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는 1860년 시칠리아 팔레르모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법학자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팔레르모 대학교에서 법학을 가르쳤고, 1897년부터 1925년까지 이탈리아 하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자유주의 정치인으로서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1917년 카포레토 전투 이후 총리에 취임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재임했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탈리아 대표단을 이끌었지만, 영토 문제로 인해 회의에서 퇴장했고, 이후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다. 무솔리니 집권 초기에는 지지했으나, 마테오티 암살 사건 이후 결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계에 복귀하여 이탈리아 제헌의회 의장과 상원 의원을 역임했다. 그는 마피아 연루 의혹과 파리 강화 회의에서의 행보로 논란의 대상이 되었으며, 100권 이상의 법학 및 정치학 저서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헌법학자 - 줄리아노 아마토
    줄리아노 아마토는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두 차례 이탈리아 총리를 역임하며 경제 위기 극복과 유로 채택에 기여했고 유럽연합 헌법 초안 작성에도 참여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헌법재판소 부의장으로 재직 중이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정치인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정치인 - 우드로 윌슨
    우드로 윌슨은 진보적 국내 정책 추진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창설 주도 등으로 기억되지만 인종차별적 견해와 뇌졸중으로 인한 무능력 상태로 비판받는 제28대 미국 대통령이다.
  • 팔레르모 출신 - 란도 버잔카
    란도 부잔카는 "제임스 톤트" 시리즈와 이탈리아식 성 코미디 영화로 유명한 이탈리아 배우로, 1960년대부터 활동하며 33편 이상의 영화에 출연했고, 2007년 이탈리아 골든 글로브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팔레르모 출신 - 가에타노 모스카
    가에타노 모스카는 이탈리아의 정치학자로서, 모든 사회는 소수의 정치 계급에 의해 지배된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고전적 자유주의를 옹호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이름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출생일1860년 5월 19일
출생지팔레르모, 양시칠리아 왕국
사망일1952년 12월 1일
사망지로마, 이탈리아
국적이탈리아
직업법학자, 교사, 정치인
모교팔레르모 대학교
정치 경력
이탈리아 총리재임 시작: 1917년 10월 30일
재임 종료: 1919년 6월 23일
군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이전: 파올로 보셀리
다음: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
내무부 장관재임 시작: 1916년 6월 18일
재임 종료: 1919년 6월 23일
총리: 파올로 보셀리, 본인
이전: 안토니오 살란드라
다음: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
하원 의장재임 시작: 1919년 12월 1일
재임 종료: 1920년 6월 25일
군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이전: 주세페 마르코라
다음: 엔리코 데 니콜라
하원 의장재임 시작: 1944년 7월 15일
재임 종료: 1946년 7월 25일
군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움베르토 2세
이전: 디노 그란디
다음: 주세페 사라갓
상원 의원재임 시작: 1948년 5월 8일
재임 종료: 1952년 12월 1일
(직책)
제헌의회 의원재임 시작: 1946년 6월 25일
재임 종료: 1948년 1월 31일
선거구: 전국구
하원 의원재임 시작: 1897년 4월 5일
재임 종료: 1929년 1월 21일
선거구: 파르티니코
정당역사적 좌파 (1897–1913)
자유 연합 (1913–1919)
민주자유당 (1919–1926)
이탈리아 자유당 (1926–1952)

2. 초기 생애와 경력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는 1860년 시칠리아 팔레르모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지주였는데, 주세페 가리발디의 천 명 원정대를 두려워하여 아들의 출생 등록을 늦추었다.[7]

오를란도는 팔레르모 대학교에서 법학을 가르쳤으며 저명한 법률가로 인정받았다.[8] 1897년 그는 파르티니코 선거구에서 이탈리아 하원(Camera dei Deputati)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25년까지 끊임없이 재선되었다.[9] 그는 1892년부터 1921년까지 다섯 차례 이탈리아 총리를 지낸 조반니 조리티와 연합했다.[9]

''선거법 개혁'', 1883


오를란도는 정치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법학 교수로도 활동했으며, 법률 및 판례에 관한 100권이 넘는 저서를 남겼다.

