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페드로술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페드로술라는 온두라스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536년 스페인 정착지로 시작되었다. 과거 마야와 아즈텍 문명의 무역 중심지였으며, 바나나 산업의 발전과 철도 부설로 19세기 말 번영을 누렸다. 20세기 후반에는 허리케인 피해와 2009년 쿠데타 이후 치안 악화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한때 세계에서 살인율이 가장 높은 도시로 기록되기도 했다. 현재는 라몬 빌레다 모랄레스 국제공항과 중앙 버스 터미널을 통해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하며, 바나나,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을 이루고 있다. 도시에는 박물관, 대성당, 스포츠 시설 등이 있으며, 특히 축구 경기가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테스주 - 푸에르토코르테스
    푸에르토코르테스는 온두라스 북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1524년 건설되어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 20세기 초 바나나 산업 중심지로 성장, 현재는 미국 컨테이너 보안 이니셔티브에 포함된 세계적인 항구이자 매년 8월 수호 성인 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 코르테스주 - 플라텐세 FC
    플라텐세 FC는 1960년 온두라스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창단되어 온두라스 전국 축구 리그 초대 챔피언, 2000-01 시즌 우승, 온두라스 컵 3회 우승 등의 기록을 가진 축구 클럽이다.
  • 온두라스의 도시 - 푸에르토코르테스
    푸에르토코르테스는 온두라스 북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1524년 건설되어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 20세기 초 바나나 산업 중심지로 성장, 현재는 미국 컨테이너 보안 이니셔티브에 포함된 세계적인 항구이자 매년 8월 수호 성인 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 온두라스의 도시 - 라세이바
    라 세이바는 온두라스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1872년 세이바 나무 아래에서 시작되어 바나나 산업 발달과 함께 성장했으며, 현재는 항구 도시로서 관광 산업과 농업을 기반으로 하고, 온두라스에서 중요한 항구 중 하나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산페드로술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산페드로술라
유형시 및 지방 자치제
별칭라 카피탈 인두스트리알 (La Capital Industrial, 산업 수도), 삽 (Sap)
국가온두라스
행정 구역코르테스 주
산페드로술라
시장아르만도 칼리도니오 알바라도 (PNH)
설립1536년 6월 27일
면적
총 면적856 제곱킬로미터
도시 면적840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3년 추정 인구834,883명
도시 인구793,83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수도권 인구1,445,598명
경제
GDP (PPP, 2015 국제 달러)87억 달러 (2023년)
1인당 GDP8,900 달러 (2023년)
지리
좌표30
고도83 미터
시간대
시간대중앙 아메리카
UTC 오프셋-6
기타 정보
우편 번호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산페드로술라의 역사적 랜드마크와 현대적 랜드마크 콜라주
산페드로술라의 역사적 랜드마크와 현대적 랜드마크 콜라주
산페드로술라의 깃발
산페드로술라의 깃발
산페드로술라의 문장
산페드로술라의 문장

2. 역사

1536년 6월 27일 페드로 데 알바라도가 "산 페드로 데 푸에르토 카바요스"라는 이름으로 산페드로술라를 건설했다. 초기에는 늪지와 열대 우림으로 농업에 적합하지 않았고, 잦은 해적의 습격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세기 후반, 바나나 무역과 철도 건설로 급속히 성장하여 1902년 정식 도시가 되었다.

1920년대 바나나 플랜테이션 붐으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카리브 해 연안 도시들과 철도로 연결되며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1974년 허리케인 피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21세기에는 치안 악화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2018년에는 살인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 1. 식민지 시대

스페인의 도착 이전, 술라 계곡에는 약 5만 명의 원주민이 거주했다.[6] 현대 도시가 위치한 지역은 마야와 아즈텍 문명의 지역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스페인의 온두라스 정복은 원주민 인구가 다시 회복하지 못할 인구 감소를 초래했다.

1536년[32] 6월 27일, 페드로 데 알바라도는 콜로마의 인디언 정착지 옆에 빌라 데 세뇨르 산 페드로 데 푸에르토 카바요스(현대 산 페드로 술라)라는 이름의 스페인 마을을 세웠다. 이 새로운 마을에는 35명의 스페인 시민이 있었고, 알바라도는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고 주변 농지를 경작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200명의 노예를 할당했다. 그는 새로운 마을을 확보하고 스페인 지배 영역을 확장하며 물자를 징발하기 위해 외곽 지역으로 원정대를 보냈다. 알바라도는 안드레스 데 세레제다 치하에서 이 지역에 설립된 모든 엔코미엔다 권리를 무효화하고 산 페드로 시민에게 마을을 재할당했다.

초기의 산 페드로 술라는 늪지와 깊은 열대 우림으로 농업이나 목축에 거의 적합하지 않은 토지였다. 도시 이름은 그 후 여러 번 바뀌었고, 18세기에 산 페드로 술라가 되었다. "술라"는 나코 마을 서쪽에 있던 금광인 술라 광산 (Minas de Sula)에서 유래되었다.

