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조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조식물은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의 세포 기관을 가진 진핵생물로, 엽록소 a와 d, 홍조소, 남조소 등의 피코빌린 색소를 함유하여 붉은색을 띤다. 주로 바다에서 서식하며, 광합성을 통해 홍조 녹말을 저장한다. 유성 생식은 난자와 정자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생식 세포에는 편모가 없어 헤엄칠 수 없다. 홍조류는 단세포에서 다세포 형태까지 다양하며, 세포벽의 주성분은 아가로스와 셀룰로오스이다. 일부는 탄산칼슘을 침착시켜 석회조류가 되기도 한다. 홍조식물은 엽록소 a와 d를 사용하며, 피코빌린 색소로 인해 붉은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홍조식물은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 분화된 세포 기관을 가진 진핵생물이다. 분홍색이나 암홍색 등을 띠는 엽록체를 가지는데, 여기에는 엽록소 a나 엽록소 d 및 홍조소와 남조소 등의 피코빌린 색소가 들어있다.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물질은 홍조 녹말 형태로 체내에 저장된다.
홍조식물은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을 모두 하며, 세대교번을 한다. 홍조식물의 생활환은 로도카에테형, 아마노리형, 실고사형, 카기노리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홍조식물은 연안 암초에 주로 서식하며, 얕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까지 분포한다. 일부 종은 담수에서도 발견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다. 홍조식물은 김, 우뭇가사리, 돌가사리 등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천, 카라기난 등 산업적으로 중요한 피코콜로이드의 원료로도 활용된다.
2. 특징
유성 생식은 난자와 정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홍조식물의 생식 세포에는 편모가 없어 헤엄을 칠 수 없다.
김이나 풀가사리처럼 얕은 바다에서 자라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홍조식물은 간조선보다 더 깊은 곳에서 서식한다. 특히, 우뭇가사리는 약 10m 정도의 깊은 곳에서 많이 자라며, 100m 이상의 깊은 곳에서 자라는 종류도 많다. 홍조식물이 이렇게 깊은 곳에서 자랄 수 있는 것은 체내에 있는 홍조소가 약 0.5mμ 부근의 단파장 빛을 광합성에 이용하기 때문이다. 빛은 바다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적색·주황색·황색·자색·남색·녹색·청색의 순서로 흡수되므로,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될 수 있는 것은 청색과 녹색이다. 따라서, 홍조식물은 깊은 바다에 위치하면서 자신의 몸 빛깔과 보색 관계에 있는 청색이나 녹색빛을 광합성에 이용한다. 얕은 곳에서 자라는 진두말 등은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는데, 이것은 적색이나 황색의 장파장 빛을 광합성에 잘 이용한 결과 녹색 엽록소량은 늘어난 반면 홍조소는 감소된 보색 적응 현상 때문이다.[48]
2. 1. 형태
홍조류는 단세포 형태부터 복잡한 유조직 및 비유조직 엽상체까지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44] 이들은 이중 세포벽을 가지는데, 바깥층은 다당류 아가로스와 아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끓여서 한천으로 추출할 수 있다. 안쪽 벽은 대부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홍조류는 알려진 것 중 가장 유전자 함량이 높은 엽록체 유전체를 가지고 있다.[45]
대부분의 홍조류는 다세포 대형 조류이지만, 단세포성 또는 사상(絲狀) 미세 조류도 존재한다.[91][92][93][94][95] 다세포성 조체의 외형은 사상, 막상, 끈 모양, 수지상 등 다양하다.[96][97][98][99] 김파래류(우시케노리강)처럼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막상체를 만드는 종도 있지만, 대부분은 분지 사상체를 기본으로 하며, 이 세포사가 뭉쳐 '''위유조직'''(pseudoparenchyma)을 형성한다(3차원적인 세포 분열로 형성되는 유조직은 아님). 위유조직체 내에서는 조체 내부의 수질(髓質, medulla)과 표층의 피층(皮層, cortex)과 같은 단순한 조직 분화를 보이기도 한다.[96] 다세포성 종은 보통 기질에 부착하기 위한 가근(假根, rhizoid)이나 부착기(附着器, holdfast)를 가지며, 영양염 흡수 및 피식 방어에 작용하는 모상 세포(hair cell, trichocyte) 및 분비 세포(gland cell)를 갖는 경우도 있다.[100]
다세포성 종 중에는 특별한 분열 세포 없이 조체 전체에서 세포 분열이 가능한 경우(분산 성장)도 있지만(우시케노리강의 배우체 등), 대부분은 조체 선단에 분열 세포를 가지고 정단 성장을 한다.[91][92][93][94] 단일 세포사가 조체 중축을 이루는 것은 단축형(uniaxial type, monoaxial type; 중축형 central axial type), 여러 세포사가 조체 중축을 이루는 것은 다축형(multiaxial type; 분수형 fountain type)이라고 한다.
2. 2. 세포 구조
홍조식물은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 분화된 세포 기관을 가지는 진핵생물이다. 이중 세포벽 구조를 가지며, 외부 층은 다당류 아가로스와 아가로펙틴을 포함하고, 이는 끓여서 한천으로 추출할 수 있다. 내부 벽은 대부분 셀룰로오스로 구성되어 있다. 홍조류는 전 생애에 걸쳐 편모와 중심립이 없다. 세포 구조의 특징은 방추사, 미세소관, 피코빌린 색소 과립,[46] 세포 간의 구멍 연결, 엽록체 소포체의 부재 등을 포함한다.[47]
세포 연결과 세포 마개는 세포질 분열 과정에서 형성되는 홍조류의 독특한 특징이다.[54][3] 홍조류에서 세포질 분열은 불완전하게 일어나며, 새로 형성된 칸막이 중앙에 작은 구멍이 남는다. 세포 연결은 딸세포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곳에서 형성된다. 세포 연결 형성 직후, 세포를 연결하는 벽 틈새에 세포 마개가 침착되어 세포질 연결이 차단된다.
공통적인 모세포를 가진 세포 간의 연결을 1차 세포 연결이라고 한다. 정단 생장이 일반적인 현상이므로, 대부분의 세포는 각 인접 세포에 하나씩, 두 개의 1차 세포 연결을 갖는다. 공통적인 모세포를 공유하지 않는 세포 간에 존재하는 연결은 2차 세포 연결이라고 하며, 불균등 세포 분열로 인해 핵이 있는 딸세포가 생성되고, 이 딸세포가 인접 세포와 융합될 때 형성된다. 2차 세포 연결 패턴은 실고사목에서 관찰할 수 있다.[3]
홍조류의 대부분은 다세포 대형 조류이지만, 단세포성 또는 사상(絲狀) 미세 조류도 있다.[91][92][93][94][95] 다세포성 조체의 외형은 사상, 막상, 끈 모양, 수지상 등 다양하다.[96][97][98][99] 다세포성 종 중에는 김파래류(우시케노리강)처럼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막상체를 만드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분지 사상체를 기본으로 하며, 이 세포 사가 뭉쳐서 '''위유조직'''(pseudoparenchyma)을 형성한다. 위유조직체 내에서는 조체 내부의 수질(髓質, medulla)과 표층의 피층(皮層, cortex)과 같은 단순한 조직 분화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96]
다세포성 종 중에는 특별한 분열 세포를 갖지 않고 기본적으로 조체 전체에서 세포 분열이 가능한 것(분산 성장)도 있지만 (우시케노리강의 배우체 등), 대부분은 조체 선단에 분열 세포를 가지고 정단 성장을 한다.[91][92][93][94] 단일 세포사가 조체 중축을 이루는 것은 단축형(uniaxial type, monoaxial type; 중축형 central axial type), 여러 개의 세포사가 조체 중축을 이루는 것은 다축형(multiaxial type; 분수형 fountain type)이라고 한다.
다세포 홍조류에서는 일반적으로 세포 사이에 '''피트 플러그'''(pit plug; 피트 커넥션 pit connection)라고 불리는 특수한 세포 결합 구조가 존재한다.[91][92][94][95][101][102] 세포질 분열에서 끊어지지 않고 남은 부분에 소포체가 모여 여기에 단백질과 산성 다당류가 축적되어 플러그 코어(plug core)가 형성된다. 계통군에 따라서는 플러그 코어 양쪽에 지질막인 캡막(cap membrane)이나 탄수화물로 이루어진 캡층(cap layer)이 존재하기도 하며, 이러한 다양성은 분류 형질로서 유용하다. 또한 피트 플러그 주변에는 리보솜이 없는 영역이 있다. 피트 플러그는 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이지만 세포질의 직접적인 연결은 존재하지 않는다.
