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로스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티로스극은 고대 그리스의 연극 형식으로,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축제에서 비극 3부작 이후 공연되었다. 기원은 디오니소스 숭배와 관련된 시골 축제에서 유래되었으며, 사티로스와 실레노스 등 디오니소스의 추종자들을 등장시켜 신화적 내용을 다루었다. 사티로스극은 비극, 희극과 함께 고대 그리스 연극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며, 의상과 무용, 음악 등을 통해 독특한 특징을 나타냈다. 현존하는 사티로스극 작품으로는 에우리피데스의 《키클롭스》가 유일하며, 아이스킬로스와 소포클레스의 단편도 일부 남아있다. 사티로스극은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를 겪었으며, 로마 시대까지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티로스극 - 키클롭스 (사티로스극)
에우리피데스가 《오디세이아》를 바탕으로 쓴 사티로스극 키클롭스는 오디세우스가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히는 이야기와 디오니소스를 숭배하지만 키클롭스의 노예가 된 실레노스와 사티로스들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결합하여, 호메로스의 서사를 재해석하고 당대 아테네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티로스극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고대 그리스 연극의 한 형태 |
기원 | 고대 그리스 |
시기 | 고전기 아테네 |
특징 |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 사티로스를 코러스로 사용 신화적 주제를 다룸 익살과 풍자가 섞인 내용 |
대표 작가 |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
형식 | |
길이 | 비극 3부작 이후 상연되는 짧은 희극 |
구성 | 비극과 유사한 구조 (프롤로그, 파로도스, 에피소드, 스타시몬, 엑소도스) |
언어 | 비극과 유사한 운율 사용, 구어체적 표현과 속어 포함 |
역할 | |
코러스 | 사티로스 (반인반수의 신화적 존재)로 구성, 익살스러운 춤과 노래 담당 |
등장인물 | 신화 속 영웅, 신, 인간, 사티로스 등 |
목적 | |
기능 | 비극 3부작 상연 후 긴장을 완화시키고 즐거움을 제공 |
주제 | 신화적 이야기를 익살스럽고 풍자적으로 재해석, 인간의 본능과 욕망을 드러냄 |
영향 | |
영향 | 현대 코미디, 풍자극, 버라이어티 쇼 등에 영향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Satyr playOxford Reference Satyr Play브리태니커 백과사전 Satyr playTheatreHistory.com |
2. 기원
사티로스극은 공연 문화 및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고대 시골 축제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비극만큼 중요하게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극예술사에서 그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고전 아테네의 디오니시아 축제는 디오니소스에게 헌정되었으며, 각 극작가는 세 편의 비극과 마지막에 공연되는 사티로스극을 제출해야 했다.
2. 1. 초기 발전
사티로스극의 기원은 공연 문화의 기원과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고대 시골 축제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러시 렘은 이것이 "농업의 주기, 즉 심고 수확하는 과정"을 시작했으며, 이는 "생명을 주면서도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본질을 나타내는 디오니소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4] 사티로스극은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비극만큼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극예술사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5] 고전 아테네의 디오니시아에서 열리는 극적 축제는 디오니소스에게 헌정되었으며, 각 경쟁 극작가들은 세 편의 비극과 축제에서 마지막으로 공연되는 사티로스극을 제출해야 했다.[6]사티로스극의 정확한 등장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오스카 브로켓은 대부분의 증거가 "기원전 501년 이전에 프라티나스가 이 형식을 발명한 것으로 본다"고 주장하며,[7] 이는 5세기에 사티로스극이 ''tragike didaskalia''의 필수 요소로 여겨졌다는 P. E. Easterling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브로켓은 또한 사티로스극이 비극과 희극이 점차적으로 등장한 최초의 극 형태였을 가능성을 제시한다.[7]
그러나 아서 엘람 헤이그는 사티로스극이 "바쿠스 숭배의 원시 시대"에서 살아남은 것이라고 주장했다.[9] 헤이그는 디오니시아에 기록된 항목의 몇 가지 예를 나열한다. 예를 들어, 기원전 472년 아이스킬로스는 ''Phineaus'', ''페르시아인'', ''Glaucus'' 및 사티로스극 ''프로메테우스''로 1등상을 수상했다. 에우리피데스의 출품작 중 헤이그는 ''테리스타이''(기원전 431년), ''시시포스''(기원전 415년) 및 에우리피데스가 전통적인 사티로스극을 대체할 수 있도록 허용된 ''알케스티스''를 강조했다.[10] 사티로스극과 그 역사에 관한 대부분의 증거와 정보는 화병 그림을 통해 발견되었다.[3]
