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믹 미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데믹 미술은 16세기 피렌체에서 시작되어 유럽과 미국 등 서구 사회에서 널리 퍼진 미술 사조이다. 엄격한 교육 체계, 고전적 이상을 추구하는 미적 기준, 역사화 등 장르의 위계, 그리고 주제와 양식의 특징을 갖는다. 아카데믹 미술은 국가 정체성, 부르주아 계급의 부상, 민족주의 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유럽 각지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에는 살롱을 중심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사실주의와 인상주의 등 새로운 사조의 등장으로 비판을 받았다. 20세기에는 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폄하되었으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재평가되어 고전적 사실주의 운동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다. 한국에는 개항기 이후 일본을 통해 유입되어 서양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희동, 김관호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미술 - 상징주의
상징주의는 19세기 후반 현실 묘사를 넘어 추상적 관념이나 감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예술 사조로, 문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어 20세기 전위 예술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에서는 1920년대 초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 19세기 미술 - 낭만주의
낭만주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 유럽을 중심으로 계몽주의와 신고전주의에 반발하여 나타난 예술 운동으로, 감정, 상상력, 개인주의, 자연 숭배, 과거에 대한 향수를 강조하며 정치, 사회 변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아카데믹 미술 - 폴 들라로슈
폴 들라로슈는 프랑스의 역사 화가로, 파리 국립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 살롱전에 데뷔하여 역사적 사건을 묘사한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국립미술학교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 아카데믹 미술 - 토마 쿠튀르
토마 쿠튀르는 181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에콜 데 보자르에서 수학하고 로마 대상 수상 후 파리 살롱에 작품을 출품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대표작으로 《퇴폐기의 로마인들》이 있고, 후대 미술가들을 가르치고 아카데미 제도를 비판하는 책을 출판했으며 1879년 사망한 19세기 프랑스의 화가이다. - 예술 사조 - 인상주의
인상주의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미술 운동으로, 빛과 색채의 순간적인 인상을 담아내며 아카데미 미술에 반발, 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에드가 드가 등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회화 양식을 제시하여 현대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예술 사조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아카데믹 미술 | |
---|---|
개요 | |
![]() | |
![]() | |
![]() | |
미술 사조 | |
다른 이름 | 아카데미 미술 아카데믹 미술 |
프랑스어 | Académie des Beaux-Arts |
2. 역사적 배경
16세기 중반, 조르조 바사리는 피렌체에 최초의 미술 아카데미인 아르티 델 디세뇨 아카데미아를 설립하여 학생들이 해부학과 기하학 등을 배우도록 했다.[1][2][3] 얼마 지나지 않아 로마에는 아카데미아 디 산 루카가 설립되어 예술 이론 교육에 더 힘썼다.[5] 1582년에는 안니발레 카라치가 볼로냐에 아카데미아 델리 인카미나티를 열었는데, 이는 전통적인 예술가 작업실과 유사하면서도 "아카데미"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당시 이념의 매력을 보여준다.[7]
1648년 프랑스에서는 샤를 르 브룅을 중심으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 이 아카데미는 예술가를 장인이 아닌 "자유로운 예술을 실천하는 신사"로 존경하고자 했으며, 예술 제작의 지적 요소를 강조하여 아카데미 예술의 주제와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11] 1661년 루이 14세는 왕립 아카데미를 재조직하여 국가의 모든 예술 활동을 통제하고자 했다.[12] 1671년에는 재상 장-밥티스트 콜베르의 통제 아래 르 브룅이 원장으로 확정되었고, 이들은 절대 군주제를 찬양하는 프로그램을 집행하며 프랑스를 새로운 유럽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었다.[13][14]
이 시기 아카데미는 고전 르네상스 예술을 최고 모델로 삼아 완벽주의를 추구했다.[13] 한편, 아카데미 회원들 사이에서는 니콜라 푸생과 페테르 파울 루벤스 중 누구를 본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 "푸생주의자"는 선(디세뇨)을, "루벤스주의자"는 색상(콜로레)을 중시했으며,[15] 이 논쟁은 19세기 초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운동에서 다시 나타났다. 또한 자연과 과거 거장 중 무엇을 통해 예술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있었다.[16]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아카데믹 미술은 유럽 전역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프랑스 아카데미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여러 주요 아카데미들이 설립되었다.
설립 연도 | 아카데미 이름 | 위치 |
---|---|---|
1662 | 뉘른베르크 미술 아카데미 | 뉘른베르크 |
1696 |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 베를린 |
1698 | 빈 미술 아카데미 | 빈 |
1735 | 스톡홀름 왕립 드로잉 아카데미 | 스톡홀름 |
1752 | 마드리드 산 페르난도 왕립 미술 아카데미 | 마드리드 |
1757 |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예술 아카데미 | 상트페테르부르크 |
1776 | 밀라노 브레라 미술 아카데미 | 밀라노 |
1768 | 영국 왕립 미술원 | 영국 |
1754 | 코펜하겐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 | 코펜하겐 |
1783 | 산 카를로스 아카데미 | 멕시코 |
1805 | 펜실베이니아 미술 아카데미 | 미국 |
1826 | 제국 미술 아카데미 | 브라질 |
코펜하겐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는 국립 학교를 설립하고 외국 예술가 의존도를 줄이는 데 기여한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덴마크 황금 시대의 화가들은 대부분 이 아카데미에서 훈련받고 지역에서 후학을 양성했다.[18]
2. 1. 르네상스 시대의 기원
