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화 환원 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산화 환원 효소는 산화 환원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일종으로, 전자 공여체(환원제)와 전자 수용체(산화제) 사이의 전자 이동을 매개한다. 이들은 탈수소 효소, 환원 효소, 산화 효소, 산소 첨가 효소, 과산화 효소, 트랜스히드로게나아제, 카탈라아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생체 내에서 수소 원자, 전자, 산소 원자의 이동을 통해 물질 대사, 에너지 생산, 그리고 다양한 생화학 반응에 관여한다. 산화 환원 효소는 효소의 EC 번호 분류 체계에서 EC 1으로 분류되며, 기질의 종류, 전자 수용체의 종류에 따라 여러 하위 그룹으로 세분화된다. 예를 들어, EC 1.1은 알코올 또는 CH-OH 그룹에 작용하는 효소, EC 1.11은 과산화물을 수용체로 사용하는 효소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화 환원 효소 -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는 식품의 색상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오렌지-레드색의 식품 첨가 색소로, 아이소알록사진 고리와 인산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섭취 후 리보플라빈으로 전환되는 나트륨 염은 아기 및 어린이를 위한 식품 등에 사용된다.
  • 산화 환원 효소 -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ADP+)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와 유사한 조효소로, 광합성 전자 전달에 관여하며 NADPH 형태로 생합성 과정에 환원력을 제공하고 세포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산화 환원 효소
정의
유형효소
기능산화 환원 반응 촉매
EC 번호EC 1
상세 정보
반응 유형산화 환원 반응
관련 질병
알츠하이머병
기타 대사 질환
보조 인자NAD
NADP
FAD
FMN

철-황 클러스터
구리
몰리브덴
하위 분류
종류EC 1.1: CH-O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2: 알데하이드 또는 옥소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3: CH-C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4: CH-NH2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5: CH-N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6: NADH 또는 NADPH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7: 기타 질소성 화합물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8: 황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9: 헴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0: 다이페놀 및 관련 물질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1: 과산화물을 산화제로 사용하는 산화환원효소 (퍼옥시데이스)
EC 1.12: 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3: 단일체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4: 쌍체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5: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6: 금속 이온을 산화시키는 산화환원효소
EC 1.17: CH 또는 CH2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8: 철-황 단백질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19: 환원된 플라보독신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20: 인 또는 비소를 산화시키는 산화환원효소
EC 1.21: X-H 및 Y-H 결합에 작용하여 X-Y 결합을 형성하는 산화환원효소
EC 1.97: 기타 산화환원효소

2. 반응

산화 환원 효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반응을 촉매한다.

:A + B → A + B

여기서 A는 환원제(전자공여체)이고, B는 산화제(전자수용체)이다.

생화학 반응에서 산화환원반응은 해당과정에서와 같이 때때로 확인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산화 환원 효소는 탈수소 효소(데히드로게나아제), 환원 효소, 산화 효소(옥시다아제), 산소 첨가 효소, 과산화 효소, 트랜스히드로게나아제, 카탈라아제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생체 내 산화 환원 반응은 다음 세 가지 형식을 취한다.

# 수소 원자 (히드리드)의 이동

# 전자의 이동

# 산소 원자의 부가

수소 원자의 이동을 수반하는 반응 (탈수소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대부분은 탈수소 효소이다. 전자 이동을 촉매하는 효소의 대표는 전자 전달계를 구성하는 시토크롬이다. 분자상 산소를 기질로 하는 산화 환원 효소는 산화 효소이다.

많은 산화 환원 효소는 활성 중심에 금속 원소가 존재하며, (헴철) ,구리가 대표적인 활성 중심 금속이다. 산화 환원 효소에 관여하는 산화·환원 수용체는 한정되어 있으며, NAD, NADP 등의 보조 효소, 시토크롬류, 산소, 디설파이드, 퀴논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2. 1. 생화학 반응의 예시

해당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음 반응을 보자.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 Pi + NAD+1,3-비스포스포글리세르산 + NADH + H+

이 반응에서 NAD+는 산화제(전자 수용체)이고,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은 환원제(전자 공여체)이다. 이러한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가 산화 환원 효소이다.

3. 명명법

산화 환원 효소의 체계적인 이름은 "공여체:수용체 산화환원효소"이다. 일반적인 이름은 "공여체 탈수소효소"이며,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탈수소효소가 그 예이다. 또 다른 일반적인 이름은 "수용체 환원효소"이며, NAD+ 환원효소가 그 예이다. O2가 수용체인 특별한 경우에는 "수용체 산화효소"라고도 한다.

4. 분류

산화 환원 효소는 효소의 EC 번호 분류 체계에서 "EC 1"로 분류된다. 산화 환원 효소는 다음과 같이 22개의 하위 분류 체계로 더 분류될 수 있다.[1]


  • EC 1.1은 공여체의 CH-O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알코올 산화환원효소)
  • EC 1.2는 공여체의 알데하이드 또는 옥소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3은 공여체의 CH-C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CH-CH 산화환원효소)
  • EC 1.4는 공여체의 CH-NH2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아미노산 산화환원효소, 모노아민 산화효소)
  • EC 1.5는 공여체의 CH-N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6은 NADH 또는 NADPH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7은 다른 질소 화합물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8은 공여체의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9는 공여체의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0은 다이페놀 및 관련 물질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1은 과산화물을 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과산화 효소)
  • EC 1.12는 수소를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3은 산소 원자를 기질 분자에 직접 혼입하는 산화 반응을 촉매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산소화효소)
  • EC 1.14는 O2의 두 산소 원자 중 하나는 기질에, 다른 하나는 H2O로 환원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5는 초과산화물 라디칼을 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6은 금속 이온을 산화시키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7은 CH 또는 CH2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8은 철-황 단백질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19는 환원된 플라보독신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20은 또는 비소를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21은 X-H와 Y-H에 작용하여 X-Y 결합을 형성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 EC 1.97은 기타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4. 1. EC 1.1 (CH-OH 그룹에 작용)

EC 1.1은 공여체의 CH-O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로, 알코올 산화환원효소가 여기에 속한다.

4. 1. 1. EC 1.1.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EC 1.1.1)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 호모세린 탈수소효소 등 다양한 효소가 포함된다. EC 번호는 EC 1.1.1.1부터 EC 1.1.1.137까지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

4. 1. 2. EC 1.1.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EC 1.1.2는 시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요약에서 언급된 만니톨 탈수소효소, L-젖산 탈수소효소 등은 원본 소스에서 확인할 수 없지만, EC 1.1.2에 속하는 효소의 예시로 볼 수 있다.

4. 1. 3. EC 1.1.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number영어 1.1.3은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포도당 산화효소, 콜레스테롤 산화효소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1. 4. EC 1.1.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 EC 1.1.98.2 글루코스-6-인산 탈수소효소 (보조 인자 F420)
  • EC 1.1.98.3 데카프레닐포스포-β-D-리보푸라노스 2-산화효소
  • EC 1.1.98.4 F420H2:퀴논 산화환원효소
  • EC 1.1.98.5 제2급 알코올 탈수소효소 (보조 인자 F420)

4. 1. 5. EC 1.1.5 (퀴논 또는 유사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EC 1.1.2.8EC 1.1.99.9피리독신-5-데비트 효소EC 1.1.99.10글루코스 탈수소 효소 (수용체)EC 1.1.99.11과당-5-탈수소 효소EC 1.1.99.12소르보스 탈수소 효소EC 1.1.99.13글루코시드-3-탈수소 효소EC 1.1.99.14글리콜산 탈수소 효소EC 1.7.99.5EC 1.1.5.4EC 1.1.5.2EC 1.1.99.18셀로비오스 탈수소 효소 (수용체)삭제EC 1.1.99.20알칸-1-올 탈수소 효소 (수용체)EC 1.1.99.21D-소르비톨 탈수소 효소 (수용체)EC 1.1.99.22글리세롤 탈수소 효소 (수용체)EC 1.1.2.6EC 1.1.99.24하이드록시산 옥소산 트랜스하이드로게나아제EC 1.1.5.8EC 1.1.99.263-하이드록시시클로헥사논 탈수소 효소EC 1.1.99.27(R)-판토락톤 탈수소 효소 (플라빈)EC 1.1.99.28글루코스 프럭토스 산화 환원 효소EC 1.1.99.29피라노스 탈수소 효소 (수용체)EC 1.1.99.302-옥소산 환원 효소EC 1.1.99.31(S)-만델산 탈수소 효소EC 1.1.99.32L-소르보스 탈수소 효소EC 1.1.99.33포름산 탈수소 효소(수용체)EC 1.1.98.2EC 1.1.99.35가용성 퀴논 단백질 글루코스 탈수소 효소EC 1.1.99.36NDMA-의존성 알코올 탈수소 효소EC 1.1.99.37NDMA-의존성 메탄올 탈수소 효소EC 1.1.99.382-데옥시-scyllo-이노사민 탈수소 효소 (AdoMet 의존성)EC 1.1.99.39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 탈수소 효소


4. 1. 6. EC 1.1.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주어진 원본 소스는 '산화 환원 효소' 위키 페이지의 'EC 1.1.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섹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이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4. 1. 7. EC 1.1.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4. 2. EC 1.2 (알데하이드 또는 옥소 그룹에 작용)

EC 1.2는 공여체의 알데하이드 또는 옥소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1]

생체 내 산화 환원 반응은 다음 형식 중 하나를 취한다.