이 술라 광산(금광)의 금 때문에 초기 몇 년 동안 산페드로에 식민지 정부의 조폐소가 설치되었다. 스페인 왕실은 여기서 정련된 금의 가치의 1/5을 징수했다. 조폐소는 그 후 곧 그라시아스 (Gracias)로 이전되었고, 최종적으로 1550년대에 코마야과로 이전되었다.

새로운 정착지는 식민지 시대를 간신히 살아남았다. 1601년, 스페인 정부는 산토 토마스 데 카스티야를 중앙 아메리카 식민지의 공식 항구로 선언했다. 이 조치로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수출이 전환되었고 17세기에 걸쳐 지속될 경제 침체를 초래했다. 또한, 산 페드로 술라는 해적과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의 용병의 습격에 노출되었다.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출신의 해적들이 자주 마을을 습격하여 약탈했기 때문에 스페인 사람들은 마을을 현재 위치인 차멜레콘 강을 따라 이전했다. 이 지역은 인기가 없어 한동안 식민지 개척자가 늘지 않았다.

18세기 중반, 스페인 정부는 영국 공격을 막기 위해 여러 해안 요새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요새 중 하나인 산 페르난도 요새는 산 페드로 술라에서 50마일 미만 떨어진 오모아에 건설되었다. 그 후 무역 증가는 1714년 70명에서 1789년 357명으로 인구 증가를 뒷받침했다.[7]

2. 2. 독립 이후

스페인의 정복 이전, 술라 계곡에는 약 5만 명의 원주민이 거주했다.[6] 현대 도시가 위치한 지역은 마야 문명과 아즈텍 문명의 지역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스페인의 온두라스 정복은 원주민 인구가 다시 회복하지 못할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1536년[32] 6월 27일, 페드로 데 알바라도는 콜로마의 인디언 정착지 옆에 '빌라 데 세뇨르 산 페드로 데 푸에르토 카바요스'(현대 산 페드로 술라)라는 스페인 마을을 세웠다. 이 마을에는 35명의 스페인 시민이 있었고, 알바라도는 마을 건설과 주변 농지 경작을 돕기 위해 200명의 노예를 할당했다. 그는 마을을 확보하고 스페인 지배 영역을 확장하며 물자를 징발하기 위해 외곽 지역으로 원정대를 보냈다. 알바라도는 안드레스 데 세레제다 치하에서 이 지역에 설립된 모든 엔코미엔다 권리를 무효화하고 산 페드로 시민에게 마을을 재할당했다.

새로운 정착지는 식민지 시대를 간신히 살아남았다. 1601년, 스페인 정부는 산토 토마스 데 카스티야를 중앙 아메리카 식민지의 공식 항구로 선언했다. 이 조치로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수출이 전환되었고 17세기에 걸쳐 경제 침체가 지속되었다. 또한, 산 페드로 술라는 해적과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의 용병의 습격에 노출되었다. 18세기 중반, 스페인 정부는 영국 공격을 막기 위해 여러 해안 요새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요새 중 하나인 산 페르난도 요새는 산 페드로 술라에서 약 80.47km 미만 떨어진 오모아에 건설되었다. 그 후 무역 증가는 1714년 70명에서 1789년 357명으로 인구 증가를 뒷받침했다.[7]

중앙 아메리카 독립 선언 이후 산 페드로 술라는 오모아와 국가 내륙 지역 간의 무역에 의존하는 가난한 마을로 남아 있었다. 1875년, 베이 아일랜드의 미국 영사 프랭크 프라이는 1200명의 인구를 보고했다. 1870년대와 1880년대의 바나나 무역 성장으로 도시는 혜택을 받았고, 미국 기반의 운송 및 철도 사업가 새뮤얼 제뮤레이의 쿠야멜 과일 회사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다. 1869년에서 1874년 사이에 도시를 푸에르토 코르테스 해안과 연결하는 대양 횡단 철도 건설이 이루어졌다. 제뮤레이는 자회사에 투자하여 쿠야멜이 자리 잡고 세금을 거의 내지 않도록 정치적으로 길을 닦은 지역 엘리트들과 긴밀히 협력했다.[8]

1536년[32] 6월 27일, 페드로 데 알바라도에 의해 "산 페드로 데 푸에르토 카바요스"라는 이름으로 현재의 코르테스 주 촐로마 근처에 건설되었다. 당시 술라 분지에는 약 18개의 원주민 마을이 있었다. 초기의 모습은 늪지와 깊은 열대 우림으로 농업이나 목축에 거의 적합하지 않은 토지였다. 도시 이름은 그 후 여러 번 바뀌었고, 18세기에 산 페드로 술라가 되었다. "술라"는 나코 마을 서쪽에 있던 금광인 술라 광산에서 유래되었다.

술라 광산의 금 때문에 초기 몇 년 동안 산페드로에 식민지 정부의 조폐소가 설치되었다. 스페인 왕실은 여기서 정련된 금의 가치의 1/5을 징수했다. 조폐소는 곧 그라시아스로 이전되었고, 최종적으로 1550년대에 코마야과로 이전되었다.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출신의 해적들이 자주 마을을 습격하여 약탈했기 때문에 스페인 사람들은 마을을 현재 위치인 차멜레콘 강을 따라 이전했다. 이 지역은 인기가 없어 한동안 식민지 개척자가 늘지 않았다.