타입[92][95] | 내측 캡층 | 외측 캡층 | 캡막 | 분류군 |
---|---|---|---|---|
I | 없음 | 없음 | 없음 | 분홍바다말강(분홍바다말목, 로도카에테목), 진정홍조강(이타니구사목) |
II | 있음 | 없음 | 없음 | 우시케노리강(포자체) |
III | 있음 | 없음 | 있음 | 진정홍조강(베니마다라목, 톳목) |
IV | 없음 | 없음 | 있음 | 진정홍조강(개우무목, 가시우무목, 꼬시래기목, 이기스목 등) |
V | 있음 | 있음 | 있음 | 진정홍조강(베니마유다마목, 로다클레아목, 돌가사리목, 우미조우멘목) |
VI | 있음 | 돔형 | 있음 | 진정홍조강(아크로카에티움목) |
VII | 있음 | 돔형 | 없음 | 진정홍조강(모자반목, 발비니아목, 산호말목) |
피트 플러그 중에는 1차 피트 플러그와 2차 피트 플러그가 있다.[92][95][102] 자매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피트 플러그는 1차 피트 플러그(primary pit plug)라고 불리며, 세포질 분열에 의해 직접 형성된다. 비자매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피트 플러그는 2차 피트 플러그(secondary pit plug)라고 불리며, 부등 분열에 의해 생긴 작은 세포(연결 세포 conjunctor cell; 모세포와 피트 플러그로 연결되어 있음)가 비자매 세포와 융합함으로써 형성된다.
홍조류의 세포는 기본적으로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다.[91][92][93][94][95][102] 그 세포벽은 보통 점성 다당류가 많고 섬유성 다당류가 적기 때문에, 명료한 경계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홍조류의 세포벽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94] 예외적으로, 시아니디오시존(이데유코고메강)은 명료한 세포외피를 결여한다.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성 다당류는 보통 셀룰로스이지만, 종이나 생활환 시기에 따라 β-1,4만난이나 β-1,3자일란인 경우가 있다. 세포벽을 구성하는 점성 다당류에는 보통 다량의 '''갈락탄'''이 포함된다. 이러한 갈락탄으로 특히 한천(아가로스, 아가로펙틴)이나 카라기난이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홍조류는 이러한 점성 다당류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건조 중량으로 조체의 70%에 달하기도 한다. 점성 다당류는 골지체에서 생성되어, 분비 소포를 거쳐 세포 외로 분비된다. 한천을 많이 포함하는 홍조류(예: 우뭇가사리류)는 한천 원조(agarophyte), 카라기난을 많이 포함하는 홍조류(예: 기린사이류)는 카라기난 원조(carrageenophyte)라고 불린다.
홍조류 중에는, 세포벽에 탄산칼슘을 침착시켜 석회조류가 되는 것도 있다(모두 진정홍조강)[91][92][93][94][95][102] 이러한 석회화는 광합성에서의 이산화탄소 농축 기구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103] 석회화하는 홍조류(특히 진정홍조강 산호말목)는 연안역에서 양적으로 많고, 그 석회화는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산호초나 갯녹음)[104][105]
홍조류는 생활환 전체에 걸쳐 '''편모 및 중심소체를 가지지 않는다'''.[91][92][93][94][95] 또한 홍조류의 세포에는 미세소관이나 액틴 섬유로 구성된 세포 골격이 존재하며, 세포막 바로 아래 전체에는 때때로 활면소포체가 존재한다(주변 ER 계통, peripheral ER system).[102] 세포막과 주변 ER 사이는 때때로 관상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물질 분비와 관련되기도 한다.
고전적인 의미의 "원시 홍조류"(진정홍조류 이외의 홍조류)의 세포는 기본적으로 단핵성(핵은 세포 1개당 1개)이지만, 진정홍조류의 세포는 때때로 다핵성(핵은 세포 1개당 다수)이며, 핵이 다배성을 나타내기도 한다.[102] 홍조류는 특이한 세포 융합 능력을 가지므로 단상과 복상의 핵이나 기생자와 숙주의 핵 등 기원이 다른 핵이 같은 세포 내에 공존하는 경우가 있다. 핵분열은 기본적으로 폐쇄형(핵막이 유지됨), 극에 중심소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NAO'''(nuclear associated organelle)라고 불리는 구조가 있다.[94][95][102] NAO는 작은 링 모양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NAO는 극환(polar ring)이라고도 불린다. 세포질 분열은 세포막의 환상 수축에 의해 일어나지만, 많은 다세포성 홍조류에서는 잘라지지 않고 남은 부분에서 피트 플러그가 형성된다.
엽록체의 형태는 성상, 컵 모양, 원반형, 띠 모양, 망상 등 다양하며, 세포 1개당 개수도 1개에서 다수까지 있다.[92][94][95] 조체 내부의 수질 부분이나 기생성 종에서는 색소체가 엽록체가 아닌 광합성 능력을 결여한 백색체로 되어 있다.[106] 엽록체는 보통 측막성(세포막을 따라 존재)이지만, 성상의 엽록체가 세포 중앙에 위치하는 중축성의 것도 있다(예: 김류의 배우체 등). 색소체는 '''2장의 피막'''으로 싸여 있다. 틸라코이드는 '''겹쳐서 라멜라를 형성하지 않으며''', 한 장씩 떨어져 서로 평행하게 분포한다. 엽록체막 안쪽에 다른 틸라코이드를 둘러싸듯이 '''주변 틸라코이드'''(peripheral thylakoid)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엽록체 내에는 매몰형 또는 돌출형의 피레노이드가 존재할 수 있다. 색소체 DNA는 보통 엽록체 중에 흩어져 있다.[107]
미토콘드리아의 크리스테는 보통 판상이며 녹색식물이나 동물과 공통된다.[102] (치노리강만 크리스테가 관상[108]). 골지체에서 소포체로부터 물질 공급을 받는 쪽인 시스면은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로 구성된 복합체에 면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분류군에 따라 소포체만 또는 핵막에 면해 있는 것도 있다.[102][159] 보통 마이크로바디가 존재한다.[102] 대형 세포에서는 보통 세포질의 대부분을 액포가 차지한다. 다른 진핵생물에서는 이러한 대형 세포가 활발한 원형질 유동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홍조류에서는 현저한 원형질 유동은 보이지 않는다.
2. 3. 광합성
홍조식물은 엽록소 a나 엽록소 d 및 홍조소와 남조소 등의 피코빌린 색소를 함유한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광합성을 한다.[48] 광합성 결과 체내에 저장되는 동화 물질은 홍조 녹말이다.홍조식물은 깊은 바다에서 자랄 수 있는데, 이는 체내의 홍조소가 약 0.5mμ 부근의 단파장 빛을 광합성에 이용하기 때문이다. 빛은 바다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적색·주황색·황색·자색·남색·녹색·청색의 순서로 흡수되므로,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될 수 있는 것은 청색과 녹색이다. 따라서, 홍조식물은 깊은 바다에 위치하면서 자신의 몸 빛깔과 보색 관계에 있는 청색이나 녹색빛을 광합성에 이용한다. 얕은 곳에서 자라는 진두말 등은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는데, 이것은 적색이나 황색의 장파장 빛을 광합성에 잘 이용한 결과 녹색 엽록소량은 늘어난 반면 홍조소는 감소된 보색 적응 현상 때문이다.
홍조류의 엽록체는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있으며 묶여 있지 않은 틸라코이드를 포함하고 있다.[49] 엽록체는 엽록소 a, α- 및 β-카로틴, 루테인, 제아잔틴 색소를 포함한다. 엽록체는 이중 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라나와 틸라코이드 막의 기질 표면에 피코빌리솜이 없다.[50]
홍조식물의 탄소 고정 값은 그들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며, 광합성 대사 경로에서 기인한다. 탄소원으로 탄산 수소염(HCO3)을 사용하는 조류는 이산화 탄소()만을 사용하는 조류보다 덜 음의 탄소 고정 값을 갖는다.[61]
조류 그룹 | δ13C 범위[60] |
---|---|
HCO3를 사용하는 홍조식물 | −22.5‰ ~ −9.6‰ |
CO2를 사용하는 홍조식물 | −34.5‰ ~ −29.9‰ |
갈조류 | −20.8‰ ~ −10.5‰ |
녹조류 | −20.3‰ ~ −8.8‰ |
홍조식물의 광합성 색소는 엽록소 ''a''와 ''d''이다. 홍조식물이 붉은색을 띠는 이유는 피코에리트린 때문이다.
엽록체의 형태는 성상, 컵 모양, 원반형, 띠 모양, 망상 등 다양하며, 세포 1개당 개수도 1개에서 다수까지 있다.[92][94][95] 색소체는 2장의 피막으로 싸여 있다. 틸라코이드는 겹쳐서 라멜라를 형성하지 않으며, 한 장씩 떨어져 서로 평행하게 분포한다. 엽록체막 안쪽에 다른 틸라코이드를 둘러싸듯이 주변 틸라코이드 (peripheral thylakoid)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클로로필로는 클로로필 ''a''만을 가진다.[91][92][93][94][95] 주요 보조 광합성 색소는 피코빌린 단백질이며, 보통 알로피코시아닌, 피코시아닌, 피코에리트린이 피코빌리솜을 형성하여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한다.
