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계절은 문장의 일부로, 명사 또는 명사구를 수식하며, 선행사라고 불리는 명사를 포함한다. 관계절은 종속 관계절, 자유 관계절, 제한적 관계절, 계속적 관계절, 정형 관계절, 부정형 관계절 등으로 분류되며, 언어에 따라 관계절을 만드는 방식과 위치가 다르다. 관계화된 성분의 역할, 주절과 관계절의 결합 방법, 선행사에 대한 관계절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관계절은 공백 전략, 관계대명사 전략, 대명사 유지 전략, 비축약 전략 등 다양한 관계화 전략을 사용하며, 관계화될 수 있는 명사의 역할에는 접근성 위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유형론 - 주격-대격 정렬
주격-대격 정렬은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를 동일하게, 타동사의 목적어를 다르게 취급하는 통사적 정렬 방식으로, 언어 유형론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형태론적 격 표시, 어순, 동사 일치 등의 코딩 속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관찰된다. - 언어유형론 - 주제중심언어
주제 중심 언어는 주어 대신 주제를 중심으로 문장이 구성되며, 수동태 축소, 허사 주어 부재, 이중 주어 문장 등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통사론 - 구 (언어학)
구는 언어학에서 핵과 수식 요소로 구성되어 명사구, 동사구 등으로 나뉘며, 문장 구조 분석에 사용되는 문법 단위이다. - 통사론 - 절 (언어학)
절은 주어와 술어를 포함하는 문법 단위로서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며, 독립절과 종속절, 유한절과 비유한절 등으로 나뉘고, 통사적 형태 및 술어-논항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관계절 | |
---|---|
개요 | |
정의 | 문법에서, 문장 내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는 절 더 구체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의 일종 |
명칭 | |
영어 | Relative clause |
일본어 | 関係節 (칸케이세츠) |
한국어 | 관계절 (關係節) |
문법적 기능 | |
역할 | 다른 절에 포함되어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 역할 문장 내에서 명사의 의미를 한정하거나 추가 정보를 제공 |
종류 | 제한적 관계절: 명사의 의미를 필수적으로 한정 계속적 관계절: 명사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제공 |
구성 요소 | |
필수 요소 | 관계사: 관계절과 주절을 연결하고, 관계절 내에서 대명사 또는 부사 역할 주어, 동사 (필요에 따라 목적어, 보어 등 추가) |
관계사의 종류 | 관계대명사: 주격, 목적격, 소유격 등 관계부사: 시간, 장소, 이유, 방법 등 |
언어별 특징 | |
영어 | 관계대명사 who, whom, which, that 등 사용 관계부사 when, where, why, how 등 사용 관계사 생략 가능 (목적격 관계대명사 등) |
일본어 | 조사 'が', 'の', 'を' 등에 의해 다양한 관계절 형성 명사를 직접 수식하는 형태 |
한국어 | 관형사형 어미 ‘-(으)ㄴ/는/(으)ㄹ’ 등을 사용하여 관계절 형성 명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형태 |
예시 | |
영어 | The book *that I read* was interesting. (내가 읽은 책은 재미있었다.) |
일본어 | 私*が読んだ*本はおもしろかった。(와타시가 욘다 홍와 오모시로캇타) (내가 읽은 책은 재미있었다.) *昨日雨が降った* というニュースを聞きました。(키노- 아메가 훗타 토이우 뉴-스오 키키마시타) (어제 비가 왔다는 뉴스를 들었습니다.) |
한국어 | *내가 읽은* 책은 재미있었다. |
2. 종류
관계절은 크게 종속 관계절과 자유 관계절, 제한적 관계절과 계속적 관계절, 정형 관계절과 부정형 관계절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관계절은 주절의 일반 명사구를 선행사로 지닌 '''종속 관계절'''을 가리키지만, 선행사가 없는 '''자유 관계절'''도 존재한다.[4][5]
관계절은 제한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한적 관계절'''은 선행사가 지시할 수 있는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반면, '''계속적 관계절'''은 선행사의 지시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15]
정형절(finite clause)과 부정형절(nonfinite clause)의 구분이 있는 언어에서는 관계절도 그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피수식 명사가 절의 외부에 나타나는 유형의 관계절은 '''주요부 외재형 관계절'''이라고 하며, 절이 그 내부에 피수식 명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주요부 내재형 관계절'''이라고 한다.