조르조 바사리는 1563년 피렌체에 최초의 미술 아카데미인 아르티 델 디세뇨 아카데미아(Accademia delle Arti del Disegno, 현 피렌체 미술 아카데미Accademia di Belle Arti Firenze)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 기관에서 학생들은 "아르티 델 디세뇨"(바사리가 만든 용어)를 배우고 해부학과 기하학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1][2][3]약 10년 후 로마에 아카데미아 디 산 루카(화가의 수호 성인인 성 루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가 설립되었다. 이 아카데미는 교육적 기능을 수행했으며 피렌체 아카데미보다 예술 이론에 더 관심이 많았다.[5]
1582년, 화가이자 미술 강사인 안니발레 카라치는 볼로냐에 아카데미아 데이 데시데로시(갈망하는 자들의 아카데미)를 열었다. 어떤 면에서 이것은 전통적인 예술가의 작업실과 더 비슷했지만, 그가 이것을 "아카데미"로 명명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는 것은 당시 이념의 매력을 보여준다.[7]
2. 2. 프랑스 아카데미즘의 확립과 발전
1648년 샤를 르 브룅이 이끄는 예술가 그룹은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를 설립하였다. 이 아카데미는 이후 Académie des Beaux-Arts|예술 아카데미프랑스어가 되었다. 그 목적은 이탈리아의 아카데미와 유사하게, 수공 노동에 종사하는 장인과는 달리 "자유로운 예술을 실천하는 신사"인 예술가를 존경하는 것이었다. 예술 제작의 지적 구성 요소에 대한 강조는 아카데미 예술의 주제와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11]왕립 아카데미는 1661년 국왕 루이 14세에 의해 재조직되었으며, 그 목적은 국가의 모든 예술 활동을 통제하는 것이었다.[12] 1671년에는 재상 장-밥티스트 콜베르의 통제를 받게 되었고, 그는 르 브룅을 원장으로 확정했다. 그들은 함께 국왕의 절대 군주제를 찬양하는 프로그램의 주요 집행 기관으로 만들었으며, 학교를 국가와 확고하게 연관시켜 프랑스가 새로운 유럽 문화의 중심지가 되도록 기여했으며, 이는 지금까지 이탈리아의 지배를 대체했다.[13][14]
이 시기 아카데미 교리는 엄격함, 포괄성, 통일성, 형식주의 및 명확성의 절정에 달했다. 미술사학자 모셰 바라슈에 따르면, 예술 이론 역사에서 예술가의 최고 목표로서 완벽주의가 이탈리아 고전 르네상스의 제작을 궁극적인 모델로 삼아 그 어느 때보다 강렬하게 숭배되었다.[13]
동시에 아카데미 회원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는데, 이는 세기 동안 예술적 태도를 지배하게 되었다. 이 "스타일 전투"는 페테르 파울 루벤스와 니콜라 푸생 중 누가 적절한 모델인지에 대한 갈등이었다. 푸생의 추종자들, 즉 "푸생주의자"는 지성에 호소한다는 점에서 선(디세뇨)이 예술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루벤스의 추종자들, 즉 "루벤스주의자"는 감정에 호소한다는 점에서 색상(콜로레)이 지배적인 특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이 논쟁은 자크 루이 다비드의 예술로 전형화되는 신고전주의와 외젠 들라크루아의 예술 작품으로 전형화되는 낭만주의 운동 아래 19세기 초에 다시 불붙었다. 자연을 보면서 예술을 배우는 것이 나은지, 과거의 예술 거장들을 보면서 배우는 것이 나은지에 대한 논쟁도 벌어졌다.[16]
2. 3. 프랑스 모델의 확산과 변형
루이 14세 통치 말기, 그의 군주정과 강하게 연관된 아카데믹 양식과 가르침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이는 도시 귀족 계층의 성장과 함께 나타났다. 프랑스 아카데미의 성공에 자극받아 유럽 대륙 전역에 여러 주요 아카데미들이 설립되었다. 뉘른베르크 미술 아카데미(1662),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1696), 빈 미술 아카데미(1698), 스톡홀름 왕립 드로잉 아카데미(1735), 마드리드 산 페르난도 왕립 미술 아카데미(1752),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예술 아카데미(1757), 밀라노 브레라 미술 아카데미(1776)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영국에서는 1768년, "예술 분야 학생들을 위한 디자인 학교 또는 아카데미 설립"을 목표로 영국 왕립 미술원(Royal Academy of Arts)이 설립되었다.[17]1754년에 설립된 코펜하겐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는 소규모 국가에서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며, 국립 학교를 설립하고 외국 예술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1800년에서 1850년 사이 덴마크 황금 시대의 화가들은 대부분 코펜하겐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이탈리아와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를 모범으로 삼아 많은 이들이 지역에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돌아왔다.[18]
18세기와 19세기에는 아카데믹 미술 모델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1783년 멕시코에 산 카를로스 아카데미가, 1805년 미국에 펜실베이니아 미술 아카데미가,[19] 1826년 브라질에 제국 미술 아카데미(Imperial Academy of Fine Arts)가 설립되었다.[20]
3. 아카데믹 미술의 특징
아카데믹 미술은 역사주의와 이상주의를 추구했다.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고전주의를 포함하여 다양한 시대의 양식을 통합하려 했으며,[102] 자연 형태를 단순화하고 이상화하여 주제에 맞게 표현했다.[102]
알레고리를 통해 추상적이고 영원한 진리를 표현하고자 했으며,[102] 회화와 조각은 플라톤적 이데아를 담아 이상적인 세계를 보여주고자 했다.[102] 아돌프 윌리엄 부게로는 "전쟁"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하고자 했다.[102]
색, 빛, 그림자를 완벽하게 사용하여 사진에 가까운 묘사를 추구했으며, 붓 자국이 보이지 않는 "매끄러운 마감"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102] '피니(fini)'라는 마무리 작업을 통해 양식적 기준에 맞게 그림을 수정하고 이상화했으며, 원근법은 평평한 표면에 기하학적으로 구성되었다.[102]
역사화를 최상위 장르로, 초상화, 풍속화, 풍경화, 정물화 순으로 위계를 두었다.[26][27] 역사화는 미켈란젤로, 라파엘,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같은 거장들의 전통을 따랐으며, 각 장르는 특정한 도덕적 힘을 가진다고 여겨졌다.[26][27]
3. 1. 교육 체계
젊은 예술가들은 4년 동안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시험을 통과하고 저명한 미술 교수의 추천서를 받은 학생만이 아카데미의 학교인 에콜 데 보자르에 입학할 수 있었다. '아카데미'라고 불리는 누드 드로잉과 회화는 아카데믹 미술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였으며, 이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는 절차는 명확하게 정의되었다. 먼저, 학생들은 고전 조각의 판화를 베껴서 윤곽, 빛, 그림자의 원리에 익숙해졌다. 복사는 아카데믹 교육에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졌는데, 과거 예술가들의 작품을 베끼면서 그들의 예술 제작 방식을 흡수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학생들은 평가를 위해 드로잉을 제출했다.
