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조화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조화비는 실수 또는 복소수 직선 위의 네 점의 비율로 정의되며, 사영 기하학에서 사영 변환에 의해 보존되는 불변량이다. 비조화비는 네 점의 순서를 바꿈에 따라 변환되며, 대칭군 S₄의 작용으로 볼 수 있다. 비조화비는 사영 기하학, 쌍곡 기하학, 타원 함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네 점이 매우 가까워질 때는 미분 기하학적인 성질을 띠기도 한다. 고차원 공간으로의 일반화는 점들의 배치 공간이 복잡해짐에 따라 쉽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 (수학) - 비례
    비례는 y=kx 형태의 수학적 관계로, 정비례와 반비례 등으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에서 현상 설명에 활용된다.
  • 비 (수학) - 치명률
    치명률은 특정 질병 확진 환자 중 사망한 환자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이며, 감염 치명률은 전염병에 적용되어 무증상 감염자를 포함한 모든 감염된 개인의 사망 비율을 나타낸다.
  • 사영기하학 - 무한원점
    무한원점은 사영평면에서 z=0인 동차좌표로 표현되는 점들의 집합으로 무한원직선을 구성하며, 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없지만 사영기하학 등에서 평행선의 교점으로 정의되고 투영기하학에서 소실점과 관련되어 응용되지만 교육적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비판도 있다.
  • 사영기하학 - 동차좌표
    동차좌표는 (n+1)개의 수로 이루어진 순서쌍 집합에서 0이 아닌 원소를 제외하고 동치관계를 정의하여 얻는 n차원 사영 공간의 좌표이며, 데카르트 좌표와 달리 단일 점을 무한히 많은 좌표로 표현하고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비전 등에 응용된다.
비조화비
개요
정의사영기하학에서 네 개의 공선점의 교차비는 사영 불변량이다.
다른 이름복비 (複比)
비조화비 (非調和比)
정의
기호(A, B; C, D)
공식(A, B; C, D) = AC/BC : AD/BD
설명여기서 A, B, C, D는 동일 선상에 있는 점들이며, AC는 점 A와 C 사이의 (방향이 있는) 거리이다.
불변성
설명사영 변환 하에서 교차비는 불변이다. 즉, 점 A, B, C, D를 사영 변환하여 얻은 점 A', B', C', D'에 대해 (A, B; C, D) = (A', B'; C', D')이 성립한다.
특별한 경우
조화비교차비가 -1인 경우, 네 점은 조화로운 관계에 있다고 한다.
활용
사영기하학사영기하학에서 중요한 불변량으로 사용된다.
컴퓨터 비전이미지에서 객체 인식 및 3차원 복원 등에 활용된다.

2. 정의

같은 실수 또는 복소수 직선 위에 있는 네 점 z_1, z_2, z_3, z_4의 '''비조화비''' (z_1, z_2; z_3, z_4)는 다음과 같다.

:(z_1,z_2;z_3,z_4)=\frac{(z_1-z_3)(z_2-z_4)}{(z_2-z_3)(z_1-z_4)}

이 비율은 네 점 중 하나가 무한대(\infty)일 때도 극한의 개념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nfty,z_2;z_3,z_4) = \frac{(z_3-\infty)(z_4-z_2)}{(z_3-z_2)(z_4-\infty)}=\frac{(z_4-z_2)}{(z_3-z_2)} .

동일한 공식은 네 개의 서로 다른 복소수 또는,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의 원소에 적용될 수 있으며, 위에서처럼 그 중 하나가 \infty = \tfrac10인 경우에도 사영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3. 역사

비조화비의 개념은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가 저서 《수학집》 제7권에서 암묵적으로 사용했다.[2][10] 파푸스의 초기 사용자로는 아이작 뉴턴, 미셸 찰스, 로버트 심슨 등이 있다.[2][10]

''D''는 ''A와 B''에 대한 ''C''의 조화 공액이므로 교차비(A, B; C, D)는 -1과 같다.