관계절화 방법은 피수식 명사(주요부)에 해당하는 표현이 원래 절 안에 있는지, 있다면 그것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공백형'''(gapping-type): 피수식 명사에 해당하는 표현은 없고, 원래 절 안의 공백으로 남는다. 한국어가 이 유형에 속한다.[33]
- '''관계대명사형''': 관계대명사를 사용한다. 관계대명사는 피수식 명사가 관계절 안에서 담당하는 역할(주어, 목적어 등)을 나타내며, 관계절의 처음에 놓여 접속사 역할을 한다.
- '''대명사 잔류형'''(pronoun-retention type): 피수식 명사에 해당하는 대명사를 관계절 안에서 사용한다.
2. 1. 종속 관계절과 자유 관계절
일반적으로 관계절은 주절의 명사구를 선행사로 가지는 종속 관계절을 의미한다. 그러나 선행사가 없는 자유 관계절도 존재한다. 자유 관계절은 스스로 명사구 역할을 하여 주절의 목적어 등으로 사용된다.[4] 예를 들어, 영어 문장 "Do you like [what you see]?" (당신이 보시는 것이 맘에 드십니까?)에서 "what you see"는 자유 관계절로, 주절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5]2. 2. 제한적 관계절과 계속적 관계절
관계절은 제한적이거나 비제한적일 수 있다. '''제한적 관계절'''은 선행사의 의미를 한정하여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관계절이다. 반면 '''계속적 관계절'''(비제한적 관계절)은 선행사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며, 생략되어도 문장의 의미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15] 한국어 예시는 다음과 같다.- [내 지갑을 훔친] 사람이 경찰에 잡혔다. (제한적 관계절)
- [내 지갑을 훔친] 민주를 어제 또 마주쳤다. (계속적 관계절)
첫 번째 문장에서 관계절은 '사람'의 범위를 좁혀 문장의 의미를 특정한다. 두 번째 문장에서 관계절은 '민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뿐, 문장 의미에 필수적이지 않다.
영어에서는 제한적 관계절에 'that'을 사용하거나 관계 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2. 3. 정형 관계절과 부정형 관계절
정형절과 부정형절의 구분이 있는 언어에서는 관계절도 그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영어의 부정형 관계절의 예로는 ‘She is the person [on whom to rely].’(She is the person [on whom to rely].|그녀는 의지할 만한 사람이다.영어) 따위가 있다.3. 형식
관계절은 언어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언어유형론에서는 관계화 전략, 주절과 관계절의 결합 방법, 선행사에 대한 관계절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관계절 유형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민수의 지갑을 훔친 사람이 경찰에 잡혔다."라는 한국어 문장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관계화된 성분인 '사람'의 관계절에서의 역할은 공백(gapping)으로 표시된다. 즉, '민수의 지갑을 훔친'이라는 절의 주어 자리에 공백이 있으므로, 관계화된 성분인 '사람'은 그 공백을 채워 동사 '훔친'의 주어가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주절과 관계절은 보문소 '-ㄴ'으로 결합된다. ('훔친'은 동사 어간 '훔치-'와 관형어미 '-ㄴ'이 합쳐진 것이다.)
- 관계절은 선행사 '사람'의 앞에 놓인다.
"The person that I saw yesterday went home"라는 영어 문장도 이와 유사하게 분석할 수 있다.
- 임베디드 절에서 공유된 명사의 역할은 ''개핑(gapping)''으로 표시된다. 즉, "saw" 뒤에 객체 위치에 공백이 남아 공유된 명사구("the person")가 그 공백을 채우고 "saw" 동사의 객체 역할을 하도록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 절은 ''보어화사(complementizer)'' "that"으로 연결된다.
- 임베디드 절은 머리 명사 "the person" ''뒤''에 위치한다.
언어는 관계절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여러 면으로 다르다. 세계의 언어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절을 표현한다.
