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흐무드 알카슈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흐무드 알카슈가리(Mahmud al-Kashgari)는 11세기에 활동한 튀르크 학자이자 언어학자로, 카슈가르 출신으로 추정된다. 그는 튀르크어의 순수성을 옹호하며 유목민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알카슈가리는 1072년부터 1077년(혹은 1083년) 사이에 튀르크어의 첫 번째 포괄적인 사전인 《튀르크어 대사전》을 저술했으며, 이 책은 11세기 중앙아시아의 언어, 역사,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그의 저작은 튀르크계 민족들에게 민족적 영웅으로 여겨지며, 유네스코는 2008년을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해'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흐무드 알카슈가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흐무드 이븐 알-후세인 이븐 무함마드 알-카슈가리 |
다른 이름 | 카슈가리의 마흐무드 마흐무드 카슈가리 |
출생 | 1005년 |
출생지 | 카슈가르, 카라한 칸국, 현재 중국 |
사망 | 1102년 |
사망지 | 우팔, 카라한 칸국, 현재 중국 |
국적 | 카라한 칸국 |
학문 분야 | |
분야 | 언어학 어휘론 튀르크학 |
2. 생애
마흐무드 알카슈가리(محمود الكاشغري|마흐무드 알카슈가리ar)는 11세기 카라한 칸국 시대의 중요한 튀르크 학자이자 사전 편찬자이다. 그의 이름에 포함된 니스바 '알카슈가리'는 그가 카슈가르 출신임을 나타낸다.[19] 그의 생애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20], 카라한 칸국의 통치 가문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1][22]
그는 카라한 칸국 내부의 정치적 혼란[30]과 왕위 계승 다툼[23] 속에서 고향을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 망명 기간 동안 그는 부하라, 이란, 이라크 등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30] 다양한 튀르크 부족들의 언어와 문화를 깊이 연구했던 것으로 보인다.[25][28] 그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에도 능통했다.[30]
약 10년간의 망명 생활 후, 알카슈가리는 아바스 왕조의 수도 바그다드로 이주하여[23]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인 《튀르크어 대사전》(ديوان لغات الترك|디완 루가트 알투르크ar) 편찬에 착수했다. 1072년부터[2] 시작된 이 작업은 수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25][27][28][17] 완성된 사전은 압바스 왕조의 칼리파 알무크타디에게 헌정되었다.[25][27][28][17] 이 사전은 당시 튀르크 민족의 언어, 역사, 문화, 지리, 민속을 총망라한 백과사전적 성격을 지니며, 튀르크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나타낸 최초의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8]
알카슈가리는 튀르크어의 언어 순수주의를 옹호했으며, 도시 문화보다는 유목민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언어의 우월성을 강조했다.[11] 그는 튀르크 민족이 다른 문화에 동화되는 것을 경계했다.[13][14]
말년에 그는 고향 카슈가르 근처로 돌아와 생을 마감한 것으로 전해진다.[31] 그의 정확한 사망 시기와 무덤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17][31]
