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움베르토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움베르토 2세는 사보이아 왕가의 마지막 이탈리아 국왕으로, 1904년 출생하여 1983년 사망했다. 그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아들로 태어나 왕세자였으며, 1946년 아버지의 퇴위로 왕위에 올랐지만, 같은 해 국민투표로 왕정이 폐지되면서 짧은 기간 재위했다. 이후 망명 생활을 하다 스위스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삶은 20세기 이탈리아의 격동기를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계 이탈리아인 - 조반나 디 사보이아
    이탈리아 공주이자 불가리아 왕비였던 조반나 디 사보이아는 이탈리아 국왕의 딸로 태어나 불가리아 왕과 결혼 후 왕비로 재임하며 자선 활동과 유대인 난민 지원에 헌신했다.
  • 몬테네그로계 이탈리아인 - 밀레나 부코티츠
    밀레나 부코티츠는 이탈리아의 배우로, 《판토치》 시리즈에서 피나 판토치 역을, 《운 메디코 인 파밀리아》에서 엔리카 할머니 역을 맡았으며, 《판토치 인 파라디소》로 나스트로 디아르젠토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세르비아계 이탈리아인 - 굴리엘모 9세 델 몬페라토 변경백
    굴리엘모 9세 델 몬페라토 변경백은 1494년에 몬페라토 변경백이 되어 프랑스와 동맹을 강화하고 이탈리아 전쟁에 참여했으며, 프랑스 왕실과의 혼인, 이탈리아 전쟁에서의 프랑스 편 가담, 인치사 후작령 합병 시도 등을 통해 몬페라토의 지위를 강화하려 했고, 프란체스코 4세 곤차가지 등을 자녀로 두었으며 1518년 사망 후 보니파초 4세가 후작위를 계승했다.
  • 세르비아계 이탈리아인 - 이반 라시모프
    1937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964년 배우 스튜디오를 졸업한 이반 라시모프는 스릴러, 호러, 서부극 등 다양한 장르에서 악역을 주로 맡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탈리아 영화 황금기에 활동한 이탈리아 배우이다.
  • 이탈리아 국왕 (1861년~1946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사보이아 왕가 출신으로, 카부르 백작과 협력하여 리소르지멘토를 이끌고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이탈리아 국왕 (1861년~1946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탈리아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파시즘의 부상을 허용하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1946년 퇴위 후 망명했고, 약 10만 점의 화폐를 수집한 수집가이기도 하다.
움베르토 2세
기본 정보
이름움베르토 2세
로마자 표기Umberto II
다른 이름이탈리아어: Umberto Nicola Tommaso Giovanni Maria di Savoia
이탈리아어: Re di Maggio
영어: Humbert II
출생일1904년 9월 15일
출생지이탈리아 왕국 피에몬테주 라코니지
사망일1983년 3월 18일
사망지스위스 제네바
매장지프랑스 오트콩브 수도원
종교가톨릭교회
움베르토, 당시 피에몬테 공자 (1944년)
움베르토 2세 (1944년 5월 촬영)
움베르토 2세 서명
통치
이탈리아 왕 즉위1946년 5월 9일
이탈리아 왕 퇴위1946년 6월 12일
계승이탈리아 왕
전임자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후임자군주제 폐지; 엔리코 데 니콜라가 이탈리아 대통령으로 취임
섭정알치데 데 가스페리
사보이 가문 수장 즉위1946년 5월 9일
사보이 가문 수장 퇴위1983년 3월 18일
사보이 가문 수장 계승자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왕자
또는
아메데오 왕자
가족 관계
배우자마리아 호세 (1930년 결혼)
자녀마리아 피아 공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왕자
마리아 가브리엘라 공주
마리아 베아트리체 공주
아버지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어머니몬테네그로의 엘레나
기타 정보
왕가사보이 가문
왕조사보이 왕조
왕실가왕실 행진곡

