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제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제화는 문장의 특정 요소를 강조하거나 문맥상 중요한 정보를 문장의 앞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이다. 이는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문장 구조의 불연속성을 야기할 수 있다. 화제화는 구 구조 문법에서는 이동이나 복사, 삭제로 설명되며, 의존 문법에서는 도치나 특성 전달로 설명된다. 한국어의 '은/는'은 화제 마커로 사용되며, 화제, 대조, 강조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제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은 문장 구조에 대한 이론에 따라 달라지며, '은/는'의 기능과 정보 구조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문법 - 준동사
    준동사는 동사의 형태를 가지나 문장 내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기능하는 단어들을 지칭하며, 의미상의 주어를 가질 수 있고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영문법 - -ing
    -ing은 현대 영어에서 동명사와 현재 분사를 형성하는 어미이며, 명사적·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발음 변이와 함께 다른 언어에서 차용되거나 부칭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통사론 - 관계절
    관계절은 주절 내 명사를 수식하는 절로, 제한적/계속적 관계절, 종속/자유 관계절 등으로 나뉘며 언어별 구성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 통사론 - 구 (언어학)
    구는 언어학에서 핵과 수식 요소로 구성되어 명사구, 동사구 등으로 나뉘며, 문장 구조 분석에 사용되는 문법 단위이다.
  • 형태론 - 첩어
    첩어는 형태소의 반복 또는 유사 형태를 통해 복수, 강조, 반복 동작, 의미 축소, 신규 단어 형성, 어조 및 뉘앙스 부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여러 어족과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 형태론 - 어근
    어근은 단어 의미의 핵심 형태소로서, 어미 없는 어간과 달리 최소 의미 단위이며, 인도유럽어족의 모음 교체, 셈어족의 자음 결합 등 언어별 특징을 보이고, 어원 연구의 중요 요소이자 범주 중립적 요소로 간주되며 언어 유형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화제화

2. 화제화의 개념

화제화는 문장의 특정 구성 요소를 강조하거나, 문맥상 중요한 정보(주로 이미 알려진 정보, 즉 구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이다.

다음은 화제화의 예시이다.

기본 어순화제화 구문설명
그 소년들은 재미 삼아 돌을 굴린다.재미 삼아, 그 소년들은 돌을 굴린다.부가어 "재미 삼아"가 문장 앞으로 이동했다.
모두가 압력이 너무 커서 대답을 거부했다.압력이 너무 커서, 모두가 대답을 거부했다.부가어 "압력이 너무 커서"가 문장 앞으로 이동했다.
나는 저 피자를 먹지 않을 것이다.저 피자, 나는 먹지 않을 것이다.목적어 논항 "저 피자"가 문장 앞으로 이동했다.
나는 저 개들이 무섭다.저 개들, 나는 무섭다.목적어 논항 "저 개들"이 문장 앞으로 이동했다.



위 표에서 1, 2행과 같이 부가어가 이동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며, 3, 4행과 같이 논항(또는 그 하위 구성 요소)이 이동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화제화는 장거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 '''그러한 예시''' 나는 당신이 톰이 그 설명에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생각했다. (장거리에 걸쳐 목적어 논항 "그러한 예시"가 화제화됨)


화제화는 ''의문사'' 이동과 유사하며, ''의문사''가 전이될 수 있는 구성 요소는 화제화될 수도 있다.

기본 어순의문사 전이화제화
빌은 언덕 위의 저 집에서 살고 있다.어떤 집에서 빌이 살고 있니?언덕 위의 저 집, 빌은 거기서 살고 있다.
셸리는 정말 우리 계획의 일부를 밝혀냈다.셸리는 정말 무엇의 일부를 밝혀냈니?우리 계획, 셸리는 정말 그 일부를 밝혀냈다.



화제화는 ''의문사'' 전이와 유사하게, ''의문사'' 전이에 대한 장벽과 섬은 화제화에 대한 장벽과 섬이기도 하다.

