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아그라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티아그라하는 1906년 마하트마 간디가 창안한 비폭력 저항 철학으로, 진리를 굳게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소극적 저항을 넘어, 진실, 사랑, 비폭력에서 나오는 힘을 의미하며, 불의에 맞서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사티아그라하는 간디의 시민 불복종 운동의 핵심 원리였으며, 비폭력, 진실, 무소유 등의 원칙을 강조한다. 간디는 사티아그라하를 통해 바르돌리, 소금 행진 등 다양한 운동을 이끌었으며, 마틴 루터 킹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사티아그라하는 수단과 목적의 일치를 강조하며, 두라그라하(힘으로 굳게 지킴)와는 대조된다.
'사티아그라하'라는 용어는 19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행되던 신문 ''인디언 오피니언''의 공모전을 통해 만들어졌다.[2] 마하트마 간디의 삼촌의 손자인 마간랄 간디가 '사다그라하'라는 단어를 제안하여 상을 받았고, 이후 간디는 이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티아그라하'로 수정했다.[29]
सत्याग्रह|사티아그라하sa는 "진리"를 뜻하는 "사티야(satya)"와 "주장" 또는 "견지"를 뜻하는 "아그라하(āgrah(a))"라는 산스크리트어 및 구자라트어 개념으로 구성된다.[33] 간디는 이 단어를 통해 "진리의 견지"라는 내면적 관점과 "진리의 주장"이라는 실천적 관점을 동시에 표현하고자 했다.[33] 이는 비폭력에 대한 간디의 신념을 보여주는 핵심 개념이다.
사티아그라하는 단순한 정치적 전술이 아니라, 정의를 추구하고 사회 변화를 이루기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이다. 간디는 남아프리카와 인도에서 사티아그라하를 통해 억압적인 법과 제도에 맞서 싸웠다.
2. 용어의 기원 및 의미
'사티아그라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인 '사트야'(''satya'': "진실")와 '아그라하'(''āgrah(a)'': "굳게 붙잡음", "공손한 주장")의 복합어이다.[2] '사트야'는 "존재"를 의미하는 "sat"에서 파생되었으며, 진리 외에는 어떤 것도 실재하지 않으며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티아그라하의 맥락에서 진리는 a) 거짓과 반대되는 말의 진실, b) 존재하지 않는 것(asat)과 반대되는 실제에 대한 지식, c) 악이나 나쁜 것과 반대되는 선을 포함한다.[6]
'아그라하'는 일반적으로 "주장"이나 "간청"을 의미하지만, 간디는 이 단어를 "견지/고집해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간디의 사티아그라하에서 "진리의 견지"라는 내면적 관점과 "진리의 주장"이라는 실천적 관점이 결합된 것임을 보여준다.[33]
3. 간디의 사상
간디는 19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행되던 Indian Opinion영어 신문의 공모를 통해 "사티아그라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9] 처음에는 간디의 친척이 제안한 "사다그라하"라는 단어가 채택되었으나, 간디는 이를 보다 명확하게 다듬어 "사티아그라하"로 변경했다.[29]
간디는 "사티아그라하"가 단순한 "수동적 저항"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했다.[34] 그는 "진리(사티야)는 사랑(비폭력)을 암시하며, [진리의] 견지·주장(아그라하)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진리'는 '힘'의 유의어로서의 기능을 가진다."라고 설명하며, 인도 독립 운동을 "사티아그라하"라고 부르게 된 이유를 밝혔다.[35]
또한 간디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시민 불복종" 개념이 자신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남아프리카에서의 저항 운동이 소로우의 에세이를 접하기 전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시민 불복종"이라는 용어는 인도 독립 투쟁의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시민 저항"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고 밝혔다.[36]
간디는 사티아그라하를 "사랑의 힘, 또는 영혼의 힘"이라고도 칭하며, "진리의 탐구는 적대자에게 해를 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적대자는 인내와 배려를 통해 과오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37] 즉, 스스로에게 고난을 가함으로써 진리를 증명하는 것이 사티아그라하의 핵심 교리이다.[37]
3. 1. 사트야그라하의 원칙
간디는 사바르마티 아쉬람을 설립하여 사티아그라하를 가르쳤다. 그는 ''사티아그라히''들에게 다음 원칙을 따르도록 요청했다.[51]
다른 자리에서 간디는 "인도의 사티아그라히의 본질"로서 다음 7가지 규칙을 제시했다.
