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카어는 동부 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의 일종으로, 크게 호탄어와 툼슈크어로 나뉜다. 이 언어는 기원전 200년경 스키타이족의 이동과 관련하여 타림 분지에 정착한 두 사카 집단에서 유래되었으며,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문헌으로 확인된다. 호탄어는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문헌으로 확인되며, 툼슈크어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로 추정된다. 사카어는 고대 호탄어의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음운 변화의 특징을 보인다. 현존하는 문헌은 호탄과 툼슈크에서 작성되었으며, 둔황 문헌에서 다수의 호탄어 텍스트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이란어군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동이란어군 - 슈그니어
    슈그니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파미르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다른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아랍, 라틴, 키릴 문자 등을 거쳐 현재는 페르시아 문자 기반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 IPA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IPA - 몽골어
    몽골어는 몽골의 공용어이자 내몽골 자치구의 공식 지방 언어로, 몽골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 다양한 방언, 모음조화, 교착어적 특징, SOV 어순 등을 가진다.
  • 아시아의 사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시아의 사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사카어
언어 정보
명칭
이름사카어
다른 이름코타네스어, 툼슈크어
현지 이름해당 정보 없음
사용 정보
사용 국가호탄 왕국, 툼슈크, 무르투크, 슈러 왕국, 인도-스키타이 왕국
사용 지역타림 분지(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국)
민족사카
사용 기간기원전 100년 – 서기 1000년
언어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이란어군
분파동부 이란어군
하위 분파스키타이어
문자
문자 체계브라흐미 문자, 카로슈티 문자
방언
방언 종류코타네스어, 툼슈크어, 칸차키어?
언어 코드
ISO 639-2kho
ISO 639-3kho (코타네스어), xtq (툼슈크어)
Glottologsaka1298
Glottolog 이름사카어

2. 역사

현재 알려진 사카어의 두 방언은 스키타이족의 이주와 관련이 있다. 중국 측 기록에는 이 지역에 대한 침략 기록이 없지만, 일설로는 기원전 200년경에 두 사카 집단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고 한다.[45] 미셸 페로는 한서의 "사카"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거부하고, 호탄어와 툼슈크어를 기원전 1000년경부터 이 지역에서 발전한 Aqtala 문화와 연결한다.[16]

호탄어는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의 문헌에서 확인되지만, 일부는 5세기에서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툼슈크어 자료는 매우 적으며,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부분 7세기 후반에서 8세기로 추정된다.[46][47]

사카어는 튀르크계 무슬림 집단이 호탄 왕국을 정복한 이후, 신장 지역이 이슬람화·튀르크화되면서 소멸했다.

11세기 언어학자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호탄인들이 여전히 독자적인 언어와 문자를 가지고 있으며, 튀르크어를 잘 구사하지 못했다고 기록했다.[48][49] 그의 기술에 따르면 칸차키어와 소그드어와 같은 비튀르크계 언어가 아직 사용된 지역도 있었다.[50] 칸차키어는 사카어의 일종으로 여겨진다.[51] 타림분지는 11세기 말까지 언어적으로 튀르크화된 것으로 추정된다.[52]

3. 계통

호탄어와 툼슈크어는 서로 근연 관계에 있는 동부 이란어군 언어이다.[53][24] 원시 이란어 '*ću̯*'가 호탄어 'śś'로 변하는 특이한 음운 변화는 호탄어를 다른 대부분의 이란어와 구별되게 한다 (다른 이란어는 보통 'sp' 또는 그 파생어를 가진다). 소그드어와의 유사성이 존재하지만, 이는 병행적 발전이나 지역적 특징에 기인할 수 있다.[25] 코탄어와 가까운 언어로는, 툼슈크 근처에서 발견된 몇 안 되는 단편에서 알려진 "툼슈크 사카어"가 있다.