# 수소 원자 (히드리드)의 이동

# 전자의 이동

# 산소 원자의 부가

수소 원자의 이동을 수반하는 반응 (탈수소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대부분은 탈수소 효소(데히드로게나아제)라고 불린다. 이러한 효소의 수소원은 NAD 등 수소 공여체에서 유래하지만, 일부 세균 등이 가진 히드로게나아제에는 직접 수소 분자를 주고받는 것도 있다.

전자 이동을 촉매하는 효소의 대표는 전자 전달계를 구성하는 시토크롬이다.

분자상 산소를 기질로 하는 산화 환원 효소는 산화 효소(옥시다아제)라고 불린다. 옥시다아제는 섭취되는 산소 분자의 배분 형식의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많은 산화 환원 효소는 활성 중심에 금속 원소가 존재하며, (철 포르피린), 구리가 대표적인 활성 중심 금속이다.

산화 환원 효소에 관여하는 산화·환원 수용체는 한정되어 있으며, NAD, NADP 등의 보조 효소, 시토크롬류, 산소, 다이설파이드, 퀴논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으며, EC 번호의 EC 1군은 산화·환원 수용체의 종류로도 구분되어 있다.[1]

EC 1.2에 속하는 효소들은 다음과 같다.

EC 번호효소 이름비고
EC 1.2.3.1알데히드 산화 효소
EC 1.2.3.2결번 → EC 1.1.3.22
EC 1.2.3.3피루브산 산화 효소
EC 1.2.3.4수산 산화 효소
EC 1.2.3.5글리옥실산 산화 효소
EC 1.2.3.6피루브산 산화 효소 (CoA-아세틸화)
EC 1.2.3.7인돌-3-아세트알데히드 산화 효소
EC 1.2.3.8피리독살 산화 효소
EC 1.2.3.9아릴알데히드 산화 효소
EC 1.2.3.10결번 (삭제)
EC 1.2.3.11레티날 산화 효소
EC 1.2.3.12결번 → EC 1.14.13.82
EC 1.2.3.134-히드록시페닐피루브산 산화 효소
EC 1.2.3.14압시스산 알데히드 산화 효소


4. 2. 1. EC 1.2.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산화 환원 효소의 EC 번호가 1.2로 시작하는 효소들은 다음과 같다.

EC 번호효소 이름비고
EC 1.2.3.1알데히드 산화 효소
EC 1.2.3.2결번 → EC 1.1.3.22
EC 1.2.3.3피루브산 산화 효소
EC 1.2.3.4수산 산화 효소
EC 1.2.3.5글리옥실산 산화 효소
EC 1.2.3.6피루브산 산화 효소 (CoA-아세틸화)
EC 1.2.3.7인돌-3-아세트알데히드 산화 효소
EC 1.2.3.8피리독살 산화 효소
EC 1.2.3.9아릴알데히드 산화 효소
EC 1.2.3.10결번 (삭제)
EC 1.2.3.11레티날 산화 효소
EC 1.2.3.12결번 → EC 1.14.13.82
EC 1.2.3.134-히드록시페닐피루브산 산화 효소
EC 1.2.3.14압시스산 알데히드 산화 효소
EC.1.2.4.1피루브산 탈수소 효소 (아세틸기 전이)
EC.1.2.4.2옥소글루타르산 탈수소 효소 (석시닐기 전이)
EC.1.2.4.3결번 → EC.1.2.4.4
EC.1.2.4.43-메틸-2-옥소부탄산 탈수소 효소 (2-메틸프로파노일기 전이)


4. 2. 2. EC 1.2.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4. 2. 3. EC 1.2.3 (산소가 전자수용체)

산소가 전자 수용체로 작용하는 EC 1.2.3 부류의 산화 환원 효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번호는 현재 결번이다.

4. 2. 4. EC 1.2.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포름알데히드 불균등화효소는 EC 번호 1.2.98.1을 갖는 산화환원효소이다.

4. 2. 5. EC 1.2.5 (퀴논 또는 유사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다음은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알데하이드 또는 옥소산에 작용하는 효소이다.

4. 2. 6. EC 1.2.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주어진 원문 자료에는 산화 환원 효소 EC 1.2.98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고, EC 1.3.1에 대한 효소 목록만 존재한다. 따라서 원문 자료만으로는 "산화 환원 효소" 문서의 "EC 1.2.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4. 2. 7. EC 1.2.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4. 3. EC 1.3 (CH-CH 그룹에 작용)

EC 1.3은 공여체의 CH-C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CH-CH 산화 환원 효소)

4. 3. 1. EC 1.3.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찾을 수 없어 빈 문자열을 반환했습니다. 이는 정확한 응답이었지만,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원본 소스에는 "EC 1.3.1"을 포함하는 항목이 없으므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4. 3. 2. EC 1.3.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효소 번호효소 이름
EC 1.3.5.1숙신산 탈수소효소 (퀴논)
EC 1.3.5.2다이하이드로오로트산 탈수소효소 (퀴논)
EC 1.3.5.3프로토포르피리노젠-IX 탈수소효소 (메나퀴논)
EC 1.3.5.4푸마르산 환원효소 (퀴놀)


4. 3. 3. EC 1.3.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
EC 1.3.7.16-히드록시니코틴산 환원 효소
EC 1.3.7.215,16-디히드로빌리베르딘:페레독신 산화 환원 효소
EC 1.3.7.3피코에리트로빌린:페레독신 산화 환원 효소
EC 1.3.7.4피토크로모빌린:페레독신 산화 환원 효소
EC 1.3.7.5피코시아노빌린:페레독신 산화 환원 효소
EC 1.3.7.6피코에리트로빌린 합성 효소
EC 1.3.7.7페레독신:프로토클로로필리드 환원 효소(ATP 의존성)
EC 1.3.7.8벤조일-CoA 환원 효소
EC 1.3.7.94-히드록시벤조일-CoA 환원 효소


4. 3. 4. EC 1.3.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
EC 1.3.8.1단쇄 아실-CoA 탈수소 효소
EC 1.3.8.24,4'-디아포피토엔 탈포화 효소
EC 1.3.8.3(R)-벤질숙시닐-CoA 탈수소 효소
EC 1.3.8.4이소발레릴-CoA 탈수소 효소
EC 1.3.8.52-메틸 분지쇄 에노일-CoA 환원 효소
EC 1.3.8.6글루타릴-CoA 탈수소 효소 (탈카복실화)
EC 1.3.8.7중쇄 아실-CoA 탈수소 효소
EC 1.3.8.8장쇄 아실-CoA 탈수소 효소
EC 1.3.8.9초장쇄 아실-CoA 탈수소 효소
EC 1.3.8.10시클로헥스-1-엔-1-카르보닐-CoA 탈수소 효소
EC 1.3.8.11시클로헥산-1-카르보닐-CoA 탈수소 효소
EC 1.3.8.12(2S)-메틸숙시닐-CoA 탈수소 효소
EC 1.3.8.13크로토노베타이닐-CoA 환원 효소


4. 3. 5. EC 1.3.5 (퀴논 또는 유사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4. 3. 6. EC 1.3.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산화 환원 효소의 EC 번호 1.3.7은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로 관여하는 효소를 나타낸다. 그러나 주어진 소스에는 EC 1.3.7에 해당하는 효소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EC 1.3.99에 속하는 효소 중 일부가 EC 1.3.7로 변경된 기록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4. EC 1.4 (CH-NH2 그룹에 작용)

EC 1.4는 공여체의 CH-NH2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로, 아미노산 산화환원효소와 모노아민 산화효소 등이 여기에 속한다.[1]

4. 4. 1. EC 1.4.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여 L-아미노산의 이미노산으로의 산화를 촉매하는 효소들은 다음과 같다.

