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야노바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야노바츠는 세르비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세르비아 중세 시대를 거쳐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알바니아계 분리주의 단체의 무장 봉기가 있었으나 진압되었으며, 현재는 프치나 구에 속해 있다. 2022년 기준 인구는 41,068명이며,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이슬람교를 믿는 인구가 가장 많다. 스포츠로는 축구 클럽 BSK 부야노바츠 등이 있으며, 릴레함메르, 발보너, 지로카스터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야노바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일반 정보 | |
| 공식 명칭 | 부야노바츠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Бујановац) 부야노치 (알바니아어: Bujanoc) |
| 위치 | 세르비아 |
| 자치체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 행정 구역 | |
| 국가 | 세르비아 |
| 지역 |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 |
| 행정 구역 | 프치냐 구 |
| 하위 구역 | |
| 구역 종류 | 정착지 |
| 구역 수 | 59 |
| 정치 | |
| 시장 | 나기프 아리피 |
| 면적 | |
| 도시 | 8.95 제곱킬로미터 |
| 지방 자치체 | 461 제곱킬로미터 |
| 고도 | |
| 고도 | 384 미터 |
| 인구 | |
| 2022년 (도시) | 11,468 명 |
| 2022년 (지방 자치체) | 41,068 명 |
| 시간대 | |
| 시간대 | CET (UTC+1) |
| 하계 시간 (DST) | CEST (UTC+2) |
| 기타 정보 | |
| 우편 번호 | 17520 |
| 지역 번호 | +381 (0)17 |
| 차량 번호판 | BU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칼레-크르셰비차는 리스토바츠 남쪽에 있는 기원전 5세기 마케도니아의 고대 도시 유적지로, 다마스티온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트라키아인의 트리발리족과 파이오니아의 아그리아네스족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279년 발칸 반도 갈리아족 침략 이후 스코르디스키족이 정착했다. 기원전 75년 이후 고대 로마에 정복되었고, 기원전 29년(기원전 27년부터 제국) 모에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서기 87년에는 로마 제국의 모에시아 수페리오르 속주로 재편되었다.
12세기부터 중세 세르비아의 세르비아 왕국이나 세르비아 제국 등이 이 지역 일부를 포함했으며, 14세기에는 대부분을 차지했다. 15세기부터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부야노바츠는 현재 발칸 반도로 불리는 지역의 역사적 명칭인 루멜리아에 속했다.[1]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에는 몇 가지 행정적 변화가 있었다.[1] 당시 '부야노프차'였던 부야노바츠와 그 주변 지역은 프리슈티나 구역의 "프레셰보 지역"에 편입되었고, 1905년부터 1912년까지 28개 마을을 관할하는 2급 행정 구역이었다.[1] 발칸 전쟁 이후 이 지역은 세르비아 왕국의 쿠마노보 구역에 속하게 되었다.[1]
1918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 수립 후, 부야노바츠는 비도브단 헌법 이후 1921년에 형성된 브라네 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1929년 행정 개편으로 수도가 스코페인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1943년부터 1992년까지는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다.[5]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이후, 1999년까지 이어진 인근 코소보 전쟁에 이어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알바니아계 준군사 분리주의 단체인 프레셰보, 메드베자 및 부야노바츠 해방군(UÇPMB)는 세르비아로부터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메드베자 세 개의 지방 자치체를 점령하여 자칭 코소보 공화국에 합류시키려는 목표로 알바니아인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서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 코소보와 달리 서방 국가들은 이 공격을 비난하고 해당 단체의 "극단주의"와 "불법 테러 행위" 사용으로 묘사했다.[6]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축출 이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2001년까지 폭력을 진압하고 분리주의자들을 격퇴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군도 반군이 코소보로 분쟁을 재수입하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유고슬라비아 정부를 도왔다.[7]