2. 1. 출생 및 가문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그의 니스바 알카슈가리(الكاشغريar)에서 알 수 있듯, 카슈가르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11세기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구체적인 출생 시기는 1029년경 또는 1038년경이라는 설이 일반적이지만, 990년경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19] 그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20]그의 가문은 카라한 칸국의 통치 왕가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 일설에 따르면 동카라한 왕조의 군주 무함마드가 그의 할아버지라고 한다.[21][22] 아버지 후세인 이븐 무함마드 차으르 테긴은 바르스간 지역의 귀족이었고[21] 한때 그곳을 통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알카슈가리는 이식쿨호 인근의 바르스간에 애착을 보인 반면, 정작 고향인 카슈가르 주민들에 대해서는 '최악의 인간'이라며 혹평했는데, 이는 아버지가 카슈가르에서 겪었던 정치적 어려움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9] 아버지는 후에 바르스간에서 카슈가르로 이주했다.[20]
어머니 뷔비 라비야는 당대 지식인 호자 사이푸딘의 딸로, 알카슈가리의 초기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30] 하지만 카라한 왕조 내부의 왕위 계승 다툼 과정에서 아버지와 친족이 독살당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23]
2. 2. 학문 여정 및 망명
알카슈가리의 학문 여정은 당대 지식인 호자 사이푸딘의 딸이었던 어머니, 뷔비 라비야의 교육에서 시작되었다. 1056년부터 1057년까지 카라한 칸국 내부에서 발생한 분란에 휩싸인 그는 고향을 떠나게 되었으나, 부하라와 이란, 이라크 등지를 돌아다니면서도 공부에 전념했다. 그는 아랍어나 페르시아어에도 유창했다.[30] 한편 그의 저작들에서 보이는 다양한 튀르크어 사용 유목민들에 대한 서술로 볼 때, 망명 기간에 다양한 튀르크어 사용 유목민들이 거주하는 지역 각지를 여행하며 언어와 문화를 연구했던 것으로 보인다.[25][28]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카라한 칸국의 왕위 계승권을 둘러싼 다툼 속에서 아버지와 친족이 독살당한 후, 인근 튀르크계 민족 아래를 전전하며 동로마 제국의 국경 지대부터 중국의 변경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편력했다고도 한다.[23]2. 3. 바그다드 이주와 저술 활동
10년간의 망명 생활 끝에 알카슈가리는 아바스 왕조의 수도 바그다드로 이주했다.[23] 그는 바그다드에서 튀르크어 연구에 몰두하여, 1072년부터[2] 튀르크어 최초의 종합 사전 편찬 작업에 착수했다.[25][27][28] 일부 자료에 따르면 편찬 작업은 1074년까지[2] 이루어졌으며, 다른 자료에서는 약 5년에 걸쳐[25][27][28][17] 완성되었다고 전해진다.이 사전의 이름은 Dīwān Lughāt al-Turk|디완 루가트 알투르크ara(튀르크어 대사전)이며,[3][4][5][6] 당시 튀르크족의 새로운 동맹이었던 아랍인과 압바스 칼리파조를 위해 만들어졌다. 알카슈가리는 1077년(혹은 1083년)[17] 이 사전을 압바스 왕조의 칼리파 알무크타디에게 헌정했다.[25][27][28][17]
《튀르크어 대사전》에는 고대 튀르크 시의 표본이 4행시 형식으로 실려 있으며, 서사시, 목가, 교훈시, 서정시, 비가 등 주요 장르를 아우른다. 또한 튀르크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묘사한 최초의 알려진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8]

알카슈가리는 《튀르크어 대사전》 외에도 문법서인 『튀르크어 문법 보전』(튀르크어 문법의 보석)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21]
2. 4. 귀향과 사망
신장 지역에서 발견된 문서에 따르면,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말년에 고향 카슈가르로 돌아갔다.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는데, 이슬람력 477년, 즉 서기 1085년에서 1086년 사이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31] 다른 연구에서는 그가 97세의 나이로 1102년 카슈가르 남서쪽의 작은 도시인 오팔(Upal)에서 사망하여 그곳에 묻혔다고 추정하기도 하지만[17], 사망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는 반론도 제기된다.1981년(혹은 1982년 말[17]), 카슈가르에서 서쪽으로 약 45km 떨어진 오팔에서 알카슈가리의 무덤이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31][17] 이 묘는 본래 '헤즈레티 몰람'(Hazrat Mollam)의 묘로 알려져 있었으나, 현지 조사와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알카슈가리의 묘로 판명되었다고 주장되었다.