승인을 받으면, 학생들은 유명한 고전 조각의 석고 모형을 그렸다. 이러한 기술을 습득한 후에야 예술가들은 살아있는 모델이 포즈를 취하는 수업에 들어갈 수 있었다. 1863년까지는 에콜 데 보자르에서 회화를 가르치지 않았다.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을 배우기 위해 학생은 먼저 드로잉 실력을 증명해야 했는데, 드로잉은 아카데믹 회화의 기초로 여겨졌다. 그런 다음에야 제자는 아카데미 회원(Academician)의 화실에 들어가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전체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주제와 특정 시간 제한이 있는 경쟁을 통해 각 학생의 진전을 측정했다.
학생들을 위한 가장 유명한 미술 대회는 로마 대상(프리 드 롬)으로, 우승자에게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에 있는 로마 학교에서 최대 5년 동안 유학할 수 있는 장학금이 수여되었다.[53] 경쟁하려면 예술가는 프랑스 국적, 남성, 30세 미만, 미혼이어야 했다. 그는 에콜 데 보자르의 입학 요건을 충족하고 유명한 미술 교사의 지원을 받아야 했다. 경쟁은 혹독했으며, 최종 단계 전에 여러 단계가 있었는데, 최종 단계에서는 10명의 경쟁자가 72일 동안 스튜디오에 격리되어 최종 역사 회화를 그렸다. 우승자는 본질적으로 성공적인 전문 경력을 보장받았다.
에콜 데 보자르가 주최한 작품 전시회인 살롱에서의 성공적인 출품은 예술가에 대한 승인의 증표였다. 예술가들은 '선상' 또는 눈높이에 최적의 배치를 해달라고 전시 위원회에 청원했다. 전시회가 열린 후 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이 '스카이(skyed)'되었거나 너무 높이 걸렸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전문 예술가의 궁극적인 업적은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으로 선출되어 아카데미 회원으로 알려질 권리를 얻는 것이었다. 이는 살롱에서의 전시회에서 그의 일관성과 우수한 수준의 작품 생산 영속성에 달려 있었다.[54]

아카데미로의 전환은 19세기 후반까지 대부분의 아카데미에서 배제되었던 여성 예술가들에게 훈련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56][57] 이는 부분적으로 훈련 중 누드가 제시하는 부적절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56]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강력한 에콜 데 보자르는 17세기부터 프랑스 혁명까지 450명의 회원을 두었지만, 그중 여성은 15명뿐이었다. 그들 중 대부분은 회원의 딸이나 아내였다. 18세기 후반, 프랑스 아카데미는 여성의 입학을 전혀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이 시기 여성의 대규모 역사화는 남아 있지 않지만, 마리-데니스 빌레와 콩스탕스 메이어와 같은 일부 여성은 초상화와 같은 다른 장르에서 이름을 날렸다.[59][60][61][62]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예술가에게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 파리에서 살롱은 1791년 비 아카데미 화가에게 개방되어 여성들이 권위 있는 연례 전시회에서 작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여성들은 자크 루이 다비드와 장 밥티스트 그뢰즈와 같은 유명 예술가들에게 학생으로 더 자주 받아들여졌다.[63]
아카데믹 미술에서 누드 연구를 강조하는 것은 20세기까지 여성들이 미술을 공부하는 데 상당한 장벽으로 남아 있었으며, 이는 수업에 대한 실제 접근성과 중산층 여성들이 예술가가 되는 것에 대한 가족 및 사회적 태도 모두에 해당했다.[64]
3. 2. 미적 기준
이 시기에는 그림이 묘사하는 역사의 시대를 보여주기 위해 역사적인 양식을 채택하거나 역사적인 예술가와 장인의 작품을 모방하는 역사주의가 발전하였다. 미술사에서 낭만주의 시대에 역사주의적 운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 신고전주의 이후, 19세기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고전주의뿐만 아니라 점점 더 존중받는 후대의 양식적 시대를 해석하는 새로운 역사주의적 단계를 포함했다.[102] 이는 제임스 티소에게 영향을 미친 얀 아우구스트 헨드릭 레이스 남작의 작품에서 가장 잘 나타나며, 네오-그레크 양식의 발전에서도 나타난다.[102] 역사주의는 또한 과거의 다양한 예술 전통의 혁신을 통합하고 조화시켜야 한다는 아카데믹 미술과 관련된 믿음과 실천을 의미한다.
미술계는 미술에서 알레고리에 대한 관심을 점차적으로 높여갔다.[102] 선과 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작가가 심리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매체를 제어하여 주제, 감정 및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02] 작가들이 이러한 이론들을 실제로 종합하려고 시도하면서 알레고리적 또는 비유적 수단으로서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었다.[102] 회화와 조각의 표현은 플라톤적 이데아 또는 이상을 불러일으켜 평범한 묘사 뒤에 추상적이고 영원한 진실을 엿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여겨졌다.[102] 따라서 존 키츠의 유명한 성찰 "아름다움은 진리, 진리는 아름다움"이 나타났다.[102] 그림들은 "아이데", 즉 완전하고 완벽한 아이디어가 되기를 원했다.[102] 아돌프 윌리엄 부게로는 "전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전쟁"을 그릴 것이라고 말했다고 알려져 있다.[102] 아카데믹 미술가들의 많은 그림들은 단순한 자연 알레고리이며, '새벽', '황혼', '보고', '맛보기'와 같은 제목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이러한 아이디어는 아이디어의 본질을 드러내도록 구성된 단일 누드 인물에 의해 의인화된다.[102]

양식적으로 아카데믹 미술은 완벽함이라는 이상을 추구했고, 동시에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존재해 온 현실의 선택적인 모방(미메시스)을 추구했다.[102] 색, 빛, 그림자를 완벽하게 구사하여, 준(準) 사진적인 방식으로 형태를 창조했다.[102] 일부 그림은 완성된 작품에서 붓 자국을 알아볼 수 없는 "매끄러운 마감"을 특징으로 한다.[102] 유화 스케치 후, 예술가는 아카데믹한 "피니(fini)"로 최종 그림을 제작하여, 양식적 기준에 맞게 그림을 변경하고 이미지를 이상화하며 완벽한 세부 사항을 추가하려고 했다.[102] 마찬가지로, 원근법은 평평한 표면 위에 기하학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제 시각의 결과는 아니었다.[102]
예술의 경향은 또한 더욱 큰 이상주의로 향했는데, 이는 묘사된 인물이 그들이 상징하는 이상을 표현하기 위해 더 단순하고 추상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사실주의와 반대된다.[102] 이것은 자연에서 보이는 형태를 일반화하고, 그들을 작품의 통일성과 주제에 종속시키는 것을 포함한다.[102]
3. 3. 주제와 양식
이 시기에는 역사주의가 발전하여, 그림이 묘사하는 역사의 시대를 보여주기 위해 역사적인 양식을 채택하거나 역사적인 예술가와 장인의 작품을 모방했다. 19세기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고전주의뿐만 아니라 점점 더 존중받는 후대의 양식적 시대를 해석하는 새로운 역사주의적 단계를 포함했다. 제임스 티소에게 영향을 미친 얀 아우구스트 헨드릭 레이스 남작의 작품과 네오-그레크 양식의 발전에서 역사주의를 볼 수 있다. 역사주의는 과거의 다양한 예술 전통의 혁신을 통합하고 조화시켜야 한다는 아카데믹 미술과 관련된 믿음과 실천을 의미한다.미술계는 미술에서 알레고리에 대한 관심을 점차적으로 높여갔다. 선과 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작가가 심리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매체를 제어하여 주제, 감정 및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작가들이 이러한 이론들을 실제로 종합하려고 시도하면서 알레고리적 또는 비유적 수단으로서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었다. 회화와 조각의 표현은 플라톤적 이데아 또는 이상을 불러일으켜 평범한 묘사 뒤에 추상적이고 영원한 진실을 엿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여겨졌다. 따라서 존 키츠의 유명한 성찰 "아름다움은 진리, 진리는 아름다움"이 나타났다. 아돌프 윌리엄 부게로는 "전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전쟁"을 그릴 것이라고 말했다고 알려져 있다. 아카데믹 미술가들의 많은 그림들은 단순한 자연 알레고리이며, '새벽', '황혼', '보고', '맛보기'와 같은 제목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이러한 아이디어는 아이디어의 본질을 드러내도록 구성된 단일 누드 인물에 의해 의인화된다.