기본 어순의문사 전이 (불가능)화제화 (불가능)
그의 이모에 대한 설명은 정말 웃겼다.*누구의 이모에 대한 설명이 정말 웃겼니?*그의 이모, 그에 대한 설명은 정말 웃겼다.
그는 스타크래프트를 하고 나서 휴식을 취한다.*그는 무엇을 하고 나서 휴식을 취하니?*스타크래프트, 그는 하고 나서 휴식을 취한다.
그녀는 파스타를 만들자는 제안에 찬성한다.*그녀는 무엇을 만들자는 제안에 찬성하니?*파스타, 그녀는 만들자는 제안에 찬성한다.



이러한 예들은 화제화와 ''의문사'' 전이의 유사한 행동을 보여준다. 더 많은 데이터를 통해 화제화가 교착과 외치와는 다른 불연속 유형임을 보일 수 있다.[4]

2. 1. 불연속성

화제화는 문장 구조의 불연속성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이동된 요소가 원래 위치에서 멀어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구 구조 문법에서는 이동의 증거로 간주된다.[4]

대부분의 구 구조 문법은 유한 VP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더 계층적인 구조를 가정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이동 또는 복사를 통해 화제화를 설명한다.[8] 즉, 화제화된 표현은 원래 위치에서 생성된 후 문장 앞으로 복사되고, 원래 위치의 요소는 삭제된다.

계층적 구 성분 구조에서의 화제화


위 그림에서 a.는 표준 어순을 보여주고, b.는 이동 또는 복사 분석을 보여준다.

불연속성의 이동 분석은 도치로 설명할 수 없는 화제화의 경우를 다루는 한 가지 방법이다. 다른 설명으로는 특징 전달이 있다. 화제화된 표현이 절의 처음 위치로 이동하거나 복사되는 대신, 그곳에서 "기저" 생성된다고 가정한다. 이동 대신 특징 전달이 이루어진다.[9] 즉, 화제화된 표현과 그 지배자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고, 이 연결을 통해 화제화된 표현에 대한 정보가 지배자에게 전달된다.

특징 전달 (구 성분과 의존)


위 그림에서 빨간색 노드는 특징 전달의 경로를 나타낸다. 화제화된 표현에 대한 특징(=정보)은 나무 구조를 통해 그 표현의 지배자에게 전달된다.

화제화는 장거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징 전달도 장거리에서 발생해야 한다.

장거리 특징 전달 (의존)


위 그림에서 화제화된 "그런 헛소리"에 대한 정보는 빨간색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화제화된 표현 "내뱉는"의 지배자에게 전달된다. 빨간색 노드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카테나를 형성한다.[10]

2. 2. 다양한 언어에서의 화제화

화제화는 세계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16], 언어에 따라 방법, 규칙, 제약이 다르다[16]

영어는 SVO형 어순을 가지며, 구성 성분의 좌방 이동이나 우방 전위를 통해 화제화를 표현한다. 독일어 또한 좌방 이동을 사용하지만, 주어가 아닌 명사구가 이동할 때는 악센트가 추가된다. 일본어는 SOV형 어순을 가지지만, 구성 성분 또는 그 일부에 '''화제 마커'''(''topic marker'')인 조사 '는'을 붙이고 문장 앞으로 이동시켜 화제화를 나타낸다. 영어와 일본어는 여러 구성 성분을 동시에 화제화할 수 있지만, 독일어는 한 번에 하나의 구성 성분만 화제화할 수 있다[17][12]

스페인어는 기본적으로 SVO형으로 여겨지지만[20][13], SOV형의 특징도 가지고 있어 엄밀한 SVO형으로 보기 어렵다. 화제 마커가 없기 때문에 SVO 순서의 문장에서 주어가 화제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렵다[13]。 그러나 구정보를 나타내는 주어는 동사 앞에, 신정보를 나타내는 주어는 동사 뒤에 오는 경향이 있어[21], 첫 번째 예시는 화제화 구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21]

2. 2. 1. 영어

영어(SVO형)에서의 화제화는 기본적으로 구성 성분의 좌방 이동으로 이루어지지만, 주로 구어에서는 우방 전위로 화제를 나타내기도 한다. 영어에서 화제화 이동이 가능한 것은 구성 성분뿐이라고 여겨지므로[17][18], 화제화 구문은 영어의 구성 성분 테스트 중 하나로 이용된다[19]。구성 성분#화제화도 참조.