효소 번호효소 이름반응비고
EC 1.4.1.1알라닌 탈수소 효소L-알라닌 + H2O + NAD+ ⇄ 피루브산 + NH3 + NADH + H+
EC 1.4.1.2글루탐산 탈수소 효소L-글루탐산 + H2O + NAD+ ⇄ 2-옥소글루타르산 + NH3 + NADH + H+
EC 1.4.1.3글루탐산 탈수소 효소 (NAD(P)+)L-글루탐산 + H2O + NAD(P)+ ⇄ 2-옥소글루타르산 + NH3 + NAD(P)H + H+
EC 1.4.1.4글루탐산 탈수소 효소 (NADP+)L-글루탐산 + H2O + NADP+ ⇄ 2-옥소글루타르산 + NH3 + NADPH + H+
EC 1.4.1.5L-아미노산 탈수소 효소L-아미노산 + H2O + NAD+ ⇄ 2-옥소산 + NH3 + NADH + H+기질 특이성이 넓다.
EC 1.4.1.7세린-2-탈수소 효소L-세린 + H2O + NAD+ ⇄ 2-아미노-3-옥소프로판산 + NH3 + NADH + H+2-아미노-3-옥소프로판산은 즉시 탈카복실화되어 아미노아세톤을 형성한다.
EC 1.4.1.8발린 탈수소 효소 (NADP+)L-발린 + H2O + NADP+ ⇄ 3-메틸-2-옥소부탄산 + NH3 + NADPH + H+L-α-아미노부티르산에 대해서도 느리게 작용한다.
EC 1.4.1.9류신 탈수소 효소L-류신 + H2O + NAD+ ⇄ 4-메틸-2-옥소펜탄산 + NH3 + NADH + H+가지사슬 L-아미노산에 대해 작용한다.
EC 1.4.1.10글리신 탈수소 효소글리신 + H2O + NAD+ ⇄ 글리옥실산 + NH3 + NADH + H+
EC 1.4.1.11L-에리트로-3,5-디아미노헥산산 탈수소 효소L-에리트로-3,5-디아미노헥산산 + H2O + NAD+ ⇄ (S)-5-아미노-3-옥소헥산산 + NH3 + NADH + H+
EC 1.4.1.122,4-디아미노펜탄산 탈수소 효소2,4-디아미노펜탄산 + H2O + NAD+ ⇄ 2-아미노-4-옥소펜탄산 + NH3 + NADH + H+D-오르니틴에 대해 작용한다.
EC 1.4.1.13글루탐산 합성 효소 (NADPH)L-글루탐산 + NH3 + NADPH + H+ ⇄ L-글루타민 + NADP+ + H2O
EC 1.4.1.14글루탐산 합성 효소 (NADH)L-글루탐산 + NH3 + NADH + H+ ⇄ L-글루타민 + NAD+ + H2O
EC 1.4.1.15리신 탈수소 효소L-리신 + H2O + NAD+ ⇄ 2-아미노아디프산-6-세미알데하이드 + NH3 + NADH + H+
EC 1.4.1.16디아미노피멜산 탈수소 효소메소-2,6-디아미노헵탄디오산 + H2O + NAD(P)+ ⇄ L-2-아미노-6-옥소헵탄디오산 + NH3 + NAD(P)H + H+
EC 1.4.1.17N-메틸알라닌 탈수소 효소N-메틸-L-알라닌 + H2O + NAD+ ⇄ 피루브산 + 메틸아민 + NADH + H+
EC 1.4.1.18리신-6-탈수소 효소L-리신 + H2O + NAD+ ⇄ (S)-2-아미노-6-옥소헥산산 + NH3 + NADH + H+
EC 1.4.1.19트립토판 탈수소 효소L-트립토판 + H2O + NAD(P)+ ⇄ 인돌-3-피루브산 + NH3 + NAD(P)H + H+
EC 1.4.1.20페닐알라닌 탈수소 효소L-페닐알라닌 + H2O + NAD+ ⇄ 페닐피루브산 + NH3 + NADH + H+
EC 1.4.1.21아스파르트산 탈수소 효소L-아스파르트산 + H2O + NAD+ ⇄ 옥살로아세트산 + NH3 + NADH + H+


4. 4. 2. EC 1.4.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4. 4. 3. EC 1.4.3 (산소가 전자수용체)

4. 4. 4. EC 1.4.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EC 1.4.98.1 결번 → EC 1.4.9.1

4. 4. 5. EC 1.4.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EC영어 1.4.7은 철-황 단백질이 전자 수용체인 산화 환원 효소이다.

EC 1.4.7 부류
번호이름비고
EC 1.4.7.2타우린 탈수소효소
EC 1.4.7.5글리신 탈수소효소 (사이안화물 형성)
EC 1.4.7.6D-아르기닌 탈수소효소


4. 5. EC 1.5 (CH-NH 그룹에 작용)

EC 1.5는 공여체의 CH-NH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4. 5. 1. EC 1.5.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로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EC 1.5.1)에는 다음과 같은 효소들이 있다.

EC 번호효소명비고
1.5.1.1피롤린-2-카르복실산 환원효소
1.5.1.2피롤린-5-카르복실산 환원효소
1.5.1.3디히드로엽산 환원효소EC 1.5.1.4에서 이전
1.5.1.5메틸렌테트라히드로엽산 탈수소효소 (NADP+)
1.5.1.6포르밀테트라히드로엽산 탈수소효소
1.5.1.7사카로핀 탈수소효소 (NAD+, L-리신 생성)
1.5.1.8사카로핀 탈수소효소 (NADP+, L-리신 생성)
1.5.1.9사카로핀 탈수소효소 (NAD+, L-글루탐산 생성)
1.5.1.10사카로핀 탈수소효소 (NADP+, L-글루탐산 생성)
1.5.1.11D-옥토핀 탈수소효소
1.5.1.121-피롤린-5-카르복실산 탈수소효소
1.5.1.15메틸렌테트라히드로엽산 탈수소효소 (NAD+)
1.5.1.16D-리소핀 탈수소효소
1.5.1.17알라노핀 탈수소효소
1.5.1.18에페드린 탈수소효소
1.5.1.19D-노팔린 탈수소효소
1.5.1.20메틸렌테트라히드로엽산 환원효소 (NAD(P)H)
1.5.1.21Δ1-피페리딘-2-카르복실산 환원효소EC 1.5.1.14에서 이전
1.5.1.22스트롬빈 탈수소효소
1.5.1.23타우로핀 탈수소효소
1.5.1.24N5-(카르복시에틸)오르니틴 합성효소
1.5.1.25티오모르폴린카르복실산 탈수소효소
1.5.1.26β-알라노핀 탈수소효소
1.5.1.271,2-디히드로레티클리늄 환원효소 (NADPH)
1.5.1.28오핀 탈수소효소
1.5.1.29FMN 환원효소
1.5.1.30플라빈 환원효소
1.5.1.31베르베린 환원효소
1.5.1.32보밀레닌 환원효소
1.5.1.33프테리딘 환원효소
1.5.1.346,7-디히드로프테리딘 환원효소


4. 5. 2. EC 1.5.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비고
EC 1.5.3.1사르코신 산화효소
EC 1.5.3.2N-메틸-L-아미노산 산화효소
EC 1.5.3.3결번
EC 1.5.3.4N6-메틸리신 산화효소
EC 1.5.3.5(S)-6-히드록시니코틴 산화효소
EC 1.5.3.6(R)-6-히드록시니코틴 산화효소
EC 1.5.3.7L-피페콜린산 산화효소
EC 1.5.3.8EC 1.3.3.8로 통합
EC 1.5.3.9EC 1.21.3.3으로 통합
EC 1.5.3.10디메틸글리신 산화효소
EC 1.5.3.11EC 1.5.3.13, EC 1.5.3.14, EC 1.5.3.15, EC 1.5.3.16, EC 1.5.3.17로 분할
EC 1.5.3.12디히드로벤조페난트리딘 산화효소
EC 1.5.3.13N1-아세틸폴리아민 산화효소
EC 1.5.3.14폴리아민 산화효소 (프로판-1,3-디아민 형성)
EC 1.5.3.15N8-아세틸스페르미딘 산화효소 (프로판-1,3-디아민 형성)
EC 1.5.3.16스페르민 산화효소
EC 1.5.3.17비특이적 폴리아민 산화효소
EC 1.5.3.18L-사카로핀 산화효소
EC 1.5.7.1메틸렌테트라히드로엽산 환원효소 (페레독신)