마을 인구는 1590년의 800명에서 1890년대에는 1만 명으로 증가했지만, 그 성장은 19세기에 들어서였다. 1870년대부터 1880년대에 시작된 바나나 수출 산업에서 미국의 무역상·실업가 새뮤얼 제머레이[33]의 쿠야멜 푸르츠사와의 관계가 생겼고, 1869년부터 1874년 사이에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철도도 부설되면서 마을의 번영이 시작되었다. 제머레이는 지역 유력자들과의 관계를 맺고 자회사에 투자를 받으면서 정치력을 발휘하여 세금을 거의 납부하지 않고 쿠야멜 푸르츠사를 성장시켰다.[34] 그 결과 마을은 인근의 대평원에 펼쳐진 바나나 농장 개발의 중심지로서 인구가 급증했다. 1902년에는 정식으로 시가 되었다.

1920년대 중반, 바나나 플랜테이션의 붐으로 인구가 1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더욱 증가했다. 현재는 도시권 전체에서 100만 명을 넘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산 페드로 술라에서 바나나 농장, 카리브해의 테라와 푸에르토 코르테스의 항구를 잇는 철도와 현지 팔레스타인계 실업가의 투자로 산 페드로 술라는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1974년 9월 19일, 허리케인이 접근하여 피해가 다수 발생했다. 시가지가 일시적으로 고립되었다.[35]

21세기에 들어서 1998년에 발생한 허리케인과 2009년의 군사 쿠데타 및 정변으로 인한 경기 악화로 급격하게 치안이 악화되었다.[31][36] 멕시코의 싱크탱크가 발표한 주요 도시별 살인 사건 발생률에서 2011년, 2012년 2년 연속 세계 최악으로, 2012년에는 10만 명당 169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37] USA 투데이에 따르면, 2018년 살인 수는 10만 명당 47명으로 감소했다.[38]

2. 3. 20세기 이후

1536년 6월 27일, 페드로 데 알바라도가 "산 페드로 데 푸에르토 카바요스 (Villa de San Pedro de Puerto Caballos)"라는 이름으로 현재의 코르테스 주 촐로마 근처에 건설했다. 초기의 산 페드로 술라는 늪지와 깊은 열대 우림으로 농업이나 목축에 거의 적합하지 않은 토지였다. 도시 이름은 그 후 여러 번 바뀌었고, 18세기에 현재의 산 페드로 술라가 되었다. "술라"는 나코 마을 서쪽에 있던 금광인 술라 광산 (Minas de Sula)에서 유래했다.

술라 광산(금광)의 금 때문에 초기 몇 년 동안 산 페드로 술라에 식민지 정부의 조폐소가 설치되었다. 스페인 왕실은 여기서 정련된 금의 가치의 1/5을 징수했다. 조폐소는 그 후 곧 그라시아스로 이전되었고, 최종적으로 1550년대에 코마야과로 이전되었다.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출신의 해적들이 자주 마을을 습격하여 약탈했기 때문에 스페인 사람들은 마을을 현재 위치인 차멜레콘 강을 따라 이전했다. 이 지역은 인기가 없어 한동안 식민지 개척자가 늘지 않았다.

19세기 이전까지 산 페드로 술라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지만, 1870년대부터 1880년대에 시작된 바나나 수출 산업과 미국의 무역상·실업가 새뮤얼 제머레이([33])의 쿠야멜 푸르츠사 (Cuyamel Fruit Company)와의 관계, 그리고 1869년부터 1874년 사이에 푸에르토 코르테스까지 철도가 부설되면서 번영하기 시작했다. 제머레이는 지역 유력자들과의 관계를 맺고 자회사에 투자를 받으면서 정치력을 발휘하여 세금을 거의 납부하지 않고 쿠야멜 푸르츠사를 성장시켰다([34]). 그 결과 산 페드로 술라는 인근 대평원에 펼쳐진 바나나 농장 개발의 중심지로서 인구가 급증했고, 1902년에는 정식으로 시가 되었다.

1920년대 중반, 바나나 플랜테이션의 붐으로 인구가 1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더욱 증가했다. 현재는 도시권 전체에서 100만 명을 넘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산 페드로 술라는 바나나 농장, 카리브 해의 테라와 푸에르토 코르테스의 항구를 잇는 철도와 현지 팔레스타인계 실업가의 투자로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1974년 9월 19일, 허리케인 피피가 접근하여 큰 피해가 발생했고, 시가지가 일시적으로 고립되었다([35]).

21세기에 들어서 1998년에 발생한 허리케인과 2009년의 군사 쿠데타 및 정변으로 인한 경기 악화로 치안이 급격하게 악화되었다([31][36]). 멕시코의 싱크탱크가 발표한 주요 도시별 살인 사건 발생률에서 2011년과 2012년 2년 연속 세계 최악을 기록했으며, 2012년에는 10만 명당 169명이 피해를 입었다([37]). USA 투데이에 따르면, 2018년 살인 수는 10만 명당 47명으로 감소했다([38]).