2. 생애

1904년 9월 15일 사보이아 왕가의 라코니지 별궁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엘레나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99] 이탈리아 왕위 계승은 남성 후손에게만 제한되었기에, 움베르토는 출생부터 왕세자였다. 1946년 5월 9일 부왕의 퇴위로 국왕에 즉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움베르토 피에몬테 공 사진


어린 시절 움베르토는 권위적이고 군국주의적인 가정에서 자랐다. 그는 아버지에게 극도로 공손해야 했으며, 성장 후에도 아버지에게 말하기 전에 항상 무릎을 꿇고 손에 입을 맞춰야 했다.[3] 아버지가 방에 들어올 때마다 경례하는 것은 필수였다.[3] 사보이아 왕가의 왕자로서 정식 군사 교육을 받았지만,[4] 이전의 다른 왕자들처럼 정치 교육은 거의 받지 못했다. 사보이아 왕가에서는 왕위를 계승하면서 정치 기술을 배울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기 때문이다.[5]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결정 과정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삼국 동맹 조약을 파기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하려 했으나, 이탈리아 의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국왕은 움베르토 대신 아오스타 공작에게 왕위를 넘기는 방안까지 고려하며 퇴위 문제를 논의하기도 했다.[1]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더 1세의 사촌이었던 움베르토는 1959년 인터뷰에서 1922년 아버지가 베니토 무솔리니를 수상으로 임명한 것에 대해 "정당화될 수 있는 위험"이었다고 평가했다.[6]

군사 경력을 쌓기 위해 교육받은 움베르토는 북부군과 남부군 사령관을 역임했지만, 이는 명목상의 직책이었고 실제 지휘권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에게 있었다. 국왕은 최고 사령관의 권한을 무솔리니로부터 철저히 지켰다. 움베르토와 무솔리니는 상호 합의 하에 항상 거리를 유지했다.[8]

1924년 7월부터 9월까지 움베르토는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칠레를 방문했다. 이는 파시스트 정권의 정치적 계획으로, 해외 이탈리아인들을 본국과 정권에 연결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7] 브라질에서는 반란으로 인해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주 방문이 취소되고, 바이아주의 주도인 살바도르를 방문한 후 다른 남아메리카 국가들로 이동했다.[7]

1929년 10월 24일 브뤼셀에서 움베르토 암살 미수 사건이 있었다. 움베르토가 콩그레스 기둥의 벨기에 무명용사 묘소에 화환을 바치려 할 때, 페르난도 데 로사가 "무솔리니를 타도하라!"고 외치며 총을 쐈지만 빗나갔다. 체포된 데 로사는 제2 인터내셔널 회원이며 정치적 견해 때문에 이탈리아를 탈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살인 미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5년 형을 선고받았다. 1932년 3월 움베르토는 데 로사의 사면을 요청했고, 데 로사는 형기의 절반을 조금 못 채우고 석방된 후 스페인 내전에서 사망했다.

1924년 칠레 방문 중인 움베르토 왕자


1930년 1월 30일, 벨기에 공주 마리아 조세와 결혼했다. 그러나 부부 관계는 원만하지 않았으며, 1남 3녀를 두었지만 육아 외의 사적인 관계는 냉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마리아 조세가 파시즘을 싫어해 정치적 의견 충돌이 잦았던 점과 움베르토의 양성애자(바이섹슈얼) 성향이 원인이었다.[7]

1930년 5월, 밀라노에서 열린 벨기에 공주 마리아 조세와의 결혼식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이 결정되자, 움베르토는 군 고위 장교로 복무했다. 한편, 마리아 조세는 벨기에를 침공한 나치 독일을 용서할 수 없어 영국연합국과 비밀리에 접촉을 유지했다. 전쟁 후반 추축국의 전황이 악화된 후에도 움베르토는 마리아 조세의 행동을 묵인했고, 파시스트 평의회로부터 원수 지위를 받았다.

