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트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트야(Satya)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윤리적 개념으로, 생각, 말, 행동의 진실성과 일관성을 의미한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지며, 각 종교의 가르침 속에서 진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힌두교에서는 브라만으로 가는 수단으로, 불교에서는 사성제의 핵심으로, 자이나교에서는 다섯 가지 서약 중 하나로, 시크교에서는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여겨진다.
산스크리트어 '사트야(Satya, सत्य|사트야sa)'는 '존재하다'라는 의미의 어근 'sat'에서 파생되었다.[2] 베다와 이후 수트라에서 '사트야'는 생각, 말, 행동에서 현실에 대한 진실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윤리적 개념이자 중요한 덕목으로 발전했다.[2][4]
사트야sa는 베다에서 핵심적인 주제로, 질서, 규칙, 본성, 균형, 조화를 의미하는 리타sa(Ṛta, ऋतंsa)와 동일시된다.[11][12] 리그베다에서 리타와 사트야에 반대되는 것은 안리타sa(anrita)와 아사트야sa(asatya, 거짓)이다.[11]
사트야(satyasa)는 팔리어로 사짜(saccapi)라고 하며, '현실' 또는 '진리'로 번역된다. 사성제( ariyasaccapi)와 관련하여, 팔리어로는 사짜(saccapi), 타타(tathapi), 아난나타타(anannatathapi), 그리고 담마(dhammapi)로 표기될 수 있다.
2. 어원 및 의미
'사트야'는 다양한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어원 동족어를 갖는다. 영어의 "sooth"(진실), "sin"(죄), 러시아어 "istina"(истина|이스티나ru), 덴마크어 "sand"(진실한), 스웨덴어 "sann", 아베스타어 "haithya"(haithya|하이탸ae) 등이 이에 해당한다.[5]
사트야는 고대 베다 종교의 핵심 주제였다. 사트야는 질서, 규칙, 본성, 균형, 조화인 르타(ऋतं|ṛtaṃ|르탐sa)와 동일시되었으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11][12] 르타는 사트야에서 비롯되며, 우주와 그 안의 모든 것의 작동을 규제하고 가능하게 한다.[13] 사트야는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이것 없이는 우주와 현실이 무너지고 기능할 수 없다.[13] 리그베다에서 리타와 사트야에 반대되는 것은 안리타(anrita)와 아사트야(asatya, 거짓)이다.[11] 진실과 진실성은 신에 대한 경외심의 한 형태로 여겨지는 반면, 거짓은 죄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 사트야는 리그베다 1, 4, 6, 7, 9, 10권에서 사실적이고, 현실적이며, 진실하고, 르타에 경외심을 갖는 행동과 언어를 포함한다.[14]
2. 1. Sat (सत्)
'''सत्|Satsa'''(सत्|사트sa)는 sattva|사트바sa(순수하고 진실한)와 satya|사트야sa(진리)와 같은 많은 산스크리트어 단어와 개념의 근원이다. 산스크리트어 어근 sat|사트sa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의미 또는 번역을 가지고 있다.[6][7]
# "절대적 실재"
# "사실"
# "브라만"(브라민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변하지 않는 것"
# "왜곡이 없는 것"
# "시간, 공간, 개인의 구분이 없는 것"
# "모든 항구성을 가지고 우주에 스며드는 것"
Sat|사트sa는 고대 인도 문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두사이며 좋고, 진실하고, 진짜이고, 덕이 있고, 존재하고, 일어나고, 현실이고, 존재하고, 지속되고, 영원하고, 본질적인 것을 다양하게 의미한다. 예를 들어, sat-sastra|사트-샤스트라sa는 참된 교리를 의미하고, sat-van|사트-반sa는 진실에 헌신하는 사람을 의미한다.[8][6] 고대 텍스트에서 Sat|사트sa을 기반으로 한 융합 단어는 "보편적 영, 보편적 원리, 존재, 세계의 영혼, 브라만"을 나타낸다.[9][10]
sat|사트sa의 부정은 asat|아사트sa인데, 이는 망상, 왜곡된 것, 진실이 아닌 것, 잘못되고 무효하고 거짓된 덧없는 인상을 의미한다. sat|사트sa과 asat|아사트sa의 개념은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1.3.28)에 나오는 파바마나 만트라에서 유명하게 표현된다.
Sat|사트sa는 sat-chit-ananda|사트-치트-아난다sa에 묘사된 브라만의 세 가지 특성 중 하나이다.[10] '진리'인 sat|사트sa과 궁극적 실재인 Brahman|브라만sa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은 힌두교 우주론에서도 표현되며, 여기서 사트얄로카는 힌두교 우주론의 최고 천국으로서 Brahman|브라만sa의 거처이다.