영어에서의 화제화는 기본적으로 구성소의 좌방 이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동 후의 구성소와 본래 문두 사이에 종종 쉼표(,)가 삽입된다(구어에서는 잠시 멈춤). 또한, 항(argument)보다는 Adjunct (grammar)|부가어영어가 화제화되기 쉽다.

다음은 영어에서의 일반적인 화제화의 예시이다.

기본 어순화제화 구문설명
The boys roll rocks for entertainment.For entertainment, the boys roll rocks.전치사구(부가부)의 for entertainment가 문두로 이동.
Everyone refused to answer because the pressure was too great.Because the pressure was too great, everyone refused to answer.부사절(부가부)의 because the pressure was too great가 문두로 이동.
I woneat that pizza'''.That pizza, I won't eat.목적어명사구(항)의 that pizza가 문두로 이동.
I am terrified of those dogs.Those dogs, I am terrified of.전치사구 내의 보부 명사구의 those dogs가 문두로 이동.



위의 표에서 1, 2행과 같이 부가부가 이동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며, 3, 4행과 같이 항(또는 그 하위 구성소)이 이동하는 경우는 비교적 적다. 또한, 화제화되는 항은, ''that''이나 ''those'' 등의 지시한정사가 붙어 있는 것(구정보)이 허용도가 높고, 불특정의 '''지시 대상'''(신정보)을 화제화하는 것은 허용도가 낮다. 예를 들어 ''A pizza, I won't eat.''와 같이 부정관사를 붙이면 부자연스럽다.

지시 한정사나 정관사가 가능하고, 부정관사가 불가능한 경우는, '''우방 전위'''(''right dislocation'') 구문에서도 볼 수 있다[22]


  • It's amazing, that difference. (「경이롭다, 그 차이는」)


이 예에서는, ''that difference''가 화제(=구정보)이며[22], 밑줄 친 부분을 ''the''로 해도 비문이 되지 않지만, ''a''에서는 비문이 된다[22]

  • It's amazing, the difference.
  • *It's amazing, a difference.


영어의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서는, 영어의 관사도 참조.

다음 예와 같이, 장거리의 화제화도 가능하다.

  • a. I thought you said Tom believes the explanation needs '''such examples'''.
  • b. '''Such examples''' I thought you said that Tom believes the explanation needs.

:: 목적어 명사구(항)의 ''such examples''가 장거리를 이동.

2. 2. 2. 독일어

독일어에서 화제화는 좌방 이동으로 이루어지지만[17][12], 주어가 아닌 다른 명사구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악센트가 붙는다[12]

독일어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구성 성분(또는 그 일부분)만 화제화할 수 있다[17][12]

2. 2. 3.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조사 '는'이 '''화제 마커'''('''주제 표지''')로 사용되며, 격 마커 '가', '을', '의'와 바뀌거나[13], '부터', '에서', '와' 등에 붙어 '로부터는', '에서는', '와는' 등과 같은 형태로, 다양한 구나 절을 화제화할 수 있다[16]

  • '''예시'''

존은 빌에게 메리를 소개했다.
메리는 존이 빌에게 소개했다.
빌에게는 존이 메리를 소개했다.
나가사키에서는 그 버스가 후쿠오카로 간다.
후쿠오카에는 그 버스가 나가사키에서 간다.
나가사키까지는 전철로 갑니다.
교토에서는 큰 축제가 있습니다.
다나카 씨와는 3개월 전에 만났습니다.
장미가 피는 것은 5월입니다.
수업에 오지 않은 것은 병 때문이었습니다.



'장미가 피는 '''것'''은', '수업에 오지 않은 '''것'''은'의 '것'은 보문 마커이다.