1944년, 자유 이탈리아군 참모들과 전선을 시찰하는 움베르토 왕세자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수립하고 이탈리아 왕국이 남부로 밀려나 내전 상태에 빠지자, 움베르토는 섭정으로서 연합국과의 협상과 자유 이탈리아군 조직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은 전후 반파시스트 세력과 연합국으로부터 사보이아 왕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8]

2. 1. 초기 생애



1908년 왕족


움베르토는 1904년 9월 15일 사보이아 왕가의 라코니지 성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과 엘레나 왕비 사이에서 셋째이자 외아들로 태어났다.[99] 이탈리아 왕위 계승은 남성 후손에게만 제한되었기에, 출생부터 왕세자였다. 1904년 9월 29일 왕실 포고령에 따라 피에몬테 공 작위를 받았다.

움베르토는 권위적이고 군국주의적인 가정에서 자랐다. 그는 아버지에게 "과장된 공손함"을 보여야 했으며, 성인이 된 후에도 항상 무릎을 꿇고 아버지의 손에 입을 맞춰야만 말할 수 있었고,[3] 아버지가 방에 들어올 때마다 경례 자세를 취해야 했다.[3] 움베르토는 정식 군사 교육을 받았으나,[4] 이전의 다른 사보이아 왕자들처럼 정치에 대한 교육은 매우 부족했다. 사보이아 군주들은 왕위를 계승할 때 정치의 기술을 배우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관습적으로 상속자의 교육에서 정치를 배제했다.[5]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더 1세의 사촌이었던 움베르토는 1959년 이탈리아 신문 ''La Settimana Incom Illustrata''와의 인터뷰에서 1922년 아버지가 베니토 무솔리니를 수상으로 임명한 것을 "정당화될 수 있는 위험"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6]

움베르토는 욜란다 마르게리타, 마팔다, 조반나, 마리아 프란체스카와 같이 네 명의 누이동생을 두었다. 그는 사보이아 가문에서는 드물게 슬라브계 혈통을 이어받았으며,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카라조르제비치 가문과도 친척 관계였다.

대규모 총파업이 벌어지는 와중에 태어난 움베르토 왕자의 왕세자 인정은 조반니 조릿티 정권 하의 의회에서 서둘러 진행되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아들에게 로마 왕 칭호를 주기를 원했으나, 교회의 반발을 우려한 주변의 설득으로 피에몬테 공으로 책봉했다. 어머니 엘레나는 아버지와의 결혼으로 동방 정교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 가톨릭식 세례식에서도 교회와의 갈등이 남아 있었지만, 각국 왕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에마누엘레 3세에게 안긴 움베르토 2세는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를 대부로 세례를 받았다.

2. 2. 피에몬테 공 시대

움베르토는 군사 경력을 쌓기 위해 교육받았으며, 북부군과 남부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러나 이 직책은 명목상이었고, 실제 지휘권은 아버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에게 있었다. 국왕은 최고 사령관의 권한을 무솔리니로부터 엄격하게 지켰다. 움베르토와 무솔리니는 상호 합의에 따라 항상 거리를 유지했다.[8]

1924년 7월부터 9월까지 움베르토는 교사 보날디와 함께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칠레를 방문했다. 이 여행은 파시스트 정권의 정치적 계획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이탈리아인들을 모국과 정권의 이익에 연결시키려는 목적이었다.[7] 브라질에서는 대규모 반란으로 인해 원래 예정되었던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주 방문이 취소되고, 바이아주의 주도인 살바도르에 들른 후 다른 남아메리카 국가들로 향했다.[7]

1929년 10월 24일, 브뤼셀에서 움베르토의 암살 시도가 있었다. 움베르토가 콩그레스 기둥 기슭에 있는 벨기에 무명용사 묘소에 화환을 바치려고 할 때, 페르난도 데 로사가 "무솔리니를 타도하라!"고 외치며 총을 쏘았지만 빗나갔다. 데 로사는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고, 제2 인터내셔널 회원이며 정치적 견해 때문에 이탈리아를 탈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살인 미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5년 형을 선고받았다. 1932년 3월, 움베르토는 데 로사의 사면을 요청했고, 데 로사는 형기의 절반을 조금 못 채우고 석방되었다. 그는 스페인 내전에서 사망했다.