Non-possession영어는 무소유로 번역했다.
Khadi영어는 링크가 깨져 수정하였다.
3. 2. 사트야그라하 운동의 규칙
간디는 저항 운동에서 '사티아그라히'가 따라야 할 일련의 규칙을 제안했다.[19]
간디는 시민 불복종을 포함한 대규모 정치 투쟁에서 사티아그라하를 실천하는 자(사티아그라히)들은 규율을 유지하기 위한 훈련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간디는 "사람들이 가능한 한 그 나라의 법을 따름으로써 적극적인 충성심을 보여줄 수 있을 때에만 그들은 (악법에 대해) 시민 불복종을 실천할 권리를 갖는다[48]"고 말한다.
그는 사티아그라히가 지켜야 할 규칙을 추가로 제시했다.
이러한 법에 대한 복종은 마지못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간디는 "양심적인 남자라면 설령 법이 도둑질을 금지하고 있든 아니든, 갑자기 도둑질을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한편 이 남자는 자전거를 타고 밤길을 갈 때 헤드라이트를 준비해야 한다는 법을 어겼더라도 자책감을 느끼지는 않을 것이다. (중략) 그래도 그는 자신에게 부과된 이와 같은 종류의 규칙은 지킬 것이다. 즉, 규칙을 어기는 것으로 인해 직면하게 될 소송이라는 귀찮음을 피하고 싶다는 생각에서 이러한 규칙을 지킬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법 준수는 사티아그라히에게 요구되는 자발적인 법 준수라고 부를 수 없다[49]."라고 설명한다.
간디는 저항 운동 과정에서 사티아그라히에게 다음 규칙을 지킬 것을 추가로 제안했다.[45]3. 3. 소극적 저항과의 차이
간디는 사티아그라하와 소극적 저항을 명확히 구분했다. 그는 사티아그라하 교리가 발전하면서 "소극적 저항"이라는 표현이 더 이상 동의어가 될 수 없다고 보았다.[11] 소극적 저항은 서프러제트처럼 폭력을 허용하고 약자의 무기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11] 또한, 소극적 저항은 모든 상황에서 진리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11]
반면 사티아그라하는 강자의 무기이며,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을 허용하지 않고, 항상 진실을 고수한다.[11] 간디는 이 세 가지 차이점을 강조했다.[11]
3. 4. 아힘사(비폭력)와의 관계
아힘사와 사티아그라하는 밀접하게 얽혀 있어 분리하기 어렵다. 간디는 아힘사를 수단, 진리를 목적으로 보았다. 수단이 항상 우리 손이 닿는 곳에 있어야 하므로 아힘사는 사티아그라히의 지고한 의무이다.[12]
3. 5. 수단과 목적
사티아그라하 이론에서 수단과 목적은 뗄 수 없는 관계이며,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은 그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불의한 수단을 사용하여 정의를 얻거나 폭력을 사용하여 평화를 얻는 것은 모순이다. 간디는 "수단이 곧 목적이다"라고 강조했다.[15] 수단과 목적을 분리하는 것은 간디의 비이원론적(Advaitic) 개념에 이원성과 모순을 도입하는 것과 같다.[16]
간디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들었다. "만약 당신의 시계를 빼앗고 싶다면, 나는 그것을 위해 싸워야 할 것입니다. 당신의 시계를 사고 싶다면, 나는 그 값을 지불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선물을 원한다면, 나는 그것을 간청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내가 사용하는 수단에 따라, 그 시계는 훔친 재산이 되거나, 내 소유가 되거나, 기증된 것이 됩니다."[17]
간디는 불의에 맞서 싸울 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을 거부했다. 폭력적이고 강압적이며 불의한 수단을 사용한다면, 당신이 만들어내는 어떤 목적이라도 필연적으로 그 불의를 내포하게 된다.[18]
