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동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동선은 묵호-철암 간 철암선, 영주-철암 간 영암선, 묵호-경포대 간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1963년 5월 20일 명명된 철도 노선이다. 과거 석탄, 시멘트 등 광물 자원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여객 및 화물 운송 역할을 수행한다. 1940년 묵호항-도계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영암선, 동해북부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이후 전철화 및 노선 개량, 솔안터널 개통 등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ITX-마음, 무궁화호, 관광열차 등이 운행되며, 삼척선, 북평선, 묵호항선 등 3개의 지선 노선을 포함한다. 영동선은 강원도와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사회·경제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관광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가와고에선
    가와고에선은 사이타마현 오미야역과 고마가와역을 잇는 JR 동일본의 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통근 노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대부분 단선 구간으로 복선화 요구가 있다.
  • 194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묵호항선
    묵호항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의 5.9km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동해역과 묵호역을 연결하며 7500호대 및 4400호대 디젤 기관차가 사용된다.
  • 경상북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영동선
지도 정보
노선 정보
노선 이름영동선
로마자 표기Yeongdongseon
한자 표기嶺東線
노선 종류간선 철도, 여객/화물, 광역 철도
노선 색상0066b3
노선 상태운영 중
지역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기점영주역
종점강릉역
역 수37
개통 시기1940년 ~ 1962년
폐지 구간1979년 3월 1일 (강릉 - 경포대)
소유주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192.7 km
선로단선 철도
궤간1,435 mm
전철화교류 25 kV/60 Hz 가공 전차선
기술 정보
최고 속도(정보 없음)
구배(정보 없음)
최대 경사도(정보 없음)
역사
개통 연도1940년 8월 1일
운행 정보
노선 번호313

2. 역사

영동선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여러 노선이 통합되어 형성된 철도이다. 과거에는 묵호-철암 간의 철암선, 영주-철암 간의 영암선, 묵호-경포대 간의 동해북부선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주로 시멘트석탄과 같은 광물 자원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다.

영암선은 조선철도가 영주-춘양 간에 건설하려던 사설 철도(영춘선) 계획이 시초였다. 해방 이후 석탄과 목재 운반을 위해 영주-철암 간 철도로 건설되었으며, 1955년 완공되었다.

동해북부선은 1961년 북평(현재의 동해)-옥계 간, 1962년 옥계-경포대 간이 개통되었고, 1963년 철암선, 영암선과 통합되어 영동선으로 명명되었다.

1963년 5월 20일, 철암선, 영암선, 동해북부선이 통합되어 영동선으로 명명되었다. 철암선은 삼척철도주식회사가 개통한 묵호항-도계 간 및 도계-철암 간 노선에서 유래했으며, 해방 이후 국유화되었다. 묵호항-묵호 구간은 묵호항선으로 편입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40년 8월 1일삼척철도의 철암선으로 철암-묵호(이후 묵호항) 간 (60.5km) 개통.
1948년 8월 10일삼척철도 국유화[35]
1950년 2월 1일영암선 영주-경북내성 간 영업 개시[36]
1955년 2월 1일영암선 경북내성-봉성 간 영업 개시[37]
1955년 7월 1일영암선 봉성-춘양 간 영업 개시[38], 경북내성역을 봉화역으로 개칭[39]
1955년 12월 31일영암선으로 영주-철암 간 (86.4km) 개통.
1956년 1월 1일영암선 춘양-철암 간 영업 개시[40], 영암선 완전 개통
1961년 5월 5일동해북부선으로 북평(현재의 동해)-옥계 간 (18.2km) 개통.
1962년 11월 6일동해북부선 옥계-경포대 간 (33.1km) 개통.
1963년 5월 17일철암선, 영암선, 동해북부선 구간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 철암선의 북평-묵호항 간은 묵호항선이 됨.
1963년 5월 30일통리-심포리 간 황지본선 구간 완공. 삭도 철도 구간 폐지.
1975년 12월 5일철암-동해 간 전철화 개통[53]
1979년 3월 1일강릉-경포대 간 폐지[54]
1997년 3월 28일영주역-철암 간 전철화 개통[57]
2005년 9월 8일동해-강릉역 간 전철화 개통, 영동선 전 구간 전철화 완료[61]
2007년 12월 31일통리-도계 간에서 운용되어 온 보조기관차 폐지.
2012년 6월 27일솔랑터널 개통으로 동백산-도계 간 노선 변경. 흥전-나한정 간 스위치백과 통리·심포리 신호장·흥전·나한정 4개 역 폐지. 동백산-통리 구간을 동백산역 구내 취급으로 변경.
2014년 9월 15일경강선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2018년 6월 28일청량신호소 영업 개시, 영동선 종점을 강릉역에서 청량신호소로 변경[66]
2018년 7월 18일정동진역-강릉역 구간 무궁화호 운행 재개
2020년 3월 2일강릉선 KTX 동해역 진입, 강릉행 무궁화호 동해행으로 단축 운행, 동해역-강릉역 간 누리로 셔틀 열차 운행 개시
2023년 9월 1일청량리-동해 간 ITX-마음 하루 왕복 1회 운행 개시