또한, '...는'이라는 형태가 된 명사구는 대명사와 바뀌거나, 빈번하게 생략된다[24]。 예를 들어, '그가 학생입니다' → '그는 학생입니다' → '학생입니다' 등과 같이 변화한다. 또한, '그, 학생입니다'와 같이, 구어에서는 무조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11]

다만, 일본어에서 화제화할 수 있는 것은 기지 정보(구 정보, 정 정보[24])이며, 신 정보를 요구하는 '누구', '무엇', '어디', '언제' 등의 wh 요소와 함께 화제 마커를 사용하면 비문이 된다[11][16][24]


  • '''잘못된 예시'''

누가 책을 읽었어?
누구는 책을 읽었어?



일본어의 '는'은 화제 마커로서의 기능 이외에도, '''총칭'''이나 '''대비'''를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16], 그것들도 화제화 기능에 포함된다는 견해도 있다[16]。 또한, '''강조'''를 나타낼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16]。 참고로, '는'이 화제를 나타낼 때, 그 구에는 강세가 놓이지 않는다[24]

2. 2. 4. 한국어

한국어에는 '은'/'는'이라는 화제 마커가 있다.[24] 직전의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자음 체언')에는 '은',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모음 체언')에는 '는'이 사용된다.[24] '은'/'는'이 화제구를 나타낼 경우에는 강세가 놓이지 않고,[24] 강세가 놓이면 화제가 아니라 대조(대비)를 나타내게 된다.[24]

한국어에서도 일단 화제화된 명사구가 생략되거나, wh 요소와 화제 마커가 함께 쓰이면 어색한 문장이 되는 등,[24] 일본어와 한국어의 화제 마커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24] 예를 들어, '*누구는 책을 읽었어요?'는 부자연스러운 문장이다(어순은 일본어와 동일하다).[24]

  • *누구는 책을 읽었어요?

: *누구는 책을 읽었어요?|*nwukwu-nun chayk-ul ilk-esseyo?한국어

2. 2. 5. 스페인어

스페인어의 기본 어순은 단문의 대부분이 그렇다는 점에서 SVO형으로 여겨진다.[20][13] 그러나 목적격 대명사는 동사 앞에 온다는 SOV형의 측면도 있으며,[20] 동사에 따라 주어와의 순서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어,[21] 엄밀한 SVO형이라고 보기 어렵다.[20] 종속절, 관계사, 의문문 등에서는 주어동사 뒤에 오며,[13][21] 이 때문에 이 언어의 기본 어순은 VOS형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13] 그러면 '''SVO''' 순서가 되는 단문은 화제화 구문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13] 또한, 구정보를 나타내는 주어는 동사 앞에, 신정보를 나타내는 주어는 동사 뒤에 놓이는 경향이 있다.[21]

  • Este libro abarca numerosos temas. (→ 이 책은 많은 테마를 다루고 있다.)
  • Murió olvidado y pobre el que un tiempo fue famosísimo poeta. (→ 한때는 매우 유명한 시인이었던 남자는, 사람들에게 잊혀지고 곤궁 속에서 죽었다.)


화제는 구정보[22]이므로, 첫 번째 예시는 화제화 구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21]

스페인어에서는 동사의 어미활용에 따라 주어가 암시되므로, 주어 인칭 대명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23][15] 그렇기 때문에 좌방 전위와 화제화 구문의 구별이 어렵다.[15] 그러나 다음 문장은 다중절의 최하층에 있는 목적어를 문두로 빼내고 있기 때문에 화제화 구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15]

  • Muchos libros, resulta que dicen que creen que si que tiene.

:* 영역: many books happens that say (3-p) that believe (3-p) that yes that has (3-s)

:*: → Many books, it happens that they say that they believe that he does have.

:*: 번역: 많은 책, 되는(3단) 과 말하는(3복) 과 믿는(3복) 과 네 과 가지고 있다(3단)

::* → 많은 책은, 그가 확실히 가지고 있다고 그들이 믿고 있다고 그들이 말하고 있다는 것이 된다.

