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렌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렌누스는 기원전 4세기에 로마를 약탈한 것으로 알려진 갈리아 부족인 세노네스족의 지도자이다. 그는 세노네스족을 이끌고 이탈리아 북부로 이동하여 클루시움을 포위했으며, 이 사건은 로마와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브렌누스는 알리아 전투에서 로마군을 격파하고 로마 시를 점령하여 약 7개월 동안 도시를 지배했다. 로마인들은 브렌누스에게 금을 지불하고 도시를 되찾으려 했지만, 무게 측정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했고, 브렌누스는 "Vae victis!" (패자에게 화 있을지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후 로마의 독재관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의 반격으로 브렌누스는 패배하고 로마에서 쫓겨났으며, 그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브렌누스는 역사 및 대중문화에서 로마를 약탈한 켈트족 지도자로 묘사되며, 다양한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 게임 등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인 - 보이족
    보이족은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부 유럽과 북부 이탈리아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일파로, 그 이름은 '소' 또는 '전사'를 의미하는 켈트어 'boio-'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로마와 대립하거나 한니발에게 길을 안내하는 등 역사 속 역할을 했고, 보헤미아 지명이나 바이에른 어원 등에 흔적이 남아있다.
  • 갈리아인 - 텍토사게스족
    텍토사게스족은 기원전 3세기 갈리아 툴루즈 지역에서 기원한 켈트족의 일파로, 발칸 반도 침략 후 소아시아로 이동하여 갈라티아인을 형성하고 앙키라를 중심으로 갈라티아 영토의 중심부를 차지했다.
  • 기원전 4세기 통치자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 기원전 4세기 통치자 - 필리포스 2세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으로, 군사적 재능과 외교적 수완으로 마케도니아를 그리스 최강의 국가로 만들고 그리스 대부분을 정복하여 패권을 장악했으며, 군사 개혁과 정복 활동, 코린토스 동맹 결성으로 그리스 패권을 확립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계획했으나 암살당했다.
  • 기원전 5세기 출생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기원전 5세기 출생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브렌누스
개요
이름브렌누스
직업세노네스족의 지도자
활동 시기기원전 4세기
로마 침공
주요 사건알리아 전투 승리
로마 약탈 (기원전 387년)
로마 약탈 시 발언 (전승)패자에게 화가 있다 (Vae victis)
갈리아인의 로마 점령기원전 390년 또는 387년 경
브렌누스 (Brennus) 명칭 관련
다른 브렌누스와의 구별여러 명의 브렌누스가 존재함
역사적 중요성로마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침
관련 인물 및 집단
관련 민족갈리아인, 세노네스족
관련 전투알리아 전투
관련 장소로마

2. 배경

세노네스족은 오늘날 프랑스의 센에마른 주, 루아레 주, 욘 주 일대에서 기원한 갈리아계 부족으로, 기원전 400년경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북부 이탈리아로 진출하였다.[11] 이들은 움브리인들을 몰아내고 아리미니움에서 안코나에 이르는 이탈리아 동해안(아게르 갈리쿠스)에 정착했으며, 세나갈리카(시니갈리아)를 건설했다.

기원전 391년, 세노네스족에트루리아를 침공하여 클루시움을 포위했고, 클루시움은 로마에 도움을 요청했다. 로마는 퀸투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와 그의 두 형제를 협상 사절로 파견했으나, 이들은 클루시움 외곽에서 벌어진 전투에 참여하여 중립 서약을 위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리비우스와 플루타르코스는 세노네스족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로마로 진군했다고 기록했다.[12]

클루시움 포위와 로마의 개입은 허구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클루시움이 로마에 도움을 요청할 이유가 없었고, 갈리아인들이 로마를 약탈할 도발도 필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12] 일설에는 브렌누스가 시칠리아디오니시오스 1세와 협력 관계였으며, 로마 군대를 묶어두기 위해 의도적으로 로마를 공격했다는 주장도 있다.[3]

2. 1. 세노네스족의 기원과 이탈리아 진출

세노네스족은 오늘날 프랑스의 센에마른 주, 루아레 주, 욘 주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기원한 갈리아계 부족이다.[11] 기원전 400년경, 세노네스족의 일부가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 북부로 이동했다.[1] 이들은 움브리인들을 몰아내고 아리미니움(오늘날의 리미니)에서 안코나에 이르는 이탈리아 동해안 지역을 차지했으며, 이 지역은 '아게르 갈리쿠스'로 불리게 되었다.[11] 세노네스족은 세나갈리카(오늘날의 시니갈리아)를 건설하여 수도로 삼았다.[11]

2. 2. 클루시움 포위와 로마의 개입

기원전 391년, 세노네스족에트루리아를 침략하여 클루시움(오늘날의 키우시)을 포위했다. 클루시움은 로마에 도움을 요청했고, 로마는 퀸투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와 그의 두 형제를 협상 사절로 파견했다. 로마 사절단은 클루시움 외곽에서 벌어진 전투에 참여하여 중립 서약을 위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리비우스와 플루타르코스세노네스족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로마로 진군했다고 기록했다.[12]

다만, 클루시움 포위와 로마의 개입에 대한 이야기는 허구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클루시움이 로마에 도움을 요청할 이유가 없었고, 갈리아인들이 로마를 공격할 명분이 부족했다는 것이다.[12] 일설에는 브렌누스가 시칠리아디오니시오스 1세와 협력 관계였으며, 로마 군대를 묶어두기 위해 의도적으로 로마를 공격했다는 주장도 있다.[3]

3. 로마 약탈

폴 자맹의 ''Le Brenn et sa part de butin'' ("브렌누스와 그의 몫의 전리품", "전투의 전리품"으로도 알려짐), 1893년


