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조 우지나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조 우지나오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고호조 씨 제5대 당주이다. 1562년에 태어나 1591년에 사망했으며, 오다와라 성주를 지냈다. 그는 아버지 호조 우지마사의 은거로 가문을 계승하여 다케다 씨와의 영토 분쟁,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대립을 겪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항복 후 고야산으로 추방되었다가 사면되어 다이묘로 부활했지만, 천연두로 사망했다. 그의 사후 가문은 사촌인 호조 우지모리가 이었으며, 묘소는 소운사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1년 사망 - 도요토미 히데나가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복형으로, 뛰어난 행정 능력과 온화한 성품으로 히데요시의 천하통일에 공헌한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오다 노부나가 시대부터 형을 보좌하여 다수의 전투에 참여했고, 야마토 116만 석의 대다이묘이자 종이위 다이나곤까지 승진했으나, 통솔력과 정치적 능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1591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9세
    교황 인노첸시오 9세는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라는 본명으로, 니카스트로 주교, 베네치아 교황 대사, 추기경을 거쳐 1591년 짧게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펠리페 2세와 가톨릭 동맹을 지지했다.
  • 고호조씨 - 호조 소운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중신으로 이세 종수이나 이세 신쿠로 등으로 불렸으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다툼에 개입하고 이즈, 사가미 등지를 정복하며 고호조씨의 기반을 마련한 센고쿠 시대 초기의 중요 인물이다.
  • 고호조씨 - 호조 우지쓰나
    호조 우지쓰나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와라성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간토 지방의 패권을 다졌으며, 토지 검사 실시 등 정책을 추진하고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재건 사업을 주도하다가 사망했다.
  • 사가미국 사람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사가미국 사람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호조 우지나오
기본 정보
이름호조 우지나오
본명구니오마루
가명신쿠로
별명겐쇼사이
계명쇼간인덴 다이엔소테쓰코 다이코지
출생1562년
출생지오다와라성
사망1591년 12월 19일
사망 장소고야산
호조 우지나오 초상 (호운지 소장)
관직
관위종5위하, 좌경대부
가문
씨족후 호조 씨 (이마가와 씨)
가족 관계
아버지호조 우지마사
어머니오바이인 (다케다 신겐의 딸)
양아버지이마가와 우지자네
배우자도쿠히메 (도쿠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자녀장녀: 마니주인덴
차녀: 만히메 (1586년 - 1602년) - 후에 이케다 데루마사의 양녀
우지쓰구?
관계자도쿠가와 이에야스 (장인)
호조 우지모리 (양자)
형제신쿠로
호조 우지나오
오타 겐고로
우지후사
지바 나오시게
나오사다
여동생 (지바 구니타네의 부인)
의붓 여동생: 쓰루히메 (사토미 요리요시의 정실)
군사 정보
소속후 호조 씨
도쿠가와 씨
도요토미 씨
계급다이묘
주요 전투
전투 목록가즈사 전투 (1577년)
덴쇼 진고의 난 (1582년)
가나가와 전투
와카미코 전투
구로코마 전투
오다와라 전투 (1590년)
직책
직위후 호조 씨 당주 (1590년 - 1591년)
이전호조 우지마사
이후없음

2. 생애

1562년 오다와라성에서 호조 우지야스의 손자이자 호조 우지마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国王丸|구니오마루일본어였다. 어머니는 다케다 신겐의 딸이었다.[21]

1577년 성인이 되면서 우지나오라는 정식 이름을 사용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둘째 딸 도쿠히메와 결혼하여 두 가문 간의 평화를 도모했다. 성인이 된 후 종5위하(ju-go-i-ge)의 조정 관직과 사쿄다유(Sakyō-dayu) 칭호를 받았다. 이후 우지마사의 가즈사국 침략에 참여했으며, 이 전투가 우지나오의 첫 전투였다.

2. 1. 가독 상속

1562년(에이로쿠 5년), 호조 우지마사의 차남으로 오다와라 성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다케다 신겐의 딸 오바이인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측실 소생이라는 설이 유력하다.[21] 어린 시절 이름은 구니오마루(国王丸)였다.[21]

이마가와 우지자네의 양자가 되어 가독을 상속받아, 장래의 스루가 영유권을 얻었으나, 다케다 신겐의 스루가 침공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1577년(덴쇼 5년) 3월원복(元服)을 마치고, 12월가즈사에서 첫 전투를 치렀다. 이 전투를 통해 사토미 요시히로와 화친하고, 사토미 요시요리에게 우지마사의 딸이 시집을 가면서 사토미 씨와 동맹 관계를 맺게 되었다.