홍조식물의 루비스코는 form ID이며, 회색조류나 녹색식물에 존재하는 form IB와는 약간 다르다.[94][111]
홍조류의 저장 다당류는 α-글루칸이며, 색소체 내가 아닌, 세포질 기질 내에 저장된다. 녹색식물의 녹말과 마찬가지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지만, 많은 경우는 아밀로스를 결여하고 있으며, 특히 홍조 녹말 (floridean starch)이라고도 불린다.[94][113]
2. 4. 생식
홍조류는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을 모두 한다.[56] 무성 생식은 포자 생성과 영양 생식(분열, 세포 분열 또는 전파체 생산)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56]홍조류는 운동성이 있는 정자가 없다. 따라서 물의 흐름에 의존하여 생식 세포를 암컷 기관으로 수송한다. 정자는 심피모의 자모기로 "활강"할 수 있다.[3] 동물 또한 생식 세포의 분산과 수정을 돕는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처음 발견된 종은 등각류인 Idotea balthica이다.[57]
자모기는 정자낭을 만날 때까지 계속 성장하며, 수정되면 기저부의 세포벽이 점차 두꺼워져 심피모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된다.[3] 충돌 시 정자낭과 심피모의 벽이 녹는다. 수컷 핵이 분열하여 심피모로 이동한다. 핵의 절반은 심피모의 핵과 융합된다.[3] 폴리아민 스퍼민이 생성되어 포자 생산을 유발한다.[3] 정자낭기는 "결합"할 기회를 늘리기 위해 길고 섬세한 부속지를 가질 수 있다.[3]
홍조식물은 세대교번을 보인다. 배우체 세대 외에, 많은 종은 두 개의 포자체 세대를 가지며, 유포자를 생성하는 유포자체는 사분포자로 발아하고, 이는 분리되어 배우체로 발아한다.[3] 배우체는 일반적으로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사분포체와 동일하다.[58] 유포자는 또한 직접 엽상체 배우체로 발아하거나, 유포자체가 (자유 생활) 사분포체 단계를 거치지 않고 사분포자를 생성할 수 있다.[58] 사분자낭은 열을 지어 (띠 모양), 십자형 또는 사분체로 배열될 수 있다.[3] 유포자체는 배우체 내부에 갇힐 수 있으며, 배우체는 가지로 덮어 낭과를 형성할 수 있다.[58]
홍조류는 생활환을 통해 편모를 가지지 않으므로, 유영하는 세포는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세포성 종이나 포자 등의 생식 세포가 기질 표면을 이동하는 아메바 운동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115] 이러한 운동에는, 액틴-미오신 계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16] 이러한 운동에서, 주광성이나 주화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물속을 헤엄치지는 않지만, 수중에서 효율적으로 산포되도록, 부동 정자가 부속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유성생식이 알려진 홍조류는 기본적으로 단상의 '''배우체'''와 복상의 '''포자체''' 사이에서 세대교번을 한다 (단복 세대교번형 생활환)[91][92][93][94][95][117]。 또한 진정홍조류에서는, 보통 배우체에서 포자체로의 이행 과정에서, 접합자 (수정된 조과기)가 배우체상에서 발달하여 '''과포자체'''라고 불리는 특이한 복상 세대를 형성한다. 진정홍조류에서는, 이 과포자체와 보통의 포자체를 구별하기 위해, 특히 후자는 '''사분포자체'''라고 불린다. 이처럼 진정홍조류의 생활환은, 보통 배우체, 과포자체, 사분포자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2세대 교번에 대해 3세대 교번이라고 불린다. 유성생식을 하는 홍조류의 생활환은, 과포자체의 유무, 배우체와 포자체 (사분포자체)의 크기, 각 세대의 이행 과정 등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타입으로 나뉜다[91][92][95]。 또한 유성생식이 알려지지 않은 홍조류의 생활환은, 이소하나비형이라고 불린다.
타입 | 설명 | 해당 분류군 |
---|---|---|
로도카에테형 (로도케테형) | 거의 동형의 배우체와 포자체 사이에서 2세대 교번을 한다. | 로도카에테속 (Rhodochaete) (큰돌잎이끼강) 등 |
아마노리형 | 대형의 배우체와 미소한 포자체 (콩코세리스기라고도 불림) 사이에서 2세대 교번을 한다. | 우뭇가사리강 |
실고사형 | 동형의 배우체와 사분포자체, 및 배우체상에 기생한 미소한 과포자체 사이에서 3세대 교번을 한다. | 진정홍조강 |
카기노리형 | 대형의 배우체와 미소한 사분포자체, 및 배우체상에 기생한 미소한 과포자체 사이에서 3세대 교번을 한다. | 진정홍조강 |
카와모즈쿠형 | 대형의 배우체와 미소한 사분포자체 (샹트란시아기라고도 불림), 및 배우체상에 기생한 과포자체 사이에서 3세대 교번을 한다. 카기노리형과 유사하지만, 사분포자체가 사분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직접 감수 분열하여 배우체가 생기는 점에서 다르다. | 진정홍조강의 일부 |
달스형 | 웅성 배우체와 포자체는 동형이지만, 자성 배우체는 미소한 반상체. 수정된 조과기는 자성 배우체상에서 포자체 (사분포자체)가 된다. | 진정홍조강의 일부 |
홍조식물 대부분은 연안역의 암초에 생육한다[92][94][95] (그림 3a, b). 갈조류 중 다시마나 감태처럼 매우 큰 것은 없지만, 해조류 중에서 가장 종 수가 많은 것은 홍조식물이다. 암초대에서는 조간대 부근에서 조하대까지 각각 다른 홍조식물이 분포한다. 예를 들어 혼슈 중부에서는 조간대 부근에 김강 (우뭇가사리강), 개꼬시래기, 풀가사리류 (진정홍조강) 등 건조와 자외선에 강한 종이, 조간대에서는 붉은실, 구멍갈파래, 꼬시래기 (진정홍조강) 등 파도에 강한 종이, 조하대에는 괭생이모자반, 괭생이, 잎상말 (진정홍조강) 등 비교적 색채가 선명한 종이 많다[95]。또한 타이드풀에는 잎파래나 가는잎분홍딱지 (진정홍조강) 등 환경 변화에 강한 종이 우점한다[95]。홍조식물은 해조류 중에서 가장 깊은 수심까지 생육하고 있으며, 바하마 해역의 수심 268m에서 산호말류 (진정홍조강)가 보고된 바 있다[121]。또한 홍조식물은 열대에서 극지까지 연안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장기간 얼음으로 닫히는 장소에 생육하는 종도 있다[94]。
다음은 원시색소체생물의 계통 분류이다.[162][163][164][165][166][167][168][169][170][171]
홍조류는 '''조과기'''(carpogonium, ''pl''. carpogonia)에서 형성된 암배우자인 난자와 '''부동정자'''(spermatium)라고 불리는 편모가 없는 소형의 웅성 배우자에 의한 난생생식을 한다[91][92][93][94][95]。우시케노리강 등에서는 영양 세포가 직접 조과기로 분화하지만, 진정홍조강에서는 조과기는 특별한 세포열(조과사)의 선단에 존재한다. 조과기는 돌기(수정구, 수정모)를 가지며, 그곳에 부동정자가 부착, 융합하여 수정한다. 부동정자는 유영 능력을 갖지 않지만, 때로는 피막이나 부속사 같은 부속 구조를 가지며, 효율적인 수정을 위해 적응한다[95][118][119]。예를 들어 밀히비다마속(진정홍조강)과 같이, 복수의 부동정자가 부속사로 연결되어 집괴로 흩뿌려지는 경우도 있다.
보통 접합자는 직접, 또는 과포자체의 형성을 거쳐 복상의 포자('''과포자''' carpospore, 접합포자 zygotospore)를 형성, 방출한다[91][92][93][94][95]。이 포자는 복상의 포자체로 성장하고, 포자체는 포자(사분포자, 껍질포자 등)를 형성한다. 이 포자 형성 시, 또는 포자 발아 시에 감수 분열이 일어나고, 포자는 단상의 배우체로 성장한다. 진정홍조강에서는 보통 접합자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포사(gonimoblast)라고 불리는 세포사를 뻗어, 거기에 생기는 과포자낭 내에서 과포자를 형성한다. 이 조포사로 이루어진 체는 배우체상에 형성되지만, 핵상이 복상이라는 점에서 배우체와는 다르며, 다른 세대(과포자체)로 간주된다. 진정홍조강 중에서, 과포자체의 형성 과정에는 다양성이 있으며, 중요한 분류 형질이 되고 있다.