[17] 신장 위구르 자치구 정부는 이 발견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새로운 묘묘를 건립했지만,[17] 무덤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17]
특히 1980년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유수프 하스 하지브를 비롯한 여러 문화적 위인의 유적이 연이어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배경 속에서 알카슈가리의 무덤 "발견" 역시 당시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의 민족적 영웅을 부각시켜 소수민족 정책의 일환으로 활용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17]
3. 주요 저작
알카슈가리는 당대 튀르크어와 튀르크 문화를 연구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그의 가장 대표적인 저작은 바그다드에서[2] 1072년부터 1074년 사이에 편찬한 《튀르크어 대사전》(Dīwān Lughāt al-Turk)이다.[3][4][5][6] 이는 최초의 포괄적인 튀르크어 사전으로 평가받으며, 당시 튀르크족의 새로운 아랍인 동맹이었던 압바스 칼리파조의 칼리파를 위해 제작되었다. 이 사전은 후대에 튀르크 역사가 알리 아미리에 의해 편집되어 세상에 알려졌다.[7]
알카슈가리는 《튀르크어 대사전》 외에도 튀르크어 문법에 관한 책(Kitābu Jawāhir an-Naḥw fī Lughāt at-Turk|키타부 자와히르 안나흐으 피 루가트 앗투르크ar)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21] 그의 저작들은 11세기 중앙아시아의 언어, 문화, 역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3. 1. 《튀르크어 대사전》(Dīwān Lughāt al-Turk)
마흐무드 알카슈가리가 저술한 최초의 포괄적인 튀르크어 사전으로, 원제는 Dīwān Lughāt al-Turk|디완 루가트 알투르크ar(튀르크어 사전)이다.[3][4][5][6] 알카슈가리는 바그다드에서[2] 1072년부터 편찬을 시작하여 1074년경 완성했으며[3][4][5][6], 1077년 혹은 1083년에 압바스 칼리파조의 칼리파 알무크타디에게 헌정했다[17]. 이 사전은 당시 튀르크족의 새로운 아랍인 동맹이었던 압바스 칼리파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튀르크어 대사전》에는 약 7,500여 개의 단어가 표제어로 실려 있으며, 각 단어의 어원, 발음 차이, 구성 규칙 등을 설명하고 예문을 제시했다. 특히 예문에는 당시 튀르크족의 역사, 지리, 민족, 사회에 대한 풍부한 정보가 담겨 있어, 11세기 튀르크 민족에 대한 백과사전으로도 평가받는다.[25][32] 또한, 고대 튀르크 시의 표본들을 전형적인 4행시(페르시아어-아랍어 رباعیات|루바이야트ar, ''rubā'iyāt'; dörtlük|되르틀뤼크tr) 형태로 담고 있는데, 서사시, 목가, 교훈시, 서정시, 비가 등 주요 장르를 망라한다. 책에는 튀르크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그린 최초의 알려진 지도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 지도는 현재 이스탄불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8]
사전에는 트란스옥시아나를 통과하는 무역로의 상인 등으로부터 여러 튀르크 방언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 수집된 정보의 출처는 명확하지 않으나, 알카슈가리가 대호라산의 오구즈 부족에게서 얻은 오구즈-투르크멘 자료[9] 또는 카라한 칸국 연맹의 칠길 부족의 투르키야어를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10] 등이 거론되지만, 학계의 확정적인 결론은 아직 없다.