4. 음운

호탄어 음운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툼슈크어는 자료 부족으로 음운 체계 재구가 아직 시도되지 않았다.[29][30][31] 코탄어는 유성음화, 권설음 및 무성 유기음 자음의 발달이 특징적이다.[33]

4. 1. 고대 호탄어 자음

호탄어의 자음은 41개 혹은 42개의 음소로 나타난다.[29][30][31]

호탄어의 자음
colspan="3" |양순음치음/ 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성음무기음ptt, tk(t, g)
유기음phthṭhkh
유성음bdgg
파찰음무성음무기음tckṣc, ky
유기음tsch
유성음jsj, gy
비시비란트 마찰음t (후에 > ʔ)g (후에 > ʔ)
시비란트 마찰음무성음sṣṣ, śś, śh
유성음ysś
비음mn, , ñ
접근음중설v
hv
rr, rry
설측l


4. 2. 고대 호탄어 모음

호탄어는 이른 시기에 11개의 모음 음소를 지녔으나, 후대에는 6개로 대체되었다.[54] 이중모음은 후대에 단모음화되었다.

호탄어의 모음[54]
호탄어 전사IPA 음소IPA 음성
a
ā
i
ī
u
ū
ä
e
o
ai
au
ei


4. 3. 소리 변화

호탄어는 전반적인 약화, 권설음 및 무성 유기음의 발달이 특징적이다.[55]

공통 사카어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ć'', ''*j́''는 ''s'', ''ys''로 변화했지만, ''*ćw'', ''*j́w''는 ''śś'', ''ś''로 변화했다.
  • ''*ft'', ''*xt''는 ''*βd'', ''*ɣd''로 변화했다.
  • 어두 혹은 모음 및 *''r'' 뒤에서 ''*b'', ''*d,'' ''*g''는 ''*β'', ''ð'', ''ɣ''로 약화되었다.
  • 비음 + 무성 자음은 비음 + 유성 자음으로 변화했다. (''*mp'', ''*nt'', ''*nč'', ''*nk'' → ''*mb'', ''*nd'', ''*nj'', ''*ng'')
  • ''*ər'' (성절자음)는 순음 (''*m'', ''*p'', ''*b'', ''*β'') 앞에서 ''*ur''로, 기타 환경에서는 ''*ir'' 혹은 ''*ar''로 변화했다.
  • ''*rn'', ''*rm''는 ''rr''로 변화했다.
  • ''*sr''는 ''ṣ''로 변화했다.
  • ''*č'', ''*ǰ''는 ''tc'', ''js''로 변화했다.


