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열문은 문장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문으로, 영어, 한국어, 중국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일본어, 고이델어, 타갈로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된다. 영어에서는 it-cleft, wh-cleft/pseudo-cleft, reversed wh-cleft, all-cleft, inferential cleft, there-cleft, if-because cleft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한국어는 '-ㄴ/는 것은 ~이다' 구조를 사용하여 분열문을 형성한다. 분열문의 구조는 분열 대명사, 종속절(분열절), 분열 구성 성분(초점)으로 이루어지며, 분열 대명사의 역할과 종속절의 지위에 대한 학문적 논쟁이 존재한다. 분열문은 정보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새로운 정보, 기존 정보, 추론 가능한 정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분열문 | |
---|---|
언어 정보 | |
언어 | 분열문 |
다른 이름 | 강조 구문 |
영어 이름 | Cleft sentence |
중국어 이름 | 分裂文 |
유형 | |
종류 | 구문 |
특징 | |
목적 | 문장의 특정 부분을 강조 |
구조 | 'It + be 동사 + 강조 요소 + that/who + 나머지 문장' 형태를 가짐. |
예시 | "It was John who broke the window." (창문을 깬 것은 바로 존이었다.) |
활용 | |
사용 예시 | 특정한 정보에 초점을 맞추거나, 대조를 통해 의미를 명확히 할 때 사용. |
2. 분열문의 유형
분열문은 언어별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유형은 문장의 특정 성분을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모든 언어가 영어만큼 다양한 분열문 유형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언어는 화제화, 단어 순서 변경, 초점 입자 등과 같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 구성 요소를 강조한다.[17]
분열문은 의문사를 강조하는 등의 형태로 의문문에도 자주 사용된다.
- 영어 등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가진 언어: 주절의 동사를 가능한 앞에 두는 것을 선호
- 일본어: "누가 꽃병을 깼는가?"보다 "꽃병을 깬 것은 누구인가?" 또는 "누가 꽃병을 깬 거야?"(のだ문)라는 표현이 일반적
언어 | 분열문 형식 | 예시 |
---|---|---|
한국어 | -ㄴ/는 것은 ~이다 | 내가 마신 것은 물이다.[1] |
영어 | It + be동사 + X + 종속절 | It is Joey that we're looking for. |
중국어 | shì...de | Zhāngsān shì zuótiān lái-de|장산이 온 것은 어제였다.중국어 |
스페인어 | es que 추가, 식별 구조(el/la que, el/la cual, lo que, lo cual) 사용 | ¿Adónde fue que fuiste?|어디로 갔니?es[18] |
프랑스어 | Cest XP + 관계절 que/qui YP, 축약형 Cest XP | C'est Jean que je cherche|내가 찾는 사람은 장이다.프랑스어 |
일본어 | X no wa (ga) | 私たちが探しているのはジョーイだ。|Watashitachi ga sagashite iru no wa Joey da.|우리가 찾고 있는 것은 조이이다.일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문장의 거의 모든 요소를 분열 가능 | ’S e Iain a chuala an ceòl a-raoir|Iain이 어젯밤 음악을 들었다 (예: Mary가 아닌 Iain)gd |
타갈로그어 | 초점이 맞춰진 요소가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하는 결합 동사 구문 | Ang babae ang bumili ng bahay|집을 산 사람은 여자였다.tl |
2. 1. 영어의 분열문
영어는 문장의 특정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분열문을 사용한다. 영어 분열문의 몇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이 목록은 완전하지 않다).[1]- It-cleft
- Wh-cleft/의사 분열문
- 반전 Wh-cleft/반전 의사-분열문
- All-cleft
- 추론적 분열문
- There-cleft
- If-because 분열문







영어 분열문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는 Lambrecht 2001을, it-cleft와 wh-cleft에 대한 심층 분석은 Collins 1991을, 구어체 영어에서의 분열문에 대한 연구는 Calude 2009를 참조하라.
2. 1. 1. It-cleft
It-cleft는 "It is/was ~ that/who ..." 형태로, 강조하고자 하는 요소를 'it'과 'be' 동사 사이에 위치시킨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2]- '''영어 it-cleft:''' ''It was John that Mary saw.'' (메리가 본 것은 존이었다.)
영어 등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가진 언어에서는 주절의 동사를 가능한 앞에 두는 것을 선호한다. 예를 들어,
- We're looking for Joey. (우리는 조이를 찾고 있다)
라는 문장을,
- Who we're looking for is Joey. (우리가 찾고 있는 것은 조이다)
라는 표현보다, 허사(더미) 주어 It을 사용하여 종속절을 뒤로 보낸
- It is Joey that we're looking for.