이후 상황은 안정되었지만, 이 작은 지방 자치체에는 많은 병력이 주둔하게 되었다. 2009년, 세르비아는 이 지역의 안정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부야노바츠에서 남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군사 기지 체포티나를 건설했다.[8]
2017년 3월 7일, 알바니아 대통령 부야르 니샤니는 알바니아인이 인종적 다수를 이루는 부야노바츠와 프레셰보 자치구에 역사적인 방문을 했다.[9]
2. 1. 고대
칼레-크르셰비차는 리스토바츠 남쪽에 위치한 기원전 5세기의 고대 도시 마케도니아 유적지로, 다마스티온으로 추정된다. 트라키아인의 트리발리족과 파이오니아의 아그리아네스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기원전 279년 발칸 반도 갈리아족 침략 이후 스코르디스키족이 정착했다. 기원전 75년 이후 고대 로마에 정복되었으며, 기원전 29년(기원전 27년부터 제국) 로마의 프로프라에토리알 속주인 모에시아의 일부가 되었다. 서기 87년 로마 제국의 속주인 모에시아 수페리오르로 재편성되었다.2. 2. 중세 세르비아 시대
중세 세르비아의 세르비아 왕국이나 세르비아 제국과 같은 국가들은 12세기부터 이 지역의 일부를, 14세기까지는 대부분을 포함했다. 15세기부터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부야노바츠는 현재 발칸 반도로 불리는 지역의 역사적 명칭인 루멜리아에 속했다.[1]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에는 몇 가지 행정적 변화가 있었다.[1] 당시 '부야노프차'였던 부야노바츠와 그 주변 지역은 프리슈티나 구역의 "프레셰보 지역"에 편입되었으며, 1905년부터 1912년까지 28개 마을을 관할하는 2급 행정 구역이었다.[1] 발칸 전쟁 이후 이 지역은 세르비아 왕국의 쿠마노보 구역에 속하게 되었다.[1]
2. 4. 유고슬라비아 시대 (1918–92)
1918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수립된 후, 부야노바츠는 비도브단 헌법 이후 1921년에 형성된 브라네 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1929년 행정 개편으로 수도가 스코페인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1943년부터 1992년까지는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5]1945년부터 1992년까지 부야노바츠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다.
2. 5. 유고슬라비아 해체 (1991–99)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이후, 1999년까지 이어진 인근 코소보 전쟁에 이어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알바니아계 준군사 분리주의 단체인 UÇPMB는 세르비아로부터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메드베자 세 개의 지방 자치체를 점령하여 자칭 코소보 공화국에 합류시키려는 목표로 알바니아인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서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코소보의 경우와 달리 서방 국가들은 이 공격을 비난하고 이를 해당 단체의 "극단주의"와 "불법 테러 행위" 사용으로 묘사했다.[6]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축출 이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2001년까지 폭력을 진압하고 분리주의자들을 격퇴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군도 반군이 코소보로 분쟁을 재수입하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유고슬라비아 정부를 도왔다.[7] 이후, 비록 이 작은 지방 자치체에 많은 병력이 존재하지만 상황은 안정되었다.
2. 6. 프레셰보 계곡 위기 (1999–2001)
1992년, 이 지역의 알바니아인들은 국민 투표를 조직하여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메드베자가 자칭 코소보 공화국 의회에 합류해야 한다고 투표했다. 그러나 1990년대 말까지 주요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다.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이후, 1999년까지 이어진 인근 코소보 전쟁에 이어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알바니아계 준군사 분리주의 단체인 UÇPMB는 세르비아로부터 이 세 개의 지방 자치체를 점령하여 자칭 코소보 공화국에 합류시키려는 목표로 알바니아인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서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
코소보의 경우와 달리 서방 국가들은 이 공격을 비난하고 이를 해당 단체의 "극단주의"와 "불법 테러 행위" 사용으로 묘사했다.[6]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축출 이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2001년까지 폭력을 진압하고 분리주의자들을 격퇴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군도 반군이 코소보로 분쟁을 재수입하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유고슬라비아 정부를 도왔다.[7] 이후, 비록 이 작은 지방 자치체에 많은 병력이 존재하지만 상황은 안정되었다.