4. 5. 3. EC 1.5.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5.8.1디메틸아민 탈수소효소
EC 1.5.8.2트리메틸아민 탈수소효소
EC 1.5.8.3사르코신 탈수소효소
EC 1.5.8.4디메틸글리신 탈수소효소


4. 5. 4. EC 1.5.5 (퀴논 또는 유사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4. 5. 5. EC 1.5.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EC 번호 1.5.7에 해당하는 효소가 없으며, EC 1.5.99에 속하는 효소들만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6. EC 1.6 (NADH 또는 NADPH에 작용)

EC 1.6은 NADH 또는 NADPH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이들은 전자를 NADH 또는 NADPH로부터 다른 분자로 전달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4. 6. 1. EC 1.6.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
EC 1.6.1.1NAD(P)+ 트랜스히드로게나아제 (Si-특이적)
EC 1.6.1.2NAD(P)+ 트랜스히드로게나아제 (Re/Si-특이적)


4. 6. 2. EC 1.6.2 (헴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비고
1.6.2.1결번 → EC 1.6.99.3
EC 1.6.2.2사이토크롬 b5 환원효소
1.6.2.3결번 삭제
EC 1.6.2.4NADPH-헴 단백질 환원효소
EC 1.6.2.5NADPH-사이토크롬 c2 환원효소
EC 1.6.2.6레그헤모글로빈 환원효소


4. 6. 3. EC 1.6.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6.3.1NAD(P)H 산화효소NAD(P)H + H+ + O2 ⇄ NAD(P)+ + H2O2
EC 1.6.3.2NAD(P)H 산화효소 (물 생성형)NAD(P)H + 1/2O2 ⇄ NAD(P)+ + H2O
EC 1.6.3.3NADH 산화효소 (과산화수소 생성형)NADH + H+ + O2 ⇄ NAD+ + H2O2
EC 1.6.3.4NADH 산화효소 (물 생성형)2NADH + 2H+ + O2 ⇄ 2NAD+ + 2H2O
EC 1.6.3.5레날라아제2-(메틸아미노)에탄올 + 2H+ + O2 ⇄ 2-아미노에탄알 + 메탄아민 + 2H2O2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 2H+ + O2 ⇄ 2-(메틸아미노)에탄올 + 메탄아민 + 2H2O2
2-(에틸아미노)에탄올 + 2H+ + O2 ⇄ 2-아미노에탄알 + 에탄아민 + 2H2O2


4. 6. 4. EC 1.6.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번호명칭반응비고
EC 1.6.4.1결번EC 1.8.1.6으로 이동
EC 1.6.4.2결번EC 1.8.1.4로 이동
EC 1.6.4.3결번EC 1.8.1.7로 이동
EC 1.6.4.4결번EC 1.8.1.8로 이동
EC 1.6.4.5결번EC 1.8.1.9로 이동
EC 1.6.4.6결번EC 1.8.1.10으로 이동
EC 1.6.4.7결번EC 1.8.1.11로 이동
EC 1.6.4.8결번EC 1.8.1.12로 이동
EC 1.6.4.9결번EC 1.8.1.13으로 이동
EC 1.6.4.10결번EC 1.8.1.14로 이동


4. 6. 5. EC 1.6.5 (퀴논 및 유사체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비고
EC.1.6.5.1결번삭제됨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2.html EC.1.6.5.2NAD(P)H 탈수소효소 (퀴논)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3.html EC.1.6.5.3NADH:유비퀴논 환원효소 (수소 이온 수송형)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4.html EC.1.6.5.4모노데히드로아스코르빈산 환원효소 (NADH)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5.html EC.1.6.5.5NADPH:퀴논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6.html EC.1.6.5.6p-벤조퀴논 환원효소 (NADPH)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7.html EC.1.6.5.72-히드록시-1,4-벤조퀴논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8.html EC.1.6.5.8NADH:유비퀴논 환원효소 (나트륨 이온 수송형)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9.html EC.1.6.5.9NADH:유비퀴논 환원효소 (전위 비형성형)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10.html EC.1.6.5.10NADPH 탈수소효소 (퀴논)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11.html EC.1.6.5.11NADH 탈수소효소 (퀴논)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6/5/12.html EC.1.6.5.12데메틸필로퀴논 환원효소


4. 6. 6. EC 1.6.6 (질소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wikitext

4. 6. 7. EC 1.6.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4. 6. 8. EC 1.6.8 (플라빈이 전자수용체)

4. 6. 9. EC 1.6.99 (기타 전자수용체 사용)

EC 번호명칭비고
EC 1.6.99.1NADPH 탈수소 효소
EC 1.6.99.2EC 1.6.5.2로 이전
EC 1.6.99.3NADH 탈수소 효소
EC 1.6.99.4EC 1.18.1.2로 이전
EC 1.6.99.5EC 1.6.5.11로 이전
EC 1.6.99.6EC 1.6.5.10으로 이전
EC 1.6.99.7EC 1.5.1.34로 이전
EC 1.6.99.8EC 1.16.1.3으로 이전
EC 1.6.99.9EC 1.16.1.4로 이전
EC 1.6.99.10EC 1.5.1.34에 통합
EC 1.6.99.11EC 1.16.1.5로 이전
EC 1.6.99.12EC 1.16.1.6으로 이전
EC 1.6.99.13EC 1.16.1.7로 이전


4. 7. EC 1.7 (기타 질소 화합물에 작용)

EC 1.7은 다른 질소 화합물을 공여체(전자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을 포함한다. EC 1.7에 속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4. 7. 1. EC 1.7.1 (NADH 또는 NADPH가 전자수용체)

효소 번호이름비고
EC 1.7.1.1질산 환원 효소 (NADH)
EC 1.7.1.2질산 환원 효소 (NAD(P)H)
EC 1.7.1.3질산 환원 효소 (NADPH)
EC 1.7.1.4아질산 환원 효소 (NAD(P)H)
EC 1.7.1.5아질산 환원 효소
EC 1.7.1.6아조벤젠 환원 효소
EC 1.7.1.7GMP 환원 효소
EC 1.7.1.8결번 삭제
EC 1.7.1.9니트로퀴놀린-N-옥시드 환원 효소
EC 1.7.1.10히드록실아민 환원 효소 (NADH)
EC 1.7.1.114-(디메틸아미노)페닐아조시벤젠 환원 효소
EC 1.7.1.12N-히드록시-2-아세토아미도플루오렌 환원 효소
EC 1.7.1.13preQ1 합성 효소
EC 1.7.7.1페레독신 아질산 환원 효소
EC 1.7.7.2페레독신 질산 환원 효소


4. 7. 2. EC 1.7.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비고
EC 1.7.2.1아질산 환원 효소 (NO 형성)
EC 1.7.2.2아질산 환원 효소 (사이토크롬; 암모니아 형성)
EC 1.7.2.3트리메틸아민 N-옥시드 환원 효소 (사이토크롬 c)
EC 1.7.2.4아산화 질소 환원 효소EC 1.7.99.6에서 이전
EC 1.7.2.5일산화 질소 환원 효소EC 1.7.99.7에서 이전
EC 1.7.2.8히드라진 옥시드 환원 효소EC 1.7.99.8에서 이전


4. 7. 3. EC 1.7.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
EC 1.7.3.1니트로알칸 산화효소
EC 1.7.3.2아세틸인돌옥시다아제
EC 1.7.3.3요산 산화효소
EC 1.7.3.4히드록실아민 산화효소
EC 1.7.3.53-aci-니트로프로판산 산화효소


4. 7. 4. EC 1.7.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산화 환원 효소의 EC 번호 1.7.7은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로 작용하는 효소를 포함한다. 현재 이 소분류에는 효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4. 7. 5. EC 1.7.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7.99.1질산 환원효소 (퀴논)질산 + H2O + 퀴놀 = 아질산 + 퀴논
EC 1.7.99.2질소산화물 환원효소일산화 질소 + H2O + 수용성 사이토크롬 c551 = 아산화 질소 + 산화된 수용성 사이토크롬 c551
EC 1.7.99.3철 시토크롬-c 환원효소Fe2+ + 산화된 사이토크롬 c = Fe3+ + 환원된 사이토크롬 c
EC 1.7.99.4질산 환원효소 (사이토크롬)질산 + H2O + 2 페로사이토크롬 = 아질산 + 2 페리사이토크롬
EC 1.7.99.5하이드록실아민 환원효소암모늄 이온 + H2O + 수용성 사이토크롬 c = 하이드록실아민 + 산화된 수용성 사이토크롬 c
EC 1.7.99.6하이드록실아민 환원효소 (플라보사이토크롬)암모늄 이온 + 3 H2O + 4 페리사이토크롬 c = 하이드록실아민 + 4 페로사이토크롬 c
EC 1.7.99.7페레독신—아질산 환원효소6 환원된 페레독신 + 아질산 + 7 H+ = 6 산화된 페레독신 + 암모늄 이온 + 2 H2O


4. 8. EC 1.8 (황 그룹에 작용)

EC 1.8은 공여체의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EC 1.8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그룹들이 있다.

