'''



'''1950년 7월 13일'''

'''1950년 7월 16일'''
300px

9. 1. 경기 결과 (결선 리그)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321075+25
23201144+104
33102611-52
43012411-71



※경기 시작 시각은 모두 현지 시각(UTC-3) 기준.

'''1950년 7월 9일'''



'''1950년 7월 13일'''

'''1950년 7월 16일'''

10. 우승국

우루과이1930년 FIFA 월드컵에 이어 두 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18] 결승 리그에서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을 꺾고 진출한 우루과이는, 1950년 7월 16일 마라카낭 경기장에서 열린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199,954명(일부 추산 205,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으며, 브라질은 비기기만 해도 우승할 수 있었으나, 후반 2분 프리아사(Friaça)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우루과이가 동점골과 역전골을 넣어 우승을 차지하였다.[18][19] 이 경기는 브라질에게 "마라카나조"("마라카낭의 일격")로 불리는 충격적인 패배로 기록되었으며, 브라질 골키퍼 모아시르 바르보사(Moacyr Barbosa)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평생 고통을 받았다.[19]

1950년 FIFA 월드컵 직전 마라카낭 경기장 개막 경기


1950년 월드컵 브라질-우루과이 결승전 티켓


새로 지은 마라카낭 경기장에서 열린 8경기(개최국 브라질이 출전한 5경기 포함) 덕분에 경기당 평균 관중 수가 거의 6만 1,000명에 달하며 1994년까지 깨지지 않는 기록을 세웠다.

11. 준우승국

브라질은 홈에서 열린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노렸으나, 결승 리그에서 우루과이에게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경기는 '마라카낭의 비극'(마라카나수/Maracanaçopt)으로 불리며 브라질 축구 역사에 큰 상처로 남았다.[19] 브라질은 스웨덴을 7-1, 스페인을 6-1로 대파하며 결승에 진출했지만, 우루과이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후반 2분 프리아사/Friaçapt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Juan Alberto Schiaffino)와 알시데스 기지아(Alcides Ghiggia)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역전패했다.[18]

이 경기는 19만 9,954명(일부 추산은 20만 5,000명)의 관중이 운집한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 경기장(Estádio do Maracanã)에서 열렸다.[19] 브라질의 골키퍼 모아시르 바르보사(Moacyr Barbosa)는 패배의 원흉으로 지목되어 평생 동안 고통받았다.[19] 그는 2000년 사망 직전 인터뷰에서 "브라질에서 최고형은 30년 형이지만, 저는 제 책임도 아닌 일 때문에 벌써 50년 동안 벌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9]

FIFA 월드컵 준우승

브라질
1958・1962·1970·1994·2002년


12. 득점 선수

195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총 88골이 터졌으며, 47명의 선수가 득점에 성공했다. 브라질의 아데미르는 8골을 기록하여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21]

5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에스타니슬라오 바소라와 오스카 미구에즈가 있다. 4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치코, 텔모 사라, 알시데스 기지아가 있다.

3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칼-에릭 팔메르, 스티크 선퀴비스트, 후안 알베르토 스치아피노가 있다.

2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발타자르, 자이르, 지지뉴, 아틸리오 크레마쉬,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실베스트레 이고아, 선 안데르손, 하세 제프손, 자퀴 파통, 젤리코 차이코프스키, 코스타 토마제비치가 있다.

1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알프레도, 프리아사, 마네카, 안드레스 프리에토, 조지 로블레도, 페르난도 리에라, 윌프 매니온, 스탠 모르텐센, 에르메스 무치넬리, 에지스토 판돌피니, 호라치오 카사린, 헥토르 오티즈, 아틸리오 로페즈, 세자르 로페즈, 브로르 멜베르, 르네 바데르, 진 타미니, 조 가에첸스, 프랭크 월리스, 훌리오 페레즈, 옵둘리오 바렐라, 에르네스토 비달, 스톄판 보베크, 티호미르 오그냐노프가 있다.