2009년, 세르비아는 이 지역의 안정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부야노바츠에서 남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군사 기지 체포티나를 열었다.[8]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코소보 해방군과 유사한 알바니아인 게릴라 조직인 프레셰보, 메드베자, 부야노바츠 해방군(UÇPMBsq)이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및 메드베자 각 자치체에서 활동하며 프레셰보 계곡 위기로 불렸다. 이 기간 동안 쌍방에 사상자가 발생했지만, 1999년의 코소보 전쟁이나 2001년의 마케도니아 분쟁과는 달리 국제 사회의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2001년에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치안 당국에 의해 반란이 진압된 이후 지역은 평정을 유지하고 있다. 2009년, 부야노바츠의 알바니아어 중등 학교를 부흥시키기 위해 세르비아 정부가 6150만세르비아 디나르를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2. 7. 현대
오늘날 부야노바츠는 세르비아 남부의 프치나 구에 위치해 있다.2017년 3월 7일, 알바니아 대통령 부야르 니샤니는 부야노바츠와 프레셰보 자치구에 역사적인 방문을 했다. 이곳은 알바니아인이 인종적 다수를 이루는 곳이다.[9]
3. 인구
2002년 인구 조사에서 부야노바츠 시의 인구는 43,302명이었으며, 2022년 조사에서는 41,068명으로 감소했다.[19] 시 인구의 대부분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도시 지역 거주 인구는 27.74%에 불과하다. 부야노바츠 시에는 59개의 거주지가 있다.[19]
| 연도 | 1948년[23] | 1953년[10] | 1961년[13] | 1971년[14] | 1981년[15] | 1991년[16] | 2002년[17] | 2011년[18] | 2022년[19] |
|---|---|---|---|---|---|---|---|---|---|
| 인구 | 34,472 | 36,810 | 39,064 | 43,522 | 46,689 | 49,238 | 43,302 | 18,067 | 41,068 |
3. 1. 민족 구성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야노바츠 시정부 인구의 대다수는 알바니아인으로, 전체 인구의 62%를 차지한다.[19]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부야노바츠 시정부의 알바니아계 주민 대부분이 보이콧하면서 인구 조사 단위의 과소 집계가 보고되었다.[18] 시정부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집단 | 인구 1948[11] | 인구 1953[12] | 인구 1961[13] | 인구 1971[14] | 인구 1981[15] | 인구 1991[16] | 인구 2002[17] | 인구 2011[18] | 2022년 인구 조사[19] | |
|---|---|---|---|---|---|---|---|---|---|---|
| 인구 | % | |||||||||
| 알바니아인 | 27,174 | 28,653 | 16,618 | 21,209 | 25,848 | 29,588 | 23,681 | 244 | 25,465 | 62.01 |
| 세르비아인 | 25,143 | 27,681 | 20,033 | 18,840 | 15,914 | 14,660 | 14,782 | 12,989 | 10,467 | 25.49 |
| 로마니 | 2,838 | - | 11 | 2,749 | 4,130 | 4,408 | 3,867 | 4,576 | 3,532 | 8.60 |
| 마케도니아인 | 29 | 54 | 40 | 55 | 105 | - | 36 | 47 | 16 | 0.32 |
| 불가리아인 | 9 | 23 | ||||||||
| 23 | 11 | |||||||||
| 고라니인 | ||||||||||
| 60 | 87 | |||||||||
| 몬테네그로인 | 23 | 16 | 8 | 23 | 24 | 44 | 7 | 19 | ||
| 무슬림 | 314 | |||||||||
| 134 | 81 | 121 | 133 | 6 | 15 | 15 | ||||
| 유고슬라비아인 | ||||||||||
| 91 | 1,081 | 15 | 96 | 75 | 2 | 3 | 2 | |||
| 기타 | 408 | 6,286 | 1,147 | 550 | 451 | 330 | 878 | 91 | 1,473 | 3.59 |
| 총계 | 55,938 | 62,804 | 39,064 | 43,522 | 46,689 | 49,238 | 43,302 | 18,067 | 41,068 | 100 |
세르비아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집락은 다음과 같다:
- 바라리에바츠(Baraljevac)
- 보그다노바츠(Bogdanovac)
- 보지니에바츠(Božinjevac)
- 보로바츠(Borovac)
- 브라토셀체(Bratoselce)
- 브르냐레(Brnjare)