4. 8. 1. EC 1.8.1 (NADH 또는 NADPH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8.4.1글루타티온-호모시스테인 트랜스하이드로제네이스2 글루타티온 + 호모시스틴 homocystine영어 ⇄ 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2 호모시스테인
EC 1.8.4.2단백질-이황화물 환원효소 (글루타티온)2 글루타티온 + 단백질-이황화물 ⇄ 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단백질-다이싸이올
EC 1.8.4.3글루타티온-CoA-글루타티온 트랜스하이드로제네이스글루타티온 + CoA-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CoA
EC 1.8.4.4글루타티온-시스틴 트랜스하이드로제네이스2 글루타티온 + 시스틴 ⇄ 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2 시스테인
EC 1.8.4.7효소성 싸이올 트랜스하이드로제네이스 (글루타티온-이황화물)2 글루타티온 + 효소-이황화물 ⇄ 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효소-다이싸이올
EC 1.8.4.8포스포노아데닐릴-황산 환원효소 (싸이오레독신)싸이오레독신 + 3-포스포아데노신 5-포스포황산 ⇄ 싸이오레독신 이황화물 + 아황산염 + 아데노신 3,5-비스포스페이트
EC 1.8.4.9아데닐릴-황산 환원효소 (글루타티온)2 글루타티온 + 아데닐릴 황산 ⇄ 글루타티온 이황화물 + 아황산염 + AMP
EC 1.8.4.10아데닐릴-황산 환원효소 (싸이오레독신)싸이오레독신 + 아데닐릴 황산 ⇄ 싸이오레독신 이황화물 + 아황산염 + AMP
EC 1.8.4.11펩타이드-메싸이오닌 (S)-S-산화물 환원효소펩타이드-L-메싸이오닌 (S)-S-산화물 + 싸이오레독신 ⇄ 펩타이드-L-메싸이오닌 + 싸이오레독신 이황화물 + H2O
EC 1.8.4.12펩타이드-메싸이오닌 (R)-S-산화물 환원효소펩타이드-L-메싸이오닌 (R)-S-산화물 + 싸이오레독신 ⇄ 펩타이드-L-메싸이오닌 + 싸이오레독신 이황화물 + H2O
EC 1.8.4.13L-메싸이오닌 (S)-S-산화물 환원효소L-메싸이오닌 (S)-S-산화물 + 싸이오레독신 ⇄ L-메싸이오닌 + 싸이오레독신 이황화물 + H2O
EC 1.8.4.14L-메싸이오닌 (R)-S-산화물 환원효소L-메싸이오닌 (R)-S-산화물 + 싸이오레독신 ⇄ L-메싸이오닌 + 싸이오레독신 이황화물 + H2O


4. 8. 2. EC 1.8.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이 섹션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 EC 번호(EC 1.8.2)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는 EC 1.8.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이 수용체)에 대한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EC 1.8.2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은 빈 내용으로 출력되어야 합니다.

4. 8. 3. EC 1.8.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1.8.6.1은 결번되어 EC 2.5.1.18로 통합되었다.

4. 8. 4. EC 1.8.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4. 8. 5. EC 1.8.5 (퀴논 및 유사체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8.98.1CoB-CoM 헤테로이황화물 환원효소
EC 1.8.98.2설피레독신


4. 8. 6. EC 1.8.6 (질소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4. 9. EC 1.9 (헴 그룹에 작용)

EC 1.9는 공여체의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4. 9. 1. EC 1.9.3 (산소가 전자수용체)

4. 9. 2. EC 1.9.6 (질소 화합물이 전자수용체)

질산 환원 효소 (시토크롬)[1]

4. 9. 3. EC 1.9.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철-사이토크롬 c 환원효소는 EC 번호 1.9.98.1을 갖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1]

4. 9. 4. EC 1.9.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결번 → EC 1.7.98.1

4. 10. EC 1.10 (다이페놀 및 관련 물질에 작용)

EC 1.10은 공여체로 다이페놀 및 관련 물질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을 포함한다. EC 1.10에 속하는 효소로는 카테콜 산화효소, 락케이스 등이 있다.

4. 10. 1. EC 1.10.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트랜스-아세나프텐-1,2-다이올 탈수소효소는 EC 1.10.1.1에 속한다.[1]

trans-acenaphthene-1,2-diol dehydrogenase영어

4. 10. 2. EC 1.10.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4. 10. 3. EC 1.10.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반응비고
1.10.3.1카테콜 산화효소
1.10.3.2락케이스
1.10.3.3L-아스코르빈산 산화효소
1.10.3.4o-아미노페놀 산화효소
1.10.3.53-히드록시안트라닐산 산화효소
1.10.3.6리파마이신 B 산화효소
1.10.3.7EC 1.21.3.4로 이동
1.10.3.8EC 1.21.3.5로 이동


4. 10. 4. EC 1.10.5 (퀴논 및 유사체가 전자수용체)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Ribosyldihydronicotinamide dehydrogenase (quinone)영어)는 다음의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미드 + 퀴논 ⇄ 리보실니코틴아미드 + 하이드로퀴논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의 2가지 기질은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미드, 퀴논이며, 2가지 생성물은 리보실니코틴아미드, 하이드로퀴논이다.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는 산화 환원 효소의 일종이며, 특히 공여체의 다이페놀 및 관련 물질 그룹과 수용체로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에 작용한다.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의 계통명은 리보실-1,4-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미드:퀴논 산화환원효소이다.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에 사용되는 다른 일반적인 이름으로는 리보실다이하이드로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 리보실니코틴아마이드 탈수소효소가 있다.

4. 10. 5. EC 1.10.9 (구리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플라스트퀴놀-플라스타시아닌 환원효소는 구리 단백질을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1]

4. 10. 6. EC 1.10.99 (기타 전자수용체 사용)

4. 11. EC 1.11 (과산화물을 수용체로 사용)

EC 1.11은 수용체로 과산화물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EC 1.11에 속하는 효소들은 과산화 효소라고도 불린다.

4. 11. 1. EC 1.11.1 (페록시다아제)

효소 번호이름비고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html EC.1.11.1.1NADH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2.html EC.1.11.1.2NADPH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3.html EC.1.11.1.3지방산 페록시다아제
EC.1.11.1.4결번 → EC.1.13.11.11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5.html EC.1.11.1.5시토크롬 c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6.html EC.1.11.1.6카탈라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7.html EC.1.11.1.7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8.html EC.1.11.1.8요오드화물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9.html EC.1.11.1.9글루타티온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0.html EC.1.11.1.10염화물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1.html EC.1.11.1.11L-아스코르빈산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2.html EC.1.11.1.12인지질-히드로페록시드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3.html EC.1.11.1.13망간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4.html EC.1.11.1.14리그닌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5.html EC.1.11.1.15페록시레독신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6.html EC.1.11.1.16만능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7.html EC.1.11.1.17글루타티온아미드-의존성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8.html EC.1.11.1.18브롬화물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19.html EC.1.11.1.19염료 탈색 페록시다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1/1/20.html EC.1.11.1.20프로스타미드/프로스타글란딘-F 합성효소


4. 11. 2. EC 1.11.2 (과산화수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 산소 원자 하나를 생성물에 포함)

EC 번호명칭반응비고
EC 1.11.2.1비특이적 과산화효소
EC 1.11.2.2미엘로과산화효소
EC 1.11.2.3식물 종자 과산화효소
EC 1.11.2.4지방산 과산화효소
EC 1.11.2.53-메틸-L-티로신 과산화효소


4. 12. EC 1.12 (수소에 작용)

EC 1.12는 공여체로서 수소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1]

4. 12. 1. EC 1.12.1 (NADH 또는 NADPH가 전자수용체)

4. 12. 2. EC 1.12.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시토크롬 ''c''3 수소화 효소에 대한 내용은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2/2/1.html EC 1.12.2.1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2. 3. EC 1.12.5 (퀴논 및 유사체가 전자수용체)

수소:퀴논 산화환원효소[1]

4. 12. 4. EC 1.12.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4. 12. 5. EC 1.12.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EC 번호명칭비고
EC 1.12.98.1보조 효소 F420 탈수소 효소
EC 1.12.98.25,10-메테닐테트라히드로메타노프테린 탈수소 효소
EC 1.12.98.3메타노살시나-페나진 탈수소 효소


4. 12. 6. EC 1.12.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4. 13. EC 1.13 (분자 산소를 혼입하여 단일 공여체에 작용)

EC 1.13은 기질에 산소 원자를 직접 혼입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산화 환원 효소로, 산소화효소라고도 한다.