홍조류는 무성생식도 하며, 무성생식만이 알려진 종도 있다. 무성생식의 양식은 다양하며, 단포자(monospore), 원포자(archeospore), 내생포자(endospore) 등의 포자 형성 외에, 싹(무성아), 스톨론, 조체의 분단화 등에 의한 영양번식이 알려져 있다[91][92][93][94]。포자체만으로 생활환이 완결되어 있는 예나, 배우체가 무배생식(배우자 합체를 동반하지 않는 생식)에 의해 과포자를 형성하는 예가 알려져 있으며, 이것들은 유성생식종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102][120]。또한 단세포성 종의 대부분은 이분열에 의해 증식하지만,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3. 생태
조간대 부근이나 하구, 맹그로브림 등에 생육하는 홍조식물은 일반적으로 넓은 염분 농도 내성을 나타내며, 칼륨 등의 이온이나 저분자 탄수화물 (플로리도사이드 등), 아미노산, 디메틸설포니오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삼투압 조절을 위해 사용한다[94][102]。
홍조식물은 바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많지만, 다른 해조류나 해초, 드물게 동물 등에 착생하고 있는 것도 있다[94][95]。해조류나 해초에 부착되어 있는 홍조식물 중에는 그 특이성이 높은 것도 있으며 (특정 종에 부착)[122][123], 반기생적인 관계에 있는 예도 있을지도 모른다[124]。또한 진정홍조강 중에는 광합성능을 결여한 완전한 기생성의 종도 알려져 있다[106][125]。이러한 기생성 홍조식물은 매우 특이한 기생 양식을 나타내며, 근연종인 숙주의 세포에 융합함으로써 핵을 보내어, 이 숙주 세포에 기생자의 몸을 만들게 한다.
홍조식물 중에는 담수에 생육하는 대형 조류도 150종 정도 알려져 있다[126]。오오이시소우 (오오이시소우강) 나 타니우시케노리 (우뭇가사리강), 실말, 모자반 (진정홍조강)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유수역에 생육하는 것이 많다. 담수산 홍조식물 중에는 생육 조건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많고[94], 그 때문에 멸종 위기종이 된 것이 많다[127]。담수산 홍조식물 중에는 포자체가 직접 감수 분열하여 배우체가 되는 등, 포자 산포를 생략한 형태의 생활환을 가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것은 유수 중에서의 생활에 대한 적응의 결과라고 생각되고 있다[94][102]。
단세포성 또는 미세한 사상 홍조식물 중에는 해산, 담수산의 것 외에 토양 등의 육상에 생육하는 것도 있다[128][129]。루프시아속 (베니미드라강) 은 나무늘보의 체모상에서 보고되고 있다[130]。치노리모속 (치노리모강) 중에는 저생성 유공충에 세포내 공생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131]。온천녹조강의 홍조식물은 산성의 온천이나 화산의 분기공 부근의 토양 등 고온 (〜55°C), 산성 (pH0.05〜)의 환경에 생육하고 있다[132][133]。
4.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원시색소체생물 계통 분류
|-
! 원시색소체생물
|-
|
{| class="wikitable"
|-
| 회청조식물
|-
| 홍조식물
|-
| 녹색식물
|
{| class="wikitable"
|-
| 녹조식물
|-
| 스트렙토식물
|
{| class="wikitable"
|-
|메소스티그마강 클로로키부스강
|-
|
{| class="wikitable"
|-
| 클레브소르미디움강
|-
|
{| class="wikitable"
|-
| 윤조강
|-
|
{| class="wikitable"
|-
| 콜레오카이테강
|-
|
|}
|}
|}
|}
|}
|}
|}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172][173]
{| class="wikitable"
|+ 홍조식물문 계통 분류
|-
! 홍조식물
|-
|
{| class="wikitable"
|-
| 키아니디움강
|-
| 원시홍조식물아문
|
{| class="wikitable"
|-
|피떡말강 콤프소포곤강
|-
|
|}
|-
| 진정홍조식물아문
|
|}
|}
Adl 외(2005)는 글라우코식물, 녹조류 및 육상식물(녹색식물)과 함께 홍조식물을 고세포생물에 분류했다. 이들은 계통 발생적 배치를 사용하며, 여기서 클레이드 이름은 계급을 나타내지 않는다. 홍조류에는 홍조강(Rhodophyceae)이라는 강 이름이 사용된다. 하위 분류는 주어지지 않으며, "전통적인 하위 그룹은 인공적인 구조이며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말한다.[33] 많은 후속 연구에서 고세포생물(홍조류 포함)의 단일 계통성에 대한 일치하는 증거를 제시했다.[34][35][36][37]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고세포생물이 측계통군이라고 제안했다.[38][39]
분자 및 전통적인 알파 분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홍조류의 다른 출판된 분류 체계가 있다. 그러나 홍조류의 분류는 여전히 유동적인 상태이다.[40]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은 계통 발생 및 유전체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홍조류 생명나무(RedToL)를 재구성하는 주요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남세균강이 가장 기저인 것으로 보편적으로 합의되었지만, 홍조식물아문에 속하는 나머지 6개 강의 관계는 불확실하다. 아래의 분류도는 홍조류의 분화 시기에 관한 2016년 연구 결과를 따른다.[43]
{| class="wikitable"
|+ 홍조식물 계통 분류 (2016)
|-
! 홍조식물
|-
|
{| class="wikitable"
|-
| 남세균강
|-
| 홍조식물아문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포르피리디오조강
|-
|
콤프소포고노조강 ![]() |
스타일로네마토조강 ![]() |
|}
|-
|
{| class="wikitable"
|-
| 로델로조강
|-
|
방기조강 ![]() |
꽃가지조강 ![]() |
|}
|}
|}
|}
홍조식물은 남세균과 유사한 광합성 색소 조성(클로로필은 ''a''만 존재, 피코빌린 존재)을 가지며, 편모가 없다는 점 때문에 과거에는 남세균과 다른 조류를 잇는 원시적인 진핵생물로 여겨졌다. 또한 홍조식물과 자낭균은 둘 다 편모가 없고, 외견상 유사한 유성 생식을 한다는 점에서 균류는 홍조식물에서 진화했다는 생각도 있었다.[143]
이후, 엽록체의 공생 기원설이 일반화되었고, 현재는 홍조식물의 엽록체는 남세균과의 일차 공생에 기원을 둔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홍조식물(홍색식물)은 다른 일차 식물(회색조류, 녹색식물)과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고 여겨지며, 이 세 그룹은 합쳐서 아케플라스티다(고색소체류)로 묶인다.[144] 또한 정식 분류군명으로는 식물계가 사용되기도 한다.[145]
하지만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회색조류나 녹색식물보다 홍조식물과 더 가까운 생물의 존재가 시사되고 있다. 로델피스속은 2개의 편모를 가진 포식 영양성 편모충이지만,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홍조식물의 자매군임이 시사되고 있다.[146] 이 편모충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게놈 정보에서는 광합성 능력을 잃은 색소체(아마도 헴 합성을 위해)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홍조식물은 크립토조류와 갈조류, 이형편모조류, 와편모조류(의 약 절반)의 엽록체의 기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2019년 현재, 이 생물들은 홍조식물을 직접 섭취(이차 공생), 섭취된 홍조식물이 엽록체가 되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94][147] 그 때문에, 이 조류들은 녹색식물을 섭취하여 엽록체로 만들었다고 여겨지는 유글레나조류와 클로라라크니온조류와 함께 이차 식물이라고 불린다.