3. 힌두교
우파니샤드에서는 사트야가 브라만(존재, 참된 자아)으로 가는 수단이라고 불린다.[15][16]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 1.4.14에서는 "사트야"(진실)가 다르마(도덕, 윤리, 의의 법칙)와 동일시된다.[17] 타이티리야 우파니샤드 11.11에서는 "사트야(진실)를 말하고, 다르마(도덕, 윤리, 법)에 따라 행동하라"고 말한다.[18][17] 문다카 우파니샤드 3.1.6에서는 "진실만이 승리하고, 거짓은 아니다(सत्यमेव जयते नानृतं|사트야메바 자야테 나안리탐sa)"라고 말한다.[19] 이 구절은 현재 인도의 국장(國章)에 새겨진 표어이기도 하다.
마하바라타에서도 사트야는 기본적인 덕목으로 강조된다.[28]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서 사트야는 야마(Yama, 요가의 8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의 다섯 가지 덕목 중 하나로, 거짓으로부터의 자제를 의미한다.[3][30]
4. 불교
'사성제'(ariya-saccapi)는 불교의 전체 가르침을 가장 간결하게 요약한 것이다.[35] 사성제 (사제)는 불교에서 설하는 4가지 진리이며, 불교의 실천적 원리이다.[38] 이는 4가지의 성(ārya, ariya)스러운 제(satya, sacca), 즉 절대적 진리를 정리한 것이다.[38]
4가지를 통틀어 고집멸도(苦集滅道)라고 부른다.[38]
이체(二諦)[39]란, 불교에서 진제(真諦)와 속제(俗諦)를 이르는 말이다.[40] 진제는 승의제(勝義諦) 또는 제일의제(第一義諦)라고도 하며, 출세간적인 진리를 가리킨다.[40] 속제는 세속제(世俗諦) 또는 세제(世諦)라고도 하며, 세간적인 진리를 가리킨다. 진제 및 속제의 의미는 여러 경론에서 다양하게 해석된다.[40]
이체는 부파불교 시대부터 사용된 용어이며,[41] 세속제와 승의제를 이체로 하는 기술이 부파의 논장(비담부(毘曇部))에서 나타나지만,[42] 해석에는 여러 설이 있다. 삼론종의 길장(吉蔵)은 이체에 14가지 다른 설이 있다고 하였다.[40]
승의제는 한역 불교에서는 제일의제와 번역되거나, 진제와 동의어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다.[43] 다만, 이제설은 중관파 등의 주장이며,[44], 천태종에서의 제일의제는 삼제설 중의 중제를 가리키며, 중도 제일의제라고 하여 구별한다.[45]
세속제(世俗諦)·승의제(勝義諦)의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이제(二諦)에 중제(中諦)를 더한 천태(天台)의 가르침은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구분하여 삼제(三諦)를 통해 삼제원융(三諦円融), 일심삼관(一心三観)의 조화를 도모하는 가르침을 확립했다.
5. 자이나교
자이나교에서 마하비라가 설파한[32] 다섯 가지 서약 중 하나는 Satya|사트야sa이다. 자이나교에서는 거짓말을 하거나 칭찬할 만하지 않은 말을 하지 않는 것을 Satya|사트야sa라고 한다.[33] 거짓의 근본 원인은 열정이며, 따라서 hiṃsā|해sa를 유발한다고 한다.
자이나교 경전 ''사르바르타시디''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살아있는 존재에게 고통과 고난을 야기하는 것은 그것이 실제 사실을 언급하든 그렇지 않든 칭찬할 만하지 않다."[34]
자이나교 경전 ''푸루샤르타시디유파야''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모든 하위 구분 (해, 거짓, 도둑질, 부정한 행위, 집착)은 hiṃsā|해sa이며, 이러한 것에 탐닉하는 것은 영혼의 순수한 본성을 더럽힌다. 거짓 등은 제자가 예를 통해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로 언급되었다." (42)
6. 시크교
시크교의 경전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진실을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하며, 거짓된 삶은 고통을 초래한다고 가르친다.[36] 시크교에서는 삿(진실)을 포함한 다섯 가지 덕목 (진실, 만족, 연민, 겸손, 사랑)을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진실의 자산이 없는 자는 어찌 평화를 찾을 수 있으랴?"라고 말하며, "거짓된 거래를 하면 마음과 몸이 거짓이 된다."라고 경고한다. 또한 "덫에 걸린 사슴처럼, 그들은 끔찍한 고통 속에서 고통을 받으며 끊임없이 울부짖는다."라고 묘사하며 거짓의 결과를 경고한다.