4. 13. 1. EC 1.13.1

기존 번호변경된 번호
EC.1.13.1.1EC.1.13.11.1
EC.1.13.1.2EC.1.13.11.2
EC.1.13.1.3EC.1.13.11.3
EC.1.13.1.4EC.1.13.11.4
EC.1.13.1.5EC.1.13.11.5
EC.1.13.1.6EC.1.13.11.6
EC.1.13.1.7EC.1.13.11.7
EC.1.13.1.8EC.1.13.11.8
EC.1.13.1.9EC.1.13.11.9
EC.1.13.1.10EC.1.13.11.10
EC.1.13.1.11EC.1.13.99.1
EC.1.13.1.12EC.1.13.11.11
EC.1.13.1.13EC.1.13.11.12


4. 13. 2. EC 1.13.11 (2원자 산소 혼입)

EC 번호이름비고
EC 1.13.11.1카테콜 1,2-디옥시게나제
EC 1.13.11.2카테콜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3프로토카테쿠산 3,4-디옥시게나제
EC 1.13.11.4겐티신산 1,2-디옥시게나제
EC 1.13.11.5호모겐티신산 1,2-디옥시게나제
EC 1.13.11.63-히드록시아란트라닐산 3,4-디옥시게나제
EC 1.13.11.7결번 삭제
EC 1.13.11.8프로토카테쿠산 4,5-디옥시게나제
EC 1.13.11.92,5-디히드록시피리딘 5,6-디옥시게나제
EC 1.13.11.107,8-디히드록시키누렌산 8,8a-디옥시게나제
EC 1.13.11.11트립토판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12리폭시게나제
EC 1.13.11.13아스코르브산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142,3-디히드록시벤조산 3,4-디옥시게나제
EC 1.13.11.153,4-디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163-카르복시에틸카테콜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17인돌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18황 디옥시게나제
EC 1.13.11.19시스테아민 디옥시게나제
EC 1.13.11.20시스테인 디옥시게나제
EC 1.13.11.21결번 → EC 1.14.99.36
EC 1.13.11.22커피산 3,4-디옥시게나제
EC 1.13.11.232,3-디히드록시인돌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24퀘르세틴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253,4-디히드록시-9,10-세코안드로스타-1,3,5(10)-트리엔-9,17-디온 4,5-디옥시게나제
EC 1.13.11.26펩티드-트립토판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274-히드록시페닐피루브산 디옥시게나제
EC 1.13.11.282,3-디히드록시벤조산 2,3-디옥시게나제
EC 1.13.11.29스티조로빈산 합성효소
EC 1.13.11.30스티조로비닌산 합성효소
EC 1.13.11.31아라키돈산 12-리폭시게나제
EC 1.13.11.32결번 → EC 1.13.12.16
EC 1.13.11.33아라키돈산 15-리폭시게나제
EC 1.13.11.34아라키돈산 5-리폭시게나제
EC 1.13.11.35피로갈롤 1,2-옥시게나제
EC 1.13.11.36클로리다존-카테콜 디옥시게나제
EC 1.13.11.37히드록시퀴놀 1,2-디옥시게나제
EC 1.13.11.381-히드록시-2-나프토산 1,2-디옥시게나제
EC 1.13.11.39비페닐-2,3-디올 1,2-디옥시게나제
EC 1.13.11.40아라키돈산 8-리폭시게나제
EC 1.13.11.412,4'-디히드록시아세토페논 디옥시게나제
EC 1.13.11.42결번 삭제
EC 1.13.11.43리그노스틸벤-αβ-디옥시게나제
EC 1.13.11.44리놀레산 디올 합성효소
EC 1.13.11.45리놀레산 11-리폭시게나제
EC 1.13.11.464-히드록시만델산 합성효소
EC 1.13.11.473-히드록시-4-옥소퀴놀린-2,4-디옥시게나제
EC 1.13.11.483-히드록시-2-메틸퀴놀린-4-온 2,4-디옥시게나제
EC 1.13.11.49아염소산 O2 리아제
EC 1.13.11.50아세틸아세톤 분해 효소
EC 1.13.11.519-시스-에폭시카로티노이드 디옥시게나제
EC 1.13.11.52인돌아민-2,3-디옥시게나제
EC 1.13.11.53아실레즈크톤 디옥시게나제 (Ni2+-요구)
EC 1.13.11.54아실레즈크톤 디옥시게나제 (철(II)-요구)
EC 1.13.11.55황 옥시게나제/환원효소
EC 1.13.11.561,2-디히드록시나프탈렌 디옥시게나제


4. 13. 3. EC 1.13.12 (1원자 산소 혼입; 분자내 모노옥시게나아제 또는 분자내 혼합 기능 옥시다아제)

효소 번호이름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html EC.1.13.12.1아르기닌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2.html EC.1.13.12.2리신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3.html EC.1.13.12.3트립토판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4.html EC.1.13.12.4젖산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5.html EC.1.13.12.5레니랄루시페린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6.html EC.1.13.12.6갯벌 반딧불 루시페린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7.html EC.1.13.12.7반딧불 루시페린 4-모노옥시게나아제 (ATP 가수분해)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8.html EC.1.13.12.8반딧불이 칼루시페린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9.html EC.1.13.12.9페닐알라닌 2-모노옥시게나아제
EC.1.13.12.10결번 →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3/59.html EC.1.14.13.59
EC.1.13.12.11결번 →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3/8.html EC.1.14.13.8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2.html EC.1.13.12.12아포-β-카로테노이드 14,13-디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3.html EC.1.13.12.13발광 에빌루시페린 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4.html EC.1.13.12.14클로로필리드 a 산소화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5.html EC.1.13.12.15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산화적 데아미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6.html EC.1.13.12.16니트론산 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7.html EC.1.13.12.17디클로로알실리아플라빈 A 합성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3/12/18.html EC.1.13.12.18와편모조 루시페라아제


4. 13. 4. EC 1.13.99 (기타 옥시게나아제)

4. 14. EC 1.14 (분자 산소를 혼입하여 쌍을 이룬 공여체에 작용)

EC 1.14는 분자 산소를 혼입하여 쌍을 이룬 공여체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을 포함한다.

4. 14. 1. EC 1.14.1

번호설명
EC 1.14.1.1결번 → EC 1.14.14.1
EC 1.14.1.2결번 → EC 1.14.13.9
EC 1.14.1.3결번 → EC 1.14.99.7, EC 5.4.99.7로 배분
EC 1.14.1.4결번 → EC 1.14.99.2
EC 1.14.1.5결번 → EC 1.14.13.5
EC 1.14.1.6결번 → EC 1.14.15.4
EC 1.14.1.7결번 → EC 1.14.99.9
EC 1.14.1.8결번 → EC 1.14.99.10
EC 1.14.1.9결번 삭제
EC 1.14.1.10결번 → EC 1.14.99.11
EC 1.14.1.11결번 삭제


4. 14. 2. EC 1.14.2 (아스코르브산류를 전자공여체로 사용)

4. 14. 3. EC 1.14.3 (프테리딘 환원체를 공여체로 사용)

EC.1.14.3.1은 EC.1.14.16.1로 결번되었다.[1]

4. 14. 4. EC 1.14.11 (2-옥소글루타르산류를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산소 부분을 각 전자 공여체에 혼입)

EC 1.14.11은 2-옥소글루타르산을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고, 산소 분자(O2)를 각 전자 공여체에 혼입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들을 포함한다.