3. 6. 두라그라하와의 대비
간디는 사티아그라하(진실을 굳게 지킴)를 "두라그라하"(힘으로 굳게 지킴)와 대조했는데, 두라그라하는 상대를 계몽하기보다는 괴롭히기 위한 항의와 같다.[20] 그는 "조급함, 야만성, 무례함, 과도한 압력은 없어야 한다. 진정한 민주주의 정신을 함양하려면, 관용이 부족해서는 안 된다. 불관용은 자신의 대의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다는 것을 드러낸다."라고 적었다.[20]
사티아그라하는 적대자를 해치지 않고 적대감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적대자와의 관계를 끝내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수준으로 "정화"하려는 것이다.[19] 사티아그라하는 "침묵의 힘" 또는 "영혼의 힘"이라고도 불리며,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에서 사용하기도 했다.[19]
4. 사트야그라하의 적용과 영향
간디는 사티아그라히가 되기 위해서는 엄격한 규율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이 국가의 많은 법을 준수함으로써 적극적인 충성을 증명해야 시민 불복종의 권리를 얻는다"고 말했다.[22] 즉, 평소에는 법을 잘 지키는 시민만이 불의에 맞서 시민 불복종을 할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티아그라히는 국가의 법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복종하며, 불편하더라도 참고 견뎌야 한다. 또한 고통, 재산 손실, 가족과 친구들에게 가해질 수 있는 고통까지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22] 이러한 복종은 마지못해 하는 것이 아니라,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자발적인 것이어야 한다.
간디의 사티아그라하 사상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킹 목사는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 특히 소금 행진에 감명을 받아 미국의 시민권 운동에 사티아그라하를 적용했다.[24][52]
간디는 나치의 유대인 박해에 맞서 사티아그라하를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유대인들이 추방이나 차별에 굴복하지 않고 시민 불복종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히틀러의 폭력에 의한 대량 학살조차도 감사와 기쁨의 날로 바뀔 수 있다고 믿었다.[25] 이러한 간디의 주장은 비판을 받았지만, 그는 마음의 폭력을 포기하고 적극적으로 힘을 행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인도 침공 가능성에 대비하여, 간디는 국가 방어 수단으로도 사티아그라하를 권장했다. 그는 순수한 비폭력적 불복종을 통해 일본의 무기를 무력화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수백만 명의 생명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이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27]
4. 1. 간디의 주요 사트야그라하 운동
간디는 대규모 정치 투쟁에서 시민 불복종을 포함하는 사티아그라하를 적용할 때, 사티아그라히들이 규율을 갖추도록 훈련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사람들이 국가의 많은 법을 준수함으로써 적극적인 충성을 증명해야 시민 불복종의 권리를 얻는다"고 썼다.[22]
따라서 그는 사티아그라히들의 규율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이러한 복종은 마지못해 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해야 한다.