- "The person [that I saw yesterday] went home": 두 절을 연결하는 ''보어화사''는 임베디드 절에서 공유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내는 ''개핑'' 전략을 사용한다. (영어)
- "The person [I saw yesterday] went home": 개핑 전략으로, 두 절을 연결하는 단어가 없다. (축약형 관계절, 아랍어)
- "The person [whom I saw yesterday] went home": 관계 대명사가 임베디드 절에서 공유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낸다. (라틴어, 독일어, 러시아어, 격식을 갖춘 영어)
- "The person [seen by me yesterday] went home": 축약형 관계절이며, 수동태이다. (영어)
- "The person [that I saw him yesterday] went home": 두 문장을 연결하는 보어화사는 임베디드 절에서 공유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내는 재귀 대명사를 사용한다. (아랍어, 히브리어, 페르시아어)
- "The person [that him I saw yesterday] went home": 재귀 대명사가 앞으로 이동했다. (현대 그리스어, 현대 히브리어)
- "The [I saw yesterday]'s person went home": 개핑과 소유격 조사를 사용하여 머리 명사와 관계절을 연결하는 선행 관계절. (중국어, 속격 구문)
- "The [yesterday I seeing]'s person went home": 개핑을 사용하고 마지막 동사를 명사화한 선행 관계절. (많은 시노-티베트어족 언어, 티베트어)
- "The [I saw yesterday] person went home": 개핑을 사용하고 연결 단어가 없는 선행 관계절. (일본어, 몽골어)
- "The person [of my seeing yesterday] went home": 명사화된 관계절. (터키어)
- "[Which person I saw yesterday], that person went home": 상관 관계 구조. (힌디어)
- "[I saw the person yesterday] went home": ''축약되지 않은, 내부적으로 머리 관계절''. (나바호어)
3. 1. 관계화 전략
세계의 언어에서 나타나는 관계화 전략은 크게 네 가지가 있으며, 관계절에서 명사가 축약되는 정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공백 전략
# 관계대명사 전략
# 대명사 유지 전략
# 비축약 전략
'''관계화 전략'''은 관계절에서 관계화된 성분의 역할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한국어는 공백 전략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언어이다.[33]
관계절은 크게 '''주요부 외재형 관계절'''과 '''주요부 내재형 관계절'''로 나뉜다. 주요부 외재형 관계절은 피수식 명사가 절의 외부에 나타나는 유형이고, 주요부 내재형 관계절은 절이 그 내부에 피수식 명사를 포함하는 유형이다.
각 전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1. 공백 전략
한국어 관계절은 공백 전략을 따르며, 관계화된 성분의 격은 따로 표시되지 않는다.- [민주의 지갑을 훔친] 사람
: (사람이 민주의 지갑을 훔쳤다.)
- [철수가 개를 때린] 막대기
: (철수가 개를 막대기로 때렸다.)
공백 전략은 세계의 언어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관계화 전략이다. 특히 한국어처럼 동사가 절의 마지막에 오고 관계절이 명사 앞에 오는 언어들에서는 더욱 흔하다. 일본어에서는 피수식 명사에 해당하는 표현은 없고, 원래 절 안의 공백으로 남을 뿐이다. 이러한 '''공백형'''(gapping-type) 언어의 예로, 한국어가 있다[33].
3. 1. 2. 관계대명사 전략
관계대명사 전략은 관계절에서 관계화된 성분이 있을 자리를 비워 두고, 관계절과 주절을 잇는 표지에 관계화된 성분의 격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 표지를 관계대명사라고 부른다.러시아어에서는 관계대명사가 사용된 예를 통해 이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 첫 번째 예문에서는 주격 관계대명사가 쓰여 관계화된 성분(‘소녀’)이 관계절의 주어임을 나타낸다.
- 두 번째 예문에서는 도구격 관계대명사가 쓰여 관계화된 성분(‘칼’)이 관계절의 도구격어임을 나타낸다.
Ja | poterjal | nož, | [ kotorym | ja | narezal | xleb ]. |
내가 | 잃어버렸다 | 칼.대격 | 관계대명사.도구격 | 내가 | 잘랐다 | 빵 |
“나는 내가 빵을 자른 칼을 잃어버렸다.” | ||||||
(내가 칼로 빵을 잘랐다.) |
하지만, '관계대명사'라는 용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일부 언어에서는 '관계대명사'가 핵어 명사의 수와 성 등에 일치하지만, 관계절에서 관계화된 성분의 격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요소는 엄밀히 말해 관계대명사가 아니며, 공백 전략의 관계절과 주절을 결합하는 요소로 보아야 한다. 현대 표준 아랍어의 '관계대명사'는 격에 따라 굴절하지만, 주절에서 핵어 명사의 격에 일치하므로, 여기서 말하는 관계대명사가 아니다.
관계대명사 전략은 유럽에서 가장 흔하지만, 유럽 밖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인도유럽어족 중에서도 인도아리아어군이나 켈트어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인도유럽어족이 아닌 유럽 언어인 핀란드어, 헝가리어, 조지아어는 관계대명사를 사용한다.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중 극소수는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관계대명사를 갖게 되었는데, 케레스어가 대표적인 예이다.
