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니히스도르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니히스도르프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헤니히스도르프에 있는 철도역으로, 1893년 크레멘선의 중간역으로 개통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역의 운행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분단 이후 서베를린 방면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독일 재통일 이후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현재는 S반 S25, 지역 열차 RE6, RB20, RB55 노선이 운행하며, 알스톰 공장으로 연결되는 인입선과 과거 대합실을 개조한 도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 역사

1893년 10월 1일 크레멘선의 중간역으로 헤니히스도르프역이 개통되었다. 1900년대 이후 베를린, 헤니히스도르프, 펠텐 사이의 교통량이 증가했다. 1921년부터 1927년까지 테겔역부터 헤니히스도르프역 사이의 철도 노반이 제방 위로 올라갔고, 같은 해 베를린-펠텐 구간 근교선 교통이 직류 전철화되었다. 1930년부터는 S반이 도입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평시 20분, 출퇴근 시간 10분 배차 간격으로 베를린-펠텐 구간을 운행했다.[8] 1931년부터 1945년까지는 슈판다우 베스트-헤니히스도르프 지역철도의 종착역이었으며, 베를린 노면전차 120번 노선이 운행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헤니히스도르프역은 서베를린과의 경계에 인접하게 되었다.[8] 분단 초기에는 S반 운행이 서베를린까지 이어졌으나,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서베를린 방면 운행이 중단되었다.[10] 헤니히스도르프역은 동독 영토의 종착역이 되었다.

1954년에는 헤니히스도르프와 서베를린 간 철도 교통의 국경 검문역으로 헤니히스도르프 쥐트(Hennigsdorf Süd)역(이후 슈톨페 쥐트역)이 개설되었다.[8] 1950년대에는 서베를린을 우회하는 베를린 외곽순환선이 건설되었고, 헤니히스도르프역 북쪽에서 크레멘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헤니히스도르프 노르트역이 신설되었다. 크레멘선과 외곽순환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도 건설되었다.[8] 독일국영철도는 1951년에 이 역과 빌다우역,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역에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계전기식 신호소를 도입했다.[9]

1983년까지 헤니히스도르프역과 펠텐역 사이에는 직류 S반 전동차가 셔틀 운행했고, 이후에는 디젤 기관차 견인 열차로 대체되었다. 이 열차는 고정된 배차 간격 없이 1시간에 약 2편씩 운행했다.[10] 1984년에는 헤니히스도르프-펠텐 간 본선 및 외곽 순환선 연결선이 교류 가공 전차선으로 전철화되었다.

2. 2. 통일 이후

독일 재통일 이후 1995년부터 헤니히스도르프 노르트역은 폐역되었고, 외곽순환선을 운행하던 열차도 헤니히스도르프역으로 직통하게 되었다.[10]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485형 열차 일부에 디젤 발전기를 장착하여 오라니엔부르크-헤니히스도르프 구간을 S 19 노선으로 시험 운행하기도 했다. 이 열차는 오라니엔부르크-비르켄베르더 구간은 직류 S반으로, 비르켄베르더-헤니히스도르프 구간은 호엔 노이엔도르프 베스트역을 경유하여 디젤로 운행했다.[10] 베를린 테겔역-헤니히스도르프역 구간의 S반 운행은 1998년 12월 15일에 복구되었다.[10]

3. 시설

헤니히스도르프역은 1920년대 개보수공사 이후 2면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각 승강장은 터널을 통해 역 외부와 연결된다. 역 북쪽에서는 펠텐 방면 크레멘선 본선과 베를린 외곽순환선 방면 양방향 순환선이 분기한다. 펠텐 방면 본선의 과거 복선 선로는 알스톰의 철도차량 시험선으로 사용 중이다.

3. 1. 승강장 구조

1920년대 개보수공사 이후 승강장이 2면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승강장은 터널을 통해서 역 외부와 연결된다. 1998년 S반 재개통 이후 동쪽 승강장은 남북으로 나뉘어 있다. 원래부터 있었던 북쪽 구역에는 지역간 열차가 정차한다. 남쪽 구역은 S반 복구 당시에 신설되었으며 S반 열차가 정차한다. 승강장 길이 문제로 인하여 최대 6량 열차만 진입할 수 있다. 두 승강장 사이는 선로종단점으로 막혀 있어서 각각 구역은 사실상의 독립된 두단식 승강장처럼 운영된다. 서쪽 승강장에는 지역간 열차가 정차하며 역 남쪽으로는 선로가 끊겨 있다.[11]


3. 2. 인입선

여객 승강장 서쪽으로는 알스톰(2021년까지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 공장으로 연결되는 인입선이 3선 설치되어 있다.[11]

3. 3. 구 역사

구 역사, 현재의 도서관


북동쪽 출구 방면 과거 대합실 건물은 1998년/1999년에 개보수되어 현재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1] 대합실 건물과 선로 노반 사이로 도로가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대합실 건물은 철도 부지와 분리되어 있다. 승강장 북부 보행자 터널은 역 개보수 이후 폐쇄되었다. 2013년에 재개통할 예정이 있었지만[12] 실제 공사가 진행되지는 않았다.