라는 표현이 일반적인 어순이 된다. 그래서 후자를, 문장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특징에서 분열문이라고 부르고, 전자를 '''의사 분열문'''(Pseudo-cleft sentence)이라고 부른다. 즉 영어에서는 it + be동사 + X + 종속절 형태가 분열문, 종속절 + be동사 + X 형태가 의사 분열문이다. 여기서 X는 명사구, 전치사구, 형용사구 또는 부사구이다. 초점은 X에, 또는 (특히 진정한 분열문에서) 종속절 또는 그 일부에 놓인다 (발화에서는 강조된다). 일본어에서는 분열문과 의사 분열문에 해당하는 구별은 특별히 없다.
2. 1. 2. Wh-cleft/Pseudo-cleft
영어에서 의사 분열문은 주어 위치에 의문문이 오고, 그 뒤에 동사 ''be''의 형태가 오며, 문장의 끝에 나타나는 초점 요소가 오는 것으로 구성된다.[3] 전형적인 의사 분열 구문은 ''what''을 사용하지만, ''who'', ''where'' 등과 같은 다른 의문사와 ''thing'', ''one'', ''place'' 등과 같은 해당 대명사도 덜 자주 사용된다.[4] 의사 분열문은 새로운 정보를 제시하고 강조하는 도구이며, 일관성 있는 담화 진행의 구성 요소 역할을 하고, 저자의 입장을 구축하는 수사적 도구이며, 평가적 의미를 만드는 문법적 자원이다.영어 등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가진 언어에서는, 주절의 동사를 가능한 앞에 두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 We're looking for Joey. ("우리는 조이를 찾고 있다")
를 바꿔서,
- Who we're looking for is Joey. ("우리가 찾고 있는 것은 조이다")
라는 표현보다, 더 나아가 허사(더미) 주어 It을 사용하여 종속절을 뒤로 보낸
- It is Joey that we're looking for.
라는 표현이 일반적인 어순이 된다. 그래서 후자를, 문장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특징에서 분열문이라고 부르고, 전자를 '''의사 분열문'''(Pseudo-cleft sentence)이라고 부른다. 즉 영어에서는 it + be동사 + X + 종속절 형태가 분열문, 종속절 + be동사 + X 형태가 의사 분열문이다. 여기서 X는 명사구, 전치사구, 형용사구 또는 부사구이다. 초점은 X에, 또는 (특히 진정한 분열문에서) 종속절 또는 그 일부에 놓인다 (발화에서는 강조된다). 일본어에서는 분열문과 의사 분열문에 해당하는 구별은 특별히 없다.
2. 1. 3. Reversed wh-cleft/Inverted pseudo-cleft
영어에서 반전된 의사-분열문은 의사-분열문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지만, 동사 ''be''를 중심으로 두 문자열이 반전된다.[3] 초점 요소가 문장의 앞으로 이동하고, 절은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한다.[6]- '''영어 반전 wh-cleft/반전 의사-분열문:'''
# ''그가 사고 싶어 했던 것은 피아트였다.''[7]
# ''존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던 사람은 앨리스였다.''[3]
2. 1. 4. All-cleft
영어에서 전체 분열문은 문장의 주어가 구문 내에 포함되어 "to be" 동사로 표현되는 유사 분열문과 관련이 있다.[8] 유사 분열문이 'what', 'where', 'who'와 같은 wh-구문으로 시작하는 반면, 전체 분열문은 "all"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시작한다.[8]- '''영어 전체 분열문의 예시:'''
# ''All he wanted to buy was a Fiat.''[9]
# ''All they want is a holiday.''[8]
2. 1. 5. Inferential cleft
영어에서 추론적 분열문은 "it"으로 시작하고, "be" 동사의 보어로 삽입된 종속절을 포함한다.[10] 종종 "only", "simply", "just"와 같은 부사를 동반한다.[10] 추론적 분열문은 텍스트로 분석되는 반면, 데이터는 종종 구어에서 발견되며, 추론하는 주어의 종속절 역할을 한다.[11]2. 1. 6. There-cleft
There-cleft는 'there'를 주어로 사용하고, 'be' 동사 뒤에 강조하고자 하는 명사구를 위치시킨다.[12]- '''영어 더미 ''there'' 분열문:'''