양식적으로 아카데믹 미술은 완벽함이라는 이상을 추구했고, 동시에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존재해 온 현실의 선택적인 모방(미메시스)을 추구했다. 색, 빛, 그림자를 완벽하게 구사하여, 준(準) 사진적인 방식으로 형태를 창조했다. 일부 그림은 완성된 작품에서 붓 자국을 알아볼 수 없는 "매끄러운 마감"을 특징으로 한다. 유화 스케치 후, 예술가는 아카데믹한 "피니(fini)"로 최종 그림을 제작하여, 양식적 기준에 맞게 그림을 변경하고 이미지를 이상화하며 완벽한 세부 사항을 추가하려고 했다. 마찬가지로, 원근법은 평평한 표면 위에 기하학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제 시각의 결과는 아니었다.
예술의 경향은 또한 더욱 큰 이상주의로 향했는데, 이는 묘사된 인물이 그들이 상징하는 이상을 표현하기 위해 더 단순하고 추상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사실주의와 반대된다. 이것은 자연에서 보이는 형태를 일반화하고, 그들을 작품의 통일성과 주제에 종속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감정의 표현은 아카데미즘에 의해 자세하게 규정되었고[25], 예술 장르 자체도 위계에 따라 평가받았다. 역사와 신화는 중요한 알레고리를 위한 비옥한 토대인 아이디어의 극 또는 변증법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주제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형태의 회화로 여겨졌다. 17세기에 만들어진 이 장르의 위계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역사화 ( "그란데 장르"라고도 함)—고전, 종교, 신화, 문학, 알레고리 주제—가 최상위에 위치하고, 그 다음으로 "마이너 장르"—초상화, 풍속화, 풍경화, 정물화—가 뒤따랐다.[26][27]
가장 높이 평가받는 역사 장르는 영감을 주고 고상한 본질의 주제를 전달하는 작품, 본질적으로 윤리적 배경을 가진 작품, 미켈란젤로, 라파엘,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같은 거장들이 세운 전통과 일치하는 작품을 포함했다. 폴 들라로슈는 프랑스 역사화의 전형적인 예이며, 벤자민 웨스트는 최근 역사의 장면을 그리는 영국-미국 유행의 예시이다. 한스 마카르트의 그림은 종종 실물보다 큰 역사적 드라마이며, 그는 이를 장식에서의 역사주의와 결합하여 19세기 비엔나 문화의 스타일을 지배했다. 초상화는 공적인 영광을 위한 대형 인물 묘사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소규모 작품도 포함했다. 풍속 장면이라고도 알려진 일상 장면은 상징적인 방식으로 일반적인 삶을 묘사했고, 풍경은 이상화된 자연 또는 도시 파노라마의 관점을 제공했으며, 정물은 공식적인 구성의 다양한 물체 그룹으로 구성되었다.[26][27]
이러한 위계 설정의 정당성은 각 장르가 고유하고 특정한 도덕적 힘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에 있었다. 따라서 예술가는, 예를 들어, 정물화를 통해서보다 역사적 장면을 통해 훨씬 더 강력하고 쉽게 도덕적 원칙을 전달할 수 있었다. 또한, 그리스 개념에 따라 예술의 최고 형태는 인간의 신체를 이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믿었으므로, 인간이 나타나지 않는 풍경화와 정물화는 명성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주로 사회적이고 교훈적인 기능을 가진 아카데믹 아트는 대규모 관람객이 볼 수 있고 공공 장식을 하기에 더 적합한 대형 작품과 대형 초상화를 선호했다.[26][27]
이러한 모든 경향은 역사가 결국 종합으로 해결되는 경쟁하는 아이디어의 변증법이라고 주장한 독일 철학자 헤겔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나폴레옹은 도덕적 가치와 미덕의 거울로서의 예술 개념의 "백조의 노래"였다.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영광, 그의 제국, 그의 정치적, 군사적 정복을 묘사하기 위해 예술가들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고용했다. 그 이후, 이상이 분열되고 약화되는 것이 눈에 띄고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28] 초기 낭만주의자들의 자유주의 열정이 식어감에 따라, 나폴레옹의 제국주의적 계획이 최종적으로 실패하고, 낭만주의와 신고전주의를 혼합하여 부르주아지의 목적에 맞게 적용하는 절충주의 스타일이 대중화되면서, 부르주아지는 예술의 가장 큰 후원자 중 하나가 되었고, 일반적인 체념의 감정이 나타났으며, 이상주의적인 집단 시스템에 반대하는 개인적인 부르주아 취향이 점점 더 우세해졌다. 이 사회 계급의 선호도가 고등 교육에 침투하여 표현의 가치가 있는 대상이 되었고, 장르의 위계를 바꾸고 초상화와 일상 장면, 정물화와 같은 이른바 사소한 장르가 급증했으며, 이는 세기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29]
부르주아지의 아카데미 지원은 교육을 증명하고 사회적 명성을 얻어 문화 및 정치 엘리트와 더 가까워지는 방법이었다. 네오 고딕 부흥주의, 자율적인 미적 기준으로 그림 같은 취향의 발전, 그리스 미술의 헬레니즘 절충주의, 중세주의, 오리엔탈리즘 및 민속학 연구의 진전, 여성의 예술 작품 참여 증가, 수공예 및 응용 미술의 가치 평가가 시각 예술에 대한 다른 평가의 전선을 열어 이전에는 무시되고 공식 문화의 변두리로 밀려났던 다른 가치를 발견했다.[30][31][32] 이러한 문화적 변혁의 결과로, 아카데믹 교육 모델은 생존하기 위해 이러한 혁신 중 일부를 통합해야 했지만, 광범위하게 확립된 전통을 유지했으며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및 유럽인에 의해 식민지화된 다른 국가에도 19세기 내내 계속해서 영감을 주면서 더욱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33]
이처럼 급변하는 시나리오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믹 부흥의 또 다른 요인은 여러 국가의 민족주의 운동에 의한 정치적 확신의 수단으로서의 예술이라는 아이디어를 반복했다는 점이다.[33]
4. 아카데믹 미술의 영향과 유산
아카데믹 미술은 19세기 서양 미술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의 파리 살롱과 영국의 왕립 아카데미 여름 전시회는 아카데믹 미술가들에게 명성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기회였다. 그러나 아카데믹 미술의 엄격한 기준은 사실주의, 인상주의, 상징주의와 같은 새로운 미술 사조들의 등장을 야기했다.