남서쪽 역 광장 방면 출입구 근처에는 2016년 중반까지 베를린 S반 매표소가 있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폐쇄되었다. 그 이후에는 승강장의 자동발매기나 키오스크에서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다.

4. 운행 노선

헤니히스도르프역에는 베를린 S반 25호선과 지역 열차(RE6, RB20, RB55)가 정차한다.[7] 베를린 장벽 건설로 S반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으나, 1998년 재개되었다.

4. 1. 베를린 S반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이 시작되면서 베를린행 S반 운행이 중단되었다. 1983년까지 S반 열차는 헤니히스도르프와 펠텐 사이를 시간당 약 2회 운행했다.[6] 고정된 시간표는 없었다. 1983년 이후 펠텐행 교통편은 기관차 견인 열차로 전환되었다. 헤니히스도르프와 펠텐 사이의 크레메너 반 구간은 1984년 교류로 전철화되었다. 1995년 이후 대부분의 통근 열차가 외곽 순환선에서 헤니히스도르프역으로 바로 출발하면서 헤니히스도르프 노르트역은 더 이상 운행되지 않는다.

1994/95년에는 헤니히스도르프역이 오라니엔부르크까지 17km 구간의 소위 듀오 S반(S19 노선)의 종착역이었다. 오라니엔부르크비르켄베르더 사이에서는 S반 선로를 사용하여 직류로 운행했고, 비르켄베르더와 헤니히스도르프 사이에서는 호엔 노이엔도르프 서역을 경유하는 베를린 외곽 순환선 선로에서 디젤 동력으로 운행했다.

1998년부터 이 역은 다시 베를린 S반과 연결되었으며, 열차는 2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게준트브루넨까지 26분, 프리드리히슈트라세까지 34분이 소요된다.

헤니히스도르프역의 플랫폼. 오른쪽 플랫폼 1/5(1번 선로는 사진에 없음)의 분리된 플랫폼 선로: S반 S25 노선은 앞에서 정차하고, 지역 노선 RE6와 RB55는 뒤에서 정차한다. 매우 넓은 분리형 플랫폼 1/5와 대조적으로, 덮개가 없고 RB20 노선만 운행하는 좁은 플랫폼 6/7(왼쪽)이 있다.


이 역을 경유하는 베를린 S반 노선은 다음과 같다.[7]

4. 2. 지역 열차

노선경로
비텐베르거 - 프리츠발크 - 비트슈토크 - 노이루핀 - 헤니히스도르프 - 베를린
포츠담 - 골름 - 헤니히스도르프 - 오라니엔부르크
크렘멘 - 헤니히스도르프
헤니히스도르프 - 테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 텔토



5. 인접 정차역

역 남쪽의 버스 승강장에서는 베를린 슈판다우, 오라니엔부르크, 헤니히스도르프 시내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1]

노선종별전역후역전방면후방면
RE6펠텐팔켄제비텐베르게 방면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방면
RB20골름호엔 노이엔도르프 베스트포츠담 그리브니츠제 방면오라니엔부르크 방면
RB55펠텐크레멘 방면헤니히스도르프 방면
베를린 S반하일리겐제헤니히스도르프 방면텔토 슈타트 방면


참조

[1] 서적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Schweers + Wall
[2] 문서 DBCatsURL
[3]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eb.archive.[...]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1-25
[4] 서적 Chronik der Deutschen Reichsbahn 1945–1993, Eisenbahn in der DDR GeraMond
[5] 웹사이트 Machbarkeitstudie zur Einbindung des Prignitz-Express über die Kremmener Bahn nach Berlin-Gesundbrunnen http://www.mil.brand[...] Ministerium für Infrastruktur und Landwirtschaft des Landes Brandenburg 2012-03-20
[6] 서적 Kursbuch. Winterfahrplan 1981/1982 Deutsche Reichsbahn
[7] 문서 Timetables for Hennigsdorf station http://kursbuch.bahn[...]
[8] 문서 Deutsches Kursbuch, Sommer 1939
[9] 문서 Chronik der Deutschen Reichsbahn 1945–1993, Eisenbahn in der DDR GeraMond
[10] 문서 Deutsche Reichsbahn, Kursbuch Winter 1981/82
[11] 웨이백 Homepage der Stadtbibliothek http://www.hennigsdo[...] 2011-08-01
[12] 웨이백 Der Bärenkäfig soll verschwinden http://www.genios.de[...] Märkische Allgemeine 201601241835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