3. 경제

2013년, 허리케인 미치의 영향 이후 15년이 지난 시점에서 온두라스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산 페드로 술라 주변의 바나나 생산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고, "제조업은 거의 고갈"되었다.[9] 이러한 문제는 조직적인 갱단에 의해 악화되는데, 갱단의 규칙은 주민들이 차메레콘과 같은 갱단이 통제하는 지역을 벗어나 도시의 다른 지역에서 일하는 것을 안전하게 막고 있다.[9]

2000년 당시 로베르토 라리오스 실바 시장은 "산 페드로 술라는 도시의 산업, 상업 및 금융 발전을 통해 국가의 경제 개발이 집중되는 곳입니다."라고 말했다. 당시 코판틀 호텔의 매니저는 사업 관련 관광의 성장을 [마킬라] (의류 제조) 산업의 성장으로 돌렸다.[10]

2011년 기준으로, 산 페드로 술라는 국가 총생산(GDP)의 3분의 2를 창출했다.[11]

도시의 파노라마

3. 1. 바나나 산업

1870년대부터 1880년대에 걸쳐 바나나 수출 산업이 미국의 무역상이자 실업가인 새뮤얼 제머레이[33]의 쿠야멜 푸르츠사 (Cuyamel Fruit Company)와의 관계를 통해 발전했다. 1869년부터 1874년 사이에는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철도가 부설되면서 마을이 번영하기 시작했다. 제머레이는 지역 유력자들과 관계를 맺고 자회사에 투자를 받으면서 정치력을 발휘하여 세금을 거의 납부하지 않고 쿠야멜 푸르츠사를 성장시켰다.[34] 그 결과 마을은 인근 대평원에 펼쳐진 바나나 농장 개발의 중심지로서 인구가 급증했으며, 1902년에는 정식으로 시가 되었다.

1920년대 중반, 이 지역의 바나나 플랜테이션 붐으로 인구는 1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더욱 증가했다. 산 페드로 술라는 바나나 농장, 카리브해의 테라와 푸에르토 코르테스의 항구를 잇는 철도, 그리고 현지 팔레스타인계 실업가의 투자로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2013년, 허리케인 미치의 영향 이후 15년이 지난 시점에서 온두라스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산 페드로 술라 주변의 바나나 생산은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9]

3. 2. 관광 산업

산페드로술라의 시청. 중앙 공원에 면해 있다.

4. 지리

산페드로술라는 연평균 최고 기온이 31°C, 최저 기온이 22°C로 연중 따뜻한 지역이다.[30]

4. 1. 기후

산페드로술라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열대 우기 건기 기후(Aw)에 속하며, 1월부터 5월까지는 건기, 나머지 달은 우기이다. 연중 비교적 높은 기온과 강수량을 보이지만, 열대 몬순 기후에는 속하지 않는다. 산페드로술라는 카리브해 남부나 서아프리카에서 형성되는 허리케인과 열대성 폭풍의 영향을 받기 쉽다.[45][46][4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9.730.433.034.035.234.333.333.433.531.630.228.032.2
평균 최저 기온 (°C)18.319.721.422.523.823.823.223.323.322.520.119.021.0
평균 강수량 (mm)72.059.632.032.162.9142.4110.2105.7151.7147.8135.3121.71173.4
평균 강수일수 (≥ 1.0 mm)6534410101010109889
평균 상대 습도 (%)69737780818589918081776579


5. 행정 구역

산페드로술라의 옛 기차역


중앙아메리카 기술 대학교 UNITEC


산페드로술라는 북서(NW), 북동(NE), 남서(SW), 남동(SE)의 네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에는 다양한 '바리오'(Barrio, 지구)와 '콜로니아'(Colonia, 식민지)가 있다. 이러한 구역 구분은 도시 구조를 형성하며, 각 지역의 특성과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도심 지역과 주요 시설 위치는 각 구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주요 지역

산페드로술라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건설된 대부분의 도시와 마찬가지로 사분면으로 나뉜다. 도시의 대로(Avenue)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거리(Street)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다. 제1가(First Street)와 제1번가(First Avenue)는 도시를 북서(NW), 북동(NE), 남서(SW), 남동(SE)의 네 구역으로 나눈다.[23]

  • 남서부(SW):
  • 바리오 엘 벤케(Barrio El Benque): 상업 지구로, 시내에서 서쪽과 남쪽에 위치.
  • 바리오 파스 바라오나(Barrio Paz Barahona)
  • 바리오 라 과르디아(Barrio La Guardia)
  • 콜로니아 알타미라(Colonia Altamira)
  • 콜로니아 메세타스(Colonia Mesetas)
  • 바리오 리오 데 피에드라스(Barrio Río de Piedras)
  • 바리오 수야파(Barrio Suyapa): 12 아베니다 S에서 아베니다 시르쿤발라시온까지, 7 칼레 S에서 10 칼레 S까지.
  • 콜로니아 에르난데스(Colonia Hernandez)
  • 바리오 프라도 알토(Barrio Prado Alto)
  • 콜로니아 엘 차멜레콘(Colonia El Chamelecón): 23 아베니다 S에서 27 아베니다 S까지, 1 칼레(부레바르 로스 프로세레스)에서 5 칼레 S0까지.
  • 콜로니아 두본(Colonia Dubón)
  • 콜로니아 피게로아(Colonia Figueroa)
  • 콜로니아 트레호(Colonia Trejo): 10 칼레 S에서 12 칼레 S, 아베니다 시르쿤발라시온에서 25 아베니다 S까지 (니카라과 영사관 포함).
  • 콜로니아 알티플라노(Colonia Altiplano)
  • 콜로니아 라스 메세타스(Colonia Las Mesetas): 12 칼레 S에서 14 칼레 S까지, 21 아베니다 A(S)에서 24 아베니다 S를 지나 그 너머.

