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로카르 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카르 점은 평면 위의 삼각형에서 특정 각도 조건을 만족하는 두 점을 의미하며, 제1 브로카르 점과 제2 브로카르 점으로 정의된다. 이 두 점을 통틀어 브로카르 점이라고 부르며, 제1 브로카르 점은 ∠ΩAB = ∠ΩBC = ∠ΩCA, 제2 브로카르 점은 ∠Ω'AC = ∠Ω'CB = ∠Ω'BA를 만족한다. 브로카르 점은 서로 등각 켤레점 관계에 있으며, 브로카르 각 ω는 삼각형의 변과 넓이를 통해 표현된다. 또한, 제1 브로카르 삼각형, 제2 브로카르 삼각형, 브로카르 원, 슈타이너 점, 타리 점, 노이베르크 원 등과 연관된 기하학적 성질을 갖는다. 브로카르 점은 1816년 크렐레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브로카르에 의해 재발견되었으며, 사각형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각 기하학 - 피타고라스 삼조
    피타고라스 삼조는 a² + b² = c²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세 쌍 (a, b, c)이며, 특히 서로소인 세 정수로 이루어진 경우를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 삼각 기하학 - 페르마 점
    페르마 점은 삼각형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 합이 최소가 되는 점으로, 120도 이상의 각이 없는 삼각형에서는 내부에 존재하며 ∠AFB=∠BFC=∠CFA=120도를 만족하고, 120도 이상의 각이 있는 삼각형에서는 가장 큰 각의 꼭짓점이 되며, 작도를 통해 찾을 수 있고 기하중앙값, 슈타이너 나무 문제 등과 관련된다.
브로카르 점
브로카르 점
정의삼각형 내부의 특별한 점으로, 주어진 삼각형의 각 꼭짓점에서 다른 두 꼭짓점을 바라보는 각도가 모두 동일한 점이다.
발견자앙리 브로카르
성질
브로카르 각삼각형 ABC의 브로카르 점 P에 대해, ∠PAB = ∠PBC = ∠PCA = ω를 만족하는 각 ω.
브로카르 원브로카르 점과 관련된 원으로, 삼각형의 외접원과 브로카르 축의 교점을 지나는 원이다.
존재모든 삼각형은 유일한 브로카르 점을 가진다.
좌표
삼선 좌표제1 브로카르 점: bc/ (b^2 + c^2), ca/ (c^2 + a^2), ab/ (a^2 + b^2)
제2 브로카르 점: ca/ (a^2 + b^2), ab/ (b^2 + c^2), bc/ (c^2 + a^2)
바리중심 좌표제1 브로카르 점: a^2*b^2 + b^4 + b^2*c^2 : b^2*c^2 + c^4 + c^2*a^2 : c^2*a^2 + a^4 + a^2*b^2
제2 브로카르 점: c^2*a^2 + a^4 + a^2*b^2 : a^2*b^2 + b^4 + b^2*c^2 : b^2*c^2 + c^4 + c^2*a^2
관련 항목
관련 개념브로카르 삼각형
브로카르 축
레스테모아 점

2. 정의

평면 위에 있는 삼각형 ABC가 있을 때, 꼭짓점의 순서가 시계 반대 방향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점 \Omega는 유일하게 존재한다.

:\angle\Omega AB=\angle\Omega BC=\angle\Omega CA

이 점 \Omega를 삼각형 ABC제1 브로카르 점이라고 한다.

같은 삼각형 ABC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점 \Omega' 역시 유일하게 존재한다.

:\angle\Omega'AC=\angle\Omega'CB=\angle\Omega'BA

이 점 \Omega'을 삼각형 ABC제2 브로카르 점이라고 한다.

제1 브로카르 점과 제2 브로카르 점을 통틀어 브로카르 점이라고 부른다.

제1 브로카르 점과 제2 브로카르 점은 삼각형의 각을 재는 순서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삼각형 ABC의 제1 브로카르 점은 삼각형 ACB의 제2 브로카르 점과 같다.

두 브로카르 점은 서로 등각 공액점이다.