2. 1. 철암선

1936년 3월 2일, 삼척철도주식회사(三陟鐵道)는 삼척면(정라)-소달면(도계) 간 35.7 km 구간의 사설철도 부설 허가를 받았다.[26] 1937년 3월 25일에는 노선을 망상-도계 간 41.7 km로 변경하였고,[27] 1938년 11월 25일에는 도계리-흥전리 간 2.7 km 전용철도 부설 허가를 받았다.[28] 이후 1939년 4월 17일, 철암리-통리 간 8.9 km 전용철도 부설 허가를 추가로 받았다.[29]

1940년 4월에는 흥전리-심포리 간(6.0 km, 4월 19일[30]) 및 심포리-통리 간(1.0 km, 4월 23일[31]) 전용철도 부설 허가를 연이어 받으며 노선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마침내 1940년 7월 31일, 묵호항-도계 간 41.4 km 구간이 영업을 개시하였고,[32] 8월 1일에는 도계-철암 간 19.1 km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철암선으로 명명되었으며, 묵호(현재 동해시의 일부)에서 태백산맥의 철암까지 석탄 광산 개발을 위해 건설되었다.[3]

통리재 일대의 큰 고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초기에는 강삭철도스위치백이 모두 활용되었다.[8] 그러나 화차를 분리하여 운반하고 여객이 고개를 걸어서 오르내리는 등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어, 1963년 강삭철도를 폐지하고 우회선로를 개설하였다.

이후 2001년 솔안터널 공사가 시작되어 2012년 개통되면서 동백산-도계 간 구(舊) 노선 및 심포리, 흥전, 나한정역이 폐지되었다.

2. 2. 영암선

영암선은 조선철도주식회사에서 영주-춘양 간에 놓으려던 사설 철도 계획(영춘선)이 시초이다. 1944년 10월 16일 조선철도에서 영주-춘양 간 35.2km 사설 철도 부설을 허가받았다.[34] 봉화역까지의 노선은 궤도가 부설되어 있었으나, 1946년 홍수로 4km 가량이 유실되었다. 춘양역까지는 터널교량만 건설되지 않았을 뿐 대체로 공사는 진척되어 있었다.[25] 해방 이후 석탄과 목재 운반을 위하여 영주역부터 철암역까지 철도로 이으려는 계획이 등장하였고,[25] 1950년에 봉화역까지 개통하였으나 한국 전쟁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나머지 구간은 1955년과 그 이듬해에 세 차례에 걸쳐 모두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5년 12월 31일 영암선(영주-철암 간 86.4km)이 개통되었다.