  • 북서부(NW):
  • 바리오 구아밀리토(Barrio Guamilito): 시내 서쪽과 북쪽에 위치.
  • 콜로니아 모데르나(Colonia Moderna): 1 Calle ~ 5 Calle NO, 아벤디다 시르쿤발라시온에서 24 아벤니다 너머 강까지.
  • 콜로니아 라 모라(Colonia La Mora): 5 Calle NO ~ 7 Calle NO, 아벤디다 시르쿤발라시온에서 24 아벤니다 너머 리오까지.
  • 콜로니아 세론(Colonia Cerón)
  • 콜로니아 콜럼비아(Colonia Columbia): 산페드로술라 대학교 근처.
  • 바리오 라 세르베세리아(Barrio La Cervecería)
  • 바리오 과달루페(Barrio Guadalupe)
  • 콜로니아 후안 린도(Colonia Juan Lindo)와 콜로니아 하르디네스 델 바예(Colonia Jardines del Valle): 24 아벤니다가 지나가는 강 건너.
  • 콜로니아 우니베르시다드(Colonia Universidad): 24 아벤니다를 지나 강에서 북쪽 25 Calle까지, 서쪽 12 아벤니다까지.
  • 콜로니아 컨트리(Colonia Country): 아카데미아 아메리카나를 포함한 작은 지역.
  • 콜로니아 비야스 델 솔(Colonia Villas del Sol): 불바르 매키에서 서쪽으로 뻗어 온두라스 국립 자치 대학교를 포함하고, 리오 베르메호 북쪽까지 뻗어 있지만 건너지는 않음.
  • 콜로니아 엘 페드레갈(Colonia El Pedregal): 온두라스 국립 자치 대학교를 지나 리오 베르메호를 가로지르는 곳에 위치하며, 주거용 고층 건물이 있음.[24]
  • 콜로니아 로스 알페스(Colonia Los Alpes), 란초 엘 코코(Rancho El Coco), 레지덴시알 로스 세드로스(Residencial Los Cedros), 콜로니아 라 타라(Colonia La Tara): 리오 베르메호 북쪽을 지나 도시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으며, 1번부터 재번호가 매겨진 칼레(거리)가 있는 곳.
  • 콜로니아 페시트란(Colonia Fesitranh): 가장 북쪽에 위치.

  • 북동부(NE):
  • 라스 아카시아(Las Acacias) 구역: 시내 중심에서 북쪽에 위치.
  • 산 크리스토발(San Cristóbal) 구역
  • 빌라 플로렌시아(Villa Florencia)
  • 이데알(Ideal) 식민지
  • 모라잔(Morazán) 구역
  • 모델로(Modelo) 식민지
  • 보그란(Bográn) 식민지
  • 엘 카르멘(El Carmen) 식민지
  • 로스 라우렐레스(Los Laureles) 식민지

  • 남동부(SE):
  • 메디나(Medina) 지구: 11 Calle SE ~ 후안 파블로 2세 대로, 4 Avenida SO ~ 10 Avenida SE.
  • 라 아우로라(La Aurora) 지역: 7 Calle SE ~ 10 Calle SE, 14 Avenida SE ~ 세군도 아니요(대략 18 Avenida가 위치한 곳).
  • 카바냐스(Cabañas) 지구
  • 라 나비다드(La Navidad) 지구
  • 산 페드로(San Pedro)
  • 라스 팔마스(Las Palmas) 지구
  • 산 루이스(San Luis) 지구
  • 라 유니온(La Unión) 지역
  • 라 파스(La Paz) 지구
  • 리베라 에르난데스(Rivera Hernández) 지역
  • 산 크리스토발(San Cristóbal)


뉴욕 타임스는 2014년 산 페드로 술라를 기점으로, 차멜레콘 구역을 "지금은 벗겨지고 퇴색된 파스텔 색상으로 칠해진 소박한 시멘트 블록 주택들이 미로처럼 얽혀있는 곳"으로 묘사하며, 거리 갱단의 압력에 시달린다고 보도했다.[25] 이곳은 산 페드로 술라 내의 엘 차멜레콘 식민지가 아니라, 산 페드로 술라 남쪽에 위치한 차멜레콘 강에 접한 차멜레콘 지역을 말한다.
기타 주요 지역:

이름
타라 식민지
발레 정원 식민지
에타사 주거 지역
엘 보르도 주거 지역
벨라비스타 식민지
셈콜 식민지
엘 구아밀리토 지구
엘 로블 식민지
후안 린도 식민지
라 모데르나 식민지
라스 토레스 식민지
로페스 아레야노 식민지
빅토리아 식민지
몬테프레스코 식민지
산타 아니타 지구
엘 센트로 지구
라스 메르세데스 식민지
로스 알라모스 식민지
라 베란다 식민지
로스 세드로스 식민지
로스 세드리토스 식민지
로다스 알바라도 식민지
바라딜라스 지구
산타 아나 지구
로스 안데스 지구
콘셉시온 지구
선세리 지구
로스 알라모스 주거 지역
후안 라몬 몰리나 주거 지역
비야스 델 카르멘 식민지
비야스 파라이소 주거 지역
비야스 맥케이
비야스 마틸다
라 포레스타
로스 카스타노스
비야스 델 캄포
메렌돈 힐스
카사 마야 주거 지역
카사 마야 2 주거 지역
카사 마야 3 주거 지역
카사 마야 4 주거 지역
헤브론 주거 지역
카나안 주거 지역
폰타나 데 라 아르볼레다 주거 지역
트리베카 주거 지역
산 호세 데 술라 식민지
산 카를로스 데 술라 식민지
사텔리테 식민지
펠리페 셀라야 식민지
FESITRANH 식민지
엘 페리오디스타 식민지
델 발레 식민지
라 베란다 식민지
COLVISULA 식민지


6. 사회

산페드로술라는 극심한 범죄와 경제난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미국으로 이주하고 있다. 특히, 보호자 없이 홀로 국경을 넘는 미성년자 이주자(UAC)가 많은데, CBP(미국 국경경비대)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산페드로술라가 온두라스 내에서 이러한 미성년자 단독 이주자들의 주요 출발지 중 하나로 꼽힌다.

6. 1. 범죄 문제

산페드로술라는 2016년 초까지 "세계 살인 수도"였으며,[20] 이후 베네수엘라카라카스가 살인율에서 이를 넘어섰다.[12] 2009년 온두라스 군사 쿠데타 이후 "실업률과 불완전 고용률이 두 배로 증가했고 극빈층 인구도 급증했다."[20] 2013년, 이 도시의 인구 10만 명당 살인 건수는 187건으로,[13] 멕시코의 시우다드 후아레스의 10만 명당 148건을 넘어섰다.[14] 시우다드 후아레스는 이전에 3년 연속으로 이 목록의 최상위에 올랐으며, 하루 평균 3건의 살인이 발생했다.[15][16] 이 두 도시는 모두 불법 마약 거래, 특히 미국으로의 주요 작전 및 전략적 유통 거점이며, 상당한 갱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7][15][18]

이에 대응하여 당국은 경찰과 군인을 폭력 발생 지역에 집중 투입하는 작전인 '번개 작전'을 시작했다.[14] 한편, 무기 밀매로 인해 온두라스에 불법 무기가 쏟아져 들어왔으며, 전체 화기의 70%가 불법으로 유통되고 있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살인의 83%는 총기를 사용한 범죄이다.[19]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따르면, "살인율은 잔혹한 거리 갱들의 경쟁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1990년대에 로스앤젤레스에서 형성되어 중앙 아메리카로 추방된 갱들의 후손으로, 마라 살바트루차(MS-13)와 18번가 갱을 포함한다. 이들의 수는 온두라스의 처참한 경제 상황에 의해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카인을 온두라스를 통해 운송하는 멕시코 마약상과의 동맹으로 더욱 대담해졌다."[20]

범죄와 경제적 스트레스는 많은 수의 미성년자 단독 이주를 미국 국경으로 유발했다. CBP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산페드로술라는 온두라스에서 이주하는 미성년자 단독 이주자(UAC)의 주요 원천이다.

마약 경유지로서 기능하며, 마약 조직 간의 항쟁으로 인해 살인 사건이 다발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치안이 나쁜 곳으로 여겨진다.[31]

6. 2. 이민 문제

산페드로술라는 2016년 초까지 세계 살인 수도였으며,[20] 이후 베네수엘라카라카스가 살인율에서 이를 넘어섰다.[12] 2009년 온두라스 군사 쿠데타 이후 "실업률과 불완전 고용률이 두 배로 증가했고 극빈층 인구도 급증했다."[20] 2013년, 이 도시의 인구 10만 명당 살인 건수는 187건으로,[13] 멕시코의 시우다드 후아레스의 10만 명당 148건을 넘어섰다.[14]

이 두 도시는 모두 불법 마약 거래, 특히 미국으로의 주요 작전 및 전략적 유통 거점이며, 상당한 갱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7][15][18] 무기 밀매로 인해 온두라스에 불법 무기가 쏟아져 들어왔으며, 전체 화기의 70%가 불법으로 유통되고 있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살인의 83%는 총기를 사용한 범죄이다.[19]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따르면, "살인율은 잔혹한 거리 갱들의 경쟁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1990년대에 로스앤젤레스에서 형성되어 중앙 아메리카로 추방된 갱들의 후손으로, 마라 살바트루차(MS-13)와 18번가 갱을 포함한다. 이들의 수는 온두라스의 처참한 경제 상황에 의해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카인을 온두라스를 통해 운송하는 멕시코 마약상과의 동맹으로 더욱 대담해졌다."[20]

범죄와 경제적 스트레스는 많은 수의 미성년자 단독 이주를 미국 국경으로 유발했다. CBP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산페드로술라는 온두라스에서 이주하는 미성년자 단독 이주자(UAC)의 주요 원천이다.