2. 2. 6. 중국어

중국어(SVO형[29])에는 문장 맨 앞에 오는 명사구에 대응하는 대명사가 뒤에 나타나는 '''좌방 전위 구문'''(''left dislocation'')이 있다[14]。이러한 대명사는 '''재술 대명사'''(''resumptive pronoun'')라고 불리며[14][29], 상하이 방언이나 광둥어의 '''처치 구문'''(''disposal construction'')[30]에서도 볼 수 있다[29]。 화제화 구문에서는 문장 앞으로 이동한 명사구가 원래 있던 자리는 비어 있게 되지만, 이것도 사실은 제로 재술 대명사를 포함하는 좌방 전위 구문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14]。 반대로, 화제화로 인해 비어 있게 된 자리에 재술 대명사가 들어간다는 견해도 있다[29]

  • 표준중국어에서의 재술 대명사의 예

※ 주: 那(nà) = 저, 些(xiē) = (낱낱의) 것,들, 那(nà)些(xiē) = 그것들(의), 他們(tāmen) = 그들, Ø = "那(nà)些(xiē) 學生(xuéshēng)"의 본래 위치

  • a. 那(nà)些(xiē) 學生(xuéshēng)1, 我(wǒ) 都(dōu) 認識(rènshi) Ø1。- 화제화 구문 (또는 제로 재술 대명사를 포함하는 좌방 전위 구문)
  • b. 那(nà)些(xiē) 學生(xuéshēng)1, 我(wǒ) 都(dōu) 認識(rènshi) 他(tā)們(men)1。- 좌방 전위 구문 (또는 재술 대명사가 덧붙여진 화제화 구문)

모두 "저 학생들에 대해, 나는 전부 알고 있다"(저 학생들 전부를 나는 알고 있다)로 번역할 수 있으며, 모두 올바른 문장이다. "認識(rènshi)"는 "(사람을) 알고 있다"라는 의미이며, "(사정을) 알고 있다"는 "知道(zhīdào)"라고 한다. "都(dōu)"는 '''전칭 양화사'''[14]로, 위의 예에서는 "전원"으로 번역할 수 있지만, "大家(dàjiā)"(모두, 전원)와 같이 이미 "전"이라는 뉘앙스가 포함된 단어에도 함께 사용해야 한다("大家(dàjiā)'''都(dōu)'''知道(zhīdào)..." = "...라는 것은, 누구나'''도''' 알고 있다" 등).

2. 2. 7. 루마니아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루마니아어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2. 3. 분리 화제화

일부 언어에서는 구성 요소의 일부만을 추출하여 화제화하는 분리 화제화(split topicalization)가 가능하다[17][12][26]。 이는 명사구 분리(split-NP)라고도 불린다[26][27]한국어를 포함하여 일본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크로아티아어 등에서 나타난다[17][12][26]。 분리 화제화·명사구 분리의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노엄 촘스키가 제창한 "복사 & 삭제"(copy and deletion) 접근법[28]을 응용할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17][26]。 즉, 문장의 하층(중간)에 있는 명사구의 복사본이 상층(문두)에 만들어진 후, 각각의 일부가 삭제된다는 것이다[17][26]

  • SOV형 언어에서의 복사 & 부분 삭제의 예('''S'''=주어 명사구, '''V'''=동사):
  • : [ S [VP [NP X Y] V]] - '''기저 구조'''(원래 문장)에서는 VP(동사구) 내 NP(명사구)가 '''X'''와 '''Y'''라는 두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 [ X Y] [ S [ [ X Y] V]] - NP의 복사본이 상층(문두)에 만들어진다.

::: → [ X Y] [ S [ [ X Y] V]] → [ X] [ S [ [ Y] V]] - 상층부의 '''Y'''와 하층부의 '''X'''가 삭제된다.

::: 또는

::: → [ X Y] [ S [ [ X Y] V]] → [ Y] [ S [ [ X] V]] - 상층부의 '''X'''와 하층부의 '''Y'''가 삭제된다.

또한, 부분적인 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13]。 예를 들어, "코끼리는 코가 길다"나 "굴 요리는 히로시마가 본고장이다"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13]

  • [ 코끼리의 코가 ] 길다 - 기저 구조

:: → [ 코끼리는 ] [ 코끼리의 코가 ] 길다 - "코끼리의"의 복사본이 문두에 놓이고, "는"이 붙어 소유격 마커 "의"가 삭제된다.