19세기 초, 라자르 카르노는 그의 저서 《위치 기하학》에서 비조화비를 현대적인 형태로 사용하기 시작했다.[3] 1837년, 미셸 찰스는 프랑스어 용어 "rapport anharmonique" (비조화비)를 만들었다.[4] 독일 기하학자들은 이를 "das Doppelverhältnis" (이중비)라고 불렀다.[4][11]

카를 폰 슈타우트는 유클리드 거리의 대수적 조작에 의존하는 이전의 정의에 불만을 품고, 1847년에 사영 조화 공액의 작도에 기초한 대수를 만들어 대수적 구조가 사영 기하학에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5] 그는 이것을 '던지기'(독일어: ''Wurf'')라고 불렀다.[5][11] 그의 ''던지기의 대수''는 일반적으로 공리로 받아들여지지만 사영 기하학에서 증명되는 수치적 명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5]

1878년, 윌리엄 킹던 클리포드는 영어 용어 "cross-ratio"를 도입했다.[6][12]

4. 성질

네 점 A, B, C, D의 비조화비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A,B;C,D) = (AC : CB)/(AD : DB)

여기서 AC:CB는 점 C가 선분 AB를 나누는 비율을 나타내며, AD:DB는 점 D가 동일한 선분을 나누는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비조화비는 비율들의 비율로 나타나며, 두 점 C와 D가 선분 AB와 관련하여 어떻게 위치하는지를 설명한다. 점 A, B, C, D가 서로 다르면 비조화비 (''A'', ''B''; ''C'', ''D'')는 0이 아닌 실수이다. 다음을 쉽게 추론할 수 있다.


  • (''A'', ''B''; ''C'', ''D'') < 0는 점 C 또는 D 중 하나가 점 A와 B 사이에 있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만 해당한다.
  • (''A'', ''B''; ''C'', ''D'') = 1 / (''A'', ''B''; ''D'', ''C'')
  • (''A'', ''B''; ''C'', ''D'') = (''C'', ''D''; ''A'', ''B'')
  • (''A'', ''B''; ''C'', ''D'') ≠ (''A'', ''B''; ''C'', ''E'') ⇔ ''D'' ≠ ''E''


공선상의 네 점 ''A'', ''B'', ''C'', ''D''의 교차비는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A,B;C,D) = (AC/CB):(AD/DB)

여기서 AC/CB는 점 ''C''가 선분 AB를 분할하는 비율을 나타내고, AD/DB는 점 ''D''가 같은 선분을 분할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즉, 교차비는 비율의 비로 나타나며, 두 점 C, D가 선분 AB에 대해 어떻게 위치해 있는지를 나타낸다. 점 ''A, B, C, D''가 서로 다를 경우, 교차비 (A, B; C, D)는 0이 아닌 실수이다. 다음은 쉽게 추론할 수 있다.

  • (''A'', ''B''; ''C'', ''D'') < 0은 점 C, D 중 하나가 점 A, B 사이에 있고, 다른 하나는 점 A, B 사이에 없는 경우에 한한다.
  • (''A'', ''B''; ''C'', ''D'') = 1 / (''A'', ''B''; ''D'', ''C'')
  • (''A'', ''B''; ''C'', ''D'') = (''C'', ''D''; ''A'', ''B'')
  • (''A'', ''B''; ''C'', ''D'') ≠ (''A'', ''B''; ''C'', ''E'') ↔ ''D'' ≠ ''E''

4. 1. 대칭군의 작용

네 점의 순서를 바꾸면, 비조화비 \lambda는 다음과 같이 변환된다.