어린 시절부터 움베르토는 아버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기대 속에 엄격한 교육을 받았다. 그는 군인의 길을 걷기 위한 교육을 받았고, 사촌인 아메데오와 함께 인기 있는 왕족으로 성장했다. 무솔리니가 독재 정권을 수립하자, 파시스트들은 왕실과의 친분을 강조하며 움베르토 2세와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했다.

1924년 9월, 움베르토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를 방문하여 정부 요인들과 회담하고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의 모임에 참석했다. 이는 파시스트 정권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던 남미 정권과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브라질에서는 제투리우 바르가스 대통령과 회담했다. 당시 정세 불안으로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수도를 옮긴 임시 수도 살바도르에서 환영식이 열렸고, 움베르토는 20세 생일을 맞이했다. 각지의 이탈리아계 이민자 행사에는 피에트로 바돌리오 장군과 바르가스 정권 외무장관 등이 수행했다.

귀국 후, 움베르토는 육군 중장으로 추천되어 남부 방면군 총사령관에 취임했지만, 이는 사보이아 가문의 관례에 따른 형식적인 것이었으며(Luogotenente), 실제 지휘권은 보좌역 장군들과 파시스트 정권에 위임되었다.

움베르토는 파시스트 정권과 무솔리니를 신뢰하고 협력했다. 이 때문에 반파시즘 세력으로부터 강하게 적대시되었고, 1929년 10월 24일 브뤼셀에서 암살 미수 사건을 당했다. 벨기에 공주 마리아 조세와의 약혼 발표 날, 움베르토는 제1차 세계 대전 전사 벨기에 병사 기념비에 헌화하던 중 총격을 받았다. 암살범은 제2 인터내셔널의 구성원 페르난도 데로자였으며, 총알은 빗나갔다.

그러나 움베르토의 독자적인 정치 행동은 아버지와 무솔리니 모두 원하지 않았다. 움베르토가 신혼여행으로 독일을 방문하여 아돌프 히틀러와 회담한 것은 이탈리아 국내에서 문제가 되었고, 파시스트 정권은 움베르토의 독단적인 정치 행동을 감시하기 시작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1930년 1월 30일, 벨기에 공주 마리아 조세와 결혼했다. 그러나 움베르토 부부의 관계는 좋지 않았고, 1남 3녀를 두었지만 육아를 제외한 사생활에서는 냉랭했다고 알려져 있다. 마리아 조세가 파시즘을 싫어했고 정치적 의견 충돌이 많았던 것과, 움베르토에게 양성애자(바이섹슈얼)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7]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이 결정되자, 움베르토는 군 고위 장교로 근무했다. 한편, 마리아 조세는 벨기에를 침공한 나치 독일을 용서할 수 없어 영국연합국과 비밀리에 교섭을 계속했다. 전쟁 후반기에 추축국의 상황이 나빠진 후에도 움베르토는 마리아 조세의 행동을 묵인하고, 파시스트 평의회로부터 원수 지위를 받았다.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수립하고 이탈리아 왕국이 남부로 밀려나 내전 상태에 빠지자, 움베르토는 섭정으로서 연합국과의 협상과 자유 이탈리아군 조직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은 전후 반파시스트 세력과 연합국으로부터 사보이아 왕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8]

3. 이탈리아 국왕

1946년 5월 9일, 움베르토는 이탈리아의 4대 국왕 '''움베르토 2세'''로서 퀴리날레 궁전에서 즉위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스트 정권 청산 과정에서 왕가의 파시스트 협력이 비판받는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좌파 세력으로부터 왕정 폐지 주장이 제기되었다.