약 12억 년 전의 지층에서, 현생의 우시케노리속(우시케노리강)과 매우 유사한 생물의 화석이 발견되었다.[148] 이 화석은 다세포성 진핵생물 및 유성 생식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또한 약 16억 년 전의 지층에서 단열 사상형 생물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홍조식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149] 산호말류(진정홍조강)로 여겨지는 화석은 약 6억 5000만 년 전 이후부터 보고되고 있다.[150]
한편, 어떤 분자 시계 분석에서는, 홍색식물과 녹색식물의 분기가 약 17억 년 전, 이데유고고메강과 기타 홍조식물의 분기가 약 15억 년 전, 우시케노리강과 진정홍조강의 분기가 약 9억 400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151]
홍조식물은 보통 홍조식물문(Rhodophyta)[152]으로 묶인다. 더 높은 분류군으로 홍조식물아계가 사용되기도 한다.[154]
과거에는 홍조류가 포자체의 유무 등에 따라 '''원시홍조류'''와 '''진정홍조류'''의 두 그룹(강 또는 아강)으로 나뉘었다.[91][92][153]
강 또는 아강 | 체제 | 피트 플러그 | 포자체 | 대표 예 |
---|---|---|---|---|
원시홍조류 | 단세포~다세포 | 없음 (일부 있음) | 없음 | 치노리모, 오오이시소우, 김 |
진정홍조류 | 다세포 | 있음 | 있음 | 산호말, 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꼬시래기 |
원래 위의 원시홍조류라는 분류군은 홍조류의 초기 분지군을 모은 측계통군이라는 인식이었지만, 점차 분류 체계에서 측계통군을 제거하는 방식이 일반화됨에 따라 분자 계통학적 연구 등을 통해 홍조류 내의 계통 관계가 밝혀졌다. 2019년 현재 원시홍조류는 여러 강 (이데유코고메강, 치노리모강, 로델라강, 베니미드로강, 오오이시소우강, 우시케노리강)으로 나뉜다.[154][155][156][157][158] 홍조류 중에서 이데유코고메강이 가장 먼저 분기된 그룹이며, 이데유코고메문 또는 이데유코고메아문으로 다른 홍조류와 구분된다 (2019년 현재 후자가 일반적[90][159]). 이데유코고메강 이외의 홍조류는 홍조류아문으로 묶이기도 하지만, 그 중 우시케노리강과 진정홍조강이 뚜렷하게 근연관계에 있어 이 둘을 합쳐 "진정홍조류아문"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54][160][161] 나머지 4개의 강 (베니미드로강, 오오이시소우강, 치노리모강, 로델라강)이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는 것이 시사되어 이를 "원시홍조류아문"(위의 전통적인 의미의 원시홍조류와는 범위가 다르다)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61]
홍색식물에 속하는 7개 강의 특징, 계통 관계, 홍조류(홍색식물문)의 분류 체계는 아래와 같다.[95][159][110][158]
강 | 체제 | 피트 플러그 | 주변 틸라코이드 | 골지체 | 저분자 탄수화물 | 카로테노이드 | 생활환 | 생육 환경 |
---|---|---|---|---|---|---|---|---|
이데유코고메강 | 단세포 | – | 있음 | 소포체 | 플로리도사이드, 이소플로리도사이드 | 제아잔틴, β-카로틴 | 불명 | 온천 |
베니미드로강 | 단세포, 다세포 | 없음 | 있음/없음 | 소포체 | 디게네아시드, 솔비톨, 플로리도사이드, (둘시톨, 트레할로스) | 제아잔틴, β-카로틴 | 불명 | 바다, 담수, 육상 |
오오이시소우강 | 다세포 | 없음/있음 | 있음 | 소포체 | 플로리도사이드, (디게네아시드, 이소플로리도사이드) | 안테라크산틴, 제아잔틴, β-카로틴 | 일부에서 2세대 교번 | 바다, 담수 |
치노리모강 | 단세포 | – | 없음 | 소포체·미토콘드리아 복합체 | 플로리도사이드, (디게네아시드, 트레할로스) | 제아잔틴, β-카로틴 | 불명 | 바다, 육상 |
로델라강 | 단세포 | – | 있음/없음 | 소포체/핵막 | 만니톨 | 제아잔틴, β-카로틴 | 불명 | 바다, (담수) |
우시케노리강 | 다세포 | 없음/있음 | 있음/없음 | 소포체·미토콘드리아 복합체 | 플로리도사이드, 이소플로리도사이드 | 루테인, 제아잔틴, α-카로틴, β-카로틴 | 2세대 교번 | 바다, (담수) |
진정홍조강 | 다세포 | 있음 | 있음 | 소포체·미토콘드리아 복합체 | 플로리도사이드, (디게네아시드, 둘시톨, 만니톨, 솔비톨, 트레할로스) | 안테라크산틴, 제아잔틴, β-카로틴 / 루테인, 제아잔틴, α-카로틴, β-카로틴 | 보통 3세대 교번 | 바다, (담수) |
{| class="wikitable"
|'''홍조류의 강까지의 분류 체계의 한 예'''[90]
|-
!*홍색식물문
|-
|
{| class="wikitable"
|-
|**이데유코고메아문
|
이데유코고메강 |
|-
|**원시홍조류아문
|
베니미드로강 |
오오이시소우강 |
치노리모강 |
로델라강 |
|-
|**진정홍조류아문
|
우시케노리강 |
진정홍조강 |
|}
|}
4. 1. 진화
엽록체는 원시, 광합성 시아노박테리아와 초기 진핵생물 식세포영양생물 사이의 내공생 사건에 의해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이 사건(이른바 1차 내공생)은 홍조식물과 녹조류(그리고 그 안에서 출현한 육상 식물 또는 육상식물) 및 남조식물의 기원이며, 이들은 함께 광합성 진핵생물의 가장 오래된 진화 계통인 원색소체생물을 구성한다.[18] 조상 홍조류와 종속영양생물 진핵생물을 포함하는 2차 내공생 사건은 은편모조류, 해캄, 스트라메노필 (또는 Heterokontophyta) 및 섬모충류와 같은 다른 여러 광합성 계통의 진화와 다양화를 가져왔다.[18] 다세포 갈조류 외에도 알려진 미생물 진핵생물 종의 절반 이상이 홍조류 유래의 색소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9]홍조류는 Cyanidiophyceae로 나뉘는데, 황산 온천 및 기타 산성 환경에서 발견되는 단세포 및 열산성 극호성 생물의 한 종류이다.[20] 이는 부분적으로 원핵생물로부터의 수평 유전자 전달에 의해 가능해진 적응이며,[21] 그들의 게놈의 약 1%가 이러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22] 그리고 SCRP(Stylonematophyceae, Compsopogonophyceae, Rhodellophyceae 및 Porphyridiophyceae)와 BF(Bangiophyceae 및 Florideophyceae)라고 불리는 두 개의 자매 분류군이 있으며, 해양 및 담수 환경에서 모두 발견된다. BF는 매크로조류로, 일반적으로 길이가 약 50cm를 넘지 않지만, 몇몇 종은 2m까지 자랄 수 있다.[23] SCRP 분류군에서 Compsopogonophyceae는 다세포이며, 현미경적 필라멘트에서 매크로조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Stylonematophyceae는 단세포 및 작은 단순 필라멘트 종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Rhodellophyceae와 Porphyridiophyceae는 전적으로 단세포이다.[24][25]
남세균강이 가장 기저인 것으로 보편적으로 합의되었지만, 홍조식물아문에 속하는 나머지 6개 강의 관계는 불확실하다.
홍조류로 확인된 가장 오래된 화석 중 하나는 또한 특정 현대 분류군에 속하는 가장 오래된 진핵생물 화석이기도 하다. 캐나다 북극 지역에서 발견된 다세포 화석인 ''Bangiomorpha pubescens''는 현대 홍조류 ''뱅기아''와 매우 유사하며, 10억 5천만 년 전의 암석에서 발견된다.[2]
2006년에서 2011년 사이에 인도 중부 치트라쿠트의 보존이 잘된 퇴적암에서 홍조류와 유사한 두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홍조류로 추정되는 화석은 16억 년 전의 인도 인회암 내 스트로마톨라이트라고 불리는 시아노박테리아의 화석 매트에 묻혀 있었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식물 유사 화석으로, 약 4억 년 더 오래되었다.[74]
홍조류는 석회암 암초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가장 초기의 이러한 산호조류인 솔레노포라는 캄브리아기부터 알려져 있다. 다른 기원의 조류들이 후기 고생대와 더 최근의 암초에서 유사한 역할을 했다.
산호 홍조류의 잔해로 해석되는 방해석 껍질은 에디아카라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75] 산호 홍조류와 유사한 탈로피테는 후기 원생대 두샨투오 층에서 알려져 있다.[76] 크로미스타 및 와포말조류 조류(예: 황금조류, 규조류, 갈조류, 와편모조류)는 홍조류를 공생체로 획득한 쌍편모생물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공생 홍조류는 엽록체가 되도록 진화했다. 이러한 공생설의 부분은 다양한 구조적 및 유전적 유사성에 의해 뒷받침된다.[77]
홍조식물은 남세균과 유사한 광합성 색소 조성(클로로필은 ''a''만 존재, 피코빌린 존재)을 가지며, 또한 편모가 없다는 점에서, 옛날에는 남세균과 다른 조류를 잇는 원시적인 진핵생물로 여겨졌다. 또한, 당시에는 엽록체의 공생 기원설이 일반적이지 않아, 조류가 광합성 능력을 잃고 균류로 진화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다. 홍조식물과 자낭균은 둘 다 편모가 없고, 외견상 유사한 유성 생식을 한다는 점에서, 균류는 홍조식물에서 진화했다는 생각도 있었다.[143]
이후, 엽록체의 공생 기원설이 일반화되었고, 현재는 홍조식물의 엽록체는 남세균과의 일차 공생에 기원을 둔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홍조식물(홍색식물)은 다른 일차 식물(일차 공생에 의해 엽록체를 획득한 생물; 회색조류, 녹색식물)과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고 여겨지며, 이 세 그룹은 합쳐서 아케플라스티다(고색소체류 Archaeplastida)로 묶인다.[144] 또한 정식 분류군명으로는 식물계(Plantae)가 사용되기도 한다.[145]
하지만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회색조류나 녹색식물보다 홍조식물과 더 가까운 생물의 존재가 시사되고 있다. 로델피스속은 2개의 편모를 가진 포식 영양성 편모충이지만,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홍조식물의 자매군임이 시사되고 있다.[146] 이 편모충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게놈 정보에서는 광합성 능력을 잃은 색소체(아마도 헴 합성을 위해)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홍조식물은 크립토조류와 갈조류, 이형편모조류, 와편모조류(의 약 절반)의 엽록체의 기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2019년 현재, 이 생물들은 홍조식물을 직접 섭취(이차 공생), 섭취된 홍조식물이 엽록체가 되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94][147] 그 때문에, 이 조류들은 녹색식물을 섭취하여 엽록체로 만들었다고 여겨지는 유글레나조류와 클로라라크니온조류와 함께 이차 식물이라고 불린다.