3. 정치 경력

자유주의자인 오를란도는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다. 1903년에는 조반니 졸리티 총리 내각에서 교육부 장관을 지냈고, 1907년에는 사법부 장관에 임명되어 1909년까지 재직했다. 1914년 11월에는 안토니오 살란드라 정부에서 다시 사법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1916년 6월에는 파올로 보셀리 정부에서 내무부 장관으로 자리를 옮겼다.[8]

=== 총리 재임 (1917-1919)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는 1917년 10월, 카포레토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참패한 후 파올로 보셀리 내각이 붕괴되자 총리에 취임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재임했다.[8] 그는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강력히 지지했던 인물로, 애국적인 국민전선 정부인 성전연합(Unione Sacra)을 이끌고 군대를 재편성했다.[8]

오를란도는 총리 취임 직후 루이지 카도르나 장군을 해임하고 아르만도 디아즈 장군을 임명했으며,[10] 군사 문제에 대한 민간 통제를 재확립했다. 또한 군인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군 시스템을 구축하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하여 군의 사기를 높였다.[11] 이러한 노력으로 오를란도 정부는 국민적 지지를 얻었으며, 카포레토 참패 이후 국가 사기를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11]

1918년 11월, 이탈리아군은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격파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붕괴와 이탈리아 전선에서의 제1차 세계 대전 종식을 이끌었다.[7] 이 승리로 이탈리아는 전쟁에서 승전국이 되었고, 오를란도는 "승리의 총리"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7][27]

=== 파리 강화 회의 (1919) ===

1919년 5월 27일 파리 강화 회의에 참석한 "빅 4" 국가의 수장들. 왼쪽부터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조르주 클레망소, 그리고 우드로 윌슨.


오를란도는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탈리아 대표단의 수장으로 참석하여,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 영국 총리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와 함께 빅 4 중 한 명이었다.[14][30] 그러나 오를란도는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고 국내 정치적 입지가 약했기 때문에, 보수적인 외무장관 시드니 소니노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5]

오를란도와 소니노는 영토 문제에 대해 의견 차이를 보였다. 오를란도는 아드리아 해의 주요 항구인 리에카(이탈리아인들은 피우메라고 불렀다)를 합병하기 위해 달마티아에 대한 영토 요구를 포기할 의사가 있었지만, 소니노는 달마티아를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 결국 이탈리아는 두 지역 모두를 요구했지만, 우드로 윌슨의 민족 자결 정책에 따라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16] 오를란도는 회의에서 일본이 제안한 인종평등 제안을 지지했다.[16]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오를란도는 1919년 4월 24일 회의에서 극적으로 퇴장했다.[17] 그는 다음 달에 잠깐 돌아왔지만, 베르사유 조약 체결 직전인 1919년 6월 23일에 사임했다.[18] 그가 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사실은 훗날 그의 자랑거리가 되었다.[18]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는 그를 "울보"라고 불렀고, 오를란도 자신은 "내가 ... 우리가 받을 자격이 있는 것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 나는 바닥에서 몸부림쳤다. 나는 머리를 벽에 부딪쳤다. 나는 울었다. 나는 죽고 싶었다."라고 회상했다.[7][27]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탈리아의 이익을 확보하지 못한 오를란도의 실패는 그의 정치적 입지를 심각하게 약화시켰다. 피우메 획득 실패는 가브리엘레 단눈치오에게 "불명예스러운 승리"로 비판받았고, 이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득세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오를란도는 1919년 12월 이탈리아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지만, 다시는 총리가 되지 못했다.

3. 1. 총리 재임 (1917-1919)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는 1917년 10월, 카포레토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참패한 후 파올로 보젤리(Paolo Boselli) 내각이 붕괴되자 총리에 취임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재임했다.[8] 그는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강력히 지지했던 인물로, 애국적인 국민전선 정부인 성전연합(Unione Sacra)을 이끌고 군대를 재편성했다.[8]

오를란도는 총리 취임 직후 루이지 카도르나(Luigi Cadorna) 장군을 해임하고 아르만도 디아즈(Armando Diaz) 장군을 임명했으며,[10] 군사 문제에 대한 민간 통제를 재확립했다. 또한 군인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군 시스템을 구축하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하여 군의 사기를 높였다.[11] 이러한 노력으로 오를란도 정부는 국민적 지지를 얻었으며, 카포레토 참패 이후 국가 사기를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11]

1918년 11월, 이탈리아군은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Battle of Vittorio Veneto)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격파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군(Austro-Hungarian Army)의 붕괴와 이탈리아 전선에서의 제1차 세계 대전 종식을 이끌었다.[7] 이 승리로 이탈리아는 전쟁에서 승전국이 되었고, 오를란도는 "승리의 총리"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7][27]

3. 2. 파리 강화 회의 (1919)



오를란도는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탈리아 대표단의 수장으로 참석하여,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 영국 총리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와 함께 빅 4 중 한 명이었다.[14][30] 그러나 오를란도는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고 국내 정치적 입지가 약했기 때문에, 보수적인 외무장관 시드니 소니노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5]