2. 3. 동해북부선

1961년 5월 5일 동해북부선으로 북평(현재의 동해) - 옥계 간 18.2km 구간이 개통되었다.[22] 1962년 11월 6일에는 옥계 - 경포대 간 33.1km 구간이 개통되었다.[22] 1963년 5월 17일 철암선, 영암선과 통합되어 영동선으로 명명되었다.[22]

2. 4. 통합과 발전

1963년 5월 20일, 철암선, 영암선, 동해북부선이 통합되어 영동선으로 명명되었다.[45] 철암선은 삼척철도주식회사가 개통한 묵호항-도계 간 및 도계-철암 간 노선에서 유래했으며, 해방 이후 국유화되었다. 묵호항-묵호 구간은 묵호항선으로 편입되었다. 영암선은 조선철도주식회사가 영주-춘양 간에 건설하려던 사설 철도 계획이 시초이며, 해방 이후 석탄과 목재 운반을 위해 영주-철암 간 철도로 건설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48년 8월 10일삼척철도 국유화[35]
1950년 2월 1일영암선 영주-경북내성 간 영업 개시[36]
1955년 2월 1일영암선 경북내성-봉성 간 영업 개시[37]
1955년 7월 1일영암선 봉성-춘양 간 영업 개시[38], 경북내성역을 봉화역으로 개칭[39]
1956년 1월 1일영암선 춘양-철암 간 영업 개시[40], 영암선 완전 개통
1961년 5월 5일동해북부선 북평-옥계 간 영업 개시[42]
1962년 11월 6일동해북부선 옥계-경포대 간 영업 개시[43]
1963년 5월 20일심포리역 폐지[44], 철암선·영암선·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45], 통리-심포리강삭철도를 우회선로로 개량 (공사명칭 황지본선)
1975년 12월 5일철암-동해 간 전철화 개통[53]
1979년 3월 1일강릉-경포대 간 폐지[54]
1997년 3월 28일영주역-철암 간 전철화 개통[57]
2005년 9월 8일동해-강릉역 간 전철화 개통, 영동선 전 구간 전철화 완료[61]
2014년 9월 15일경강선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2018년 6월 28일청량신호소 영업 개시, 영동선 종점을 강릉역에서 청량신호소로 변경[66]
2018년 7월 18일정동진역-강릉역 구간 무궁화호 운행 재개
2020년 3월 2일강릉선 KTX 동해역 진입, 강릉행 무궁화호 동해행으로 단축 운행, 동해역-강릉역 간 누리로 셔틀 열차 운행 개시
2023년 9월 1일청량리-동해 간 ITX-마음 하루 왕복 1회 운행 개시


3. 노선 특징

영동선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산악 지대를 넘는 영주역에서 동해역 구간(약 149km)과, 동해를 따라 달리는 동해역에서 청량신호소 구간(약 41km)으로 나뉜다. 2020년 이후로는 동해역에서 운행 계통이 분할되어 있다. 1962년까지 한국 동부 개발을 목적으로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해안선 구간은 원래 일제강점기에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원산에서 부산을 잇는 동해선의 일부로 건설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양측의 일부 구간만 동해북부선·동해남부선으로 건설된 채 광복을 맞이했고, 그 이후 남북 분단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던 것을 한국 정부가 일부 구간의 공사를 재개하여 개통시킨 것이다. 1974년까지는 강릉에서 조금 더 나아간 경포대역까지 선로가 있었다.

현재, 일반 열차는 무궁화호누리로가 운행되고 있다. 동해역을 출발·도착하는 영동선 여객 열차의 대부분은 동백산역에서 태백선, 이어서 중앙선으로 진입하여, 서울특별시에 있는 청량리역종착역으로 한다. 이 때문에 동백산 - 영주 간의 배차 간격은 적지만, 영주역에서 중앙선으로 진입하여, 대구선 경유 동대구역 발착 열차도 매일 운행된다. 그 외에 중앙선·동해선 경유 부전행, 영주역에서 경북선·경부선 경유 부산행(주말 운행)도 설정되어 있으며, 경북선 경유 동대구 - 분천 간 구간 열차(주말 운행)도 설정되어 있다.