약 12억 년 전의 지층에서, 현생의 우시케노리속(우시케노리강)과 매우 유사한 생물의 화석이 발견되었다.[148] 이 화석은 다세포성 진핵생물 및 유성 생식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또한 약 16억 년 전의 지층에서 단열 사상형 생물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홍조식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149] 산호말류(진정홍조강)로 여겨지는 화석은 약 6억 5000만 년 전 이후부터 보고되고 있다.[150]
한편, 어떤 분자 시계 분석에서는, 홍색식물과 녹색식물의 분기가 약 17억 년 전, 이데유고고메강과 기타 홍조식물의 분기가 약 15억 년 전, 우시케노리강과 진정홍조강의 분기가 약 9억 400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151]
4. 2. 분류
홍조식물은 보통 홍조식물문(Rhodophyta)[152]으로 묶인다. 더 높은 분류군으로 홍조식물아계가 사용되기도 한다[154]。과거에는 홍조류가 포자체의 유무 등에 따라 두 그룹(강 또는 아강)인 '''원시홍조류'''와 '''진정홍조류'''로 나뉘었다[91][92][153] (하단 표).
강 또는 아강 | 체제 | 피트 플러그 | 포자체 | 대표 예 |
---|---|---|---|---|
원시홍조류 | 단세포~다세포 | 없음 (일부 있음) | 없음 | 치노리모, 오오이시소우, 김 |
진정홍조류 | 다세포 | 있음 | 있음 | 산호말, 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꼬시래기 |
원래 위의 원시홍조류라는 분류군은 홍조류의 초기 분지군을 모은 측계통군이라는 인식이었지만[102], 점차 분류 체계에서 측계통군을 제거하는 방식이 일반화됨에 따라 분자 계통학적 연구 등을 통해 홍조류 내의 계통 관계가 밝혀졌다. 2019년 현재 원시홍조류는 여러 강 (이데유코고메강, 치노리모강, 로델라강, 베니미드로강, 오오이시소우강, 우시케노리강)으로 나뉜다[154][155][156][157][158]。홍조류 중에서 이데유코고메강이 가장 먼저 분기된 그룹이며, 이데유코고메문 또는 이데유코고메아문으로 다른 홍조류와 구분된다 (2019년 현재 후자가 일반적[90][159]). 이데유코고메강 이외의 홍조류는 홍조류아문으로 묶이기도 하지만, 그 중 우시케노리강과 진정홍조강이 뚜렷하게 근연관계에 있어 이 둘을 합쳐 "진정홍조류아문"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54][160][161]。나머지 4개의 강 (베니미드로강, 오오이시소우강, 치노리모강, 로델라강)이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는 것이 시사되어 이를 "원시홍조류아문"(위의 전통적인 의미의 원시홍조류와는 범위가 다르다)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61]。이 7개 강의 계통 관계, 특징, 홍조류(홍색식물문)의 분류 체계를 아래에 나타낸다.
강 | 체제 | 피트 플러그 | 주변 틸라코이드 | 골지체 | 저분자 탄수화물 | 카로테노이드 | 생활환 | 생육 환경 |
---|---|---|---|---|---|---|---|---|
이데유코고메강 | 단 | – | 있음 | E | F, I | Z, β | 불명 | 온천 |
베니미드로강 | 단, 다 | 없음 | 있음/없음 | E | Di, S, F, (Du, T) | Z, β | 불명 | 바다, 담수, 육상 |
오오이시소우강 | 다 | 없음/있음 | 있음 | E | F, (Di, I) | A, Z, β | 일부에서 2세대 교번 | 바다, 담수 |
치노리모강 | 단 | – | 없음 | EM | F, (Di, T) | Z, β | 불명 | 바다, 육상 |
로델라강 | 단 | – | 있음/없음 | E/N | M | Z, β | 불명 | 바다, (담수) |
우시케노리강 | 다 | 없음/있음 | 있음/없음 | EM | F, I | L, Z, α, β | 2세대 교번 | 바다, (담수) |
진정홍조강 | 다 | 있음 | 있음 | EM | F, (Di, Du, M, S, T) | A, Z, β / L, Z, α, β | 보통 3세대 교번 | 바다, (담수) |
5. 인간과의 관계
홍조류는 영양, 기능성 식품 성분 및 의약품의 원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78] 홍조류는 폴리페놀을 포함한 항산화 물질과 피코빌리단백질의 공급원이며 단백질, 미네랄, 미량 원소, 비타민 및 필수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79][80]
전통적으로 홍조류는 날것으로 샐러드, 수프, 식사, 조미료 등으로 섭취된다. 특히 돌가사리(''Palmaria palmata'')[81]와 ''김''(''Porphyra'') 속의 종들이 식량 작물로 사용되며, 김 (일본, 한국), 紫菜|쯔차이중국어 (중국), 라버 (영국)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82]
구실갓 (''Gracilaria'')과 개우무 (''Laurencia'')와 같은 홍조류 종은 고도불포화 지방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아라키돈산)이 풍부하며[83] 총 바이오매스의 최대 47%에 달하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78] 전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이 일일 요오드 섭취량이 부족한데, 홍조류 1g만으로도 하루 요오드 섭취 권장량인 150 ug을 섭취할 수 있다.[84]
구실갓( ''Gracilaria''), 우뭇가사리(''Gelidium''), 파래우무(''Euchema''), 김(''Porphyra''), 가시우무(''Acanthophora'') 및 돌가사리(''Palmaria'')와 같은 홍조류는 증점제, 섬유, 식품, 항응고제, 수분 결합제 등과 같은 피코콜로이드(한천, 알긴산, 푸르셀라란, 카라기난)의 산업적 용도로 주로 알려져 있다.[85] 돌가사리 (''Palmaria palmata'')는 요오드, 단백질, 마그네슘 및 칼슘의 공급원이다.[86] 홍조류는 석회조류의 식이 보충제로 사용된다.[87]
중국, 일본, 대한민국은 해조류 생산 상위 국가이다.[88]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는 한천이 ''Gelidium amansii''에서 가장 흔하게 생산된다. 일본의 김 재배는 3세기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홍조류 중에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134] 특히 김(우뭇가사리강)은 널리 양식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수산물이다.[135] (2017년 일본의 생산액은 1167억엔에 달한다[136]). 일본에서는 방사무늬김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참김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방사무늬김의 야생종은 멸종 위기종이 되었다.[127] 영국웨일스에서는, 근연종인 laver (''Porphyra umbilicalis'')를 식용으로 하고 있다. 꼬시래기, 붉은실, 우무 종류, 우뭇가사리 종류, 진두채 종류, 족발류, 돌가사리 등 (모두 진정홍조강) 다양한 해조류가 해조 샐러드나 회의 장식, 된장국 재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134] (진정홍조강 페이지 참조)
홍조류 세포벽의 점질 다당류인 갈락탄은, 식용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134]. 바다송이 종류나 진두채 종류 (진정홍조강) 등에서 추출되는 '''카라기난'''은 식품 첨가물 (젤화제, 안정제), 화장품이나 샴푸, 방향제 등의 젤화제·안정제, 소화제 (거품 강화)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137] 우뭇가사리 종류나 우뭇가사리 종류 (진정홍조강)에서 추출되는 '''한천''' (아가로스 + 아가로펙틴)은 식품에 널리 사용되는 외에도, 미생물 배지의 고화제 (한천 배지)나 전기 영동용 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8] 이러한 갈락탄을 얻기 위한 홍조류의 양식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37][139]
홍조류의 갈락탄을 분해할 수 있는 생물은 적지만, 해산 세균 중에는 이러한 다당류의 분해 효소를 가진 것도 있다. 일부 일본인의 장내 세균은, 해생 세균 유래의 분해 효소 (김의 갈락탄인 포르피란을 분해하는 효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140] (구미인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일본인은 옛날부터 해조류를 식용으로 했기 때문에, 해조류에 부속되어 있던 해생 세균이 소화관에 들어가, 그 분해 효소 유전자가 유전자 수평 전달에 의해 장내 세균에 받아들여져, 이 장내 세균이 계승되어 왔다고 생각된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본래 분포하지 않았던 지역에 침입하여, 귀화 해조가 된 홍조류도 알려져 있다. 가시우무 (''Acanthophora spicifera'') (진정홍조강)는 괌에서 하와이에 침입하여, 기존의 생물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141]. 일본 (또는 동아시아)에서 북미나 유럽에 침입한 귀화 해조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중의 홍조류로는 참김 (우뭇가사리강), 우뭇가사리, 족발, 실말, 이기스, 가는실 진정홍조강) 등이 있다[142]
호주의 연구자들은 리무 코후(limu kohu, ''Asparagopsis taxiformis'')가 소의 메탄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와이에서 진행된 한 실험에서는 감소율이 77%에 달했다. 세계은행은 이 산업의 가치가 2030년까지 약 11억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2024년 현재, 준비 과정에는 세 단계의 재배와 건조가 포함된다. 호주 최초의 상업적 수확은 2022년에 이루어졌다. 농업은 전 세계 인위적 메탄 배출량의 37%를 차지한다. 소 한 마리는 연간 154~264파운드의 메탄을 생산한다.[89]
다른 조류 기반 시장으로는 건축 자재, 비료 및 기타 농업 투입재,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연료 및 직물이 있다. 홍조류는 또한 물을 정화하고 탄소를 격리하는 것과 같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89]
참조
[1]
논문
"''Bangiomorpha pubescens'' n. gen., n. sp.: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sex, multicellularity, and the Mesoproterozoic/Neoproterozoic radiation of eukaryotes"
http://paleobiol.geo[...]