간디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an honest, respectable man will not suddenly take to stealing whether there is a law against stealing or not, but this very man will not feel any remorse for failure to observe the rule about carrying headlights on bicycles after dark.... But he would observe any obligatory rule of this kind, if only to escape the inconvenience of being prosecuted for a breach of the rule. But such compliance is not the willing and spontaneous obedience that is required of a Satyagrahi.|...정직하고 존경할 만한 사람은 절도 금지법이 있든 없든 갑자기 절도를 하지 않겠지만, 바로 이 사람은 자전거에 야간에 헤드라이트를 켜고 다니라는 규칙을 지키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아무런 죄책감도 느끼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규칙 위반으로 기소되는 불편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이와 같은 의무적인 규칙을 준수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준수는 사티아그라히에게 요구되는 자발적이고 자발적인 복종은 아니다.영어[23]
4. 2. 미국의 시민권 운동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간디의 사티아그라하에 영향을 받아 미국의 시민권 운동을 전개했다.[24] 킹 목사는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 특히 소금 행진에 감명을 받았다. 킹 목사는 사티아그라하를 사회 개혁의 방법으로 보았다.[52]
4. 3. 대량 학살에 대한 사티아그라하
나치 치하의 유대인 박해에 대해, 간디는 억압과 대량 학살에 맞서는 방법으로 사티아그라하를 제시했다. 그는 자신이 독일에서 태어난 유대인이라면, 독일을 고향이라 주장하며 추방이나 차별에 굴복하지 않고 시민 불복종을 실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유대인들이 동참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행동할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간디는 자발적으로 고통을 겪는 것이 내면의 힘과 기쁨을 가져다줄 것이며, 히틀러의 폭력에 의한 대량 학살조차도 감사와 기쁨의 날로 바뀔 수 있다고 주장했다.[25]
이러한 간디의 주장은 비판을 받았는데, 그는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이라는 글에서 유대인들에게 비폭력을 제시한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자신이 요구한 것은 마음의 폭력을 포기하고 적극적으로 힘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인도 침공 가능성에 대비하여, 간디는 국가 방어 수단으로 사티아그라하를 권장했다. 그는 순수한 비폭력적 불복종을 통해 일본의 무기를 무력화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수백만 명의 생명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이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인도가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27]
5. 사트야그라하에 대한 평가
사티아그라하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복잡하다. 주디스 브라운은 "이는 정치적 전략이자 기술이며, 그 결과는 역사적 특수성에 크게 좌우된다"고 말했다.[13] 간디는 모든 갈등에서 목표가 상대를 물리치거나 좌절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사티아그라하에서 "사티아그라히의 목적은 잘못을 저지르는 자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시키는 것이다."[14] 협력을 위해서는 적어도 정당한 목표를 방해하는 것을 멈출 정도로 적을 변화시켜야 한다. 물론 독재자와 같은 적을 몰아내야 하고 그를 변화시킬 시간을 기다릴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사티아그라히는 이것을 부분적인 성공으로 간주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ruth (satya) implies love, and firmness (agraha) engenders and therefore serves as a synonym for force. I thus began to call the Indian movement Satyagraha, that the is to say, the Force which is born of Truth and Love or nonviolence, peace, and gave up the use of the phrase 'passive resistance', in connection with it, so much so that even in English writing we often avoided it and used instead the word 'satyagraha' itself or some other equivalent English phrase.
http://www.gandhifou[...]
[2]
서적
Gandhi's pilgrimage of faith: from darkness to li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3]
문서
satyagraha
[4]
웹사이트
Gandhi’s ''satyagraha'' became a major tool in the Indian struggle against British imperialism and has since been adopted by protest groups in other countries.
http://www.britannic[...]
2010-09-14
[5]
웹사이트
"In this respect ''Satyagraha'' or non-violent resistance, as conceived by Gandhi, has an important lesson for pacifists and war-resisters of the West. Western pacifists have so far proved ineffective because they have thought that war can be resisted by mere propaganda, conscientious objection, and organization for settling disputes."
https://www.questia.[...]
2010-09-14
[6]
문서
The Nonviolence Handbook: A Guide for Practical Action
[7]
서적
99 Tactics of Successful Tax Resistance Campaigns
Picket Line Press
[8]
문서
Satyagraha in South Africa
Navajivan, Ahmedabad
[9]
문서
letter to [[P. Kodanda Rao]]
http://www.gandhiser[...]
Collected Works of Mahatma Gandhi
1935-09-10
[10]
문서
Statement to Disorders Inquiry Committee
The Collected Works of Mahatma Gandhi
1920-01-05
[11]
문서
Letter to Mr. –
The Collected Works of Mahatma Gandhi
1920-01-25
[12]
서적
Non-violent Resistance (Satyagraha)
Dover
[13]
서적
Gandhi and Civil Resistance in India, 1917–47: Key Issu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Requisite Qualifications
Harijan
1939-03-25
[15]
서적
All men are brothers : life and thoughts of Mahatma Gandhi as told in his own words
https://www.mkgandhi[...]