(z_1, z_2; z_3, z_4) = \lambdawidth=50px |(z_1, z_2; z_4, z_3) =1/\lambda
(z_1, z_3; z_4, z_2) = 1/(1-\lambda)(z_1, z_3; z_2, z_4) = 1-\lambda
(z_1, z_4; z_3, z_2) =\lambda/(\lambda-1)(z_1, z_4; z_2, z_3) =(\lambda-1)/\lambda



이는 대칭군 S_4작용으로 볼 수 있다. 다만, S_4 가운데 일부 원소들은 자명하게 작용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z_1,z_2;z_3,z_4) = (z_2,z_1;z_4,z_3) = (z_3,z_4;z_1,z_2) = (z_4,z_3;z_2,z_1)

S_4의 작용의 클라인 4원군 (\mathbb Z/2)^2이며, 따라서 이는 사실 S_4/(\mathbb Z/2)^2\cong S_3의 작용이 된다. 이 군을 '''비조화군'''(非調和群, anharmonic group영어)이라고 한다.

}}의 안정자는 삼각 쌍성 다면체의 회전군, 이항면체군 과 동형이다.



비조화군의 작용은 뫼비우스 변환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lambda \mapsto \tfrac1\lambda\lambda \mapsto 1 - \lambda에 의해 생성된다.

4. 2. 조화비

비조화군의 작용 궤도 \(\{\lambda^{\pm1},(1-\lambda)^{\pm1},(\lambda/(\lambda-1))^{\pm1}\}\)는 보통 크기가 6이지만, 예외적인 경우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궤도는 세 가지가 있는데, 궤도 \(\{-1, 1/2, 2\}\)는 조화비라고 불리며, 이는 차수가 2인 원소 \(\lambda\mapsto1/\lambda\), \(\lambda\mapsto1-\lambda\), \(\lambda\mapsto\lambda/(1-\lambda)\)에 대응한다. 복소수체에서는 궤도 \(\{\exp(\pm\pi i/3)\}\)가 존재하며, 이는 차수가 3인 원소 \(\lambda\mapsto1/(1-\lambda)\) 및 \(\lambda\mapsto(\lambda-1)/\lambda\)에 대응한다.

특정 \(\lambda\) 값에 대해서는 더 큰 대칭성이 존재하며, 따라서 교차비의 가능한 값은 6개 미만이 된다. 이러한 \(\lambda\) 값은 리만 구면에서 S3의 작용의 고정점에 해당하며, 이 순열 그룹에서 비자명한 안정자를 갖는 점에 해당한다.

고정점 집합 \(\{-1, \tfrac12, 2\}\)인 상황은 고전적으로 조화 교차비라고 불리며, 사영 조화 공액에서 발생한다. 실수인 경우에는 다른 예외적인 궤도가 없다.

복소수인 경우, 가장 대칭적인 교차비는 \(\lambda = e^{\pm i\pi/3}\)일 때 발생하며, 이 값들은 교차비의 유일한 두 값이고, 순열의 부호에 따라 작용한다.

5. 사영기하학

비조화비는 사영 기하학에서 사영 변환에 의해 보존되는 사영 불변량이다. 특히, 네 점이 \bold{R}^2의 직선 L 위에 놓여 있다면, 비조화비는 직선에서 원점과 척도의 선택에 관계없이 잘 정의된다.

[[파일: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3/Cross_ratio_metrology_example.sv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3/Cross_ratio_metrology_example.svg|썸네일|사영 기하학에서 교차비를 사용하여 투시 투영으로 그려진 지형지물의 실제 치수를 측정. A, B, C, D, V는 이미지상의 점이며, 그 간격은 픽셀 단위로 표시된다. A', B', C', D'는 실제 세계에 있으며, 미터 단위로 분리된다.


  • (1) 샛길의 폭 W는 인접한 상점의 알려진 폭에서 계산된다.

  • (2) 소실점 V가 표시되므로, 하나의 상점 폭만 필요하다.


]]

\{L_i \mid 1 \le i \le 4\}를 동일한 점 Q를 지나는 평면상의 네 개의 서로 다른 직선이라고 할 때, Q를 지나지 않는 임의의 직선 L은 이들 직선과 네 개의 서로 다른 점 P_i에서 교차한다. 이 점들의 비조화비(고정된 순서로)는 직선 L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네 개의 직선 L_i의 불변량이다.

만약 LL'Q를 지나지 않는 두 개의 직선이라면, 중심 Q를 갖는 L에서 L'로의 투시 변환은 L의 점의 4중항 \{P_i\}L'의 점의 4중항 \{P_{i}'\}로 변환하는 사영 변환이다.