1580년(덴쇼 8년) 9월, 아버지의 은거로 가독을 이어받아 고호조 씨 제5대 당주가 되었다.[22] 이는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으며, 실제로 우지나오는 내정과 가신 통제 권한을 빠르게 이양받았다.

2. 2. 다케다 씨 영토 분쟁 (덴쇼진고의 난)

1582년(덴쇼 10년) 3월, 오다 노부나가의 침공으로 다케다 씨가 멸망하고(다케다 정벌), 가이시나노 등 옛 다케다 영토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다.[4]

6월, 혼노지의 변으로 노부나가가 사망하고, 가이의 가와지리 히데타카가 토호의 잇키로 살해되자, 우지나오는 고즈케를 침공하여 간나가와 전투에서 다키가와 가즈마스를 격파했다. 이후 시나노로 진출하여 사쿠·지사가타군을 지배하에 넣고, 스와로 진군하여 기소 요시마사와 연락을 취해 시나노 중앙부를 제압했다. 8월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군과 가이 와카미코(若神子)에서 대치했다.[1]

'가이는 조부(다케다 신겐)의 옛 영토'라며 영유를 강하게 원했던 우지나오는 도쿠가와 군과 80일간 대치했지만(덴쇼진고의 난), 사나다 마사유키가 이반하고, 호조 우지타다가 가이 구로코마(黒駒)에서 히라이와 지카요시에게 패퇴하자 전선은 교착되었다.

11월 21일, 오다 노부카쓰, 노부타카 형제의 중재로 고즈케는 호조, 가이와 시나노는 도쿠가와가 영유하고, 이에야스의 딸 도쿠히메가 우지나오에게 시집가는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되었다. 1583년(덴쇼 11년) 9월 30일, 도쿠히메가 우지나오에게 시집갔다.[4]

2. 3. 오다와라 전투와 최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간토 지역에 소부지레이를 발령하여 사적인 전투를 금지했으나, 호조 우지나오는 히데요시와의 대립을 피하지 못했다. 1589년(덴쇼 17년) 나구루미 성 탈취 사건을 계기로 히데요시와의 관계가 파탄 났다.[27]

1590년(덴쇼 18년),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이 시작되자, 우지나오는 오다와라 성에서 농성하며 저항했지만, 결국 항복했다. 히데요시는 우지나오의 할복을 통한 장병 구명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호조 우지마사, 호조 우지테루 등에게 할복을 명했다. 우지나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위였기에 목숨을 건져 고야산으로 추방되었다.[25]

1591년(덴쇼 19년), 히데요시로부터 사면받아 도요토미 가문의 다이묘로 부활했으나, 같은 해 12월 19일 천연두로 사망했다. 향년 30세였다. 우지나오 사후, 호조 우지모리가 우지나오의 영지 내 4천 석을 상속하고, 1598년(게이초 3년)에 호조 우지노리(가와치 호조 가문 초대 당주)의 뒤를 이어 1만 1천 석의 다이묘가 되어, 호조 종가는 단절되었지만 분가인 가와치 호조 가문의 제2대 당주 우지모리가 우지나오의 양자로서 가와치 사야마 번의 번주가 되어 가와치 호조 가문은 현대에도 존속하고 있다.

3. 가계

호조 우지마사를 아버지로, 다케다 신겐의 딸 오바이인을 어머니로 하여 1562년에 태어났다. 아명은 구니오마루(国王丸)였다. 형이 요절하여 호조 가문의 후계자가 되었다.

우지나오의 생모에 대해서는 오바이인이라는 설과 측실 소생이라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측실 소생설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21]


  • 오바이인 설: 우지나오가 오바이인의 적자였다면, 1571년 당시 사실상의 장남이었음에도 이마가와 우지자네의 양자가 된 것은 부자연스럽다는 지적이 있다.
  • 측실 소생 설: 다케다 신겐이 딸의 임신 때마다 순산 기도를 한 기록이 1562년에는 없다는 점, 우지나오의 아명인 "고쿠오마루"가 호조 우지야스호조 우지마사의 아명과 계통이 다르고, 이복동생으로 여겨지는 구니마스마루와 공통된 이름을 사용한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된다.


우지나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도쿠히메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

이름생몰년비고
장녀불명요절
차녀1602년 사망이케다 도시타카와 약혼했으나 17세에 병사


3. 1. 호조 가문의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포위전으로 오다와라성이 함락되면서 아버지와 삼촌은 자결을 강요받았지만, 우지나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위였기 때문에 목숨을 건졌다. 우지나오와 그의 아내는 고야산으로 유배되었고, 이듬해 말에 사망했다.[26]

그의 양자인 호조 우지모리는 가와치 국 사야마 번(1만 석)의 초대 다이묘였다.