사티로스의 신화적 기원은 헬레니즘 문화에 디오니소스가 등장하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티로스와 그 여성 상대인 마이나데스는 디오니소스의 추종자였으며, "올림푸스에 늦게 도착했고 아마도 아시아 기원"이었다.[11] 로저 란셀린 그린에 따르면, 사티로스는 아마도 사소한 자연 신에서 시작되었고, 그들의 지도자인 실레노스는 샘과 분수를 만드는 물의 정령으로 시작되었다. 실레노스는 사티로스가 신의 추종에 합류했을 때 이미 디오니소스의 시중을 들었고, 이후 그들의 아버지로 선포되었다.[13] 사티로스는 비도덕성, 과도한 음주, 전통적 가치와 장벽의 파괴로 특징지어졌다.[12] 에릭 크사포와 마가렛 C. 밀러는 사티로스가 음악과 춤과 강한 관련이 있으며 그들을 "전형적인 음악가이자 댄서"로 간주하여[14] 디오니소스 행렬과 공연 문화의 기원과 연결한다.[15]
대 디오니시아는 기원전 4세기의 중반쯤 변화를 겪었다. 이 변화는 연극이 공연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연극은 더 이상 경쟁/경연 형식으로 공연되지 않았다. 사티로스극은 이제 디오니소스 축제 밖에서 공연되었으며 다른 연극 사이에서 심판을 받지 않았다. 사티로스극과 희극은 기원전 430년대에 극장 커뮤니티 내에서 더 중요해졌다. 이러한 새로운 유행은 모리키데스가 무대에서의 싸움과 관련된 활동을 금지하기 시작한 후에 나타났다. 사티로스극은 다른 형태의 공연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중기 희극이다. 희극의 이 기간은 신들과 영웅들의 굴욕을 가져왔는데, 이는 이 인물들을 다양한 공연 내에서 가내화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중기 희극은 사티로스극의 많은 요소를 채택했지만, 그 당시 대중이 원하는 대로 공연을 각색했다. 이 연극들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까지 공연되었다고 한다.[16]
2. 2. 신화적 배경
사티로스의 신화적 기원은 헬레니즘 문화에 디오니소스가 등장하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티로스와 그 여성 상대인 마이나데스는 디오니소스의 추종자였으며, "올림푸스에 늦게 도착했고 아마도 아시아 기원"이었다.[11] 로저 란셀린 그린에 따르면, 사티로스는 아마도 사소한 자연 신에서 시작되었고, 그들의 지도자인 실레노스는 샘과 분수를 만드는 물의 정령이었다.[12] 실레노스는 사티로스가 신의 추종에 합류했을 때 이미 디오니소스를 시중들고 있었고, 이후 그들의 아버지로 선포되었다.[13] 사티로스는 비도덕성, 과도한 음주, 전통적 가치와 장벽의 파괴로 특징지어졌다.[12] 에릭 크사포와 마가렛 C. 밀러는 사티로스가 음악과 춤과 강한 관련이 있으며 그들을 "전형적인 음악가이자 댄서"로 간주하여[14] 디오니소스 행렬과 공연 문화의 기원과 연결한다.[15]
3. 특징
사티로스극의 합창단원은 바카스 전통에 따라 가면을 착용했다.[20] 초기에는 반인반수 염소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나, 이후에는 말의 신이었던 실레노스와 유사한 모습으로 변화하였다.[21][22]
3. 1. 복장
합창단원은 바쿠스(디오니소스) 전통에 따라 가면을 착용했다.[20] 가장 초기의 신뢰할 만한 증거는 기원전 5세기의 판도라 화병에서 제공된다. 그 화병에서 사티로스는 반은 인간, 반은 염소로 묘사되며, 머리에는 염소 뿔을 쓰고 있는데, 이는 도리스 형의 염소 신을 나타낸다.[21]이후의 표현은 나폴리에서 발견된 프로노모스 화병에서 볼 수 있다. 염소 요소는 사라지고 사티로스는 말 신이었던 오래된 이오니아 실레노스와 닮았다. 공연자들은 말꼬리를 착용하고, 디오니소스 숭배의 상징인 부착된 남근이 달린 짧은 바지를 입고 있다.[22] 헤이그는 도리스 사티로스가 아티카 비극과 풍자극의 원조 공연자였고, 이오니아 요소는 나중에 도입되었다고 주장한다.[22]
4. 현존하는 작품
현재까지 전체가 남아있는 유일한 사티로스극은 에우리피데스의 《키클롭스》이다. 오디세이아 9권에 나오는 오디세우스와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의 만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아이스킬로스의 《그물 고기잡이꾼》(Dictyulci), 소포클레스의 《추적자들》(Ichneutae)등은 단편만 남아있다.[17][18] 그 외 다른 사티로스극의 작은 단편들도 존재하지만, 대부분 완전히 사라졌다.[19]
4. 1. 단편들

전체로 남아있는 유일한 사티로스극은 에우리피데스의 《키클롭스》로, 오디세이아 9권에 나오는 오디세우스와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의 만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아이스킬로스는 사티로스극으로 유명했는데,[17] 그의 작품 중 가장 큰 단편은 아기 페르세우스가 어머니 다나에와 함께 해안가로 떠내려와 실레노스와 사티로스들에게 발견되는 내용을 담은 《그물 고기잡이꾼》(Dictyulci)이다. 소포클레스의 사티로스극 《추적자들》(Ichneutae)의 대형 단편도 남아있는데, 여기에서 사티로스들은 아폴론의 명령을 받아 훔쳐간 소를 추적하고 아기 헤르메스를 찾아낸다. 다른 사티로스극의 작은 단편들도 존재하며, 이 장르는 기원후 2세기까지도 쓰이고 공연되었지만, 대부분 완전히 사라졌다.[18] 심지어 사티로스극에서 사용된 음악의 단편도 남아있다.[19]
참조
[1]
서적
Satyric Play; The Evolution of Greek Comedy and Satyr Drama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Greek Satyr Play; Five Studies
California
[3]
논문
Satyric Play. The Evolution of Greek Comedy and Satyr Drama
[4]
서적
[5]
논문
Slaves of Dionysos: Satyrs, Audience, and the Ends of Oresteia
2002-10-01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논문
Ritual or Playful? On the Foundations of European Drama
[17]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18]
서적
[19]
문서
Oxyrhynchus papyrus 2436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全集10
岩波
[2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2023-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