Navajivan Publishing House
2020-12-11
[16]
서적
Being Truthful to Reality. Grounds of Nonviolence in Ascetic and Mystical Traditions
Routledge / Taylor & Francis, Londres & New York
[17]
서적
Hind Swaraj or Indian Home Rule
https://www.mkgandhi[...]
Navajivan Publishing House
2020-12-11
[18]
서적
Voice of Truth (Selected Works of Mahatma Gandhi: Volume V)
https://www.gandhias[...]
Navajivan Trust
2020-12-11
[19]
간행물
Some Rules of Satyagraha
Young India (Navajivan)
1930-02-23
[20]
웹사이트
Power of Satyagraha
http://www.mkgandhi.[...]
Ahemadabad, India
[21]
간행물
The Law of Suffering
Young India
1920-06-16
[22]
간행물
Pre-requisites for Satyagraha
Young India
1925-08-01
[23]
서적
A Himalayan Miscalculation
[24]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25]
간행물
The Jews
Harijan
1938-11-26
[26]
간행물
Some Questions Answered
Harijan
1938-12-17
[27]
간행물
Non-violent Non-cooperation
Harijan
1942-05-24
[28]
서적
公私を架橋する身体のポリティクス―ガーンディーのブラフマチャリヤの実験とサッティヤーグラハ闘争の誕生―
https://cir.nii.ac.j[...]
[29]
서적
Gandhi's pilgrimage of faith: from darkness to li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30]
서적
ガンディーの真実―非暴力思想とは何か―
https://www.chikumas[...]
[31]
웹사이트
Gandhi’s satyagraha became a major tool in the Indian struggle against British imperialism and has since been adopted by protest groups in other countries.
http://www.britannic[...]
2010-09-14
[32]
웹사이트
"In this respect Satyagraha or non-violent resistance, as conceived by Gandhiji, has an important lesson for pacifists and war-resisters of the West. Western pacifists have so far proved ineffective because they have thought that war can be resisted by mere propaganda, conscientious objection, and organization for settling disputes."
http://www.questia.c[...]
2010-09-14
[33]
서적
公私を架橋する身体のポリティクス―ガーンディーのブラフマチャリヤの実験とサッティヤーグラハ闘争の誕生―
https://cir.nii.ac.j[...]
[34]
서적
99 Tactics of Successful Tax Resistance Campaigns
Picket Line Press
[35]
문서
Satyagraha in South Africa
Navajivan, Ahmedabad
[36]
간행물
letter to P. Kodanda Rao
http://www.gandhiser[...]
1935-09-10
[37]
간행물
Statement to Disorders Inquiry Committee
1920-01-05
[38]
간행물
“Letter to Mr. ——”
1920-01-25
[39]
서적
Non-violent Resistance (Satyagraha)
Dover
2001
[40]
서적
"Gandhi and Civil Resistance in India, 1917–47: Key Issu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1]
간행물
“Requisite Qualifications”
1939-03-25
[42]
서적
The Mind of Mahatma Gandhi
http://www.mkgandhi.[...]
Ahemadabad, India
1967
[43]
간행물
“Brute Force”
1909
[44]
서적
The Mind of Mahatma Gandhi
http://www.mkgandhi.[...]
Ahemadabad, India
1967
[45]
간행물
“Some Rules of Satyagraha”
1930-02-23
[46]
서적
The Mind of Mahatma Gandhi
http://www.mkgandhi.[...]
Ahemadabad, India
1967
[47]
간행물
“The Law of Suffering”
1920-06-16
[48]
간행물
“Pre-requisites for Satyagraha”
1925-08-01
[49]
서적
“A Himalayan Miscalculation”
[50]
간행물
“The Theory and Practice of Satyagraha”
1914
[51]
서적
Non-violent Resistance (Satyagraha)
1961
[52]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1998
[53]
간행물
“The Jews”
1938-11-26
[54]
간행물
“Some Questions Answered”
1938-12-17
[55]
간행물
“Non-violent Non-cooperation”
1942-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