그는 사전에서 단일 언어 사용과 튀르크어의 언어 순수주의를 강조했으며, 도시 정주민보다 유목민의 언어적 우월성에 대한 믿음을 드러냈다. 그는 "가장 우아한 방언은 단 하나의 언어만 알고, 페르시아인과 섞이지 않으며, 다른 나라에 정착하는 관습이 없는 사람들의 것이다. 두 개의 언어를 가지고 도시의 대중과 섞이는 사람들은 발음에 약간의 어눌함이 있다"고 서술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페르시아어와의 이중 언어 사용이 많았던 위구르족의 방언에 대해서는 다른 튀르크 단일 언어 사용자의 방언과 마찬가지로 "순수"하고 "가장 정확하다"고 평가했다.[12] 또한 유목 생활 방식이 정주 문화에 동화되는 것을 경계하며, "전사의 검이 녹슬기 시작하면 효율성이 감소하는 것처럼 튀르크인의 살도 이란인의 생활 방식을 채택하면 썩기 시작한다"는 당시 튀르크 속담을 기록하기도 했다.[13][14]
《튀르크어 대사전》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1266년 8월 1일자로 작성된 유일한 사본이 남아있다.[28] 이 사본은 아바스 왕조 멸망 후 이집트와 시리아의 맘루크 왕조 시기에 제작되었으며[17], 이후 오스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로 옮겨졌다.[17] 오랫동안 잊혔던 이 사본은 20세기 초 튀르크의 역사가이자 장서가인 알리 아미리가 이스탄불의 고서점에서 발견하여 1917년부터 1919년 사이에 3권으로 출판하면서 다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17] 이후 《튀르크어 대사전》은 많은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사진판과 컬러 팩시밀리판이 출판되었고, 튀르키예어, 우즈베크어, 현대 위구르어, 영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9]
그는 《튀르크어 대사전》 외에도 문법서인 『튀르크어 문법 보전』(Kitābu Jawāhir an-Naḥw fī Lughāt at-Turk|키타부 자와히르 안나흐으 피 루가트 앗투르크ar)을 저술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21]
3. 2. 《튀르크어 문법 진서》(Kitāb Jawāhir al-Nahw fi Lughāt al-Turk)
마흐무드 알카슈가리가 저술한 튀르크어 문법에 대한 책이다.[25][28] 현재 원본은 남아있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알카슈가리의 다른 저서인 『튀르크어 집성』 등에서 인용된 부분을 통해서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21]4. 언어관 및 세계관
알카슈가리는 단일 언어 사용과 튀르크어의 언어 순수주의를 옹호했다. 그는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했던 튀르크 부족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시 인구보다 유목민의 언어와 문화를 더 우월하게 여겼다. 당시 중앙 아시아의 도시 및 문학 언어였던 신페르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들이 많았는데, 알카슈가리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튀르크어의 순수성을 강조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가장 우아한 방언은 단 하나의 언어만 알고, 페르시아인과 섞이지 않으며, 다른 나라에 정착하는 관습이 없는 사람들의 것이다. 두 개의 언어를 가지고 도시의 대중과 섞이는 사람들은 발음에 약간의 어눌함이 있다.[11]
하지만 알카슈가리는 이중 언어 구사자였던 위구르족이 사용하는 방언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는 위구르족의 언어가 튀르크어 단일 언어 사용자의 방언과 동등하게 "순수"하고 "가장 정확하다"고 보았다.[12]
또한 알카슈가리는 튀르크족이 유목 생활 방식을 버리고 정착 문화에 동화되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전사의 검이 녹슬기 시작하면 효율성이 감소하는 것처럼 튀르크인의 살도 이란인의 생활 방식을 채택하면 썩기 시작한다"는 당시 튀르크 속담을 기록하며 이러한 우려를 나타냈다.[13][14]
5. 현대적 의의 및 평가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11세기 튀르크어족 연구의 선구자로서, 그의 대표 저작인 《디완 루가트 알투르크》는 단순한 사전을 넘어 당시 중앙아시아 튀르크 민족의 언어, 문화, 역사, 민속을 집대성한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이 저작은 후대의 튀르크 언어학 및 역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튀르크 방언, 고대 시가, 민족 분포 등에 대한 독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현대에 이르러 알카슈가리는 위구르족, 키르기스족, 우즈베크족 등 여러 튀르크 민족에게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각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그의 위상이 강조되면서, 1980년대 그의 묘지가 "발견"되었다고 발표되는 등 민족적 영웅으로 부각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국제적으로도 그의 업적은 높이 평가되어, 유네스코는 2008년을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해'로 지정하여 기념하였다.[16] 그의 연구는 언어학적 가치를 넘어 중앙아시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5. 1. 학술적 가치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당대 튀르크어족 언어들을 연구했으며, 1072년부터 1074년까지 바그다드에서[2] 최초의 포괄적인 튀르크어 사전인 《디완 루가트 알투르크》(튀르크어 어휘 모음집)를 편찬했다.[3][4][5][6] 이 사전은 당시 튀르크족의 새로운 동맹이었던 압바스 칼리파조의 칼리파들이 아랍인들과 소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후대에 튀르크 역사가 알리 아미리가 편집한[7] 이 사전에는 고대 튀르크 시의 다양한 예시들이 담겨 있다. 특히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4행시 형식(رباعیات|루바이야트ar; dörtlük|되르틀뤼크tr)으로 서사시, 목가, 교훈시, 서정시, 비가 등 주요 장르를 아우르는 시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의 책에는 튀르크 민족이 거주하던 지역을 나타내는 최초의 지도 중 하나가 실려 있는데, 이 지도는 현재 이스탄불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8]