나폴레옹은 예술을 통해 자신의 업적을 묘사했고, 부르주아지는 예술 교육을 통해 사회적 명성을 얻고자 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네오 고딕 부흥, 헬레니즘 절충주의, 오리엔탈리즘 등 새로운 흐름이 나타났고, 아카데믹 교육 모델은 이러한 변화를 일부 수용하면서도 전통을 유지하며 유럽과 식민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30][31][32][33]
여러 국가에서 예술은 민족주의 운동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33] 잉글랜드에서는 왕립 아카데미가 국가와 연계하여 영향력을 확대했고, 왕립 아카데미 여름 전시회는 큰 인기를 얻었다. 독일에서는 예술을 위한 예술 개념을 옹호하는 이론가들이 나타나면서 아카데미즘에 대한 저항이 있었고, 나사렛파는 르네상스 양식으로 회귀를 추구했다.[40]
미국에서는 왕립 아카데미의 영향으로 펜실베이니아 미술 아카데미와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가 설립되었고, 허드슨 강파는 미국의 풍경을 웅장하게 묘사했다. 조각 분야에서는 안토니오 카노바의 영향으로 많은 미국 조각가들이 로마와 피렌체에서 활동했다.
20세기 후반부터 아카데믹 미술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은 아카데믹 미술 작품을 전시하여 이러한 흐름을 이끌었다.[87] 미국의 다예쉬 미술관과 예술 부흥 센터 등도 아카데믹 미술을 재조명하고 있다.[78][88] 1990년대 초부터는 고전적 사실주의 아틀리에 기법 운동을 통해 아카데믹 미술 창작이 다시 나타나고 있다.[86]
4. 1. 예술계에 미친 영향
19세기 미술 시장과 전시 시스템에서 아카데믹 미술은 지배적인 역할을 했다. 프랑스의 파리 살롱과 영국의 왕립 아카데미 여름 전시회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전시회는 대중과 비평가들의 큰 관심을 받았으며, 아카데믹 미술가들에게는 명성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기회였다.
그러나 아카데믹 미술의 엄격한 기준과 보수적인 성향은 새로운 미술 사조들의 등장을 야기했다. 사실주의는 아카데믹 미술의 이상주의에 반발하여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자 했다. 귀스타브 쿠르베와 같은 사실주의 화가들은 아카데믹 미술이 신화적이고 전설적인 주제에만 집중하며 동시대의 사회적 문제를 외면한다고 비판했다.[65] 또한, 그림의 "가짜 표면"에 대한 비판이 있었고, 테오둘 리보는 자신의 그림에서 거칠고 미완성된 질감을 실험하며 이에 맞섰다.

인상주의자들은 눈에 보이는 대로, 빠르게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을 옹호하며, 아카데믹 미술의 완성되고 이상화된 그림 스타일을 비판했다.[65] 아카데믹 화가들이 드로잉에 부여한 높은 광택은 인상주의자들에게 기계적인 기법에 대한 헌신을 부인하는 거짓말과 다름없어 보였다.

상징주의는 아카데믹 미술의 사실적인 묘사를 넘어, 내면의 감정과 관념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들은 아카데믹 미술의 전통적인 기법을 존중하면서도, 보다 주관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을 추구했다.
1863년 프랑스에서 점점 더 많은 수의 예술가들이 공식 살롱에서 배제되자, 나폴레옹 3세는 살롱 데 튈르리를 설립했다. 이는 모더니즘의 초기 이정표 중 하나로 여겨진다.[68]
4. 2. 사회문화적 영향
나폴레옹은 예술을 도덕적 가치와 미덕을 보여주는 거울로 보았으며, 자신의 영광, 제국, 정치적, 군사적 정복을 묘사하기 위해 예술가들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제국주의적 계획이 실패하고 부르주아지가 예술의 주요 후원자가 되면서, 예술은 개인적인 취향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부르주아지는 예술 교육을 통해 사회적 명성을 얻고 문화 및 정치 엘리트와 가까워지려 했다.[29]
이러한 변화 속에서 네오 고딕 부흥, 그리스 미술의 헬레니즘 절충주의, 중세주의, 오리엔탈리즘, 민속학 연구, 여성의 예술 참여 증가, 수공예 및 응용 미술의 가치 평가 등 새로운 흐름이 나타났다. 아카데믹 교육 모델은 이러한 변화를 일부 수용하면서도 전통을 유지하며 19세기 내내 유럽과 식민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30][31][32][33]
여러 국가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면서 예술은 정치적 확신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33] 잉글랜드에서는 왕립 아카데미가 국가와 연계하여 영향력을 확대했다. 왕립 아카데미 여름 전시회는 이 시기에 큰 인기를 얻어 현재까지 매년 개최되고 있다.