따라서 직선의 사영 자기동형사상에 대한 비조화비의 불변성은 직선 \{L_i\}의 네 개의 공선 점 \{P_{i}\}의 비조화비가 그 점들을 포함하는 직선의 선택에 독립적임을 의미한다.

6. 동차 좌표

만약 네 개의 공선점이 동차 좌표로 벡터 ${\displaystyle \alpha ,\beta ,\gamma ,\delta }$로 표현되고, ${\displaystyle \gamma =a\alpha +b\beta }$ 및 ${\displaystyle \delta =c\alpha +d\beta }$라면, 이들의 교차비는 ${\displaystyle (b/a)/(d/c)}$이다.[7] 동일 선상에 있는 4개의 점이 벡터 '''a''', '''b''', '''c''', '''d'''에 의해 동차 좌표로 표시되고, '''c''' = '''a''' + '''b''' 및 '''d''' = '''ka''' + '''b'''인 경우, 이들의 교차비는 ''k''이다.[13]

7. 비유클리드 기하학

아서 케일리펠릭스 클라인은 비조화비를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적용하는 방법을 찾았다. 실수 사영 평면에서 비특이 원뿔 곡선 C가 주어지면, 사영군 G=\operatorname{PGL}(3,\mathbb{R})에서의 해당 안정자 G_CC 내부의 점들에 대해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G_C가 점들의 ''쌍''에 작용하는 데에는 불변량이 존재하며, 이러한 모든 불변량은 적절한 비조화비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뿔 곡선을 단위 원이라고 하자. 단위 원 내부의 임의의 두 점 와 에 대해, 이들을 연결하는 선이 원과 두 점, 와 에서 만나고, 점들이 순서대로 라고 하자. 그러면 쌍곡 기하학의 케일리-클라인 모델에서 와 사이의 쌍곡 거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d_h(P,Q)=\frac{1}{2} \left| \log \frac

\right|

(계수 1/2는 가우스 곡률을 로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교차비는 투영 변환에 불변하므로, 쌍곡 거리는 원뿔 를 보존하는 투영 변환에 불변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반대로, 그룹 는 고정된 쌍곡 거리에 있는 단위 원판 내의 점 의 집합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나중에, 특히 앙리 푸앵카레의 영향으로, 원 위의 네 복소수의 교차비가 쌍곡 메트릭에 사용되었다. 원 위에 있다는 것은 네 점이 뫼비우스 변환 아래에서 네 실수의 이미지라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교차비는 실수이다.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델과 푸앵카레 원반 모델은 복소 사영 직선에서의 쌍곡 기하학의 두 가지 모델이다.

이러한 모델들은 케일리-클라인 메트릭의 예시이다.

8. 응용

쌍곡기하학의 벨트라미-클라인 모형에서, 두 점 사이의 쌍곡 거리는 이 두 점 사이의 (유클리드) 비조화비에 의해 주어진다.

복소 평면에서, 세 개의 점 e_1,e_2,e_3\in\mathbb C을 잡으면, 바이어슈트라스 타원함수 \wp(-;\omega_1,\omega_2)\colon\mathbb C/\langle\omega_1,\omega_2\rangle\to\mathbb C\{e_1,e_2,e_3,\widehat\infty\}를 분지점으로 하는, 복소 평면에서 타원 곡선 \mathbb C/\langle\omega_1,\omega_2\rangle으로 가는 2겹 분지 피복을 정의한다. 이 경우, 분지점들의 비조화비는 모듈러 람다 함수에 의해 주어지며, 그 값은 비조화군의 작용에 따라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원뿔 곡선을 단위 원이라고 하자. 단위 원 내부의 임의의 두 점 와 에 대해, 이들을 연결하는 선이 원과 두 점, 와 에서 만나고, 점들이 순서대로 라고 하자. 그러면 쌍곡 기하학의 케일리-클라인 모델에서 와 사이의 쌍곡 거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d_h(P,Q)=\frac{1}{2} \left| \log \frac