오를란도와 소니노는 영토 문제에 대해 의견 차이를 보였다. 오를란도는 아드리아 해의 주요 항구인 리에카(이탈리아인들은 피우메라고 불렀다)를 합병하기 위해 달마티아에 대한 영토 요구를 포기할 의사가 있었지만, 소니노는 달마티아를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 결국 이탈리아는 두 지역 모두를 요구했지만, 우드로 윌슨의 민족 자결 정책에 따라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16] 오를란도는 회의에서 일본이 제안한 인종평등 제안을 지지했다.[16]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오를란도는 1919년 4월 24일 회의에서 극적으로 퇴장했다.[17] 그는 다음 달에 잠깐 돌아왔지만, 베르사유 조약 체결 직전인 1919년 6월 23일에 사임했다.[18] 그가 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사실은 훗날 그의 자랑거리가 되었다.[18]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는 그를 "울보"라고 불렀고, 오를란도 자신은 "내가 ... 우리가 받을 자격이 있는 것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 나는 바닥에서 몸부림쳤다. 나는 머리를 벽에 부딪쳤다. 나는 울었다. 나는 죽고 싶었다."라고 회상했다.[7][27]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탈리아의 이익을 확보하지 못한 오를란도의 실패는 그의 정치적 입지를 심각하게 약화시켰다. 피우메 획득 실패는 가브리엘레 단눈치오에게 "불명예스러운 승리"로 비판받았고, 이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득세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오를란도는 1919년 12월 이탈리아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지만, 다시는 총리가 되지 못했다.

4. 파시즘 시대

1922년 무솔리니가 권력을 장악했을 때, 오를란도는 처음에는 전략적으로 그를 지지했다.[19] 시칠리아 선거에서 파시스트의 지원을 받았다.[31][32] 그러나 1924년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과 파시스트의 마피아 탄압을 계기로 이탈하여,[31][32] 1925년 마피아와의 연루에 대한 비판 여파로 낙선하였고, 하원 의원직을 사퇴했다.[19]

1935년 무솔리니가 에티오피아를 침공했을 때, 국수주의자였던 오를란도는 이를 지지했고, 무솔리니에게 보낸 친서(親書)는 선전으로 활용되었다.[27][33]

1943년 7월, 오를란도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으로부터 비밀리에 상담을 받았고, 이듬해 8월 국왕과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발표한 신정부 선언문 초안을 작성하였다.[34]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권력을 장악했을 때, 오를란도는 처음에는 전략적으로 그를 지지했지만, 1924년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으로 인해 그와 결별했다. 그 후 정계를 떠나 1925년 하원 의원직을 사퇴했다.[19] 1935년 무솔리니가 에티오피아에 진군하자 민족주의가 다시 불붙어 무솔리니에게 지지 서한을 쓰기도 했다.[7]

1944년 정치적 복귀를 시도하여 민주국민연합의 지도자가 되었다. 무솔리니의 몰락과 함께,오를란도는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9월 25일까지 하원 의장을 역임했다. 1946년에는 이탈리아 제헌의회(Constituent Assembly of Italy)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임시 의장이 되어 왕정 폐지와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에 일정한 역할을 수행했다.[35] 1948년 이탈리아 상원 종신 의원으로 지명되었다. 같은 해 공화국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지만 루이지 에이나우디에게 패했다. 1952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6. 논란

오를란도는 논란의 인물이었다. 일부 저술가들은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그가 이탈리아를 대표한 방식을 비판하며, 그의 외무장관 시드니 소니노와 대조적이라고 평가한다.[20] 다른 저술가들은 오를란도가 마피아와 연루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20] 어떤 법원도 이 문제를 조사한 적은 없다. 마피아 펜티토이자 국가 증인인 토마소 부셰타는 오를란도가 마피아의 일원이자 "명예로운 사람"이라고 주장했다.[21] 파르티니코에서 그는 미국에서 이탈리아로 추방된 마피아 보스 프랭크 코폴라의 지원을 받았다.[22] 1925년 오를란도는 이탈리아 상원에서 자신이 "마피오소"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그것을 "명예로운 사람"을 의미한다고 주장했지만 조직 범죄와의 연관성을 인정하지는 않았다.[23][24]

그는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와 강한 경쟁 관계를 유지했다.[25] 프랑스 총리 조르주 클레망소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파리 강화 회의에서 그의 행동을 비판했다.[26] 오를란도는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던 초기부터 마피아와의 연관성이 있었다.[36] 토마소 부셰타는 오를란도가 마피아 구성원이었으며 “명예 회원”이었다고 증언했다.[37] 팔레르모에서는 미국에서 이탈리아로 돌아온 마피아 보스 프란체스코 코폴라의 지원을 받았다.[38] 1925년, 오를란도는 이탈리아 상원에서 자신이 마피아 구성원임을 자랑하는 듯한 연설을 했다.[39][40] 또한, 오를란도는 비밀결사 프리메이슨 회원이었다.[41]

7. 저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는 법학 및 정치학 분야에서 100권 이상의 저서를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선거 개혁'' (Della riforma elettorale, 1881), ''이탈리아의 장인 조합'' (Le fratellanze artigiane in Italia, 1884), ''개인적 및 집단적 정치 저항에 관하여'' (Della resistenza politica individuale e collettiva, 1885), ''헌법학 원리'' (Principi di diritto costituzionale, 1889), ''행정법 원리'' (Principi di diritto amministrativo, 1890), ''자유 보장의 법적 이론'' (Teoria giuridica delle guarentigie della libertà, 1890) 등이 있다.