기타 특정일에는 관광열차 "V-train", "O-train", "바다열차"도 운행된다.

2005년에 전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되어 동해역에서 기관차를 교체하지 않고 직통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12월 22일 개통한 경강선(KTX 강릉선) 공사에 따라, 2014년 9월 15일부터 강릉역의 영업이 중단되었고(이 기간에 역의 이전도 실시), 2018년 7월 17일까지 여객 열차는 정동진역, 화물 열차는 안인역까지 운행되었다. 이후, 영동선 열차의 강릉역 운행 재개에 앞서, 경강선과 영동선의 합류점에 청량신호소가 신설되었고, 양선의 중복 구간이었던 청량신호소 - 강릉역 간은 경강선의 단독 구간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선로 명칭상의 영동선 종점은 강릉역에서 청량신호소로 변경되었다.

2020년 3월 2일부터 KTX 강릉선의 동해역 진입이 시작되었다(남강릉신호장 부근에서 삼각선을 경유하여 영동선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강릉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또한, 동해역에서 영동선 전 여객 열차의 운행 계통이 분할되어, 동해역 - 강릉역 간에는 무궁화호·누리로에 의한 구간 열차가 설정되었다.

노선 정보
궤간표준궤
노선 연장188.9km[24]
전철화 구간전 구간 (교류 25000V, 60Hz)
복선 구간없음
신호 체계ATS
통행 방향좌측 통행


3. 1. 주요 시설

영동선은 중간에 태백산맥을 통과하기 때문에, 동백산-도계 간은 경사가 계속되는 난공사 구간이었다. 이 구간의 경사 완화를 위해 심포리신호장-통리 간에는 S자를 거꾸로 한 형태의 오메가 곡선이 설치되었고, 중간의 흥전, 나한정 두 역은 경사형 스위치백 역이었다.[24]

이러한 수송 장애 시설을 해소하기 위해, 동백산역-도계역 구간을 루프형으로 단락하는 솔안터널(총연장 16.2km) 건설이 계획되었다.[24] 이 터널은 2001년에 착공하여, 2012년 6월 27일에 개통하였다.[24]

솔안터널 개통에 따라 동백산-도계 간 구선과 그 위에 있는 심포리, 흥전, 나한정 3개 역은 폐지되고, 솔안터널 내에 설치된 솔안신호장(열차 교행 설비)에 통합되었다.[24] 구선은 폐지 후 2014년추추파크라는 관광 철도로 개장하여, 증기기관차를 본뜬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4. 운행

영동선에는 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열차가 운행하며, 관광열차로는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가 운행한다. 2020년 이후 동해역에서 운행 계통이 분할되어, 동해-강릉 간 셔틀 열차가 운행 중이다. 서울 (청량리역)-동해 간 ITX-마음무궁화호 열차도 운행한다.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영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18]

운행구간선로용량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영주 - 철암4952310
철암 - 동백산735128
동백산 - 동해26111618
동해 - 청량4990014



1998년 한국철도공사(현 Korail)는 겨울철에 운행하는 특별 관광열차를 도입했는데, 눈송이 모양의 장식으로 알려져 큰 인기를 누렸다.[19] 이 열차들 대부분은 영동선 일부 구간을 경유한다. 2009년/2010년 시즌에는 단일 목적지 여행과 지역 관광을 결합한 여행 상품을 포함하여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을 따라 태백산맥을 둘러보는 왕복 여행 등 12가지의 다양한 관광 상품으로 확대되었다.[20]

2020년 3월 2일부터 KTX 경강선의 동해역 진입이 시작되었다. 또한, 동해역에서 영동선 전 여객 열차의 운행 계통이 분할되어, 동해 - 강릉 간에는 무궁화호·누리로에 의한 구간 열차가 설정되었다.