# ''There's nobody there.'' (거기에는 아무도 없다.)[12]
# ''There seemed to be nothing he couldn't do.'' (그는 못하는 것이 없는 것 같았다.)[12]
- '''영어 ''be there'' 분열문:''' ''There comes a stage when a player should move on.'' (선수가 떠나야 할 단계가 온다.)[12]
- '''영어 동사 뒤 NP ''there'' 분열문:''' ''There was George Talbot and there was Ted.'' (조지 탤벗과 테드가 있었다.)[12]
- '''영어 ''there'' 분열문:''' ''And then there's a new house he wanted to build.'' (그리고 그가 짓고 싶어했던 새 집이 있다.)[13]
2. 1. 7. If-because cleft
영어 "if-because" 분열문은 'if'와 'because'를 사용하여 조건을 나타내는 분열문이다. 예를 들어 "그가 배우가 되길 원한다면, 그것은 그가 유명해지고 싶기 때문이다."와 같이 쓰인다.[9]2. 2. 한국어의 분열문
한국어는 '-ㄴ/는 것은 ~이다' 구조를 사용하여 분열문을 형성한다. 이는 특정 정보를 강조하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1]위의 예에서 '내가 마신 것'과 '아버지가 사주신 것'이 전제를 유발하는 분열문이다. 주문장이 부정되어도 전제(분열문)는 그대로 남는다.[1]
- 부정: "내가 마신 것은 술이 아니다. (음료수이다.)" (전제 유지: 내가 무엇을 마셨다.)[1]
- 부정: "아버지가 사주신 것은 이 책이 아니다. (저 책이다.)" (전제 유지: 아버지가 무엇을 사주셨다.)[1]
2. 3. 기타 언어의 분열문
모든 언어가 영어만큼 다양한 분열문 유형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언어는 화제화, 단어 순서 변경, 초점 입자 등과 같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 구성 요소를 강조한다.[17]2. 3. 1. 중국어
중국어는 'shì...de' 구문을 사용하여 분열문을 형성한다.[17] 'shì...de' 분열문은 전체 구문에 대한 참조 기능을 가진 구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조동사 'shì'와 어기조사 'de'는 다른 문맥에서도 나타날 수 있어, 'shì...de' 분열문과 구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17]
예시는 다음과 같다.[17]
- Zhāngsān shì zuótiān lái-de.|장산이 온 것은 어제였다.중국어
2. 3. 2. 스페인어
스페인어에서는 'es que'를 추가하거나, 식별 구조(el/la que, el/la cual, lo que, lo cual)를 사용하여 분열문을 형성한다.¿Adónde fue que fuiste?es (어디로 갔니?)[18]
El que va es Juan.es (가는 사람은 후안이다.)[18]

영어 분열문과 유사하게, 스페인어의 시간 의존적 분열 구문은 관계절의 동사와 연결 동사 사이에 시간적 관계를 공유한다.[18]
식별 구조, 즉 관계 대명사 "el/la que", "el/la cual"과 중성형 "lo que" 및 "lo cual"을 사용하는 분열 구문은 분열 문장에서 언급된 개체의 수와 성별, 그리고 해당 개체 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8]
시간이나 장소의 틀에서 "that"을 언급하고 싶을 때는 "cuando"와 "donde"를 사용할 수도 있다.
2. 3. 3. 프랑스어
프랑스어에서 분열문은 'C'est XP + 관계절 que/qui YP' 또는 축약된 형태 'C'est XP'를 사용하여 형성된다.[19] 특히 의문문에서 자주 사용된다.[19]예시는 다음과 같다.
- "''C'est Jean que je cherche''" (내가 찾는 사람은 장이다.)
- "''C'est à Paris que j'habite''" (내가 사는 곳은 파리이다.)
분열문은 의문문을 만들 때도 사용된다. 현대 프랑스어(특히 구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열문에서 유래한 형식이 표준적으로 사용된다.
- Est-ce que...? ('...인가?', 의문사가 없는 경우)
- Qu'est-ce que/qui...? ('...는 무엇인가?')
- Qui est-ce que/qui...? ('...는 누구인가?')
(의문사가 주어일 경우 qui, 목적어일 경우 que를 사용한다.)