국민투표를 앞둔 상황에서 즉위는 대세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게다가 좌파 세력은 왕가에 대해 다양한 네거티브 캠페인을 벌였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움베르토의 양성애 문제에 대한 지적이었고, 파시스트 협력 또한 그러한 의혹을 억누르기 위해서였다는 주장도 있었다. 왕비가 된 마리 조세와의 불화 또한 이러한 소문에 영향을 주었지만, 실제로 움베르토의 양성애를 입증할 증거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개표 결과는 폐지 54%, 존속 46%의 근소한 차이로 왕정 폐지와 공화제 이행이 결정되었다. 움베르토 2세는 이탈리아를 입헌 군주제 국가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국민투표에서 46%의 지지밖에 얻지 못하여 이탈리아에는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4. 망명 생활

1946년 6월 14일 이탈리아를 떠나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권하의 포르투갈에서 37년간 망명 생활을 했다.[9] 망명 중 마리아 조세와 별거했으나, 가톨릭 신자였기에 이혼하지는 않았다. 망명 생활 동안 "유럽의 할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었다.

아오스타 공 아메데오의 결혼식에서 (1964년)

5. 죽음

오트콩브 수도원에 있는 움베르토 2세의 묘


움베르토 2세는 1983년 3월 1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사망했다. 알레산드로 페르티니 대통령은 움베르토 2세를 이탈리아 국내에 매장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결국 그의 유언에 따라 사보이아 가문의 발상지인 오트콩브 수도원에 안장되었다.[3] 이탈리아 정부는 장례식에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았고, 공영 방송도 장례식 모습을 중계하지 않았다.

6. 평가

움베르토 2세는 이탈리아를 입헌 군주제 국가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국민투표에서 46%의 지지밖에 얻지 못해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그는 1946년 6월 14일 이탈리아를 떠났고, 같은 해 제정된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은 사보이아 왕가 출신 남자들의 이탈리아 입국을 금지했다. 이 때문에 그는 죽을 때까지 이탈리아에 돌아가지 못하고 스위스 제네바에서 사망했다.[9]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움베르토 2세는 비극적인 국왕으로 기억되는 경우가 많다. 페루초 파리(Ferruccio Parri)는 "움베르토 2세는 사보이아 가문에서 훌륭한 국왕이 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28]

7. 가족 관계

움베르토 2세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이탈리아 왕국 국왕
엘레나몬테네그로 왕국 공주
누이욜란다 마르게리타베르골로 백작 부인
누이마팔다헤센-카셀 방백 부인
여동생조반나불가리아 왕비
여동생마리아 프란체스카파르마 공작 부인
배우자마리아 이오세벨기에 공주
장녀마리아 피아
장남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차녀마리아 가브리엘라
삼녀마리아 베아트리체


7. 1. 부모와 형제자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엘레나 사이에서 1남 4녀 중 셋째이자 외아들로 태어났다.

형제자매는 다음과 같다.

  • 욜란다 마르게리타 (베르골로 백작 부인)
  • 마팔다 (헤센-카셀 방백 부인)
  • 조반나 (불가리아 왕비)
  • 마리아 프란체스카 (파르마 공작 부인)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더 1세의 사촌이었다.

7. 2. 배우자와 자녀

벨기에의 공주 마리아 이오세와 결혼하여 1남 3녀를 두었다.

움베르토 2세의 자녀
이름출생사망기타
마리아 피아1934년유고슬라비아의 알렉산다르 왕자와 결혼, 슬하 2남 2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1937년나폴리 공작, 이탈리아 왕국 왕세자
마리아 가브리엘라1940년로베르트 젤레르닉과 결혼, 슬하 1녀
마리아 베아트리체1943년루이스 라파엘 레이나 코르발란 이 딜론과 결혼, 슬하 1남 2녀

[28][29][30][31][32]