19세기 중반, 왕립 아카데미는 독립적인 예술가 단체의 증가로 인해 도전에 직면했지만, 수채화 기법 대중화, 여성 입학 허용, 행정 구조 개혁 등 새로운 전략을 통해 안정을 유지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19세기 내내 영국 예술의 상당 부분을 관리할 수 있었고, 라파엘 전파와 같은 예술가 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더니즘의 발전을 따라갈 수 있었다.[37][38]
독일에서는 예술을 위한 예술 개념을 옹호하는 이론가들이 나타나면서 아카데미즘에 대한 저항이 있었다. 나사렛파는 르네상스 양식과 중세 관행으로의 회귀를 추구했으며, 이들의 영향으로 아카데미 내에서 마스터 클래스가 도입되어 학생들에게 더 집중적인 교육을 제공했다. 이 방법은 독일 전역과 북유럽 국가로 확산되었고, 대규모 벽화 전통의 시작과 지역 아방가르드를 이끄는 결과로 이어졌다.[40]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영국의 왕립 아카데미는 미국 미술의 기초를 다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존 싱글턴 코플리와 벤자민 웨스트와 같은 미국 예술가들은 왕립 아카데미에서 공부하며 미국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41]

미국 최초의 아카데미는 1805년에 설립된 펜실베이니아 미술 아카데미였다. 이후 새뮤얼 F. B. 모스, 애셔 B. 듀런드, 토머스 콜 등은 1826년에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예술 기관이 되었다. 콜과 듀런드는 허드슨 강파를 창시하여 미국의 풍경을 웅장하고 이상적인 빛으로 묘사했다.[45][46]
조각 분야에서는 안토니오 카노바를 중심으로 한 이탈리아 아카데미의 영향이 컸다. 호레이쇼 그린노우를 시작으로 많은 미국 조각가들이 로마와 피렌체에 정착했으며, 윌리엄 웨트모어 스토리는 로마에 설립된 미국 식민지의 지도자가 되었다. 이들은 프랑스 아카데미의 영향도 받아 다니엘 체스터 프렌치의 에이브러햄 링컨 동상과 같이 강력한 시민 의식과 위대한 형식주의를 가진 작품들을 남겼다.[52]
1875년에는 아트 스튜던트 리그가 설립되어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국가 예술 교육의 지침을 정하고 여성에게도 수업을 개방하면서 미국의 주요 예술 아카데미가 되었다. 이 리그는 프랑스 아카데미 모델을 통해 민주주의적 충동을 훈련시키고 사회를 고양하며 문화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믿었다.[52]
4. 3. 현대의 재평가와 계승
20세기 후반부터 아카데믹 미술에 대한 학문적, 비평적 재평가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은 인상주의 화가들과 동시대 사실주의 화가들의 작품과 함께 아카데믹 미술 작품을 전시하여 이러한 흐름을 이끌었다.[87] 1986년 오르세 미술관 개관은 프랑스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일부 비평가들은 이를 학문주의의 부활 또는 "역사 수정주의"로 간주했기 때문이다.[87] 그러나 미술사학자 앙드레 샤스텔은 1973년에 이미 "오래된 싸움의 유산인 전체적인 불승인의 판단을 조용하고 객관적인 호기심으로 대체하는 데에는 장점밖에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87]미국의 다예쉬 미술관은 19세기와 20세기 아카데믹 미술을 전문적으로 다루며,[78] 예술 부흥 센터는 학문주의를 미래 거장의 훈련 기초로 장려하는 등, 아카데믹 미술을 재조명하는 기관들이 등장했다.[88] 대중적으로도 아카데믹 회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한때 경매에서 수백 달러에 불과했던 작품들이 현재는 수백만 달러에 거래되기도 한다.[89]
1990년대 초부터는 고전적 사실주의 아틀리에 기법 운동을 통해 아카데믹 미술 창작이 제한적으로나마 다시 나타나고 있다.[86]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역사에 대한 더 완전하고, 사회학적이며, 다원적인 설명을 제공하려는 움직임과도 관련이 있다.
5. 한국의 아카데미 미술
한국에서 아카데미 미술은 개항 이후 일본을 통해 서양 미술이 간접적으로 유입되면서,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를 중심으로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민중미술의 등장과 함께 비판받으며 쇠퇴하기도 했지만, 현대 극사실주의 회화 등에서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5. 1.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개항 이후 일본을 통해 서양 미술이 간접적으로 유입되면서 전통 회화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고희동, 김관호, 김찬영 등은 일본에서 서양화 기법을 배우고 돌아와 아카데미 미술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선보였다. 이들은 서양의 미술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의 풍경과 인물을 묘사하는 데 주력했다.그러나 식민지 조선에서 아카데미 미술은 민족주의 미술과의 관계, 식민 지배 이데올로기와의 연관성 등 여러 한계를 안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쾌대, 길진섭 등은 아카데미 미술을 수학하면서도 새로운 예술적 모색을 시도한 작가들로 평가받는다. 이들은 아카데미 미술의 기법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5. 2. 해방 이후와 현대
해방 이후 대한민국 미술계는 서구의 아카데미 미술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변화를 겪었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었다. 국전은 정부 주도로 개최된 미술 공모전으로, 초기에는 아카데믹한 사실주의 화풍이 주류를 이루었다. 국전 심사위원들은 대부분 일본 유학파 출신으로, 서구의 고전주의 및 인상주의 화풍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선호했다.[1]1960년대 이후 국전의 권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젊은 작가들은 국전의 보수적인 성향에 반발하며, 추상미술과 같은 새로운 미술 사조를 실험했다. 이들은 기존의 아카데믹한 화풍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개성적인 표현을 추구했다.[1]
1980년대에는 민중미술이 등장하면서 아카데미 미술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 민중미술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아낸 미술 운동으로, 국전 중심의 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민중미술가들은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했다.[1]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전은 점차 쇠퇴하였고, 1982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미술계는 다양한 미술 사조가 공존하는 다원주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아카데믹 미술의 유산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1990년대 이후 극사실주의 회화가 등장하면서, 아카데믹 미술의 정교한 묘사 기법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또한, 일부 작가들은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아카데믹 미술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1]
오늘날 아카데믹 미술은 과거와 같은 권위를 누리지는 못하지만, 여전히 한국 미술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교한 묘사력과 숙련된 기술은 여전히 미술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며, 많은 작가들이 아카데믹 미술의 유산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1]