"구르무크들은 거짓을 좋아하지 않으며, 진실을 품고 오직 진실만을 사랑한다."라는 구절은 진실을 따르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36]
7. 같이 보기
- 사트야메바 자야테
인도 국장의 모토는 '진실만이 승리한다'라는 뜻의 사트야메바 자야테이다.
참조
[1]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Asian Educational Services
[1]
서적
Encyclopedia of Science and Religion
https://archive.org/[...]
Thomson Gale
[2]
서적
Classical Indian Ethical Thought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3]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Concept Publishing Company
1992
[4]
논문
The dharma of ethics, the ethics of dharma: Quizzing the ideals of Hinduism
[5]
논문
Prudentia, Volumes 11–13
University of Auckland Bindery
[5]
서적
Essays on Being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From Daēnā to Dîn
Otto Harrassowitz Verlag
[6]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7]
서적
Ascetic Culture: Renunciation and Worldly Engagement
Brill
1999
[8]
서적
A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with Transliteration, Accentuation, and Etymological Analysis Throughout
Motilal Banarsidass Publ.
2004
[9]
논문
The Concept of Brahman in Hindu Philosophy
[10]
서적
Neoplatonism and Indian Philosophy
SUNY Press
[11]
서적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12]
서적
Sourcebook of the world's religions: an interfaith guide to religion and spirituality
New World Library
[13]
서적
The Hindu world
Routledge
[14]
서적
Meditations Through the Rig Veda
iUniverse
[15]
서적
Brihadaranyaka Upanishad
https://archive.org/[...]
Advaita Ashrama
[16]
서적
The Mukhya Upanishads: Books of Hidden Wisdom
Kshetra
2014-10-23
[17]
논문
From Creation Myth to World Law: The early history of Dharma
[18]
웹사이트
taittirIya upanishad
https://sanskritdocu[...]
[19]
서적
The Upanishads
Nilgiri Press
[20]
Wikisource
Mundaka Upanishad (Sanskrit)
https://sa.wikisourc[...]
[21]
논문
Compassionate Space
http://www.jstor.org[...]
India International Centre
2023-09-07
[22]
서적
A Vision for Change: Speeches and Writings of A.D. Patel 1929–1969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1
[23]
서적
The Upanishads, Part 2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25]
서적
Thirty minor Upanishads
V̇asanṭā Press
[26]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https://archive.org/[...]
T&T Clark
[27]
서적
The Mahābhārata: Shanti parva
[28]
서적
The Mahabharata, Vanti Parva, Volume II
Pratapa Chandra Ray, Bharata Press
[29]
서적
Yoga Sutras
Sanskrit Works
2012-09
[30]
논문
Teaching the Yamas in Asana Class
https://www.yogajour[...]
2007-08-28
[31]
서적
Food for the Soul: Vegetarianism and Yoga Traditions
Praeger
2011-04-19
[32]
서적
Aspects of Jaina religion
Bharatiya Jnanpith
2006
[32]
간행물
Mahavira Jaina teach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3-10-20
[33]
서적
Acharya Amritchandra's Purushartha Siddhyupaya: Realization of the Pure Self, With Hindi and English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Vikalp Printers
2012
[34]
간행물
Reality (English Translation of Srimat Pujyapadacharya's Sarvarthasiddhi)
https://archive.org/[...]
Jwalamalini Trust
[35]
웹사이트
four noble truths
https://www.oxfordre[...]
2024-05-28
[36]
SGGS page
[37]
웹사이트
諦(テイ)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7-08-04
[38]
서적
苦の見方
サンガ (出版社)
2015
[39]
서적
岩波仏教辞典 第二版
岩波書店
2002
[40]
간행물
総合仏教大辞典
法蔵館
1988-01
[41]
웹사이트
二諦(阿含部, 毘曇部)
https://21dzk.l.u-to[...]
[42]
웹사이트
二諦 世俗諦 勝義諦(毘曇部)
https://21dzk.l.u-to[...]
[43]
웹사이트
二諦とは
https://kotobank.jp/[...]
[44]
문서
二諦
岩波書店
[45]
문서
中道第一義観, 中観
東京書籍
[46]
웹사이트
三諦とは
https://kotobank.jp/[...]
[47]
웹사이트
三諦
https://21dzk.l.u-to[...]
[48]
웹사이트
世俗 勝義 三諦
https://21dzk.l.u-to[...]
[49]
서적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2004
[50]
서적
Encyclopedia of Science and Religion
Thomson Gale
2003
[51]
서적
Classical Indian Ethical Thought
Motilal Banarsidass
1998
[52]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