소운지(早雲寺)의 호조 5대의 묘. 왼쪽 끝이 우지나오(氏直)의 묘.


가나가와현 하코네정의 킨유산 소운지 경내에 남아있는 우지나오를 포함한 호조 5대의 묘소는 에도 시대 간분 12년 (1672년)에 호조 우지노리의 자손이자 사야마 번 호조가 5대 당주인 호조 우지하루가 호조 소운의 기일인 음력 8월 15일에 건립한 공양탑이다.

히로시마시 니시구 타가타의 카이조지(海蔵寺)에 우지나오의 원래 묘소가 현존하고 있으나 진위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26]

4. 평가 및 일화

현재 우지나오가 발행한 문서 중 가독 상속 이전의 것을 포함하여 264통이 확인되었지만, "호조"를 칭한 문서는 단 한 통도 존재하지 않는다(사쿄 다이후 우지나오, 겐쇼사이 우지나오 등으로 서명하고 있다).[27] 우지나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자로서 오다와라 성 개성을 설득한 구로다 요시타카에게 감탄하여, 가보인 닛코 이치몬지 태도, 호조 시라가이 등을 증정했다.[27]

참조

[1] 웹사이트 天正壬午の乱【増補改訂版】─本能寺の変と東国戦国史 https://sengokumap.n[...] Ebisukosyo 2016-05-17
[2] 서적 日本城郭史研究叢書 第8巻 大坂城の諸研究 https://www.kosho.or[...] 名著出版 1982-06-06
[3] harvtxt 1982
[4]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1998
[5] 학술지 天正期北関東政治史の一齣 : 徳川・羽柴両氏との関係を中心に http://repo.komazawa[...] 駒沢史学会 2012
[6] 서적 East Volumes 19-20 https://books.google[...] East Publications. 1983-05-21
[7] 서적 名将言行錄 定本 · Volume 6 https://books.google[...] Shin Jinbutsu Ōraisha 1967-05-15
[8] 서적 寛政重修諸家譜: 第4輯 https://ndlsearch.nd[...] 榮進舍出版部 1917-05-17
[9] 서적 "房相一和"と戦国期東国社会」(佐藤博信 編『中世東国の政治構造 中世東国論:上 http://www.iwata-sho[...] Iwata Shoin 2007-06-06
[10] 서적 家康傳 https://books.google[...] 講談社 1965-05-22
[11] 서적 高遠藩 現代書館 2005-11
[12] 서적 德川家康文書の研究 - Volume 1 https://opac.yokoham[...] 日本學術振興會發行, 丸善發賣 1959-05-20
[13] 서적 戦国人名事典 新人物往来社 1990
[14] 서적 真田信之 : 父の知略に勝った決断力 https://www.book61.c[...] PHP研究所 2016-05-17
[15] 서적 日本古文書学の諸問題 https://books.google[...] 名著出版 1976-05-15
[16] 서적 藤原氏族系図 6 https://www.kosho.or[...] 展望社 1989-05-15
[17] harvtxt 2015
[18] 웹사이트 「天正壬午の乱(1582年)」信長死後、旧武田領は戦国武将たちの草刈り場に! https://sengoku-his.[...] sengoku-his.com 2020-06-11
[19] 문서 실명은 『인부연표』와 도토리시의 정영산묘요사 소장의 초상화에 의한다.
[20] 문서 같은 『인부연표』에서는 이케다 토시타카의 약혼녀라고 하고 있지만, 다른 사료에서는 볼 수 없다.
[21] 학술지 北条氏政正室黄梅院殿と北条氏直 武田史研究会 2019-01
[22] 문서 『전국유문』후호조씨편 - 2197호
[23] 서적 北条氏康の妻 瑞渓院 平凡社
[24] 문서 『특별전 후호조씨와 동국문화』도록 가나가와현립역사박물관 1989
[25] 문서 도요토미 히데요시 촉인장 (가나가와현립역사박물관 소장) 요코하마시역사박물관 1999
[26] 웹사이트 서국가도를 걷다 기이~쿠사쓰 http://www.c-haus.or[...]
[27] 문서 당시의 호조씨는 아버지 우지마사와 숙부 호조 우지테루 등의 강경파가, 우지나오·우지노리 등의 온건파와 대립했다고 여겨지고 있다. 다만 누마타 수취 후의 우지마사는 상락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던 것이 각종 서장으로 분명해지고 있기 때문에, 우지마사가 강경파라고는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우지노리의 상락 직후에 우지마사가 정무에 일절 참견하지 않았던 것이 확인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