알리아 전투에서 로마군을 패배시키고 로마에 입성한 브렌누스와 켈트족(세노네스족)은 카피톨리노 언덕을 제외한 도시 전역을 점령했다. 전설에 따르면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는 유노의 신성한 거위 덕분에 갈리아인들의 침공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로마인들은 도시가 황폐해진 것을 보고 브렌누스에게 을 지불하고 도시를 되찾으려 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금의 무게를 측정할 때 갈리아인들이 가져온 무게추가 표준보다 무겁다는 분쟁이 일자, 브렌누스는 저울에 칼을 던지며 "Vae victis!" (패자에게 화 있을진저!)라고 외쳤다.[1]

3. 1. 알리아 전투와 로마 함락

브렌누스가 이끄는 켈트족(세노네스족)은 알리아 전투에서 로마군을 패배시키고, 로마 시내로 입성했다. 이후 약 7개월간 카피톨리노 언덕을 제외한 로마 시 전역을 점령했다. 전설에 따르면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는 유노의 신성한 거위에게 갈리아인들의 침공을 경고받았다고 한다.[1]

하지만 도시가 황폐해진 것을 목격한 로마인들은 브렌누스로부터 그들의 보호를 돈으로 얻으려 시도했다. 로마인들은 약 453.59kg 무게의 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2] 리비우스에 따르면, 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 무게에 대한 분쟁(골족이 표준보다 무거운 자체 무게를 가져왔다) 동안 브렌누스는 칼을 저울에 던지며 "패배자에게 화 있을지어다!"라는 유명한 말을 외쳤다.[2]

3. 2. "패자에게 화 있을진저(Vae victis)!"



알리아 전투에서 로마군을 패배시키고 로마 시내로 입성한 브렌누스와 켈트족(세노네스족)은 카피톨리노 언덕을 제외한 로마 시 전역을 약 7개월간 점령했다. 전설에 따르면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는 유노의 신성한 거위 덕분에 갈리아인들의 침공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도시가 황폐해진 것을 본 로마인들은 브렌누스에게 약 453.59kg을 지불하고 도시를 되찾으려 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금의 무게를 측정할 때 갈리아인들이 가져온 무게추가 표준보다 무겁다는 분쟁이 일자, 브렌누스는 저울에 칼을 던지며 "Vae victis!" (패자에게 화 있을진저!)라고 외쳤다고 한다.[1] 이는 정복자가 피정복자에게 가혹한 조건을 강요하는 상황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된다.

4. 브렌누스의 패배와 죽음

금 무게에 대한 논쟁이 길어지면서, 추방되었던 독재관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는 군대를 모을 시간을 벌었다. 그는 로마로 돌아와 갈리아인들을 몰아냈다.[13]

리비우스는 카피톨리노 언덕을 포위하던 세노네스족이 이질과 같은 질병에 시달려 약화된 상태였다고 기록했다.[13]

실리우스 이탈리쿠스는 한니발보이족 기병대가 브렌누스의 후손인 크릭수스에 의해 이끌어졌으며, 그는 티키누스 전투에서 전사했다고 주장한다.[6]

4. 1.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의 반격

추방된 독재관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는 군대를 모아 로마로 돌아와 갈리아인들을 몰아냈다. 그는 브렌누스에게 "Non auro, sed ferro, recuperanda est patria" 라고 말했는데, 이는 "금이 아니라 철로, 나라가 회복될 것이다"라는 뜻이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로마 길거리에서 초기 전투가 벌어진 후, 갈리아인들은 로마 밖으로 쫓겨났고, 로마에서 8마일 떨어진 가비로 가는 길에서 완전히 전멸당했다.[13] 카밀루스는 그의 군대에게 로마의 제2의 건국자이자 '파테르 파트리아에(국가의 아버지)'인 또다른 로물루스로 칭송받았다.[5]

4. 2. 질병으로 인한 세노네스족의 약화

리비우스는 카피톨리노 언덕을 포위하던 세노네스족이 질병에 시달려 약화된 상태였다고 기록했다. 이는 이질과 같은 위생 문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문제는 현대까지도 많은 전투 병력을 무력화시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했다.[13]

5. 대중 문화에서의 묘사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에는 브레니누스라는 이름으로 브렌누스를 서술했다.[7] 폴 자맹의 아카데믹 화풍의 그림 ''Le Brenn et sa part de butin'' (1893년)은 로마를 약탈한 후, 그의 몫의 전리품 (주로 나체의 사로잡힌 여성들)을 바라보는 브렌누스를 묘사하고 있어 유명하다. 1963년 영화 로마의 적 브렌누스에서 고든 미첼이 브레누스를 연기했다. 스티븐 세일러의 역사 소설 ''로마'' (2007년)에는 브렌누스와 세노네스족의 로마 약탈이 등장한다. 2001년 비디오 게임 확장팩 《문명 III: 세상과의 조우》에서 브렌누스는 "켈트족" 진영의 플레이 가능한 지도자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Book 2 Chapter 2
[2]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History of Rome: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Herodotus Press 2016-12-04
[4] 서적 The History of Rome http://www.perseus.t[...] Harvard University Press 1924
[5] 서적 Plutarch's Lives Biblo and Tannen 1966
[6] 시 Punica
[7] 서적 A Selection From the Ancient Music of Ireland, Arranged for the Flute or Violin, Some of the Most Admired Melodies, Adapted to American Poetry Intelligencer Press
[8] 서적 Booko 2 Chapter 2
[9] 서적 ローマ建国史 http://www.perseus.t[...]
[10] 웹사이트 Le Brenn et sa part de butin http://www.painting-[...]
[11] 서적 Book 2 Chapter 2
[12]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Plutarch's Lives Biblo and Tannen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