동부 사카어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비음 + 유성 자음은 장비음으로 변화했다. (''*mb'', ''*nd'' → ''*mm'', ''*nn'', 단 ''*ng''은 유지됨)
  • ''*i'' 및 ''*u''를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 ''*a''가 ''i'' 및 ''u''로 변화하는 불확실한 움라우트 현상이 나타났다. (''*masita'' → ''*misita'' → ''mista'' ~ ''mästa'' “크다”)
  • 모음 및 ''*r'' 뒤에서 ''*p'', ''*t'', ''*č'', ''*k''는 ''b'', ''d'', ''ǰ'', ''g''로 약화되었다.
  • 자음 앞에서 ''*f'', ''*x''는 ''*β'', ''*ɣ''로 변화했다.
  • 모음 ''a, i''와 자음 사이에서 ''*ɣ''는 ''*i̯''로 변화했다. (''*daxsa-'' → ''*daɣsa-'' → ''*daisa-'' → ''dīs-'' “태우다”)
  • 모음 뒤에서 ''*β''는 ''w''로, ''*ð'', ''*ɣ''는 소실(∅)되었다.
  • ''*rð''는 ''l''로 변화했다.
  • 모음 뒤에서 ''*f'', ''*θ'', ''*x''는 ''*h''로 변화했다.
  • 어두에서 ''*w'', ''*j''는 ''*β'', ''*ʝ''로 변화했다.
  • *r 앞의 어두에서 ''*f'', ''*θ'', ''*x''는 ''*β'', ''ð'', ''ɣ''로 변화했다. (''θrayah'' → ''ðrayi'' → ''drai'' “셋”)
  • 자음군 ''*rC'' 및 ''*ST'' (치찰음 + 치음) 앞에서 강세 모음이 장음화되었다. (''*sarta'' → ''*sārta'' → ''sāḍa'' “춥다”, ''*astaka'' → ''āstaa'' “뼈”, 단 ''*aštā́'' → ''haṣṭā'' “여덟”은 아님).
  • 비치찰 마찰음과 ''*r''을 포함하는 자음군 앞에서 모음의 보상적 장음화가 일어났다. (''*puhri'' → ''pūrä'' “아들”, ''darɣa'' → ''dārä'' “길다”). 단, ''*ər''에서 기원하는 ''-ir-'' 및 ''-ur-''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mərɣa-'' → ''mura-'' “가금(家禽)”).
  • 어중 비강세 단모음 및 장모음이 축약되었다. (''*hámānaka'' → ''*hamanaka'' → ''hamaṅgä'')
  • ''*uw''는 ''u''로 변화했다.
  • 어두에서 ''*β'', ''ð'', ''ʝ'', ''ɣ''는 ''b'', ''d'', ''ɟ'', ''g''로 변화했다.
  • 남아 있는 ''*f'', ''*θ'', ''*x''는 ''ph'', ''th'', ''kh''로 변화했다.
  • ''*rth''는 ''ṭh''로, ''*rt'', ''*rd''는 ''ḍ''로 변화했다.
  • 모음 및 ''*r'' 앞에서 약화된 ''b'', ''d'', ''g'' (이른 시기의 무성 자음에서 기원)는 ''β'' (→ ''w''), ''ð'', ''ɣ''로 변화했다.
  • 이 환경에서 ''ḍ'' 또한 음성적으로 ''ḷ'' 혹은 ''ṛ'' 으로 변화했다.
  • 특정 자음의 경개구음화는 다음과 같다.


전기후기
*kyc, ky
*gyj, gy
*khych
*tcyc
*jsyj
*tsych
*nyñ, ny
*syśś
*ysyś
*st, *ṣṭśt, śc


5. 문헌

카로슈티 문자로 적혀 있는, 호탄어로 추정되는 이식 쿠르간(Issyk kurgan)에서의 비문을 제외하면, 현존하는 모든 문헌은 호탄툼슈크에서 작성되었다.[56] 둔황 문헌에는 2,300개 이상의 호탄어 텍스트가 남아 있으나,[56] 툼슈크어는 15개의 텍스트밖에 남아 있지 않다.[57] 이들은 해럴드 월터 베일리(Harold Walter Bailey)에 의해 해독되었다.[58]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는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주로 종교 관련 문서이다. 호탄 왕국에는 정사(精舍, vihara)가 있었으며 모든 시대에 걸쳐 공통적으로 불경 번역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왕궁 보고서(haṣḍa aurāsa) 및 사문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호탄 동북부 단단 윌릭(Dandan Oilik) 출토의 호탄어 문헌. 대영도서관 소장.