5. 지선 노선

영동선에는 3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1301삼척선동해역삼척역12.9
31302북평선동해역삼화역6.4
31303묵호항선동해역묵호역5.9


5. 1. 삼척선

동해역삼척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동해선 건설 과정에서 추진되었던 노선으로, 1939년에 착공하여 1944년에 완공되었다.[4]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301이다. 북평역(현재 동해역)에서 삼척까지 12.9km(약 8마일)의 지선이다.

5. 2. 북평선

북평선동해역삼화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동해시 서쪽의 시멘트 공장과 영동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건설된 화물 철도이다.

5. 3. 묵호항선

'''묵호항선'''은 동해역묵호항역을 경유하여 묵호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묵호항 항만 인입선 역할을 하는 화물 철도이다.

6. 지역과의 관계

영동선은 여러 드라마 촬영지로 활용되며 지역 관광에 영향을 주었다. 모래시계는 정동진역에서, 포도밭 그 사나이심천역에서 촬영되었다. 드라마 '정말 정말 좋아해!'는 고사리역에서 촬영되었다.

6. 1. 사회-경제적 영향

영동선은 강원도와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석탄, 시멘트 등 광물 자원과 임산 자원 수송로로 기능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다.[69] 또한 동해안 지역의 관광 산업 발전에도 영향을 주어, 정동진, 경포대 등 주요 관광지로의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1995년 방영된 드라마 모래시계는 정동진역을 전국적인 명소로 만들었으며, 이후에도 포도밭 그 사나이와 같은 여러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로 활용되면서 지역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6. 2. 환경 문제와 극복 노력

영동선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여러 환경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태백산맥을 통과하는 구간은 산림 훼손과 생태계 단절 문제가 제기되었다.[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 6월 27일에는 동백산-도계 간 급경사 구간에 나선형 곡선이 포함된 16240m 길이의 솔안터널을 건설하여 기존의 지그재그 구간을 대체하였다.[14] 이 사업에는 5103.22억의 예산이 투입되었다.[11] 이는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열차 운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6. 3. 향후 전망

영동선은 장래에 동해선 연결 사업과 연계하여 한반도 종단 철도(TKR)의 핵심 노선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1] 남북 관계 개선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TSR)와의 연결이 현실화될 경우, 영동선은 동해안 지역의 물류 및 여객 수송의 중심축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1]

러시아 등이 추진하고 있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연결하여 한국·일본에서의 화물 수송 루트를 형성하는 "시베리아 랜드브리지" 계획에 따라 동해선을 전 구간 개통하는 것이 남북 회담에서 합의되었다.[1] 따라서 강릉역에서 북한 통치하에 있는 금강산청년역까지의 구간을 잇는 동해북부선의 설치·복구 공사와, 동해역에서 남하하여 포항역까지를 잇는 노선의 설치가 이루어질 것이다.[1]