- 부슈트라니에(Buštranje)
- 보간체(Vogance)
- 그라마다(Gramada)
- 도니예 노보 세로(Donje Novo Selo)
- 야스트레바츠(Drežnica)
- 조르제바츠(Đorđevac)
- 주베바츠(Žbevac)
- 주젤리차(Žuželjica)
- 야블라니차(Jablanica)
- 야스트레바츠(Jastrebac)
- 카라드니크(Karadnik)
- 크레니케(Klenike)
- 클리노바츠(Klinovac)
- 코샤르노(Košarno)
- 크르셰비차(Krševica)
- 쿠슈티차(Kuštica)
- 레보소예(Levosoje)
- 로파르딘체(Lopardince)
- 루칼체(Lukarce)
- 릴랸체(Ljiljance)
- 프레티나(Pretina)
- 라코바츠(Rakovac)
- 루스체(Rusce)
- 스베타 페트카(Sveta Petka)
- 세브라트(Sebrat)
- 세야체(Sejace)
- 스판체바츠(Spančevac)
- 스르프스카 쿠차(Srpska Kuća)
- 스트라츠(Starac)
- 트레야크(Trejak)
알바니아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곳은 다음과 같다:
- 빌랴차(Biljača)
- 브레즈니차(Breznica)
- 벨리키 트르노바츠(Veliki Trnovac)
- 브르반(Vrban)
- 고르니예 노보 세로(Gornje Novo Selo)
- 도브로신(Dobrosin)
- 자르빈체(Zarbince)
- 콘출리(Končulj)
- 레토비차(Letovica)
- 루차네(Lučane)
- 말리 트르노바츠(Mali Trnovac)
- 무호바츠(Muhovac)
- 네고바츠(Negovac)
- 네살체(Nesalce)
- 프리보브체(Pribovce)
- 라브노 부체(Ravno Bučje)
- 사모리차(Samoljica)
- 수하르노(Suharno)
- 투리야(Turija)
- 우조보(Uzovo)
- 차르(Čar)
세르비아인이 비교적 많은 혼합 거주 지역은 부야노바츠(Bujanovac)이다. 알바니아인이 비교적 많은 혼합 거주 지역은 오슬라레(Oslare)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야노바츠 마을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17]
3. 2. 종교
2022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야노바츠 시는 이슬람교 인구가 68.8%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교회 신자는 24.8%를 차지한다.[20]| 종교 | 인구 | % |
|---|---|---|
| 이슬람교 | 28,254 | 68.80 |
| 정교회 | 10,203 | 24.84 |
| 기타 기독교 | 423 | 1.03 |
| 기타 | 4 | 0.01 |
| 미신고 | 340 | 0.83 |
| 불명 | 1,844 | 4.49 |
| 합계 | 41,068 | 100.00 |
4. 정치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코소보 해방군과 유사한 알바니아인 게릴라 조직인 프레셰보, 메드베자, 부야노바츠 해방군(UÇPMB|프레셰보, 메드베자, 부야노바츠 해방군sq)이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및 메드베자에서 활동하며 프레셰보 계곡 위기로 불렸다. 이 기간 동안 쌍방에 사상자가 발생했지만, 1999년의 코소보 전쟁이나 2001년의 마케도니아 분쟁과는 달리 국제 사회의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2001년에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치안 당국에 의해 반란이 진압된 이후 지역은 평정을 유지하고 있다. 2009년, 부야노바츠의 알바니아어 중등 학교를 부흥시키기 위해 세르비아 정부가 61500000RSD를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5. 경제
다음 표는 2022년 기준 주된 활동별 법인에 등록된 전체 고용 인원수를 보여준다.[21]
| 활동 | 합계 |
|---|---|
| 농업, 임업 및 어업 | 32 |
| 광업 및 채석업 | 16 |
| 제조업 | 1,291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 8 |
| 수도 공급업; 하수, 폐기물 관리 및 정화 활동 | 180 |
| 건설업 | 265 |
| 도매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업 | 685 |
| 운송 및 보관업 | 328 |
| 숙박 및 음식 서비스업 | 249 |
| 정보 및 통신업 | 27 |
| 금융 및 보험업 | 35 |
| 부동산 활동 | 2 |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129 |
| 사업 지원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31 |
| 공공 행정 및 국방; 사회 보장 의무 | 609 |
| 교육 | 780 |
| 인간 건강 및 사회 복지 활동 | 369 |
| 예술, 오락 및 레크리에이션 | 135 |
| 기타 서비스 활동 | 131 |