참조

[1] 간행물 Bronze Age Languages of the Tarim Basin http://penn.museum/d[...] Penn Museum 2013-03-16
[2] 웹사이트 Saka Language http://www.britannic[...] 2012-10-26
[3] 서적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Hutchinson's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cations 1953
[4] 서적 Farnah. Indo-Iranian and Indo-European Studies in Honor of Sasha Lubotsky https://scholarlypub[...] Beech Stave Press 2024-11-14
[5] 논문 Saka Studies: The Ancient Kingdom of Khotan 1970
[6]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UNESCO 1992
[7] 서적 The History of Ancient Iran https://archive.org/[...] C.H.Beck 1984
[8] 서적 The culture of the Sakas in ancient Iranian Khotan Caravan Books 1982
[9] 논문 Early Contacts Between Uralic and Indo-European: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Papers Presented at an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at the Tvärminne Research Station of the University of Helsinki, 8–10 January, 1999 2001
[10] 웹사이트 Encolypedia Iranica, AFGHANISTAN vi. Paṣ̌tō https://www.iranicao[...]
[11] 서적 Indo-Iranica Iran Society
[12] 서적 A Study in Pashto Stress Academia
[1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Iranian Verb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Series)
[14] 논문 The Rāma Story in Khotanese 1939
[15] 논문 Saka Studies: The Ancient Kingdom of Khotan 1970
[16] 서적 Farnah. Indo-Iranian and Indo-European Studies in Honor of Sasha Lubotsky https://scholarlypub[...] Beech Stave Press 2024-11-14
[17] 서적 The Iranian Languages Routledge 2009
[18] 간행물 buddhism-iii
[19] 논문 Diwanu Lugatı't-Turk and Contemporary Linguistics http://journals.mana[...] 2016-08-22
[20]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21]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22]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UNESCO Publishing 1996
[23] 서적 Cultural Change and Continuity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4] 서적 The Iranian Languages Routledge 2009
[25] 서적 Farnah. Indo-Iranian and Indo-European Studies in Honor of Sasha Lubotsky https://scholarlypub[...] Beech Stave Press 2024-11-14
[26]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Khotanese Script https://unicode.org/[...] 2019-05-21
[27] 웹사이트 Brāhmī http://www.iranicaon[...] 2019-05-21
[28] 웹사이트 Bailey, Harold Walter http://www.iranicaon[...] 2019-05-21
[29] 학위논문 The Old Khotanese Metanalysis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
[30] 서적 A Chinese text in Central Asian Brahmi script: new evidence for the pronunciation of Late Middle Chinese and Khotanese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1993
[31] 논문 Some remarks on the history of the Khotanese orthography and the Brāhmī script in Khotan 2022
[32] 학위논문 The Old Khotanese Metanalysis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
[33] 웹사이트 Einführung ins Ostmitteliranische https://www.academia[...]
[34] 서적 Khotan iv. Khotanese Literature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35] 서적 中国語史研究 三省堂
[36] 웹인용 Saka Language http://www.britannic[...] 2012-10-26
[37] 서적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Hutchinson's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cations 1953
[38] 저널 Saka Studies: The Ancient Kingdom of Khotan 1970
[39]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UNESCO 1992
[40] 서적 The History of Ancient Iran https://archive.org/[...] 1984
[41] 서적 The culture of the Sakas in ancient Iranian Khotan Caravan Books 1982
[42] 저널 Early Contacts Between Uralic and Indo-European: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Papers Presented at an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at the Tvärminne Research Station of the University of Helsinki, 8–10 January, 1999 2001
[43] 저널 The Rāma Story in Khotanese 1939
[44] Harvp 1999
[45] 저널 Saka Studies: The Ancient Kingdom of Khotan 1970
[46] 서적 The Iranian Languages Routledge 2009
[47] 웹인용 BUDDHISM iii. Buddhist Literature in Khotanese and Tumshuqese https://iranicaonlin[...]
[48] 저널 Diwanu Lugatı’t-Turk and Contemporary Linguistics http://journals.mana[...] 2016-08-22
[49]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50]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51]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UNESCO Publishing 1996
[52] 서적 Cultural Change and Continuity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53] 서적 The Iranian Languages Routledge 2009
[54] 학위논문 The Old Khotanese Metanalysis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
[55] 웹인용 Einführung ins Ostmitteliranische https://www.academia[...]
[56] 웹인용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Khotanese Script https://unicode.org/[...] 2019-05-21
[57] 웹인용 Brāhmī http://www.iranicaon[...] 2019-05-21
[58] 웹인용 Bailey, Harold Walter http://www.iranicaon[...] 2019-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