[2]
논문
Precise age of Bangiomorpha pubescens dates the origin of eukaryotic photosynthesis
https://pubs.geoscie[...]
[3]
서적
Phyc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Adolf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ic eukaryotic algae, Rhodophyta.
https://www.worldcat[...]
Gebr. Borntraeger Verlagsbuchhandlung
2017
[5]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2016
[6]
서적
Seaweeds
"Life Series.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7]
서적
Freshwater ecology : concepts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limnology
https://www.worldcat[...]
Academic Press
2019-05-07
[8]
논문
The biology of freshwater red algae
[9]
웹사이트
Huan Qiu Red Algae DEENR at Rutgers SEBS
http://deenr.rutgers[...]
[10]
논문
Extreme environments as potential drivers of convergent evolution by exaptation: the Atacama Desert Coastal Range case
[11]
서적
Biology of the Red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2]
서적
Campbell Biology Australian and New Zealand Edition
https://books.google[...]
Pearson Higher Education AU
2015-05-20
[13]
서적
Introduction to the Biology of Marine Lif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2-06-11
[14]
논문
The unique features of starch metabolism in red algae
[15]
웹사이트
Algae
http://autocww.color[...]
autocww.colorado.edu
[16]
웹사이트
Rhodophyta: red algae
http://www.seaweed.i[...]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17]
논문
Plastid Evolution
[18]
논문
Primary and Secondary Endosymbiosis and the Evolution of Plastids
[19]
웹사이트
Steal My Sunshine
https://www.the-scie[...]
[20]
논문
Hidden biodiversity of the extremophilic Cyanidiales red algae
[21]
웹사이트
Plants and animals sometimes take genes from bacteria, study of algae suggests - Sciencemag.org
https://www.science.[...]
[22]
논문
The genomes of polyextremophilic cyanidiales contain 1% horizontally transferred genes with diverse adaptive functions
2019-05-31
[23]
논문
Insights into the red algae and eukaryotic evolution from the genome of ''Porphyra umbilicalis'' (Bangiophyceae, Rhodophyta)
[24]
문서
Algae: Anatomy,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Second Edition (page 27)
https://ia801206.us.[...]
[2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STYLONEMATALES (STYLONEMATOPHYCEAE, RHODOPHYTA): BIOGEOGRAPHIC PATTERNS DO NOT APPLY TO ''STYLONEMA ALSIDII'' 1"
https://onlinelibrar[...]
2008-04-11
[26]
논문
Deep-water green algae from the Bahamas, including ''Cladophora vandenhoekii'' sp. nov. (Cladophorales)
1991
[27]
서적
Biology of the Red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논문
Indicator value of freshwater red algae in running waters for water quality assessment
http://www.oandhs.or[...]
[29]
논문
A survey of Rhodophyta and associated macroalgae from coastal streams in French Guiana
[30]
서적
Biology of the Red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논문
The biology of parasitic red algae
[32]
논문
Are all red algal parasites cut from the same cloth?
[33]
논문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34]
논문
Phylogenomics Reshuffles the Eukaryotic Supergroups
[35]
논문
Large-Scale Phylogenomic Analyses Reveal That Two Enigmatic Protist Lineages, Telonemia and Centroheliozoa, Are Related to Photosynthetic Chromalveolates
[36]
논문
Kingdoms Protozoa and Chromista and the eozoan root of the eukaryotic tree
[37]
논문
Analysis of Rare Genomic Changes Does Not Support the Unikont–Bikont Phylogeny and Suggests Cyanobacterial Symbiosis as the Point of Primary Radiation of Eukaryotes
[38]
논문
EEF2 analysis challenges the monophyly of Archaeplastida and Chromalveolata
[39]
논문
Phylogenetic positions of Glaucophyta, green plants (Archaeplastida) and Haptophyta (Chromalveolata) as deduced from slowly evolving nuclear genes
[40]
논문
Assessing red algal supraordinal diversity and taxonomy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ystematic data
[41]
논문
Defining the major lineages of red algae (Rhodophyta)
http://dblab.rutgers[...]
2011-12-09
[42]
논문
The new red algal subphylum Proteorhodophytina comprises the largest and most divergent plastid genomes known
[43]
논문
Divergence time estimates and the evolution of major lineages in the florideophyte red algae
https://www.nature.c[...]
2016-02-19
[44]
논문
A Novel Pattern of Apical Cell Polyploidy, Sequential Polyploidy Reduction and Intercellular Nuclear Transfer in the Red Alga Polysiphonia
[45]
논문
Evolution of Red Algal Plastid Genomes: Ancient Architectures, Introns, Horizontal Gene Transfer, and Taxonomic Utility of Plastid Markers
[46]
서적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7]
논문
Ultrastructure of Cell Division and Reproductive Differentiation of Male Plants in the Florideophyceae (Rhodophyta): Cell Division in Polysiphonia1
[48]
논문
Properties and Ultrastructure of Phycoerythrin From Porphyridium cruentum12
[49]
서적
The Fine Structure of Algal Cells - 1st Edition
https://shop.elsevie[...]
Academic Press
2023-08-16
[50]
논문
Ultrastructure and supramolecular organization of photosynthetic membranes of some marine red algae
[51]
논문
Low Molecular Weight Carbohydrates of the Bangiophycidae (Rhodophyta)1
[52]
논문
Chloroplast structure and starch grain production as phylogenetic indicators in the lower Rhodophyceae
1974
[53]
서적
Low Molecular Weight Carbohydrates in Red Algae – an Eco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erspective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2023-08-16
[54]
논문
A Light- and Electron-Microscopic Survey of Algal Cell Walls. I. Phaeophyta and Rhodophyta
1961-11-01
[55]
웹사이트
Pit Plugs
https://depts.washin[...]
FHL Marine Botany
2016-06-30
[56]
간행물
Handbook of the protists
[57]
웹사이트
In a First, Tiny Crustaceans Are Found to 'Pollinate' Seaweed like Bees of the Sea
https://www.scientif[...]
2023-08-16
[58]
논문
New Clues to the Possible Origin of Ascomycetes
1975-02-01
[59]
서적
Biology of Plants 7th ed.
W.H. Freeman and Company Publishers, New York
2005
[60]
논문
Discrimination between 12C and 13C by marine plants
[61]
논문
Discrimination between 12C and 13C by marine plants
1992
[62]
논문
realDB: a genome and transcriptome resource for the red algae (phylum Rhodophyta)
https://doi.org/10.1[...]
2018-01-01
[63]
논문
Genome sequence of the ultrasmall unicellular red alga Cyanidioschyzon merolae 10D
2004-04-01
[64]
논문
A 100%-complete sequence reveals unusually simple genomic features in the hot-spring red alga Cyanidioschyzon merolae
[65]
논문
Gene transfer from bacteria and archaea facilitated evolution of an extremophilic eukaryote
https://pub.uni-biel[...]