3. 1. 3. 대명사 유지 전략
대명사 유지 전략에서는 관계화되는 성분이 있을 자리에 회생대명사를 넣어 표시한다. 페르시아어, 아랍어 등에서 사용되며, 한국어에서도 일부 나타난다.[33]- [그가 되돌아갔을 때 모두가 반가워했던] 난봉꾼
- [내가 그의 명찰을 떼어버린] 학생
영어에서도 관계절 깊숙한 곳의 성분을 관계화할 때 간혹 회생대명사가 쓰이지만, 비표준이라 여겨지기도 한다.
- the man [who they think that if Mary marries him, then everyone will be happy]|메리가 그와 결혼하면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라고 그들이 믿는 남자영어
3. 1. 4. 비축약 전략
비축약 전략에서는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 안에서 공백이나 대명사로 축약되지 않고 완전한 명사구로 나타난다.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첫 번째는 '''내핵 관계절'''이다. 이 유형에서는 주절에 핵어 명사가 따로 표시되지 않는다. 마리코파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aany=lyvii=m | 'iipaa | ny-kw-tshqam-sh ] | shmaa-m |
어제 | 남자 | 1인칭영어-관계사영어-때리다-가정법영어 | 잠자다-현실법영어 |
“어제 나를 때린 남자가 잠자고 있다.”[33] |
두 번째는 '''상관절''' 유형이다. 상관절 유형에서는 주절에 핵어 명사가 다시 반복되거나 대명사로 축약되어 나타난다. 힌디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maim | jis | ādmī | se | bāt | karā ] | vah | bhārat | jāegā. |
나 | 어느 | 남자 | -에게 | 말 | 했다 | 그 | 인도 | 갈 것이다 |
“내가 대화했던 남자가 인도에 갈 것이다.” | ||||||||
(내가 남자에게 말했다.) |
상관절은 힌디어를 비롯한 인도아리아어군 언어와 밤바라어 등에서 쓰인다.
3. 2. 주절과 관계절의 결합 방법
주절과 관계절을 결합하는 방법은 언어마다 다양하다.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굴절하지 않는 관계사를 핵어 명사와 관계절 사이에 둔다. 표준 중국어의 ‘的’나 현대 표준 아랍어의 ‘illi’ 등이 관계사의 예이다. 영어의 ‘that’을 (관계대명사가 아닌) 관계사라고 볼 수도 있다.[6][7]
- 관계대명사를 삽입한다.
- 특별한 표시 없이 주절의 적절한 위치에 관계절을 넣는다. 표준 일본어가 그러한 언어이다. 영어에서도 겉으로 드러난 관계사가 없는 관계절이 가능하다. (예: “The man I saw yesterday went home.”)
- 관계절을 명사화하고 핵어 명사의 소유주로 둔다.
두 절을 연결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 단어 변화가 없는 입자(특히, 관계사)를 문장에 삽입하여 수정된 명사 옆에 배치한다. 내장된 절도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며, 일반적으로 보어화자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이 전략은 매우 일반적이며, 영어에서 ''that''이라는 단어와 함께 발생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the woman that I saw"). 그러나 "that"을 관계 대명사가 아닌 다른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 관계 대명사를 사용한다. 전형적으로, 관계 대명사는 성, 수, 정해짐, 생동감 등에서 머리 명사와 일치하지만, 모(matrix)절이 아닌 ''내장된'' 절에서 공유된 명사가 가정하는 격을 채택한다. 이것은 라틴어, 독일어 및 러시아어와 같은 보수적인 유럽 언어에서 그렇다.
- 두 단어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 없이, 적절한 위치에서 내장된 절을 매트릭스 절에 직접 삽입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영어에서 일반적이다(cf. "The person I saw yesterday went home").
- 관계절을 명사화하여(예: 분사 구문으로 변환). 일반적으로 관계 대명사나 보어화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영어의 축약 관계절에서 발생한다(예: "The person seen by me yesterday went home").[8][9]
3. 3. 관계절의 위치
핵어방향성과 관련하여, 관계절은 핵어 명사의 앞이나 뒤에 올 수 있으며, 핵어 명사를 안에 포함할 수도 있다. 세계의 언어들 중 핵어후치(OV형) 언어는 관계절-명사 어순과 명사-관계절 어순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난다. 반면 핵어후치(VO형) 언어는 대부분 명사-관계절 어순이다. 즉, 명사-관계절 어순이 범언어적으로 우세하지만, 핵어후치 언어에서는 관계절-명사 어순이 더 조화롭다.[6][7] 한국어는 핵어후치 언어이며, 관계절-명사 어순을 따른다.다양한 어순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4. 접근성 위계
관계절의 선행사는 주절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많은 언어에서 관계화될 수 있는 역할에는 제한이 있다. 에드워드 키넌과 버너드 콤리는 여러 언어를 조사하여 관계절 안의 문법 관계들이 특정한 순서대로 관계화되기 쉽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순서를 '접근성 위계'라고 명명했다.[34][35]
접근성 위계는 다음과 같다.
