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카풀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카풀텍어는 과테말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자음은 파열음, 마찰음, 비음, 탄음, 접근음 등으로 구성되며, 음운 변화를 겪기도 한다.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되며, 고, 중, 저모음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사카풀텍어
기본 정보
이름사카풀텍어
고유 이름Sacapulteco
다른 이름Tujaal Tziij
사용 국가과테말라
사용 지역키체주
사용자 수6,530명 (2019년 인구 조사)
민족12,900명 사카풀텍족 (2019년 인구 조사)
소수 언어 인정 국가과테말라
언어 관리 기구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 (ALMG)
언어 코드
ISO 639-3quv
Glottologsaca1238
Glottolog 이름Sacapulteco
언어 계통
어족마야어족
어파키체-맘어군
어군키체어군
언어 존속 위기
유네스코사멸 위기 언어

2. 자음

사카풀텍어의 자음 체계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탄음, 접근음 등으로 구성된다.


  • 평음 무성 파열음은 음절 말 위치에서 [Cʰ]로 유기음화된다.
  • /ɓ/는 자음 앞이나 음절 또는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서는 방출음 [pʼ] 또는 무성 내파음 [ɓ̥]으로 들린다.[2]
  • /qʼ/는 자유 변이에서 내파음 [ʛ̥]으로 들릴 수도 있다.[3]

2. 1. 자음 목록

사카풀텍어의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된다.



표에는 파열음/파찰음, 마찰음, 비음, 탄음, 접근음 등이 나타나 있다.[2][3]

2. 1. 1. 파열음/파찰음

사카풀텍어의 파열음/파찰음은 무성음, 방출음, 내파음으로 구분된다.


  • 평음 무성 파열음은 음절 말 위치에서 [Cʰ]로 유기음화된다.
  • /ɓ/는 자음 앞이나 음절 또는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서는 방출음 [pʼ] 또는 무성 내파음 [ɓ̥]으로 들린다.[2]
  • /qʼ/는 자유 변이에서 내파음 [ʛ̥]으로 들릴 수도 있다.[3]

2. 1. 2. 마찰음

사카풀텍어에는 치경 마찰음 }와 연구개 마찰음 등이 존재한다.

2. 1. 3. 비음

사카풀텍어에는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등의 비음이 존재한다.

[2][3]

2. 1. 4. 탄음

치경 탄음이 존재한다.[2][3]

2. 1. 5. 접근음

접근음에는 순음, 치경음, 구개음 등이 있다.

2. 2. 자음 음운 변화

사카풀텍어의 자음은 특정 환경에서 음가가 변동될 수 있다.

자음음가 변동환경주석
/ɓ/[pʼ] 또는 [ɓ̥]자음 앞이나 음절 또는 단어의 마지막 위치[2]
/qʼ/[ʛ̥]자유 변이[3]



평음 무성 파열음은 음절 말 위치에서 [Cʰ]로 유기음화된다.[2]

2. 2. 1. 유기음화

평음 무성 파열음은 음절 말 위치에서 [Cʰ]로 유기음화된다.[2]

2. 2. 2. 방출음/내파음화

/ɓ/는 자음 앞이나 음절 또는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서 방출음 [pʼ] 또는 무성 내파음 [ɓ̥]으로 실현된다.[2] /qʼ/는 자유 변이에서 무성 내파음 [ʛ̥]으로 실현될 수 있다.[3]

3. 모음

사카풀텍어의 모음 체계는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구성되며,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뉜다.

3. 1. 모음 목록

모음은 혀의 높이와 전후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iːu, uː
중모음e, eːo, oː
저모음a, aː


3. 1. 1. 전설 모음


3. 1. 2. 중설 모음

저모음 /a/, /aː/가 있다.

3. 1. 3. 후설 모음

후설모음에는 고모음 /u/, /uː/와 중모음 /o/, /oː/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creto Número 19-2003. Ley de Idiomas Nacionales http://www.congreso.[...] 2009-06-22
[2] 서적 The Sacapultec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3] 서적 Gramática descriptiva Sakapulteka Ciudad de Guatemala: OKMA Proyecto de documentación: idioma Sakapulteko
[4] 문서 グアテマラ・マヤ言語アカデミーによるつづり
[5] 문서 Richards (2003) p.62
[6] 문서 Richards (2003) p.78
[7] 간행물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8] 문서 Kaufman (2015) p.9
[9] 문서 Zavala Maldonado (2017) p.227
[10] 문서 Mó Isém (2007) pp.36-67
[11] 문서 Mó Isém (2007) pp.41-42,47-48
[12] 문서 Mó Isém (2007) pp.49-54
[13] 문서 Mó Isém (2007) pp.58-59
[14] 문서 Mó Isém (2007) pp.64-65
[15] 에스놀로그 Sakapultec https://www.ethnolog[...] 에스놀로그
[16] 웹인용 Decreto Número 19-2003. Ley de Idiomas Nacionales http://www.congreso.[...] 2009-06-22
[17] 웹인용 XI Censo Nacional de Población y VI de Habitación (Censo 2002) - Idioma o lengua en que aprendió a hablar http://www.ine.gob.g[...]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2009-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