7. 교통

라몬 빌레다 모랄레스 국제공항은 파나마, 미국, 엘살바도르, 멕시코, 스페인 등 여러 국가로의 여객 및 화물 항공 서비스와 국내선 항공편을 제공하고 있다.

산 페드로 술라에는 그란 센트럴 메트로폴리타나라고 불리는 중앙 버스 터미널이 있다. 이곳은 국내 각 도시 및 국제 버스의 발착지이며, 온두라스 중장거리 버스 교통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시내에는 "라피디토"라고 불리는 미니버스, 택시, 콜렉티보(colectivo)라고 불리는 합승 미니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1869년부터 1874년 사이에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철도가 부설되면서 마을의 번영이 시작되었다.[33] 미국의 무역상·실업가 새뮤얼 제머레이 (Samuel Zemurray)의 쿠야멜 푸르츠사 (Cuyamel Fruit Company)와 관계를 맺으며 철도 부설이 시작되었다. 온두라스 국영 철도(Ferrocarril Nacional de Honduras, 약칭: FNH)의 철도역이 시가지 중심부에 있으며, 현재 여객 서비스는 중단되었고 화물 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7. 1. 항공

라몬 빌레다 모랄레스 국제공항은 파나마, 미국, 엘살바도르, 멕시코, 스페인 등 여러 국가로의 여객 및 화물 항공 서비스와 국내선 항공편을 제공하고 있다.[1] 이 공항은 시가지에서 11km 거리에 있으며, 북서부 온두라스의 관문이자[1] IATA 코드는 SAP이고,[1] 온두라스에서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공항이다.[1]

7. 2. 육상 교통

라몬 빌레다 모랄레스 국제공항은 파나마, 미국, 엘살바도르, 멕시코, 스페인 등 여러 국가로의 여객 및 화물 항공 서비스와 국내선 항공편을 제공하고 있다. 산 페드로 술라에는 그란 센트럴 메트로폴리타나라고 불리는 중앙 버스 터미널이 있으며, 국내 각 도시행 및 국제 버스의 발착지이다. 쇼핑몰도 병설되어 있는 중앙 아메리카 최대의 버스 터미널이다[39] .

온두라스에서는 중장거리 버스가 국내 각 도시를 이동하는 데 편리한 교통 수단이며, 이 버스 터미널이 여행객과 시민에게 주요 허브가 되고 있다.

산페드로술라는 대중교통이 잘 갖춰져 있다. 시내를 순환하는 시내버스 외에 "라피디토"라고 불리는 미니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택시는 모두 흰색이며, 번호가 붙어 있어 찾기 쉽다. 콜렉티보(colectivo)라고 불리는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합승 미니버스도 있으며, 이용자는 필요한 구간만 승차하여 지정된 요금을 지불하는 시스템이다.

7. 3. 철도

1869년부터 1874년 사이에 푸에르토 코르테스에서 철도가 부설되면서 마을의 번영이 시작되었다.[33] 미국의 무역상·실업가새뮤얼 제머레이 (Samuel Zemurray)의 쿠야멜 푸르츠사 (Cuyamel Fruit Company)와 관계를 맺으며 철도 부설이 시작되었다. 산 페드로 술라에서 바나나 농장, 카리브해의 테라와 푸에르토 코르테스의 항구를 잇는 철도가 건설되었다. 온두라스 국영 철도(Ferrocarril Nacional de Honduras, 약칭: FNH)의 철도역이 시가지 중심부에 있으며, 철도 노선은 카리브해에 면한 푸에르토 코르테스까지 이어져 있지만, 현재 여객 서비스는 중단된 상태이다. 화물 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8. 문화

엘 아눈시아도르 데 코르테스(El Anunciador de Cortés)는 1914년부터 1919년까지 발행된 독립 주간 신문이다.[26]

8. 1. 박물관

산 페드로 술라에는 주요 박물관 3곳이 있다.

  • 인류학 역사 박물관(Museo de Antropología e Historia): 온두라스 인류학 연구소에서 소장한 고고학 및 사료를 전시하고 있다.
  • 자연 과학 박물관(Museo de la Naturaleza): 이 지역의 동식물에 대한 박물관이다.
  • 어린이 천문관(Planetario Infantil): 천문관 및 천문학 박물관이다.

8. 2. 종교

사도 베드로 대성당은 1949년에 건축되었다.[28] 1963년에 건축된 그리스 정교회 성당인 안티오키아의 성 요한 세례자 정교회도 있다.

8. 3. 스포츠

메트로폴리타노 올림픽 경기장


빌라 올림피카는 축구, 권투, 수영, 야구, 사이클, 다목적 체육관을 포함한 대부분의 올림픽 스타일 경기를 위한 시설을 갖춘 다목적 스포츠 단지이다.