EC 번호효소명
EC 1.14.11.1γ-부티로베타인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2프로콜라겐-프롤린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3피리미딘-데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4프로콜라겐-리신-5-디옥시게나아제
1.14.11.5EC 1.14.11.6으로 통합
EC 1.14.11.6티민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7프로콜라겐-프롤린-3-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8트리메틸리신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9플라바논-3-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0피리미딘-데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1'-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1히오스시아민 (6S)-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2지베렐린-44-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3지베렐린-2β-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46β-히드록시히오스시아민 에폭시다아제
EC 1.14.11.15지베렐린-3β-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6펩타이드-아스파르트산-β-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7타우린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8피타노일 CoA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19류코시아니딘 산화 효소
EC 1.14.11.20데아세톡시빈돌린-4-히드록실라아제
EC 1.14.11.21클라바민산 합성 효소
EC 1.14.11.22플라본 합성 효소
EC 1.14.11.23플라보놀 합성 효소
EC 1.14.11.242-데옥시무기네산-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25무기네산-3-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26데아세톡시세팔로스포린 C 히드록실라아제
EC 1.14.11.27(히스톤 H3)-리신-36-데메틸라아제
EC 1.14.11.28프롤린-3-히드록실라아제
EC 1.14.11.29저산소증 유도 인자 프롤린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30저산소증 유도 인자 아스파라긴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1.31테바인 6-O-데메틸라아제
EC 1.14.11.32코데인 3-O-데메틸라아제


4. 14. 5. EC 1.14.12 (NADH 또는 NADPH를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다른 전자 공여체는 두 개의 산소 원자 혼입)

번호이름비고
EC 1.14.12.1안트라닐산-1,2-디옥시게나아제 (탈아미노화, 탈탄산)
EC 1.14.12.2결번 → EC 1.14.13.35
EC 1.14.12.3벤젠-1,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43-하이드록시-2-메틸피리딘카르복실산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55-피리독신산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6결번 → EC 1.14.13.66
EC 1.14.12.7프탈산-4,5-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84-설포벤조산-3,4-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94-클로로페닐아세트산-3,4-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0벤조산-1,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1톨루엔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2나프탈렌-1,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32-클로로벤조산-1,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42-아미노벤젠설폰산-2,3-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5테레프탈산-1,2-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62-하이드록시퀴놀린-5,6-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7일산화 질소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8비페닐-2,3-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193-페닐프로판산 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20페오포르비드 a 산소화효소
EC 1.14.12.21벤조일-CoA-2,3-디옥시게나아제
EC 1.14.12.22카르바졸-1,9a-디옥시게나아제


4. 14. 6. EC 1.14.13 (NADH 또는 NADPH를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한 개의 산소 원자 혼입)

EC 번호이름
EC 1.14.13.1살리실산 1-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4-하이드록시벤조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멜릴로트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이미다졸 아세트산 4-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오르시놀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7페놀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8플라빈 함유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9퀴누레닌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02,6-다이하이드록시피리딘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1트랜스-계피산 4-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2벤조산 4-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3칼시디올 1-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4트랜스-계피산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5콜레스타트리올 26-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6시클로펜타논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7콜레스테롤 7α-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8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1-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9탁시폴린 8-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02,4-다이클로로페놀 6-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1플라보노이드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2시클로헥사논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33-하이드록시벤조산 4-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43-하이드록시벤조산 6-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5메탄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6포스파티딜콜린 1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74-아미노벤조산 1-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83,9-다이하이드록시프테로카르판 6a-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294-나이트로페놀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0류코트리엔 B4 20-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12-나이트로페놀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2알벤다졸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34-하이드록시벤조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NAD(P)H)
EC 1.14.13.34류코트리엔 E4 20-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5안트라닐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탈아미노화)
EC 1.14.13.365-O-(4-쿠마로일)-D-킨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7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로토베르베린 14-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8안하이드로테트라사이클린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39일산화 질소 합성효소
EC 1.14.13.40안트라닐로일 CoA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1티로신 N-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2하이드록시페닐아세토니트릴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3퀘르세틴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42-하이드록시바이페닐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6(-)-멘톨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7(S)-리모넨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8(S)-리모넨 6-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49(S)-리모넨 7-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0펜타클로로페놀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16-옥소시네올 탈수소효소
EC 1.14.13.52이소플라본 3'-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534-메톡시이소플라본 2-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54케토스테로이드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5프로토핀 6-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6다이하이드로산기나린 10-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7다이하이드로케릴빈 1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8벤조일 CoA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59L-라이신 6-모노옥시게나아제 (NADPH)
EC 1.14.13.6027-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7α-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12-하이드록시퀴놀린 8-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24-하이드록시퀴놀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33-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6-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644-하이드록시벤조산 1-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662-하이드록시시클로헥사논 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7퀴닌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8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69알켄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70스테롤 14-데메틸라제
EC 1.14.13.71N-메틸코클라우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72메틸스테롤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73타베르소닌 16-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747-데옥시로가닌 7-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75비놀린 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76탁산 10β-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77탁산 13α-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78ent-카울렌 옥시다아제
EC 1.14.13.79ent-카울렌산 옥시다아제
EC 1.14.13.80(R)-리모넨 6-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81마그네슘-프로토포르피린IX 모노메틸 에스터(산화적) 시클라제
EC 1.14.13.82바닐린산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83프리코린3B 합성효소
EC 1.14.13.844-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85글리세올린 합성효소
EC 1.14.13.862-하이드록시이소플라바논 합성효소
EC 1.14.13.87리코지온 합성효소
EC 1.14.13.88플라보노이드 3,5-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89이소플라본 2'-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0제아잔틴 에폭시다아제
EC 1.14.13.91데옥시살파진 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2페닐아세톤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93(+)-압시스산 8'-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4리토콜산 6β-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57α-하이드록시콜레스트-4-엔-3-온-12α-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65β-콜레스탄-3α,7α-다이올-12α-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7타우로케노데옥시콜산 6α-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8콜레스테롤 24-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9924-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7α-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0025-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7α-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01세네시오닌 N-옥시게나아제
EC 1.14.13.102프소랄렌 합성효소
EC 1.14.13.1038-다이메틸알릴나린게닌 2'-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04(+)-멘토푸란 합성효소
EC 1.14.13.105단환식 모노테르펜 케톤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06epi-이소지자엔-5-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07리모넨-1,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08아비에타디엔 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09아비에타디에놀 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10게라닐게라니올-18-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11메탄술폰산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123-epi-6-데옥소카타스테론-2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13FAD 의존성 요산 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146-하이드록시니코틴산 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15안겔리신 합성효소
EC 1.14.13.116게라닐하이드로퀴논-3''-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17이소류신-N-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18발린-N-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13.1195-에피아리스토로켄-1,3-다이하이드록실라제
EC 1.14.13.120코스투놀리드 합성효소
EC 1.14.13.121프레무나스피로지엔 옥시게나아제
EC 1.14.13.122클로로필리드-a 옥시게나아제


4. 14. 7. EC 1.14.14 (환원형 플라빈 또는 플라보단백질을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한 개의 산소 원자 혼입)

EC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14.14.1비특이적 모노옥시게나제이전 EC 번호 1.14.14.2
EC 1.14.14.3알카날 모노옥시게나제 (FMN 결합)
EC 1.14.14.5알칸술폰산 모노옥시게나제
EC 1.14.14.7트립토판-7-할로게나제
EC 1.14.14.8안트라닐산-3-모노옥시게나제 (FAD)


4. 14. 8. EC 1.14.15 (환원형 철-황 단백질을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한 개의 산소 원자 혼입)

EC 번호명칭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1.html EC 1.14.15.1캠퍼-5-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2.html EC 1.14.15.2캠퍼-1,2-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3.html EC 1.14.15.3알칸-1-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4.html EC 1.14.15.4스테로이드-11β-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5.html EC 1.14.15.5코르티코스테론-18-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6.html EC 1.14.15.6콜레스테롤 모노옥시게나아제 (측쇄 절단)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7.html EC 1.14.15.7콜린 모노옥시게나아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5/8.html EC 1.14.15.8스테로이드-15β-모노옥시게나아제


4. 14. 9. EC 1.14.16 (환원형 프테리딘을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한 개의 산소 원자 혼입)

효소 번호이름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6/1.html EC.1.14.16.1페닐알라닌 4-모노옥시게나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6/2.html EC.1.14.16.2티로신 3-모노옥시게나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6/3.html EC.1.14.16.3안트라닐산 3-모노옥시게나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6/4.html EC.1.14.16.4트립토판 5-모노옥시게나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6/5.html EC.1.14.16.5알킬글리세롤 모노옥시게나제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6/6.html EC.1.14.16.6만델산 4-모노옥시게나제


4. 14. 10. EC 1.14.17 (환원형 아스코르브산류를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한 개의 산소 원자 혼입)

4. 14. 11. EC 1.14.18 (기타 분자를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한 개의 산소 원자 혼입)

4. 14. 12. EC 1.14.19 (2전자 산화로 분자 산소 환원, 두 분자의 물 생성)

효소 번호이름설명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9/1.html EC.1.14.19.1스테아로일-CoA 9-불포화 효소Δ9-지방산 불포화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9/2.html EC.1.14.19.2아실-(아실 운반 단백질) 불포화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9/3.html EC.1.14.19.3리놀레오일-CoA 불포화 효소Δ6-지방산 불포화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9/4.html EC.1.14.19.4Δ8-지방산 불포화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9/5.html EC.1.14.19.5Δ11-지방산 불포화 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4/19/6.html EC.1.14.19.6Δ12-지방산 불포화 효소