2. 3. 4. 일본어
일본어는 'X no wa (ga)' 구문을 사용하여 분열문을 만든다. 주어 분열문과 목적어 분열문 모두에서 빈칸 선호도가 나타난다.[20]'''예시:'''[21]

私たちが探しているのはジョーイだ。|Watashitachi ga sagashite iru no wa Joey da.|우리가 찾고 있는 것은 조이이다.일본어
'''주어 분열 구문의 예시:'''[20]
Kyonen sobo-o inaka-de kaihoushita-nowa shinseki-da-to haha-ga it-ta.|Kyonen sobo-o inaka-de kaihoushita-nowa shinseki-da-to haha-ga it-ta.|어머니는 작년에 시골에서 할머니를 간호한 것은 친척이라고 말씀하셨다.일본어
'''객어 분열 구문의 예시:'''[20]
Kyonen sobo-ga inaka-de kaihoushita-nowa shinseki-da-to haha-ga it-ta.|Kyonen sobo-ga inaka-de kaihoushita-nowa shinseki-da-to haha-ga it-ta.|어머니는 작년에 시골에서 할머니가 간호한 것은 친척이라고 말씀하셨다.일본어
일본어 화자들은 주어 분열문의 시간적 구조적 모호성 때문에 일본어 분열 구문에서 객어 빈칸 선호도가 있다고 보고했다.[20] 일본어에서는 분열문과 의사 분열문에 해당하는 구별은 특별히 없다. 분열문은 의문사를 강조하는 등의 형태로 의문문에도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는 "누가 꽃병을 깼는가?"보다 "꽃병을 깬 것은 누구인가?" 또는 "누가 꽃병을 깬 거야?"(のだ문)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
2. 3. 5. 고이델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아일랜드어, 맨어와 같은 고이델어는 분열문을 자주 사용하며, 영어보다 훨씬 더 빈번하게 사용된다. 영어에서는 모호하거나 문법에 맞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고이델어에서는 문장의 거의 모든 요소를 분열시킬 수 있다. 이는 때때로 지역적 영어 방언 (하이랜드 영어, 스코트어, 스코틀랜드 영어, 히베르노 영어)으로 전이된다.다음은 "Iain은 어젯밤 음악을 들었다"라는 뜻의 스코틀랜드 게일어 문장 Chuala Iain an ceòl a-raoirgd를 기반으로 한 예시이다.
- ’S e Iain a chuala an ceòl a-raoirgd ("Iain이 어젯밤 음악을 들었다" ''예: Mary가 아닌 Iain'')
- ’S e an ceòl a chuala Iain a-raoirgd ("Iain이 어젯밤 들은 것은 음악이다" ''예: 연설이 아닌 음악'')
- ’S ann a-raoir a chuala Iain an ceòlgd ("Iain이 음악을 들은 것은 어젯밤이다" ''예: 지난주가 아닌 어젯밤'')
- ’S ann a chuala Iain an ceòl a-raoirgd ("Iain이 어젯밤에 음악을 들었다" ''예: 음악을 만드는 것이 아닌 듣는 것'')
2. 3. 6. 타갈로그어

분열문은 초점이 맞춰진 요소가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하는 결합 동사 구문이다.
Ang babae ang bumili ng bahay.|집을 산 사람은 여자였다.tl
Si Juan ang binigyan ni Pedro ng pera.|페드로가 돈을 준 사람은 후안이었다.(또는: "페드로에게 돈을 받은 사람은 후안이었다.")tl
예시 (1)과 (2)에서, 초점은 '''굵게''' 표시되어 있다. 분열문 (1)과 (2)의 나머지 부분은 머리 없는 관계절을 포함하는 명사구이다. (참고: 따갈로그어는 명시적인 결합 동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 구문은 또한 따갈로그어에서 WH-의문문에 사용되며, 질문에 사용되는 WH-단어가 sinotl "누구" 또는 anotl "무엇"인 경우, 예시 (3)과 (4)에 나와 있다.
Sino ang bumili ng bahay?|누가 집을 샀니?(또는: "누가 집을 산 사람이었니?")tl
Ano ang ibinigay ni Pedro kay Juan?|페드로가 후안에게 무엇을 주었니?(또는: "페드로가 후안에게 준 것은 무엇이었니?")tl
3. 분열문의 구조적 특징
분열문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절로 구성되며, 강조되는 요소는 초점 위치에 배치된다. 영어 분열문에서 'it'의 역할, 종속절(흔히 '분열절'이라고 불림)의 지위, 분열절의 유형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존재한다.[14][15]
분열문의 초점 부분은 명사구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구성 성분이 될 수 있다.[16]
- '''전치사구''': ''It was '''on foot''' that he went there.'' (그는 걸어서 그곳에 갔다.)
- '''부사구''': ''It was '''greedily and speedily''' that Homer Simpson drank his beer.'' (호머 심슨은 탐욕스럽고 빠르게 맥주를 마셨다.)
- '''비한정절''': ''It is '''to address a far-reaching problem''' that Oxfam is launching this campaign.'' (옥스팜이 이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은 광범위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 '''동명사''': ''It could be '''going home early''' or slacking off at work that the boss reacted to.'' (상사가 반응한 것은 일찍 퇴근하거나 회사에서 게으름을 피우는 것일 수 있다.)