2. 1. 브로카르 각

제1 브로카르 점과 제2 브로카르 점이 각 변과 이루는 각(\omega)은 동일하며, 이를 브로카르 각이라고 한다. 브로카르 각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a, b, c), 넓이(S), 세 각(A, B, C)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9]

:\begin{align}

\cot\omega

& =\cot A+\cot B+\cot C \\

& =\frac{a^2+b^2+c^2}{4S} \\

& =\frac{1+\cos A\cos B\cos C}{\sin A\sin B\sin C} \\

& =\frac{\sin^2A+\sin^2B+\sin^2C}{2\sin A\sin B\sin C} \\

& =\frac{a\sin A+b\sin B+c\sin C}{a\cos A+b\cos B+c\cos C}

\end{align}

:\csc\omega=\csc A+\csc B+\csc C

:\sin\omega=\frac{2S}{\sqrt{a^2b^2+b^2c^2+c^2a^2}}

브로카르 각은 항상 30° 이하이며, 30°일 때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바이첸뵈크 부등식).[8]

:\omega\le\frac\pi 6

3. 성질

삼각형 ABC의 제1·제2 브로카르 점 \Omega, \Omega'등각 켤레점이다.[9] 즉, \angle PAB = \angle PBC = \angle PCA =\omega\angle QCB = \angle QBA = \angle QAC를 만족하는 각 \omega는 동일하며, 이 각을 '''브로카르 각'''이라고 한다.

브로카르 각 \omega는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9]

:\cot\omega=\cot A+\cot B+\cot C=\frac{a^2+b^2+c^2}{4S}

(단, a, b, c는 각 꼭짓점 A, B, C의 대변의 길이이고, S는 삼각형 ABC의 넓이이다.)

모든 삼각형의 브로카르 각은 \pi/6 이하이며, 브로카르 각이 정확히 \pi/6일 필요충분조건은 정삼각형이다 (바이첸뵈크 부등식).[8]

두 브로카르 점 \Omega, \Omega'와 외심 O에 대해, \Omega O=\Omega'O 가 성립한다.[8] 즉, 두 브로카르 점과 외심 사이의 거리는 같다.

또한, 두 브로카르 점은 외심과 르무안 점을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 브로카르 원) 위에 있다.[1]

3. 1. 수족 삼각형

두 브로카르 점의 페달 삼각형은 서로 합동이며, 원래 삼각형과 닮음이다.[4]

3. 2. 제1 브로카르 삼각형과 브로카르 원

삼각형 ABC의 제1 브로카르 점 \Omega와 제2 브로카르 점 \Omega'를 지나는 체바 직선들을 그어 교점 B_A, B_B, B_C를 얻는다. 이때, 이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B_AB_BB_C를 '''제1 브로카르 삼각형'''(first Brocard triangle영어)이라고 한다. 제1 브로카르 삼각형의 각 꼭짓점은 원래 삼각형의 각 변의 수직 이등분선 위에 위치한다.

제1 브로카르 삼각형 B_AB_BB_C는 원래 삼각형 ABC와 닮음이며,[8] 무게 중심은 일치한다.[8] 이는 원주각의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삼각형 ABC의 대칭 중점 K와 외심 O를 잇는 선분 KO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브로카르 원'''(Brocard circle영어)이라고 한다. 브로카르 원은 제1 르무안 원과 동심원이다. 제1 브로카르 점과 제2 브로카르 점은 모두 브로카르 원 위에 있으며, 브로카르 원은 제1 브로카르 삼각형의 외접원이다.

3. 3. 슈타이너 점과 타리 점

삼각형 ABC의 각 꼭짓점 A, B, C를 지나는 제1 브로카르 삼각형의 변 B_BB_C, B_CB_A, B_AB_B의 평행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이 점을 삼각형 ABC의 '''슈타이너 점'''(Steiner point영어) S라고 한다 (야코프 슈타이너). 삼각형 ABC의 각 꼭짓점 A, B, C를 지나는 제1 브로카르 삼각형의 변 B_BB_C, B_CB_A, B_AB_B의 수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이 점을 삼각형 ABC의 '''타리 점'''(Tarry point영어) T라고 한다 (가스통 타리, Gaston Tarry프랑스어). 슈타이너 점과 타리 점은 외접원 위의 한 쌍의 대척점이다.[8]

슈타이너 점은 삼각형의 각 꼭짓점에 외각의 크기를 질량으로 부여한 질점의 무게 중심이다.[8]

삼각형 ABC의 대칭 중점 K는 제1 브로카르 삼각형 B_AB_BB_C의 슈타이너 점이다.[8]

3. 4. 노이베르크 원

삼각형 ABC의 브로카르 각을 \omega라고 할 때, 선분 BC, CA, AB를 한 변으로 하는 삼각형 PBC, QCA, RAB의 브로카르 각이 \omega가 되게 만드는 점 P, Q, R의 자취는 각각 꼭짓점 A, B, C를 지나는 원과 이를 각각 변 BC, CA, AB에 대하여 반사한 상이다. 이 6개의 원 중에서 각각 꼭짓점 A, B, C를 지나는 3개의 원을 삼각형 ABC의 '''노이베르크 원'''(Neuberg circles영어)이라고 한다.