8. 가계



움베르토 2세는 1904년 9월 15일 사보이아 가문의 별궁 라코니지 성에서 이탈리아 왕국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몬테네그로 왕국 공녀 엘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몬테네그로의 엘레나의 외아들이자 세 번째 자녀였다. 이탈리아 왕위 계승은 남성 후손에게만 제한되었기 때문에, 움베르토 2세는 출생부터 왕세자였으며 1904년 9월 29일 왕실 포고령에 따라 피에몬테 공 작위를 받았다.[99]

베르골로 백작 부인 욜란다 마르게리타, 헤센-카셀 방백 부인 마팔다, 불가리아 왕비 조반나, 파르마 공작 부인 마리아 프란체스카 등 네 명의 누이동생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더 1세의 사촌이며, 슬라브계 혈통을 이어받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카라조르제비치 가문과도 친척 관계였다.

대규모 총파업 속에서 왕자의 왕세자 인정은 조반니 조릿티 정권 하의 의회에서 서둘러 진행되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아들에게 로마 왕 칭호를 주려 했으나, 교회의 반발을 우려하여 피에몬테 공으로 책봉했다. 어머니 엘레나는 아버지와의 결혼으로 동방 정교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가톨릭 세례식에서도 교회와의 갈등이 있었지만, 각국 왕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움베르토 2세는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를 대부로 세례를 받았다.

8. 1. 조상

움베르토 2세의 조상 (5대)
부계
모계

[127]

8. 2. 부계 혈통

1. 움베르토 2세
2.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3. 몬테네그로 공주 엘레나
4. 움베르토 1세
5. 사보이아 공주 마르게리타
6. 니콜라 1세
7. 밀레나 부코티치
8.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9. 오스트리아 대공녀 아델라이데
10. 제노바 공작 페르디난도 왕자
11. 작센 공주 엘리자베트
12. 미르코 페트로비치네고시, 그라호보의 대보이보드
13. 아나스타시야 마르티노비치
14. 보이보드 페타르 부코티치
15. 옐레나 보이보디치


  • 움베르토 1세 (980–1047)
  • 오토 (1015–1057)
  • 아마데오 2세 (1039–1080)
  • 움베르토 2세 (1070–1103)
  • 아마데오 3세 (1095–1148)
  • 움베르토 3세 (1135–1189)
  • 토마스 1세 (1176–1233)
  • 토마스 2세 (1199–1259)
  • 아마데오 5세 (1251–1323)
  • 아이모네 (1291–1343)
  • 아마데오 6세 (1334–1383)
  • 아마데오 7세 (1360–1391)
  • 아마데오 8세 (사보이아 공작) (1383–1451)
  • 루이 (1402–1465)
  • 필리포 2세 (1438–1497)
  • 카를로 3세 (1486–1553)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1528–1580)
  •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1562–1630)
  • 토마스 프란체스코 (1596–1656)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1628–1709)
  • 빅토르 아마데오 1세 (1690–1741)
  • 루이 빅토르 (1721–1778)
  • 빅토르 아마데오 2세 (1743–1780)
  • 카를로 에마누엘레 (1770–1800)
  • 카를로 알베르토 (1798–1849)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1820–1878)
  • 움베르토 1세 (1844–1900)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869–1947)
  • 움베르토 2세 (1904–1983)[127]

9. 칭호

움베르토 2세는 생전에 여러 칭호와 훈장을 받았다. 그의 이름을 딴 여객 및 화물선 SS 프린치페 움베르토가 1908년에 건조되었으나, 1916년에 침몰했다.

9. 1. 작위와 칭호


  • 1904년 9월 15일 – 1904년 9월 29일: 사보이아 왕자 전하(His Royal Highness Prince Umberto of Savoy)
  • 1904년 9월 29일 – 1946년 5월 9일: 피에몬테 왕자 전하(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of Piedmont)
  • 1946년 5월 9일 – 1946년 6월 12일: 이탈리아 국왕 폐하(His Majesty The King of Italy)
  • 1946년 6월 12일 – 1983년 3월 18일: 이탈리아 국왕 움베르토 2세 폐하(His Majesty King Umberto II of Italy)


움베르토는 출생 시 전통적인 피에몬테 왕자 칭호를 받았다. 이는 1904년 9월 29일 왕실령으로 공식화되었다.[99]

9. 2. 훈장

Royal Order of the Seraphim|세라핌 훈장영어으로서의 문장[123]은 다음과 같다.