\right|

(계수 1/2는 가우스 곡률을 로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교차비는 투영 변환에 불변하므로, 쌍곡 거리는 원뿔 를 보존하는 투영 변환에 불변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반대로, 그룹 는 고정된 쌍곡 거리에 있는 단위 원판 내의 점 쌍 의 집합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나중에, 특히 앙리 푸앵카레의 영향으로, 원 위의 네 복소수의 교차비가 쌍곡 메트릭에 사용되었다. 원 위에 있다는 것은 네 점이 뫼비우스 변환 아래에서 네 실수의 이미지라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교차비는 실수이다. 푸앵카레 상반평면 모델과 푸앵카레 원반 모델은 복소 투영 직선에서 쌍곡 기하학의 두 가지 모델이다.

이러한 모델들은 케일리-클라인 메트릭의 예시이다.

9. 추가 논의: 미분기하학적 관점

네 점이 매우 가까워질 때, 비조화비는 미분 기하학적 성질을 띠게 되며, 슈바르츠 미분과 사영 접속 이론으로 이어진다.

10. 일반화

고차원 공간에서 비조화비의 일반화는 점들의 배치 공간이 더 복잡해지고, 사영 불변량을 찾는 것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간단하지 않다. 사영 직선의 사영 선형군은 3-추이적이며, 단순 3-추이적이므로 교차비는 네 점 집합의 고유한 사영 불변량이다. 그러나 고차원에서는 기본적인 기하학적 불변량이 존재한다. -공간 \mathbf{P}^n=\mathbf{P}(K^{n+1})의 사영 선형군은 차원을 가지지만, 다른 차원에서 사영 선형군은 2-추이적일 뿐이므로, 점의 고유한 불변량을 제공하는 "일반화된 교차비"는 없다.

공선성 외에도 유지해야 하는 기하학적 속성이 있다. 예를 들어, 다섯 점은 원뿔 곡선을 결정하지만, 여섯 개의 일반적인 점은 원뿔 곡선 위에 있지 않으므로, 6-점 튜플이 원뿔 곡선 위에 있는지 여부도 사영 불변량이다. 일반적인 위치에 있는 점의 궤도를 연구할 수 있지만, 이는 더 복잡하고 정보가 적다.

아벨-야코비 사상과 세타 함수를 사용하여 양의 속을 갖는 리만 곡면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참조

[1] 문서 A theorem on the anharmonic ratio of lines appeared in the work of Pappus, but Michel Chasles, who devoted considerable efforts to reconstructing lost works of Euclid, asserted that it had earlier appeared in his book Porisms
[2] 서적 Book 7 of the Collection Springer-Verlag 1986
[3] 서적 Géométrie de Position https://archive.org/[...] Crapelet 1803
[4] 서적 Aperçu historique sur l'origine et le développement des méthodes en géométrie https://archive.org/[...] Hayez 1837
[5] 서적 A Survey of Geometry Allyn and Bacon 1972
[6] 문서 Elements of Dynamic, books I,II,III http://ebooks.librar[...] MacMillan & Co 1878
[7] 서적 Linear Algebra and Geometry: A Second Course https://archive.org/[...] Courier Corporation 1969
[8] 서적 Elliptic Functions Springer-Verlag 1985
[9] 문서 A theorem on the anharmonic ratio of lines appeared in the work of Pappus, but Michel Chasles, who devoted considerable efforts to reconstructing lost works of Euclid, asserted that it had earlier appeared in his book Porisms
[10] 서적 Book 7 of the Collection シュプリンガー・サイエンス・アンド・ビジネス・メディア 1986
[11] 서적 A Survey of Geometry Allyn and Bacon 1972
[12] 문서 Elements of Dynamic, books I,II,III http://ebooks.librar[...] MacMillan & Co 1878
[13] 서적 Linear Algebra and Geometry: A Second Course https://archive.org/[...] 1969
[14] 서적 Elliptic Functions Springer-Verlag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