꼭짓점 A, B, C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의 중심 N_A, N_B, N_C는 각각 삼각형의 변 BC, CA, AB의 수직 이등분선 위에 있다. 노이베르크 원의 중심과 삼각형의 변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9]

노이베르크 원의 중심삼각형의 변거리
N_ABC\frac 12a\cot\omega
N_BCA\frac 12b\cot\omega
N_CAB\frac 12c\cot\omega



노이베르크 원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다.[9]

노이베르크 원반지름
A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N_AA=\frac 12a\sqrt{\cot^2\omega-3}
B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N_BB=\frac 12b\sqrt{\cot^2\omega-3}
C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N_CC=\frac 12c\sqrt{\cot^2\omega-3}



꼭짓점 A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은 꼭짓점 B, C를 중심으로 하며 선분 BC를 반지름으로 하는 두 원과 직교한다. 마찬가지로, 꼭짓점 B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은 꼭짓점 C, A를 중심으로 하며 선분 CA를 반지름으로 하는 두 원과 직교하며, 꼭짓점 C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은 꼭짓점 A, B를 중심으로 하며 선분 AB를 반지름으로 하는 두 원과 직교한다. 이에 따라, 고정된 선분 BC 및 변화하는 점 A에 대한 (꼭짓점 A를 지나는) 노이베르크 원들은 동축원 다발을 이루며, 그 두 극한점 L, L'과 선분 BC는 두 정삼각형 LBC, L'BC를 이룬다.[9]

4. 관련 점

삼각형의 두 브로카르 점은 서로 등각 공액점이다.[2] 두 브로카르 점의 중점브로카르 중점이라고 불리며, 외심과 유사 무게 중심을 잇는 직선(브로카르 축) 위에 있다.[6]

ΩB와 Ω'C의 교점을 A', ΩC와 Ω'A의 교점을 B', ΩA와 Ω'B의 교점을 C'라고 할 때, AA', BB', CC'는 한 점에서 만난다. 이 점을 제3 브로카르 점이라고 한다. 제3 브로카르 점은 유사 무게 중심의 등장 공액점이다.[6]

브로카르 중점과 제3 브로카르 점의 삼선 좌표는 각각 다음과 같다.[2][3][6]

삼선 좌표
브로카르 중점
제3 브로카르 점


5. 역사

오늘날 브로카르 점이라고 불리는 개념은 1816년 아우구스트 레오폴트 크렐레가 도입하였다.[10] 카를 프리드리히 안드레아스 야코비를 비롯한 여러 수학자들도 이를 연구하였다.[10] 1875년 앙리 브로카르가 재발견하였다.[10]

6. 사각형에서의 브로카르 점

F. G. W. 브라운은 1917년 The Mathematical Gazette에서 사각형의 브로카르 점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7]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ABCD에서 AB×CD=BC×DA일 때, ∠PAB=∠PBC=∠PCD=∠PDA=ω가 되는 점 P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QAD=∠QBA=∠QCB=∠QDC=ω가 되는 점 Q가 존재한다.

참조

[1] 간행물 Some examples of the use of areal coordinates in triangle geometry Mathematical Gazette 1999-11
[2] 웹사이트 Entry X(39) in the Encyclopedia of Triangle Centers http://faculty.evans[...] 2010-04-12
[3] 웹사이트 Entry X(76) in the Encyclopedia of Triangle Centers http://faculty.evans[...] 2010-04-12
[4] 웹사이트 Brocard Points http://mathworld.wol[...] MathWorld--A Wolfram Web Resource
[5] 웹사이트 Brocard Points https://mathworld.wo[...] 2024-03-21
[6]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TRIANGLE CENTERS https://faculty.evan[...] 2024-03-21
[7] 논문 508. [K1. 8. a.] Brocard Points for a Quadrilateral. 1917-05
[8] 서적 Episodes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Euclidean Geometry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95
[9] 서적 Advanced Euclidean Geometry Dover Publications 1960
[10] 저널 The Brocard Angle and a Geometrical Gem from Dmitriev and Dynkin https://archive.org/[...] 201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