| 개인 농업 종사자 | 100 |
| 총계 | 5,401 |
6. 스포츠
부야노바츠에는 여러 축구 팀이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팀으로는 BSK 부야노바츠, Kf 테르노치, KF 베사가 있다.
7. 자매 도시
부야노바츠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8. 저명한 출신 인물
- 넥핫 다치 - 코소보 알바니아 정치인
- 젤브림 타이피 - 알바니아 축구 선수
- 베라트 짐시티 - 알바니아 축구 선수
- 샤이프 캄베리 - 알바니아 정치인
- 루미르 압디지쿠 - 코소보 알바니아 정치인
- 아르브노르 페이줄라후 - 알바니아 축구 선수
- 아예트 소피 블라타 - 알바니아 반군
- 나기프 아리피 - 알바니아 정치인
참조
[1]
문서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Насеља општине Бујановац
http://webrzs.stat.g[...]
Statistical Office of Serbia
2019-10-22
[3]
웹사이트
Prvi rezultati Popisa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2.
https://publikacije.[...]
2022-12-21
[4]
웹사이트
2022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publikacije.[...]
2023-12-07
[5]
웹사이트
SCIndeks - Članak
http://scindeks.nb.r[...]
2010-11-15
[6]
서적
European Yearbook of Minority Issues: 2001/2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3-01-01
[7]
뉴스
NATO: Yugoslav Officials Discuss Presevo Valley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 Liberty
2017-04-22
[8]
뉴스
Otvorena baza na jugu Srbije
http://www.b92.net/i[...]
2009-11-23
[9]
뉴스
Musliu: Albanski predsednik Bujar Nišani posetiće 7. marta Bujanovac i Preševo
http://www.blic.rs/v[...]
2017-03-03
[10]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11]
웹사이트
STALNO STANOVNISTVO PO NARODNOSTI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4
[12]
웹사이트
UKUPNO STANOVNIŠTVO PO NARODNOSTI (1953)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3
[13]
웹사이트
Knjiga III: Nacionalni sastav stanovništva FNR Jugoslavije (1961)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3
[14]
웹사이트
Knjiga III: Nacionalni sastav stanovništva FNR Jugoslavije (1971)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3
[15]
웹사이트
Nacionalni sastav stanovništva SFR Jugoslavije (1981)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3
[16]
웹사이트
STANOVNIŠTVO PREMA NACIONALNOJ PRIPADNOSTI (1991)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3
[17]
웹사이트
Popis stanovnistva, domacinstava i stanova u 2002
http://pod2.stat.gov[...]
2015-03-03
[18]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11.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3-03
[19]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НА ПРИПАДНОСТ Подаци по општинама и градовима 2022.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s://publikacije.[...]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
웹사이트
Претрага дисеминационе базе
https://data.stat.go[...]
2023-06-21
[21]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4-09-20
[22]
문서
http://www.balkanins[...]
[23]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