6. 주요 예술가
최초의 미술 아카데미는 1563년 조르조 바사리가 피렌체에 설립한 "아카데미아 델레 아르티 델 디세뇨(Accademia delle Arti del Disegno)"(피렌체 미술 아카데미)이다.[1] 이곳에서는 "소묘의 예술"(arti del disegno, 바사리의 조어)을 가르쳤으며, 해부학과 기하학 강의도 포함되었다.[1]
1582년 안니발레 카라치는 볼로냐에 "Accademia dei Desiderosi"를 열었고(1585년경 "아카데미아 데리 인카미나티" 설립),[1] 이는 전통적인 예술가 공방과 비슷하면서도 "아카데미아"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
1648년 프랑스에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예술 아카데미)가 설립되었고,[1] 1661년 루이 14세에 의해 재편되었다.[1]
19세기 초 도미니크 앵그르로 대표되는 신고전주의와 외젠 들라크루아로 대표되는 낭만주의 사이에 논쟁이 있었다.[1]
프랑스 아카데미를 본보기로 유럽 전역에 유사한 아카데미들이 생겨났으며, 잉글랜드의 로열 아카데미 오브 아츠가 그 예이다.[1]
한국에서는 20세기 초 고희동, 김관호 등이 일본 유학을 통해 아카데믹 미술을 접하면서 서양화 기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1] 이들은 귀국 후 한국 미술계에 서양화 기법을 전파하고 후학을 양성했으며, 김인승, 이쾌대, 도상봉, 심형구, 장우성, 김기창, 배운성 등도 아카데믹 미술의 영향을 받았다.[1]
6. 1. 유럽
프랑스에서는 윌리엄 아돌프 부게로, 알렉상드르 카바넬, 장 레옹 제롬, 폴 들라로슈, 토마 쿠튀르 등이 대표적인 아카데믹 미술가로 활동했다.영국에서는 프레데릭 레이턴, 로렌스 알마 타데마,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조지 프레데릭 와츠 등이 아카데믹 미술의 주요 인물이었다.
이탈리아에서는 프란체스코 아이예츠, 도메니코 모렐리 등이 아카데믹 미술을 대표했다.
독일에서는 안젤름 포이어바흐, 한스 마카르트 등이 주요 아카데믹 미술가로 활동했다.
기타 유럽 국가에서는 미하이 문카치 (헝가리), 헨리크 시에미라츠키 (폴란드), 콘스탄틴 플라비츠키 (러시아) 등이 아카데믹 미술에 기여했다.
국가 | 작가 |
---|---|
프랑스 | 윌리엄 아돌프 부게로, 알렉상드르 카바넬, 장 레옹 제롬, 폴 들라로슈, 토마 쿠튀르 |
영국 | 프레데릭 레이턴, 로렌스 알마 타데마,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조지 프레데릭 와츠 |
이탈리아 | 프란체스코 아이예츠, 도메니코 모렐리 |
독일 | 안젤름 포이어바흐, 한스 마카르트 |
기타 | 미하이 문카치 (헝가리), 헨리크 시에미라츠키 (폴란드), 콘스탄틴 플라비츠키 (러시아) |
6. 2. 아메리카
프랑스 혁명을 모델로 한 혁명을 겪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프랑스 문화를 모방하려 했기 때문에, 서유럽과 미국뿐만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에도 아카데믹 미술이 영향을 미쳤다. 라틴 아메리카의 아카데믹 미술가로는 멕시코의 앙헬 사르라가 등이 있다.[1]국가 | 작가 |
---|---|
브라질 | 빅토르 메이렐리스 (1832–1903), 화가 페드루 아메리쿠 (1843–1905), 화가 호돌포 아모에도 (1857-1941), 화가 |
멕시코 | 앙헬 사르라가, 화가 |
6. 3. 한국
한국에서 서양화 기법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20세기 초 고희동, 김관호 등이 일본 유학을 통해 아카데믹 미술을 접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귀국 후 한국 미술계에 서양화 기법을 전파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김인승, 이쾌대, 도상봉, 심형구, 장우성, 김기창, 배운성 등도 아카데믹 미술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작가들이다.참조
[1]
웹사이트
Accademia delle Arti del Disegno
http://www.librari.b[...]
2014-10
[2]
논문
Santi di Tito and the Florentine Academy: Solomon Building the Temple in the Capitolo of the Accademia del Disegno (1570–71)
2002-02
[3]
서적
Accademie e istituzioni culturali a Firenze
Olschki
1983
[4]
서적
Academies of Art: Past and Present
The University Press
1940
[5]
서적
Teaching Art: Academies and Schools from Vasari to Alb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6]
서적
Academies of Art: Past and Present
The University Press
1940
[7]
서적
Annibale Carracci
https://books.google[...]
Giunti Editore
2001
[8]
서적
Academic Theory: 1550-1800
Wiley-Blackwell
2002
[9]
서적
The sociology of art: a reader
Routledge
2003
[10]
서적
Academies of Art: Past and Present
The University Press
1940
[11]
서적
The French academies of the sixteenth century
Taylor & Francis
1988
[12]
서적
History of Art
Thames & Hudson
1995
[13]
서적
Theories of Art: From Plato to Winckelman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0
[14]
서적
O Sol do Brasil: Nicolas-Antoine Taunay e as desventuras dos artistas franceses na corte de d. João
Companhia das Letras
2008
[15]
서적
Representing belief: religion, art, and society in nineteenth-century France, Volume 1991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2
[16]
서적
The sociology of art: a reader
Routledge
2003
[17]
서적
Sir William Chambers Knight of the Polar Star, Chapter 11: The Royal Academy
A. Zwemmer Ltd
1970
[18]
간행물
Hidden Drawings from the Danish Golden Age. Drawing and underdrawing in Danish Golden Age views from Italy
Statens Museum for Kunst
2006
[1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Western ar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0
[20]
간행물
O Século XIX
Fundação Bienal de São Paulo
1984–85
[21]
서적
O Sol do Brasil: Nicolas-Antoine Taunay e as desventuras dos artistas franceses na corte de d. João
Companhia das Letras
2008
[22]
서적
Denis Diderot
Routledge
2003
[23]
서적
Quatremère de Quincy and the invention of a modern language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1992
[24]
서적
O Sol do Brasil: Nicolas-Antoine Taunay e as desventuras dos artistas franceses na corte de d. João
Companhia das Letras
2008
[25]
서적
Theories of Art: From Plato to Winckelman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0
[26]
웹사이트
Hierarchy of the Genres
http://www.visual-ar[...]