200px


움베르토 2세가 받은 훈장은 다음과 같다.

국내 훈장
-- 사보이아 왕가
-- 몰타 기사단
-- 시칠리아 왕가
border
토스카나 대공가



국외 훈장
-- 벨기에레오폴드 훈장 대십자훈장[103][111]
-- 불가리아 왕국키릴과 메토디우스 성인 훈장 수훈자[112]
알렉산더 성인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112]
-- 덴마크코끼리 훈장 수훈자 (1922년 8월 31일)[113]
-- 독일 제국 호엔촐레른 왕가검은 독수리 훈장 수훈자 (칼라 착용)
-- 바이에른 왕국 비텔스바흐 왕가성 후베르투스 훈장 수훈자
-- 헤센 대공국 헤센 왕가황금 사자 훈장 수훈자 (칼라 착용)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가구세주 훈장 대십자훈장[114]
성 조지와 콘스탄틴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114]
-- 모나코성 샤를 훈장 대십자훈장 (1930년 1월 16일)[115]
-- 몬테네그로 왕국 네고시 왕조다닐로 1세 공 훈장 특별등급 대십자훈장
-- 노르웨이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 (1922년 8월 19일)[116]
-- 폴란드백수리 훈장 수훈자
-- 포르투갈 왕국 포르투갈 왕가그리스도 훈장 왕립 군사 훈장 대십자훈장
탑과 검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117]
-- 루마니아 왕국 루마니아 왕가미하엘 용감한 자 훈장 1등급 대수훈자 (1943년 7월 26일)[118]
카롤 1세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119]
--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성 안드레아 사도 훈장 수훈자 (칼라 착용)[120]
-- 조지아 바그라티온 왕조조지아 독수리 훈장 대십자훈장[121]
-- 스페인[122]황금 양모 훈장 수훈자 (1923년 11월 19일)
샤를 3세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 (1924년 6월 7일)
-- 스웨덴세라핌 훈장 수훈자 (1922년 9월 7일)[123]
-- 태국차크리 왕가 훈장 수훈자 (1933년 3월 26일)[124]
-- 영국왕립 빅토리아 체인 수훈자 (1935년)[112]
-- 유고슬라비아 왕국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카라조르제 별 훈장 대십자훈장[112]
-- 바티칸예루살렘 성묘 훈장 대십자훈장 (칼라 착용)[125]
-- 교황청그리스도 훈장 최고 훈장 수훈자 (칼라 착용) (1932년 1월 2일)[126]


  • 단장
  • 성 라자로 모리스 훈장 총장 (성 라자로 훈장, 성 모리스 훈장의 후신)
  • 성 아누치아타(성모 수태고지) 훈장 총장
  • 이탈리아 왕립 훈장 총장
  • 사보이아 시민 훈장 총장
  • 단원
  • 몰타 훈장 단원
  • 금양모 훈장 단원
  • 성 후베르투스 훈장 단원 (바이에른)
  • 성 야누아리우스 훈장 단원 (프랑스)
  • 코끼리 훈장 단원 (덴마크)
  • 세라핌 훈장 단원 (스웨덴)
  • 성 안드레 훈장 단원 (러시아)