《디완 루가트 알투르크》는 단순한 사전을 넘어, 당시 트란스옥시아나 지역의 무역로를 오가던 상인이나 여행자들로부터 수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튀르크 방언에 대한 중요한 언어학적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정보들의 정확한 출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학자들은 알카슈가리가 셀주크 제국의 중심지였던 바그다드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대호라산 지역의 오구즈 부족으로부터 오구즈-투르크멘어에 대한 정보를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일부 자료는 더 이른 시기의 투르크멘어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9] 다른 한편에서는 이 사전이 카라한 칸국 연맹의 주요 부족 중 하나였던 칠길 부족의 언어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10] 아직 학계에서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알카슈가리는 언어에 있어 단일 언어 사용과 튀르크어의 언어 순수주의를 강하게 주장했다. 그는 도시의 정착민보다 유목민의 언어와 문화가 더 우월하다고 믿었는데, 이는 당시 튀르크 부족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유목이었기 때문이다. 그가 활동하던 시대의 많은 튀르크인들은 중앙아시아의 주요 도시 및 문학 언어였던 신페르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였다. 알카슈가리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며 순수한 튀르크어 사용을 강조했다.
가장 우아한 방언은 오직 하나의 언어만을 알고 페르시아인과 섞이지 않으며,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는 관습이 없는 사람들의 것이다.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하며 도시의 사람들과 섞이는 이들은 발음에 다소 서투름이 있다.[11]
하지만 알카슈가리는 고창 지역의 위구르족이 사용하는 방언에 대해서는 이중 언어 사용에도 불구하고, 다른 단일 언어 사용자들의 방언과 마찬가지로 "순수"하고 "가장 정확하다"고 높이 평가했다.[12]
더 나아가 알카슈가리는 튀르크 민족의 전통적인 유목 생활 방식이 도시의 정착 문화에 동화되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전사의 검이 녹슬기 시작하면 그 효용성이 떨어지듯, 튀르크인의 기상 역시 이란인(페르시아인)의 생활 방식을 받아들이면 쇠퇴하기 시작한다"는 당시 튀르크 속담을 기록하며 이러한 우려를 나타냈다.[13][14]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디완 루가트 알투르크》는 11세기 중앙아시아 튀르크족의 언어, 방언, 역사, 문화, 지리, 민속 등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는 튀르크어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당시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5. 2. 민족 정체성과의 관련성
알카슈가리는 오늘날 위구르, 키르기스, 우즈베크 등 여러 튀르크계 민족의 민족주의자들에게 각 민족 집단의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여겨진다.[15] 소련 해체 이후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에 있는 한 동양학 대학교는 1990년대에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기도 했다. 유네스코는 2008년을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해'로 선포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다.[16]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그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중국 내 소수 민족 정책이 표면적으로 완화되면서 무슬림 소수 민족 사이에서 민족 정체성과 역사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알카슈가리가 주목받기 시작했다.[24] 1982년 말부터 이듬해에 걸쳐 카슈가르에서 약 45km 남서쪽에 있는 우팔에서 그의 묘가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 현지 조사 결과, 기존에 헤즈레티 몰람의 묘로 알려졌던 곳이 알카슈가리의 묘이며, 그가 고향으로 돌아와 97세에 사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7] 이 "발견"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정부에 의해 공식 승인되어 새로운 묘가 세워졌으나, 그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17] 1980년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유수프 하스 하지브를 비롯한 문화적 위인들의 유적이 잇따라 "발견"되었는데, 알카슈가리 묘의 "발견" 역시 그를 위구르족의 민족적 영웅으로 부각시키려는 정치적 의도가 배경에 있다는 분석이 있다.[17]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81년부터 1984년 사이에는 알카슈가리의 대표 저서인 『디완 루가트 알투르크』가 현대 위구르어로 번역 출판되었고, 1994년에는 위구르족 작가가 그의 생애를 다룬 역사 소설을 발표하기도 했다.[24]
5. 3. 유네스코 기념
유네스코는 2008년을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해로 선포했다.[16]참조
[1]
웹사이트
Mahmud Al-Kashgari - Document - Gale In Context: World History
https://go.gale.com/[...]