[2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Western ar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0
[28]
서적
Transformations in late eighteenth century ar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29]
서적
O Sol do Brasil: Nicolas-Antoine Taunay e as desventuras dos artistas franceses na corte de d. João
Companhia das Letras
2008
[30]
서적
The sociology of art: a reader
Routledge
2003
[31]
서적
The Art Teaching of John Ruskin
Read Books
2008
[32]
서적
Hidden from Histories: women history painters in the early ninetheenth-century France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33]
서적
Toward a geography of 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34]
뉴스
Returning the gaze
http://www.thenation[...]
2004-03-04
[35]
서적
The End of the Salon: Art and the State in the Early Third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6]
서적
Rivals and Conspirators: The Paris Salons and the Modern Art Centre
Cambridge Scholars
2013
[37]
논문
'Auditing the RA: official discourse and the ninetheenth-century Royal Academ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38]
논문
Fear and loathing of the academic, or just what is it that makes the avant-garde so different, so appealing?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39]
서적
The sociology of art: a reader
Routledge
2003
[40]
논문
'Cultivation and Control: the "Masterclass" and the Düsseldorf Academy in the nineteenth centrur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41]
웹사이트
Art and Identity in the British North American Colonies, 1700–1776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42]
서적
Men I Have Painted
T. Fisher Unwin Ltd.
1921
[43]
웹사이트
Post-Revolutionary America: 1800–1840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44]
서적
A History of the Rise and Progress of the Arts of Design in the United States
C. E. Goodspeed & Co.
1918
[45]
웹사이트
The Hudson River School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46]
서적
The Story of American Painting
Kessinger Publishing
1999
[47]
논문
Canova and Scarpa in Possagno
https://books.google[...]
Axel Menges
2002
[48]
논문
Biographical Memoir
https://books.google[...]
Henry G. Bohn
1823
[49]
웹사이트
American Neoclassical Sculptors Abroad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50]
웹사이트
American Bronze Casting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51]
웹사이트
American Revival Styles, 1840–1876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52]
서적
New York Modern: The Arts and the Cit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53]
간행물
Prix de Rome
https://www.britanni[...]
2023-11-07
[54]
서적
O Sol do Brasil: Nicolas-Antoine Taunay e as desventuras dos artistas franceses na corte de d. João
Companhia das Letras
2008
[55]
웹사이트
The Royal Academicians
http://www.royalcoll[...]
The Royal Collection
2007-03-20
[56]
웹사이트
Women Artists in Nineteenth–Century France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57]
웹사이트
Top Ten ARTnews Stories: Exposing the Hidden 'He'
http://www.artnews.c[...]
2007-11
[58]
서적
L'entrée des femmes à l'Ecole des Beaux-Arts, 1880-1923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1990
[59]
서적
Women Artists: 1550–1950
Alfred A. Knopf
1976
[60]
서적
Dictionary of Women Artists
G K Hill & Co. publishers
1985
[61]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Women Artis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03
[62]
서적
The Obstacle Race: The Fortunes of Women Painters and Their Work
https://books.google[...]
Tauris Parke Paperbacks
2001-06-02
[63]
서적
"A History of French Painting: An account of the French Academy of Painting, its salons, schools of instructions and regulations"
Charles Scribner’s Sons
1896
[64]
웹사이트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http://art-history.c[...]
Department of Art History, University of Concordia
[65]
서적
L'Art pompier
1998
[66]
서적
L'Art pompier
1998
[67]
서적
Dictionnaire de la peinture par les peintres
https://books.google[...]
Perrin
2012
[68]
간행물
The Salon des Refusés and the Evolution of Modern Art
1969
[69]
서적
Paris Impérial – la vie quotidienne sous le Second Empire
Éditions Armand Colin
1990
[70]
논문
Introduction: academic narrative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71]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Cengage Learning
2009
[72]
서적
Sociology of the arts: exploring fine and popular forms
Wiley-Blackwell
2003
[73]
서적
Second Roundtable
Routledge
2007
[74]
서적
Art
BiblioBazaar, LLC
2007
[75]
서적
The Collected Essays and Criticism: Modernism with a vengeance, 1957-196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76]
서적
Fear and loathing of the academic, or just what is it that makes the avant-garde so different, so appealing?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77]
서적
When Form Has Become Attitude - And Beyond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5
[78]
서적
Foreword
Rutgers University Press
2002
[79]
서적
Twentieth century theories of art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1990
[80]
서적
Art and the academy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81]
서적
Kitsch and art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6
[82]
서적
Fear and loathing of the academic, or just what is it that makes the avant-garde so different, so appealing?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83]
서적
Art and the academy in the nineteenth centur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84]
서적
Writing back to modern art: after Greenberg, Fried, and Clark
Routledge
2005
[85]
서적
Transformations in late eighteenth century ar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86]
간행물
The New Old School
The New Criterion
2006-09
[87]
문서
Harding
[88]
웹사이트
The ARC Philosophy
http://www.artrenewa[...]
Art Renewal Center
2002-01-01
[89]
뉴스
From 'Riches to Rags to Riches'
https://www.artnews.[...]
ArtNews
2011-01-01
[90]
웹사이트
Academism of the 19th Century
http://www.galerijam[...]
2019-08-15
[91]
서적
The Louvre, a Tale of a Palace
Musée du Louvre Éditions
2008
[92]
서적
art THE DEFINITIVE VISUAL HISTORY
DK
2023
[93]
서적
The Art of the Occult - A Visual Sourcebook for the Modern Mystic
White Lion Publishing
2020
[94]
서적
ART a visual history
DK
2020
[95]
서적
Orsay
Éditions Place des Victories
2020
[96]
서적
ART a visual history
DK
2020
[97]
서적
Orsay
Éditions Place des Victories
2020
[98]
서적
The Art of the Occult - A Visual Sourcebook for the Modern Mystic
White Lion Publishing
2020
[99]
서적
ART a visual history
DK
2020
[100]
서적
The Art of Darkness
White Lion Publishing
2022
[101]
서적
ART a visual history
DK
2020
[102]
웹사이트
Angel Zárraga
http://www.artne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