1900년부터 1935년까지는 ''이탈리아 행정법 완전 교재''(Trattato completo di diritto amministrativo)를 총 10권에 걸쳐 출간했다. 1901년에는 ''행정 사법''(La giustizia amministrativa)을 출간했고, 1907년에는 ''이탈리아의 의회 제도''(Le régime parlamentaire en Italie)를 프랑스 파리에서 출간했다.

1911년 ''국가와 현실''(Lo Stato e la realtà), 1919년 ''전쟁을 위한 연설''(Discorsi per la guerra), 1923년 ''크리스피''(Crispi)와 ''전쟁과 평화를 위한 연설''(Discorsi per la guerra e per la pace)을 출간했다. 1924년 ''일반 공법 및 실정 공법''(Diritto pubblico generale e diritto pubblico positivo), 1926년 ''법과 국가의 관계에 대한 최근 동향''(Recenti indirizzi circa i rapporti fra diritto e Stato), 1928년 ''미켈레 아마리의 역사적 업적''(L'opera storica di Michele Amari)을 저술했다.

1929년 ''교황청과 나의 정부 관계에 대한 일부 보고''(Su alcuni miei rapporti di governo con la Santa Sede), 1933년 ''국회의원 면책과 최고 기관''(Immunità parlamentari e organi sovrani), 1940년 ''일반 공법''(Diritto pubblico generale)과 ''공법 및 정치학 관련 다양한 저술''(Scritti vari di diritto pubblico e scienza politica)을 출간했다. 2002년에는 ''국회 연설''(Discorsi parlamentari)이 볼로냐에서 출간되었다.

참조

[1] 문서 Constituent Assembly of Italy
[2] 웹사이트 Vittorio Emanuele Orlando, Incarichi di governo http://storia.camera[...] 2016-05-08
[3] 웹사이트 Il 1861 e le quattro Guerre per l'Indipendenza (1848-1918) http://www.piacenzap[...] 2021-03-12
[4] 웹사이트 La Grande Guerra nei manifesti italiani dell'epoca http://www.benicultu[...] 2021-03-12
[5] 서적 Il Manuale di Storia in Italia https://books.google[...] FrancoAngeli 2009-06-11
[6] 웹사이트 Vittorio Emanuele Orlando, Organi parlamentari http://storia.camera[...] 2016-05-08
[7] 뉴스 Last of the Big Four http://content.time.[...] Time 1952-12-08
[8]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War I
[9] 서적 Mafioso
[10]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History of World War I New York
[11] 서적 Italy in the Era of the Great War Brill 2018-04
[12] 서적 Italy in the Era of the Great War
[13] 서적 Italy in the Era of the Great War
[14] 서적 Paris 1919
[15] 서적 Paris 1919
[16] 서적 Power And Prejudice
[17] 뉴스 Signor Orlando Returns to Rome The Financial Times 1919-04-25
[18] 서적 Paris 1919
[19] 뉴스 Orlando Out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25-08-17
[20] 서적 Mafia Business
[21] 서적 Cosa Nostra
[22] 서적 Mafioso
[23] 서적 Mafia Business
[24] 서적 Cosa Nostra
[25] 서적 Visti da vicino
[26] 서적 La Patria, bene o male https://books.google[...]
[27] 뉴스 Last of the Big Four http://www.time.com/[...] Time 1952-12-08
[28] 서적 Mafioso
[29] 간행물 National Archives CAB 23-4
[30] 웹사이트 Leaders of the Big Four nations meet for the first time in Paris http://www.history.c[...] 2020-08-25
[31] 서적 Il Prefetto di ferro Mondadori 1975
[32] 뉴스 Orlando Out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25-08-17
[33] 서적 L'archivio segreto di Mussolini UTET 2019-06-11
[34] 웹사이트 Badoglio: "Sparare a vista contro i dimostranti" https://www.combatte[...] Associazione nazionale combattenti forze armate regolari guerra di Liberazione 2020-08-25
[35] 뉴스 Republican Italy The Economist 1946-07-06
[36] 서적 Mafia Business
[37] 서적 Cosa Nostra
[38] 서적 Mafioso
[39] 서적 Mafia Business
[40] 서적 Cosa Nostra
[41] 서적 Mille volti di massoni Ed. Erasmo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