산페드로술라는 온두라스에서 유일하게 두 개의 축구 경기장을 보유한 도시이다. 메트로폴리타노 올림픽 경기장은 빌라 올림피카에 있으며, 4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온두라스 최대 규모의 경기장이다. 프란시스코 모라산 경기장은 도시 중심부에 있으며 23,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기장은 산페드로술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로 축구팀인 마라톤과 레알 CD 에스파냐의 홈 구장이다.

2009년 기준으로, 산페드로술라는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의 홈 구장이었다.[27]

참조

[1] 웹사이트 Distrito central: Informacion del municipio http://www.redatam.o[...] 2016-07-30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departments and municipalities in Honduras https://www.citypopu[...]
[3] 웹사이트 Population of Cities in Honduras (2020) http://worldpopulati[...]
[4] 웹사이트 TelluBase—Honduras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2024-01-11
[5]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major cities in Honduras https://www.citypopu[...]
[6] 서적 El capitalismo de San Pedro Sula y la historia política hondureña (1870–1972) Editorial Guaymuras 2001
[7] 서적 The Cost of Conquest: Indian Decline in Honduras Under Spanish Rule Westview Press 1986
[8] 서적 Reinterperting the Banana Republic: Region and State in Honduras, 1870–1972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6
[9] 뉴스 In Honduras, rival gangs keep a death grip on San Pedro Sula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3-12-17
[10] 뉴스 San Pedro Sula becomes popular convention destination http://www.internati[...] The Washington Times Advertising Department 2000-03-24
[11] 뉴스 Honduras's indebted economy: The cost of a coup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Newspaper Limited 2011-06-11
[12] 웹사이트 Most Dangerous Cities in the World http://www.worldatla[...] 2016-03-02
[13] 뉴스 San Pedro Sula, Honduras is the world's most violent place http://www.twcc.com/[...] Business Insider 2014-12-31
[14] 뉴스 Inside San Pedro Sula, the 'murder capital' of the world http://www.cnn.com/2[...] CNN 2013-03-28
[15] 뉴스 San Pedro Sula, Honduras is the world's most violent plac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2-01-13
[16] 뉴스 Inside San Pedro Sula, 'murder capital of the world http://www.cnn.com/2[...] CNN.com 2013-03-28
[17] 뉴스 Honduran City is World Murder Capital; Juarez Drops for Second Year in a Row http://latino.foxnew[...] Fox News Latino 2013-02-08
[18] 뉴스 Grim toll as cocaine trade expands in Hondura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2-03-08
[19] 뉴스 Life and death in the murder capital http://blogs.reuters[...] Reuters 2013-04-05
[20] 웹사이트 La Mes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01-24
[21] 웹사이트 Klimatafel von San Pedro Sula (La Mesa), Bez.Cortés / Honduras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1-24
[22] 웹사이트 Station La Mes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2
[23] 서적 Honduras and the Bay Islands Adventure Guide https://books.google[...] Hunter Publishing, Inc. 2009-01-02
[24] 문서 Google Maps
[25] 뉴스 Hope Dwindles for Hondurans Living in Peril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4-08-02
[26] 간행물 Revista de Historia de América https://books.google[...] Instituto Panamericano de Geografía e Historia 1959
[27] 웹사이트 El año 2009 será duro http://www.laprensah[...]
[28] 웹사이트 Introducing San Pedro Sula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5-04-09
[29] 웹사이트 Parque arqueologico Curruste desaparecer nuevo https://www.laprensa[...] 2019-09-22
[30] 서적 ホンジュラ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4
[31] 서적 一般人は入れない立入禁止地帯 危険度MAX版 彩図社 2016
[32] 문서 1548年
[33] 서적 猿神のロスト・シティ 地上最後の秘境に眠る謎の文明を探せ NHK出版 2017
[34] 서적 Reinterperting the Banana Republic: Region and State in Honduras, 1870–1972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6
[35] 뉴스 ハリケーンで死者四千人 川に続々浮かぶ死体 朝日新聞 1974-09-21
[36] 문서 마누엘 세라야
[37] 뉴스 최악의 "살인 다발 도시"는 산페드로술라 중미 온두라스 https://www.cnn.co.j[...] CNN 2013-03-31
[38] 웹사이트 50 of the most dangerous cities in the world https://www.usatoday[...] 2020-03-26
[39] 웹사이트 Gran Central Metropolitana Homepage http://grancentralhn[...] 2015-06
[40] 웹사이트 http://railtrips.euw[...]
[41] 웹사이트 La Mes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01-24
[42] 웹사이트 Klimatafel von San Pedro Sula (La Mesa) , Bez.Cortés / Honduras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1-24
[43] 웹사이트 Station La Mes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2
[44] 웹인용 온두라스 치안상황 외신 보도 http://hnd.mofat.go.[...] 2011-12-28
[45] 웹인용 La Mes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01-24
[46] 웹인용 Klimatafel von San Pedro Sula (La Mesa) , Bez.Cortés / Honduras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1-24
[47] 웹인용 Station La Mesa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