2013-03-01
[66]
논문
The first symbiont-free genome sequence of marine red alga, Susabi-nori (Pyropia yezoensis)
[67]
논문
Genome structure and metabolic features in the red seaweed Chondrus crispus shed light on evolution of the Archaeplastida
[68]
논문
Genome of the red alga Porphyridium purpureum
[69]
논문
Insights into the red algae and eukaryotic evolution from the genome of Porphyra umbilicalis (Bangiophyceae, Rhodophyta)
2017-08-01
[70]
논문
Unraveling the nuclear and chloroplast genomes of an agar producing red macroalga, Gracilaria changii (Rhodophyta, Gracilariales)
[71]
논문
Adaptation through horizontal gene transfer in the cryptoendolithic red alga Galdieria phlegrea
[72]
논문
Genome Survey Sequencing and Genetic Background Characterization of Gracilariopsis lemaneiformis (Rhodophyta) Based on Next-Generation Sequencing
[73]
논문
"Analysis of the Draft Genome of the Red Seaweed Gracilariopsis chorda Provides Insights into Genome Size Evolution"
2018-08
[74]
논문
Three-dimensional preservation of cellular and subcellular structures suggests 1.6 billion-year-old crown-group red algae
2017
[75]
논문
Probable Calcified Metaphytes in the Latest Proterozoic Nama Group, Namibia: Origin, Diagenesis, and Implications
[76]
논문
New data on multicellular thallophytes and fragments of cellular tissues from Late Proterozoic phosphate rocks, South China
[77]
논문
Membrane heredity and early chloroplast evolution
2000-04
[78]
논문
"Enzyme-enhanced extraction of antioxidant ingredients from red algae Palmaria palmata"
[79]
논문
Nutritional Value of Edible Seaweeds
[80]
논문
Micro-algae as a source of protein
https://linkinghub.e[...]
2007-03
[81]
웹사이트
Dulse: ''Palmaria palmata''
http://www.seaveg.co[...]
Quality Sea Veg
2007-06-28
[82]
서적
Algae and Human Affai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논문
"Lipid, fatty acid, protein, amino acid and ash contents in four Brazilian red algae species"
[84]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논문
Southern Ocean Seaweeds: a resource for exploration in food and drugs
[86]
웹사이트
On the human consumption of the red seaweed dulse (Palmaria palmata (L.) Weber & Mohr)
https://www.research[...]
2013-12
[87]
논문
Safety and toxicological evaluation of AlgaeCal ® (AC), a novel plant-based calcium supplement
http://www.tandfonli[...]
2010-07
[88]
논문
"Proximate Composition of Different Group of Seaweeds from Vedalai Coastal Waters (Gulf of Mannar): Southeast Coast of India"
[89]
웹사이트
Cattle Are A Major Sourc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Hawaii Seaweed Could Change That
https://www.civilbea[...]
2024-06-03
[90]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2019-10-04
[91]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92]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93]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95]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96]
서적
新日本海藻誌 日本海藻類総覧
内田老鶴圃
[97]
서적
学研生物図鑑 海藻
学習研究社
[98]
서적
日本の海藻
平凡社
[99]
서적
海藻 ― 日本で見られる388種の生態写真+おしば標本
誠文堂新光社
[100]
논문
Ultrastructure of trichocyte (hair cell) complexes in ''Jania adhaerens'' (Corallinales, Rhodophyta)
[101]
논문
Rhodophycean pit plugs: an ultrastructural survey with taxonomic implications
[102]
서적
Biology of the Red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
논문
藻類の炭酸カルシウム形成: その機構と大気 CO2 循環への貢献
[104]
논문
日本のサンゴ礁域における無節サンゴモ研究
[105]
논문
磯焼け
http://sourui.org/pu[...]
[106]
서적
Progress in Phycological Research Vol. 1
Elsevier Biomedical Press, Amsterdam
[107]
논문
Diversity of plastid DNA configuration among eukaryote algae
[108]
논문
New taxa of the Porphyridiophyceae (Rhodophyta): ''Timspurckia oligopyrenoides'' gen. et sp. nov. and ''Erythrolobus madagascarensis'' sp. nov.
[109]
논문
Chlorophyll ''d'' in an epiphytic cyanobacterium of red algae
[110]
논문
Carotenogenesis diversification in phylogenetic lineages of Rhodophyta
[111]
논문
Distinct form I, II, III, and IV Rubisco proteins from the three kingdoms of life provide clues about Rubisco evolution and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112]
논문
Rubisco genes indicate a close phylogenetic relation between the plastids of Chromophyta and Rhodophyta
[113]
논문
Variation in storage α-glucans of the Porphyridiales (Rhodophyta)
[114]
논문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115]
논문
Time-lapse videomicroscopy of cell (spore) movement in red algae
[116]
논문
Actin and myosin regulate pseudopodia of ''Porphyra pulchella'' (Rhodophyta) archeospores
[117]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褐藻・紅藻類
[118]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19]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20]
논문
Reproductive patterns of ''Caloglossa'' species (Delesseriaceae, Rhodophyta) from Australia and New Zealand: multiple origins of asexuality in ''C. leprieurii''. Literature review on apomixis, mixed‐phase, bisexuality and sexual compatibility
[121]
논문
Deep-water plant communities from an uncharted seamount off San Salvador Island, Bahamas: distribution, abundance, and primary productivity
[122]
논문
The red algal epiphytes ''Microcladia coulteri'' and ''M. californica'' (Rhodophyceae, Ceramiaceae). II: Basiphyte specificity
[123]
논문
Life history in culture of the obligate epiphyte ''Porphyra subtumens'' (Bangiales, Rhodophyta) endemic to New Zealand
[124]
논문
Carbon exchange between ''Polysiphonia lanosa'' (Rhodophyceae) and its brown algal host
[125]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26]
서적
世界の淡水産紅藻
內田老鶴圃
[127]
웹사이트
レッドリスト
https://www.env.go.j[...]
環境省
2019-09-22
[128]
서적
日本淡水藻図鑑
内田老鶴圃
[129]
서적
Freshwater Algae of North America. Ecology and classification
Elsevier Science USA, San Diego
[130]
논문
''Rufusia'' (Porphyridiales, Phragmonemataceae), a new red alga from sloth hair
[131]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rhodophycean ''Porphyridium purpureum'' in situ in ''Peneroplis ertusus'' (Forskal) and ''P. acicularis'' (Batsch) and in axenic culture
[132]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133]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134]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135]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136]
웹사이트
漁業産出額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137]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138]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139]
논문
新しい海藻養殖
http://sourui.org/pu[...]
[140]
논문
Transfer of carbohydrate-active enzymes from marine bacteria to Japanese gut microbiota
[141]
논문
Distribution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nonindigenous and invasive marine algae in the Hawaiian Islands
[142]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143]
서적
藻類学総説
内田老鶴圃新社
[144]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145]
논문
Eukaryote kingdoms: seven or nine?
[146]
논문
Non-photosynthetic predators are sister to red algae
[147]
서적
藻類30億年の自然史 -藻類からみる生物進化-
東海大学出版会
[148]
논문
"Bangiomorpha pubescens'' n. gen., n. sp.: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sex, multicellularity, and the Mesoproterozoic/Neoproterozoic radiation of eukaryotes"
[149]
논문
Three-dimensional preservation of cellular and subcellular structures suggests 1.6 billion-year-old crown-group red algae
[150]
논문
Fossils of putative marine algae from the Cryogenian glacial interlude of Mongolia
[151]
논문
Divergence time estimates and the evolution of major lineages in the florideophyte red algae
[152]
웹사이트
紅藻類
http://natural-histo[...]
生きもの好きの語る自然誌
2019-10-11
[153]
서적
The structure and reproduction of algae, vol 2
University Cambridge Press, Cambridge
[154]
논문
Assessing red algal supraordinal diversity and taxonomy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ystematic data.
[155]
논문
Defining the major lineages of red algae (Rhodophyta)
[156]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157]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158]
웹사이트
原始紅藻綱は6綱に分けられた
http://natural-histo[...]
[159]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Berlin
[160]
논문
Red algal phylogenomics provides a robust framework for inferring evolution of key metabolic pathways
[161]
논문
The new red algal subphylum Proteorhodophytina comprises the largest and most divergent plastid genomes known
[162]
논문
Phylogeny and Molecular Evolution of the Green Algae
http://images.algaeb[...]
[163]
논문
Nested in the Chlorellales or Independent Class?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Pedinophyceae (Viridiplantae) Revealed by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Complete Nuclear and Plastid-encoded rRNA Operons
[164]
논문
Origin of land plants revisited in the light of sequence contamination and missing data
[165]
논문
Chloroplast phylogenomic analyses reveal the deepest-branching lineage of the Chlorophyta, Palmophyllophyceae class. nov
http://www.nature.co[...]
2016-05-09
[166]
서적
Handbook of the Protists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167]
논문
Green algae and the origin of land plants
http://www.amjbot.or[...]
[168]
논문
From algae to angiosperms–inferring the phylogeny of green plants (Viridiplantae) from 360 plastid genomes
https://doi.org/10.1[...]
2014-02-17
[169]
논문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http://onlinelibrary[...]
2012-09-01
[170]
논문
A clade uniting the green algae Mesostigma viride and Chlorokybus atmophyticus represents the deepest branch of the Streptophyta in chloroplast genome-based phylogenies
https://doi.org/10.1[...]
2007-01-12
[171]
논문
Green Algae and the Origins of Multicellularity in the Plant Kingdom
http://cshperspectiv[...]
2014-11-01
[172]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Berlin
[173]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 Univ. Ireland, Galway
2019-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