우루과이의 알시데스 기지아는 모든 경기에서 득점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21]

13. 최종 순위

1950년 FIFA 월드컵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22][23]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우루과이4310155+107
2브라질6411226+169
3스웨덴52121115-45
4스페인63121012-27
1라운드 탈락
5유고슬라비아320173+44
6스위스311146-23
7이탈리아210143+12
8잉글랜드31022202
9칠레310256-12
10미국310248-42
11파라과이201124-21
12멕시코3003210-80
13볼리비아100108-80


14. 기록

195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총 22번의 경기에서 88골이 터져 경기당 평균 4골을 기록했다. 브라질의 아데미르는 9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 선수로 선정되었다. 우루과이의 오스카르 미게스는 5골을 기록했다.

치코 (브라질)는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월드컵 300호 골을 기록했다. 오스카르 미구에스 (우루과이)는 볼리비아와의 경기에서, 아데미르 (브라질)는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우루과이의 알시데스 기지아는 모든 경기에서 득점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21]

순위선수명국적득점 수
1아데미르 (Ademir Marques de Menezes)9
2오스카르 미게스 (Oscar Míguez)5
에스타니슬라오 바솔라 (Estanislao Basora)
4시코 (Chico) (Francisco Aramburu)4
테르모 사라 (Telmo Zarra)
알시데스 기하 (Alcides Ghiggia)


참조

[1] 문서 Portuguese pronunciation
[2] 웹사이트 Planet World Cup - 1950 - Overview http://www.planetwor[...]
[3] 서적 Lisi (2007)
[4] 웹사이트 World Cup 1950 qualification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5]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1950 World Cup http://www.bbc.co.uk[...]
[6] 뉴스 Official Blundering Leads To Scottish Defeat https://news.google.[...] The Glasgow Herald 1950-04-17
[7] 뉴스 Scots May Yet Take Part In World Cup Series Strong Pressure On Selectors To Change Decision https://www.londonhe[...] The Scotsman 1950-04-17
[8] 웹사이트 History TFF http://www.tff.org/d[...]
[9] 서적 Lisi (2007)
[10] 웹사이트 Brazil's first World Cup draw https://www.fifa.com[...] FIFA 2013-12-03
[11] 블로그 Fit to Post: Yahoo! India News "Blog Archive Barefoot in Bengal and Other Stories" https://web.archive.[...]
[12] 서적 Lisi (2007)
[13] 뉴스 Did India withdraw from the 1950 World Cup because they were not allowed to play barefoot? http://latimesblogs.[...] 2011-07-19
[14] 웹사이트 why India did not compete in the 1950 football world cup and no it wasn't because they didnt have boots. https://www.indianex[...] 2022-11-10
[15] 서적 Lisi (2007)
[16] 웹사이트 The US and the 1950 World Cup http://www.phillysoc[...] The Philly Soccer Page 2010-04-29
[17] 웹사이트 Histórias Incríveis: México veste camisa de time gaúcho na Copa de 50 http://globoesporte.[...] 2013-02-05
[18] 서적 Stadi da leggenda: Viaggio nelle grandi arene che hanno fatto la storia del calcio https://books.google[...] SEM
[19] 웹사이트 Top 10 World Cup Goalkeeping Blunders http://www.goal.com/[...]
[20] 학술지 The game has changed -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FIFA World Cups https://doi.org/10.1[...] 2020
[21] 웹사이트 Brazil Legends: Jairzinho https://www.football[...]
[22] 문서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FIFA World Cup: Milestones, facts & figures. Statistical Kit 7 https://www.fifa.com[...] FIFA 2013-03-26
[24] 뉴스 裸足でのプレーを拒否されたため、1950年ブラジルワールドカップを棄権したのですか? https://megalodon.jp[...] ロサンゼルス・タイムズ 2011-07-19
[25] 문서
[26] 서적 ワールドカップの国際政治学 朝日新聞社
[27] 문서
[28] 잡지 サッカーの歴史 天皇杯全日本選手権 (6)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68-08
[29] 서적 日本サッカーのあゆみ 講談社
[30] 서적 ワールドカップの国際政治学 朝日新聞社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37]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및 득점자
[38]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39]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0]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1]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2]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3]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4]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및 득점자
[45]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및 득점자
[46]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7]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48] 문서 RSSSF 기록 - 배정 국가
[49] 문서 기권 국가 목록 및 사유
[50]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51]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52]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53]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54]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55]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56] 문서 RSSSF 기록 - 골 시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