참조

[1]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História da Passagem do Príncipe Umberto di Savoia por Salvador (Bahia, 1924) https://repositorio.[...]
[8]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9] 서적 Mussolini's Italy: Life Under the Fascist Dictatorship, 1915–1945 https://books.google[...] Penguin 2007-00-00
[10] 서적 Safirka: An American Envoy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0-00-00
[11]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2]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4]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7]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8] 뉴스 Queen Marie Jose of Italy https://www.telegrap[...] 2001-01-29
[19]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4]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85-00-00
[25]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8]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0]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1]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2]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3]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1966-00-00
[36]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37]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38]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39]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40]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41]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42]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4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44] 간행물 Republic versus Monarchy in Italy
[4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46]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47]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48] 서적 Umberto II Psychology Press
[49]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0]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51]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52]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54]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6]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7]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58]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9]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0]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1]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2]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4]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65]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66]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68]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69]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70] 서적 A World in 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72]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73]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74]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7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76]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77]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78]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79] 서적 Italy's Year of Sorrow, 1944–1945 St. Martin's Press
[80] 서적 Italy 1943–1945 Leicester University Press
[81]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82]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83]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84]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85]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86]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87]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88]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89]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90]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91]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92] 웹사이트 Re di Maggio: Pasquino forgives King Umberto II https://italoamerica[...] L'Italo-Americano 2014-05-14
[9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94] 서적 Italy After Fascism A Political History 1943–196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95]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96] 서적 Umberto II Psychology Press
[97]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war Italy Pall Mall Press
[98] 서적 Remaking Italy in the Twentieth Century Rowman & Littlefield
[99] 웹사이트 Leggi E Decreti http://augusto.agid.[...] 1904-01-01
[100] 이미지 Photographic image http://2.bp.blogspot[...]
[101] 이미지 King Umberto wearing 4 Italian Orders https://s-media-cach[...]
[102] 이미지 King Umberto as heir wearing 4 Italian Orders http://media.gettyim[...]
[103] 이미지 King Umberto wearing 5 Italian and 1 Belgian Order(s) https://2.bp.blogspo[...]
[104] 이미지 King Umberto wearing 5 Italian orders http://c7.alamy.com/[...]
[105] 이미지 Photographic image https://2.bp.blogspo[...]
[106]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s://s-media-cach[...] 2017-12-13
[107]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c7.alamy.com/[...] 2017-12-13
[108]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1.bp.blogspot[...] 2017-12-13
[109]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farm4.staticf[...] 2017-12-13
[110] 웹사이트 The Constantinian Order's Relationship with the Savoy Dynasty of Italy – Sacred Military Constantinian Order of St. George http://www.constanti[...] 2012-10-04
[111]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c7.alamy.com/[...] 2017-12-13
[112] 웹사이트 King Umberto wearing Bulgarian, Yugoslavian and British Orders https://s-media-cach[...] 2017-12-13
[113]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114] 웹사이트 King Umberto wearing Greek and Spanish Orders https://40.media.tum[...] 2017-12-13
[115] 웹사이트 Journal de Monaco : ORDONNANCES SOUVERAINES https://journaldemon[...] 1930-01-16
[116]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for Aaret 1930 Forlagt av H. Aschehoug & Co. (w. Nygaard)
[117]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1.bp.blogspot[...] 2017-12-13
[118] 웹사이트 Umberto II https://www.tracesof[...] 2022-04-12
[119] 웹사이트 Umberto II : Who, What, Where, When http://www.servinghi[...] 2015-09-06
[120]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i022.radikal.[...] 2017-12-13
[121] 웹사이트 Royal House of Georgia http://www.royalhous[...]
[122] 간행물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1930
[123]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för året 1925 https://runeberg.org[...] Almqvist & Wiksell
[124] 웹사이트 แจ้งความ เรื่อง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http://www.ratchakit[...] 1934-12-16
[125]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farm8.staticf[...] 2017-12-13
[126]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s://s-media-cach[...] 2017-12-13
[127] 웹사이트 Umberto I Biancamano, conte di Savoia http://www.geneall.n[...] 2017-12-13
[128] 웹사이트 DI UMBERTO DI SAVOIA FERRUCCIO PARRI DISSE: “SAREBBE IL MIGLIORE DEI RE https://ilgiornale.a[...] 2023-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