- '''부사절''': ''It was '''because she was so lonely all the time''' that she decided to move out.'' (그녀가 항상 매우 외로웠기 때문에, 그녀는 이사하기로 결정했다.)
영어와 같은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 언어에서는 주절의 동사를 가능한 앞에 두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We're looking for Joey." (우리는 조이를 찾고 있다)라는 문장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 Who we're looking for is Joey. (우리가 찾고 있는 것은 조이다)
허사(더미) 주어 It을 사용하여 종속절을 뒤로 보내는 다음 형태가 더 일반적이다.
- It is Joey that we're looking for.
후자를 분열문이라고 부르고, 전자를 '''의사 분열문'''(Pseudo-cleft sentence)이라고 부른다. 영어에서 it + be동사 + X + 종속절 형태가 분열문, 종속절 + be동사 + X 형태가 의사 분열문이다. 여기서 X는 명사구, 전치사구, 형용사구 또는 부사구이다. 초점은 X 또는 종속절(혹은 그 일부)에 놓인다. 일본어에서는 분열문과 의사 분열문에 해당하는 구별이 특별히 없다.
다음은 영어 분열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4. 분열문의 정보 구조
분열문은 정보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보 구조"는 특정 발화에 담긴 정보의 유형을 말하며, 다음 세 가지로 나뉜다.
- 새로운 정보: 화자/작가가 청자/독자가 모를 것이라고 예상하는 정보
- 기존 정보: 화자/작가가 청자/독자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정보
- 추론 가능한 정보: 화자/작가가 청자/독자가 세상에 대한 지식이나 이전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정보
분열문은 화자/작가가 메시지의 중요한 부분에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초점 도구로 기능하기 때문에, 정보 구조는 분열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분열 절은 기존 정보를, 분열 구성 요소는 새로운 정보를 나타낸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That is what I think''와 같은 지시 분열문에서는 두 요소 모두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And that's when I got sick''과 같이 분열 절이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어떤 구문에서는 분열 절과 분열 구성 요소 간의 관계 자체가 새로운 정보를 나타내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Form variation of pronominal it-clefts in written English
2020-01-01
[2]
간행물
The syntactic structure of English clefts
https://www.scienced[...]
2011-01-01
[3]
서적
An introduction to syntactic analysis and theory
http://worldcat.org/[...]
[4]
서적
Cleft and Pseudo-Cleft Constructions in English
Routledge
[5]
간행물
What Still Needs to be Noted: Pseudo-Clefts in the Academic Discourse of Applied Linguistics
2021-05-28
[6]
간행물
On Deriving Cleft Sentences from Pseudo-Cleft Sentences
https://www.jstor.or[...]
1970
[7]
간행물
A Difficulty Analysis of Cleft Sentences
https://www.iojet.or[...]
2022-04-20
[8]
간행물
"'All I'm Saying Is…': The Correlation of Form and Function in Pseudo-cleft Sentences"
https://doi.org/10.1[...]
1992-01-01
[9]
간행물
A Difficulty Analysis of Cleft Sentences
https://www.iojet.or[...]
2022-04-20
[10]
간행물
The Inferential Reconstruction
http://journals.ling[...]
2022-04-13
[11]
간행물
Inferentials in spoken English
2011-09-01
[12]
간행물
Cleft existential in English
https://doi.org/10.1[...]
2022-04-16
[13]
간행물
A difficulty Analysis of Cleft Sentences
https://doaj.org/art[...]
2022-04-17
[14]
문서
Akmajian 1970, Bolinger 1972, Edmonds 1976, Gundel 1977 and Borkin 1984
[15]
문서
Chomsky 1977, Delin 1989, Delahunty 1982, Heggie 1988, Kiss 1998, Lambrecht 2001
[16]
문서
Huddleston and Pullum 2002 provide a comprehensive survey
[17]
간행물
The deconstruction of Chinese shì...de clefts revisited
https://doi.org/10.1[...]
2022-04-17
[18]
간행물
Efectos de concordancia en las oraciones escindidas del español
2008
[19]
간행물
FRENCH CLEFT SENTENCES AND THE SYNTAX-PHONOLOGY INTERFACE
http://homes.chass.u[...]
2007
[20]
간행물
Processing of Japanese Cleft Constructions in Context: Evidence from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https://doi.org/10.1[...]
2022-04-17
[21]
간행물
Syntactic Metamorphosis: Clefts, Sluicing, and In-Situ Focus in Japanese
https://onlinelibrar[...]
2022-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