::: → [ 코끼리는 ] [ 코가 ] 길다 - 원래의 "코끼리의"가 삭제된다.

  • 히로시마가 [ 굴 요리의 본고장 ] 이다 - 기저 구조

:: → [ 굴 요리는 ] 히로시마가 [ 굴 요리의 본고장 ] 이다 - "굴 요리의"의 복사본이 문두에 놓이고, "는"이 붙어 소유격 마커 "의"가 삭제된다.

::: → [ 굴 요리는 ] 히로시마가 [ 본고장 ] 이다 - 원래의 "굴 요리의"가 삭제된다.

3. 화제화와 wh-이동

영어에서 화제화는 WH이동(wh-movement)과 유사하게, 추출 가능한 구성 요소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1]

※ 다음 예시에서 각각 a.는 기저 구조, b.는 wh 의문문, c.는 화제화 구문이다.

먼저, '''전치사 잔류'''(preposition stranding)가 일어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1]

a.b.c.
Bill is living in that one house on the hill.Which house is Bill living in?
*: wh 이동의 결과, 전치사 잔류가 일어난다.
That one house on the hill Bill is living in.
*: 화제화의 결과, 전치사 잔류가 일어난다.
Shelly has indeed uncovered part of our plan.What has Shelly indeed uncovered part of?
*: wh 이동의 결과, 전치사 잔류가 일어난다.
Our plan Shelly has indeed uncovered part of.
*: 화제화의 결과, 전치사 잔류가 일어난다.



wh 이동에서 보이는 '''섬 제약'''(wh-island constraint)은 화제화 구문에도 적용된다.[1]

a.b.c.
The description of his aunt was really funny.Whose aunt was the description of really funny?
*: 영어에서는, 주어 명사구의 일부만을 wh 이동할 수 없다.
*His aunt the description of was really funny.
*: 영어에서는, 주어 명사구의 일부만을 화제화할 수 없다.
He relaxes after heplayed Starcraft'''.What does he relax after he's played?
*: 영어에서는, 부가절의 일부만을 wh 이동할 수 없다.
Starcraft he relaxes after he's played.
*: 영어에서는, 부가절의 일부만을 화제화할 수 없다.
She approves of the suggestion to make pasta.What does she approve of the suggestion to make?
*: 영어에서는, 복잡한 명사구의 일부만을 wh 이동할 수 없다.
Pasta she approves of the suggestion to make.
*: 영어에서는, 복잡한 명사구의 일부만을 화제화할 수 없다.


4. 화제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

화제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은 문장 구조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구 구조 문법처럼 계층적 구조를 가정하면, 화제화는 대부분 불연속성을 수반한다. 반면, 의존 문법과 같이 덜 계층적인 구조를 가정하면, 많은 경우 화제화는 불연속성을 수반하지 않고 단지 도치를 수반할 뿐이다.[4]

4. 1. 구 구조 문법

구 구조 문법에서는 화제화를 이동 또는 복사(copy)와 삭제(deletion)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불연속성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4]

평면 구 성분 구조와 의존 구조에서의 화제화


위의 두 그림은 유한 VP 구성 요소가 없는 평면 구 성분 기반 구조를 사용하여 분석을 보여주고, 아래 두 그림은 의존 기반 구조를 보여준다.[5] 여기서 의존성은 유한 VP-구성 요소의 존재를 본질적으로 거부한다.[6] 이 예의 주목할 만한 측면은 화제화가 불연속성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이는 나무에 교차하는 선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이러한 경우를 단순히 도치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제화된 표현은 단순히 머리부의 반대쪽으로 "도치"된다.[7]

대부분의 구성 문법은 유한 VP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더 계층적인 구조를 가정한다. 이러한 더 계층적인 구조는 이동 또는 복사의 관점에서 화제화를 다룰 가능성이 높다.[8]

그림 a.는 표준 어순을 보여주고, 그림 b.는 이동 또는 복사 분석으로 알려진 것을 보여준다. 화제화된 표현은 먼저 표준 위치에서 생성되지만, 그 다음 문장의 앞으로 복사되고, 원래 것은 삭제된다.