참조

[1] 일반텍스트
[2]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40-08-09
[3] 웹사이트 영동선 http://www.doopedia.[...] EnCyber 2011-01-06
[4]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44-02-09
[5]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44-11-01
[6] 웹사이트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1] 3대 산업선 http://www.silvernet[...] Silvernet News 2011-01-06
[7] 웹사이트 산과 산사이 빼꼼히 열린 세평하늘 아래 하얀 추억 '수북수북' https://web.archive.[...] Hankook Ilbo 2010-11-16
[8] 웹사이트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2] 경제개발과 철도 http://www.silvernet[...] Silvernet News 2010-11-16
[9] 웹사이트 Electricity Almanac 2009 http://www.epic.or.k[...] Korea Electric Association 2010-10-27
[10] 웹사이트 Design/Construction Package Yeongdong Line Relocation (Dongbaeksan - Dogye) https://web.archive.[...] Sambo Engineering 2010-10-19
[11] 웹사이트 영동선 철도이설 (노반,궤도 턴키공사) http://www.krnetwork[...]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2010-10-24
[12] 웹사이트 Detailed design of Yeongdong Line for railway moving establishment construction work between Dongbaeksan and Dogye https://web.archive.[...] Chunsuk Engineering 2010-10-19
[13] 웹사이트 대우건설 솔안터널 관통식 http://www.asiaecono[...] Asia Economy 2008-10-06
[14] 웹사이트 국내 최장 나선형 철도터널 '솔안터널' 개통 http://sbscnbc.sbs.c[...]
[15] 웹사이트 South Korea's growing network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0-08-29
[16] 웹사이트 Korea's railways face a bright future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0-08-29
[17] 웹사이트 Bullet trains coming to a town near you by 2020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0-10-27
[18] 웹사이트 Korail Total Time Table 2010.12.15 http://info.korail.c[...] Korail 2011-01-04
[19] 웹사이트 Snow train's mountain fantasy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1-01-04
[20] 웹사이트 Weekend train trips to snowy territory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1-01-04
[21] 웹사이트 Korean Advanced Tilting Train Completes 200km/h Maximum Speed Test Run http://www.krri.re.k[...] KRRI 2011-01-05
[2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367호 http://gwanbo.mois.g[...] 2018-06-28
[23] 일반텍스트
[24] 일반텍스트
[25] 뉴스 매장탄량수억톤 단양,영월등철도부설시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12-28
[2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부설면허 1936-03-10
[2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기업목론견변경 1937-04-01
[2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38-12-01
[2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39-05-13
[3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40-05-01
[3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40-05-09
[3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개시인가 1940-08-09
[3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801호 1941-06-02
[3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부설면허 1944-11-01
[35] 뉴스 南韓鐵道全部國營(남한철도전부국영)으로 三陟鐵道交通部(삼척철도교통부)에移管(이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7-03-26
[36]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74호 대한민국관보 1950-01-19
[37]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05호 대한민국관보 1955-01-29
[38]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16호 대한민국관보 1955-06-28
[39]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17호 대한민국관보 1955-06-29
[40]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52호 대한민국관보 1955-12-31
[41]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572호 대한민국관보 1959-12-01
[42]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637호 대한민국관보 1961-05-03
[43]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813호 대한민국관보 1962-10-26
[44]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892호 대한민국관보 1963-05-17
[45]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893호 대한민국관보 1963-05-17
[46]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44호 대한민국관보 1963-12-21
[4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2호 대한민국관보 1965-12-09
[4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23호 대한민국관보 1969-06-19
[4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22호 대한민국관보 1969-06-19
[50]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37호 대한민국관보 1974-08-12
[51]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52호 대한민국관보 1974-12-04
[5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호 대한민국관보 1975-01-29
[53] 뉴스 영동선 전철 개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5-12-05
[54]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8호 대한민국관보 1979-04-04
[55]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호 대한민국관보 1984-05-11
[56]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9호 대한민국관보 1988-03-30
[57] 뉴스 이제 영주~철암에도 전기기관차 다닌다!!! 1997년 철암역 영상 https://www.youtube.[...] MBC강원영동 1997-03-28
[58]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http://theme.archive[...] 1997-05-22
[59] 뉴스 비로 영동선 철길 붕괴돼 기차 탈선, 기관사 2명 사망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9-09-24
[60]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9-58호 대한민국관보 1999-12-29
[61] 뉴스 동해~강릉 전철 8일부터 달린다 https://n.news.naver[...] 한겨레 2005-09-07
[62]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220호 대한민국관보 2012-05-07
[63]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6호 대한민국관보 2012-06-22
[6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170호 http://gwanbo.mois.g[...] 2014-04-03
[6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413호 대한민국관보 2014-07-04
[6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367호 http://gwanbo.mois.g[...] 2018-06-28
[6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68] 뉴스 태백선 전 구간, 영동선·충북선 일부구간 운행 중지 https://www.inews365[...] 충북일보 2020-08-03
[69]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