2023-05-11
[2]
서적
Historic Cities of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07-12-26
[3]
서적
Studies on Turkish Politics and Society:Selected Articles and Essays
Brill
2004
[4]
서적
Chinese Lexicography :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08-14
[5]
간행물
The Initial Labial Sounds in the Turkish Languages
https://dergipark.or[...]
[6]
서적
The Ghaznavid and Seljuk Turks: Poetry as a Source for Iran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10-27
[7]
간행물
The Encyclopaedia of Islam
E.J. Brill
1986
[8]
서적
The History of the Central Asian Republics
Greenwood Press
2007
[9]
서적
Turkmen Reference Grammar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10]
웹사이트
Mahmud Al- Kashgari - Document - Gale In Context: World History
https://go.gale.com/[...]
2023-05-11
[11]
서적
The Formation of the Uzbek Nation-State: A Study in Transition
Lexington Books
[12]
서적
Dīwān Luğāt al-Turk
Sources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
1982
[13]
서적
Timurids in Transition: Turko-Persian Politics and Acculturation in Medieval Iran
BRILL
[14]
서적
Compendium of the Turkic dialects (Dīwān lugāt at-Turk) Vol. 2 (out of 3)
Cambridge (Robert Dankoff, in collaboration with James Kelly)
[15]
서적
The Xinjiang Conflict: Uyghur Identity, Language Policy, and Political Discourse
http://www.eastwestc[...]
East-West Center
2010-08-22
[16]
웹사이트
UNESCO to name 2008 and 2009 after famous Turks'
http://www.todayszam[...]
[17]
문서
カーシュガリー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18]
뉴스
UNESCO to name 2008 and 2009 after famous Turks
http://www.todayszam[...]
2016-01
[19]
문서
中央アジアのトルコ化
中央アジア史
[20]
문서
中央アジアの歴史
[21]
문서
カシュガリー
アジア歴史事典
[22]
문서
中央アジアのトルコ化
中央アジア史
[23]
문서
トルコ・イスラーム社会とトルコ・イスラーム文化
中央アジア史
1999-04
[24]
문서
民族文化の「復興」と民族史の強調
中国のムスリムを知るための60章
2012-08
[25]
웹인용
마흐무드 카슈가리
https://terms.naver.[...]
창비
2019-02-07
[26]
웹인용
KÂŞGARLI MAHMUD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19-02-07
[27]
서적
교양인을 위한 중앙아시아사
책과함께
2009
[2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1997
[29]
간행물
The Turkic World in Mahmûd al-Kâshgharî
https://www.academia[...]
Vor- und Frühgeschichtliche Archä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2015
[30]
간행물
The Turkic World in Mahmûd al-Kâshgharî
https://www.academia[...]
Vor- und Frühgeschichtliche Archä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2015
[31]
간행물
The Turkic World in Mahmûd al-Kâshgharî
https://www.academia[...]
Vor- und Frühgeschichtliche Archä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2015
[32]
서적
교양인을 위한 중앙아시아사
책과함께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