: 주어 > 직접목적어 > 간접목적어 > 사격어(비핵심 논항) > 속격어(소유자) > 비교급의 목적어
능격-절대격 언어의 경우, 접근성 위계는 다음과 같다.
: 절대격어 > 능격어 > 간접목적어 > (위와 같음)
어떤 언어가 접근성 위계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요소를 관계화할 수 있으면, 그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요소도 모두 관계화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말라가시어는 주어만 관계화할 수 있고, 축치어와 지르발어는 절대격어만 관계화할 수 있다.
한국어와 영어는 접근성 위계의 모든 위치를 관계화할 수 있다. 다음은 한국어와 영어의 예시이다.
위치 | 한국어 | 영어 |
---|---|---|
주어 | [집으로 도망간] 남자가 저기 있다. | That's the man [who ran away]. |
목적어 | [내가 어제 본] 남자가 저기 있다. | That's the man [who I saw yesterday]. |
간접목적어 | [내가 돈을 준] 남자가 저기 있다. | That's the man [who I gave the money to]. |
사격어 | [내가 개를 때린] 막대기가 저기 있다. | That's the stick [which I hit the dog with]. |
속격어 | [내가 이름표를 뗀] 남자가 저기 있다. | That's the man [whose nametag I took]. |
비교급 | — | That's the man [who I am taller than]. |
참조
[1]
서적
A Student's Introduction to English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
서적
Der Relativsatz in den indoeuropäischen Sprachen
Buske
[3]
서적
Der Relativsatz
G. Narr
[4]
웹사이트
Matrix Sentence
https://glossary.sil[...]
2024-03-26
[5]
서적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Relativization in Qiang
http://www.ling.sini[...]
2008
[7]
학술지
Relative Clause Structures in the Rawang Language
http://www.ling.sini[...]
2008
[8]
서적
Psychology of Language
Thomson & Wadsworth
[9]
서적
Sentence Comprehension: The Integration of Habits and Rules
MIT Press
[10]
웹사이트
WALS Online - Language Acoma
http://wals.info/lan[...]
2018-04-08
[11]
학술지
Resumptive Pronouns in English Relative Clauses
[12]
학술지
On the typology of relative clauses
1986
[13]
학술지
Noun phrase accessibility and Universal Grammar
1977
[14]
서적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15]
서적
Slavjano-germanskie jazykovye paralleli/Slawisch-germanische Sprachparallelen
Belorusskij gosudarstvennyj universitet
2019-07-14
[16]
사전
LSJ o(/s1|ὅς|ref
[17]
사전
LSJ o(1|ὁ|shortref
[18]
서적
The syntax of relative clauses in Serbo-Croatian: Viewed on a historical basis
I Kommisjon Hos H. Aschehoug
[19]
서적
Der Relativsatz im Serbokroatischen
Lincom Europa
[20]
학술지
Pronoun or conjunction - the Serbo-Croatian invariant relativizer ''što''
[21]
서적
Serbo-Croatian
Lincom Europa
[22]
서적
Relativization in English and Serbo-Croatian
Institute of Linguistics,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Zagreb
[23]
서적
Relative clauses in Serbo-Croatian in comparison with English
Institute of Linguistics,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Zagreb
[24]
서적
Relativna rečenica
http://bib.irb.hr/da[...]
Matica hrvatska & Hrvatsko filološko društvo
2019-08-01
[25]
서적
Complementation: A Cross-Linguistic Ty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6]
서적
Indonesian: A Comprehensive Grammar
Routledge
1996
[27]
서적
Introduction to Hawaiian Grammar
Dover
2004
[28]
서적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Univ. of California Press
1981
[29]
서적
Chinese: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0]
서적
Chinese: A Linguistic Introduction
[31]
서적
Pidgin Grammar
Bess Press
2003
[32]
간행물
関係詞節と主節の論理関係について
2009-03
[33]
서적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syntax and morph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4]
학술지
Noun phrase accessibility and Universal Grammar
[35]
서적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