불연속성의 이동 분석은 도치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없는 화제화의 경우를 다루는 가능한 방법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설명은 특징 전달이다. 화제화된 표현이 절의 처음 위치로 이동하거나 복사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 "기저" 생성된다고 가정한다. 이동 대신 특징 전달이 이루어진다.[9] 일종의 연결이 화제화된 표현과 그 지배자 사이에 설정된다. 이 연결은 화제화된 표현에 대한 정보가 그 표현의 지배자에게 전달되는 경로이다.

빨간색 노드는 특징 전달의 경로를 나타낸다. 화제화된 표현에 대한 특징(=정보)은 나무 구조를 통해(그리고 아래로) 그 표현의 지배자에게 오른쪽으로 전달된다. 이 경로는 두 분석 모두에 존재한다. 즉, 왼쪽에 있는 구 성분 기반 a-분석과 오른쪽에 있는 의존 기반 b-분석 모두에 존재한다. 화제화는 장거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징 전달도 장거리에서 발생해야 한다.

화제화된 "그런 헛소리"에 대한 정보는 빨간색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화제화된 표현 "내뱉는"의 지배자에게 전달된다. 빨간색 노드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카테나를 형성한다.[10]

4. 2. 의존 문법

의존 문법에서 화제화는 도치로 설명하거나, 특징 전달을 통해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4]

요다의 대사 "Careful you must be when sensing the future, Anakin" (미래를 감지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아나킨)의 전반부를 예로 들어, 의존 문법에 기반한 특징 전달 분석을 살펴보자.

위 그림에서 빨간색 절점은 특징 전달 경로를 나타낸다. 화제화된 표현("careful")에 대한 정보(특징)는 나무 구조를 통해(그리고 아래로) 그 표현의 지배자("be")에게 전달된다.[9]

화제화는 장거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징 전달도 장거리에서 발생해야 한다. 다음은 장거리 특징 전달 경로를 보여주는 의존 문법 기반 분석의 예시이다.

위 그림에서 화제화된 "such nonsense"(그런 헛소리)에 대한 정보는 빨간색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화제화된 표현 "spouting"(내뱉는)의 지배자에게 전달된다. 빨간색 절점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카테나를 형성한다.[10]

5. 한국어의 화제화와 관련된 쟁점

한국어의 '은/는'은 화제 표시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본어의 조사 'は'와 마찬가지로, 총칭이나 대조를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며, 강조를 나타낼 수도 있다.[16]

예를 들어,


  • 밥은 내가 살게. (대조)
  • 고래는 포유류이다. (총칭)
  • 철수는 키가 크다. (강조)


와 같이 다양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은/는'이 붙은 화제구에는 강세가 놓이지 않으며, 강세가 놓이면 화제가 아닌 대조를 나타낸다.[24]

5. 1. '은/는'의 다기능성

일본어의 조사 'は'는 화제를 나타내는 기능 외에도 총칭이나 대비를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16], 강조를 나타낼 수도 있다고 지적된다[16]。참고로, 'は'가 화제를 나타낼 때, 그 구에는 강세가 놓이지 않는다[24]

한국어에는 '은'/'는'이라는 화제 마커가 있다[24]。직전의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자음 체언')에는 '은',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모음 체언')에는 '는'이 사용된다[24]。'은'/'는'이 화제구를 나타낼 경우에는 강세가 놓이지 않고[24], 강세가 놓이면 화제가 아니라 대조(대비)를 나타내게 된다[24]

한국어에서도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일단 화제화된 명사구가 생략되거나, wh 요소 + 화제 마커가 비문이 되는 등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24]。예를 들어, '*누구는* 책을 읽었어요?'는 비문이다[24]

  • 누구는 책을 읽었어요?

5. 2. 정보 구조와 '은/는'

'은/는'은 한국어에서 화제를 나타내는 조사(마커)이다.[24] 앞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면 '은'을, 모음으로 끝나면 '는'을 사용한다.[24] '은/는'이 화제를 나타낼 때는 강세가 없고,[24] 강세가 있으면 대조를 나타낸다.[24]

한국어에서 화제가 된 명사구는 생략될 수 있으며, '누구', '무엇' 등 의문사와 함께 쓰이면 어색한 문장(비문)이 된다.[24] 예를 들어 "*누구는 책을 읽었어요?"는 부자연스럽다.[24]

이러한 특징은 일본어조사 'は'와 유사하다.[24]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Syntactic Analysis and Theory Wiley Blackwell 2014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웹사이트 日本語の主題マーカー http://cjtl.doshisha[...] 同志社大学 中日理論言語学研究会 2013-04-16
[12] 웹사이트 ドイツ語の語順の変動について http://home.hiroshim[...] 広島大学 2013-04-11
[13] 간행물 日本語とスペイン語の主題化 https://doi.org/10.1[...] 日本言語学会 2019-06-20
[14] 웹사이트 中国語における dou '都' による名詞句の全称量化について http://www2.lit.kyus[...] 九州大学大学院 2013-04-10
[15] 웹사이트 On Left-Dislocation and Topicalization in Spanish http://aix1.uottawa.[...] オタワ大学 (カナダ) 2013-04-11
[16] 간행물 「「が」と「は」 : PartI https://hdl.handle.n[...] 長崎大学 2021-09-01
[17] 웹사이트 ドイツ語の分離話題化構文 - コピー・削除アプローチと出力最適性 - http://www.x-seminar[...] Seminar für Interkultur und Sprache 2013-04-11
[18] 간행물 構成素性と句構造(1)構成素構造のテストとXバー理論 https://iss.ndl.go.j[...] 埼玉大学教育学部 2021-09-01
[19] 문서
[20] 웹사이트 A Linguistic Look at Spanish - Classifications of the Spanish Language http://spanish.about[...] About.com 2013-04-15
[21] 웹사이트 スペイン語ガイドブック - 語順 https://lecture.ecc.[...] 東京大学情報基盤センター 教育用計算機システム 講義用WWWサーバ 2013-04-11
[22] 간행물 現代英語の語彙的・構文的事象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国際言語文化研究所 2021-09-01
[23] 웹사이트 スペイン語ガイドブック - 主語の人称代名詞 https://lecture.ecc.[...] 東京大学情報基盤センター 教育用計算機システム 講義用WWWサーバ 2013-04-16
[24] 웹사이트 韓国語と日本語の主題標識「은/는(un/nun)」と「は」に関する対照研究 - 한국어와 일본어의 주제표지 ‘은/는’과 ‘は’ 에 관한 대조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Topic Markers ‘un/nun’ and ‘wa’) http://doors.doshish[...] 同志社大学・同志社女子大学 蔵書検索 2013-04-11
[25] 간행물 ルーマニア語における話題化構文の統語的分析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文学研究科 2021-09-01
[26] 웹사이트 Partial Chain Pronunciation at the PF Interface http://mercury.hau.a[...] Dongeui University 2013-04-11
[27] 웹사이트 Floating Quantifiers and Split NPs in German - Syntax/Semantics Interface (ドイツ語における数量詞遊離と名詞句分離: 統語と意味のインターフェイス) http://doors.doshish[...] DOORS (同志社大学・同志社女子大学 蔵書検索) 2013-04-11
[28] 문서
[29] 간행물 上海語と粤語における再述代名詞と非現実ムード https://doi.org/10.1[...]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言語情報科学専攻 2021-09-01
[30] 문서
[31] 간행물 英語のNot-話題化構文の用法について https://hdl.handle.n[...] 宇都宮大学
[32] 간행물 否定辞付き話題化構文 : 文断片からの動的分析に向けて https://hdl.handle.n[...] 宇都宮大学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영화 ケンタッキー人 1955
[37] 논문 1959
[37] 논문 2003/6
[38] 논문 2003
[38] 논문 2003
[39] 논문 1959
[40] 논문 2009
[41] 논문 1988
[41] 논문 1998
[41] 논문 2004
[42] 논문 2001
[43] 논문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