4. 14. 13. EC 1.14.20 (2-옥소글루타르산을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다른 쪽은 탈수소화)

데아세톡시세팔로스포린 C 합성효소[1]

4. 14. 14. EC 1.14.21 (NADH 또는 NADPH를 한쪽 전자 공여체로 사용, 다른 쪽은 탈수소화)

EC 번호이름
EC 1.14.21.1(S)-스티로핀 합성효소
EC 1.14.21.2(S)-켈란토린 합성효소
EC 1.14.21.3벨바무닌 합성효소
EC 1.14.21.4살타리딘 합성효소
EC 1.14.21.5(S)-카나딘 합성효소
EC 1.14.21.6라토스테롤 산화효소
EC 1.14.21.7비플라비올린 합성효소
EC 1.14.21.8푸소이도밥티게닌 합성효소


4. 14. 15. EC 1.14.99 (기타 전자쌍 산화 효소)

EC 번호이름비고
EC 1.14.99.1프로스타글란딘-엔도페록사이드 신타아제
EC 1.14.99.2키누레닌-7,8-히드록실라아제
EC 1.14.99.3헴 옥시게나아제
EC 1.14.99.4프로게스테론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5EC 1.14.19.1로 이전
EC 1.14.99.6EC 1.14.19.2로 이전
EC 1.14.99.7스쿠알렌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8EC 1.14.14.1로 통합
EC 1.14.99.9스테로이드-17α-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10스테로이드-21-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11에스트라디올-6β-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12안드로스타-4-엔-3,17-디온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13EC 1.14.13.23으로 이전
EC 1.14.99.14프로게스테론-11α-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154-메톡시벤조산 모노옥시게나아제 (O-탈메틸화)
EC 1.14.99.16EC 1.14.13.72로 이전
EC 1.14.99.17EC 1.14.16.5로 이전
EC 1.14.99.18삭제됨
EC 1.14.99.19플라스마닐에탄올아민 데사투라아제
EC 1.14.99.20필로퀴논 모노옥시게나아제 (2,3-에폭시화)
EC 1.14.99.21Latia-루시페린 모노옥시게나아제 (탈메틸화)
EC 1.14.99.22엑디손-20-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233-히드록시벤조산-2-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24스테로이드-9α-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25EC 1.14.19.3으로 이전
EC 1.14.99.262-히드록시피리딘-5-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27주글론-3-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28리날롤-8-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29데옥시히프신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30카로틴-7,8-데사추라아제
EC 1.14.99.31미리스토일 CoA-11-(E)-데사추라아제
EC 1.14.99.32미리스토일 CoA-11-(Z)-데사추라아제
EC 1.14.99.33Δ12-지방산 데히드로게나아제
EC 1.14.99.34모노프레닐이소플라본 에폭시다아제
EC 1.14.99.35티오펜-2-카르보닐 CoA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36β-카로틴-15,15'-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37타키사디엔-5α-히드록실라제
EC 1.14.99.38콜레스테롤-25-히드록실라제
EC 1.14.99.39암모니아 모노옥시게나아제
EC 1.14.99.405,6-디메틸벤즈이미다졸 신타아제
EC 1.14.99.41all-trans-8-아포-β-카로테날-15,15-옥시게나아제


4. 15. EC 1.15 (초과산화물 라디칼에 작용)

EC 1.15는 수용체로서 초과산화물 라디칼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이다.

4. 16. EC 1.16 (금속 이온 산화)

EC 1.16은 금속 이온을 산화시키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4. 16. 1. EC 1.16.1 (NADH 또는 NADPH가 전자수용체)

효소 번호이름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1.html EC 1.16.1.1수은(II)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2.html EC 1.16.1.2이철 트랜스페린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3.html EC 1.16.1.3아쿠아코발라민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4.html EC 1.16.1.4코발라민(II)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5.html EC 1.16.1.5아쿠아코발라민 환원효소 (NADPH)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6.html EC 1.16.1.6시아노코발라민 환원효소 (시아나이드 제거)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7.html EC 1.16.1.7철 킬레이트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6/1/8.html EC 1.16.1.8(메티오닌 신테이스) 환원효소


4. 16. 2. EC 1.16.3 (산소가 전자수용체)

페록시다아제[1]

4. 16. 3. EC 1.16.5 (퀴논 및 유사체가 전자수용체)

아스코르브산페리환원효소[1]

4. 16. 4. EC 1.16.8 (플라빈이 전자수용체)

코비린산(II)-a,c-디아미드 환원 효소

4. 16. 5. EC 1.16.9 (구리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철 락카아제[1]

4. 16. 6. EC 1.16.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4. 17. EC 1.17 (CH 또는 CH2 그룹에 작용)

EC 1.17은 CH 또는 CH2 그룹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EC 1.17은 전자수용체에 따라 하위 그룹으로 더 세분화된다.

4. 17. 1. EC 1.17.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비고
EC 1.17.1.1CDP-4-데히드로-6-데옥시글루코스 환원효소
EC 1.17.1.24-하이드록시-3-메틸-2-부테닐 피로인산 환원효소
EC 1.17.1.3로이코안토시아니딘 환원효소
EC 1.17.1.4잔틴 탈수소효소
EC 1.17.1.5니코틴산 탈수소효소
EC 1.17.1.6결번EC 1.17.99.5로 이동


4. 17. 2. EC 1.17.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니코틴산 탈수소효소 (시토크롬)[1]

4. 17. 3. EC 1.17.3 (산소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반응비고
EC 1.17.3.1프테리딘 산화 효소
EC 1.17.3.2잔틴 산화 효소
EC 1.17.3.36-히드록시니코틴산 탈수소 효소


4. 17. 4. EC 1.17.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비고
EC 1.17.4.1리보뉴클레오시드 이인산 환원 효소
EC 1.17.4.2리보뉴클레오시드 삼인산 환원 효소
EC 1.17.4.3결번 → EC 1.17.7.1
EC 1.17.4.4비타민 K 에폭시드 환원 효소 (와파린 감수성)
EC 1.17.4.5비타민 K 에폭시드 환원 효소 (와파린 비감수성)


4. 17. 5. EC 1.17.5 (퀴논류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
EC 1.17.5.1페닐아세틸-CoA 탈수소효소
EC 1.17.5.2카페인 탈수소효소


4. 17. 6. EC 1.17.7 (철-황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4. 17. 7. EC 1.17.8 (플라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

히드록시 스쿠알렌 탈수소 효소는 EC 1.17.8.1에 속한다.[1]

4. 17. 8. EC 1.17.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EC 1.17.98.1 삭제됨

4. 17. 9. EC 1.17.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EC 번호이름비고
EC 1.17.99.14-크레졸 탈수소효소 (수산화)
EC 1.17.99.2에틸벤젠 하이드록실레이스
EC 1.17.99.33α,7α,12α-트라이하이드록시-5β-콜레스타노일-CoA 24-하이드록실레이스
EC 1.17.99.4우라실/티민 탈수소효소
EC 1.17.99.5EC 1.17.98.1로 이동됨
EC 1.17.99.6에폭시큐오신 환원효소


4. 18. EC 1.18 (철-황 단백질에 작용)

EC 1.18은 공여체로 철-황 단백질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들을 포함한다.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4. 18. 1. EC 1.18.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효소번호이름비고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8/1/1.html EC 1.18.1.1루브레독신-NAD+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8/1/2.html EC 1.18.1.2페레독신-NADP+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8/1/3.html EC 1.18.1.3페레독신-NAD+ 환원효소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18/1/4.html EC 1.18.1.4루브레독신-NAD(P)+ 환원효소


4. 18. 2. EC 1.18.2 (질소 분자가 전자수용체)

EC.1.18.2.1는 결번되어 EC.1.18.6.1로 변경되었다.

4. 18. 3. EC 1.18.3 (수소 이온이 전자수용체)

EC 1.18.3.1은 EC 1.18.99.1로 결번되었다.

4. 18. 4. EC 1.18.6 (질소 분자가 전자수용체)

나이트로게네이스

4. 18. 5. EC 1.18.96 (기타, 불명확한 전자수용체)

EC 1.18.96.1 결번 → EC 1.15.1.2

4. 18. 6. EC 1.18.99 (수소 이온이 전자수용체)

EC 1.18.99.1은 EC 1.12.7.2로 결번되었다.[1]

4. 19. EC 1.19 (환원된 플라보독신에 작용)

EC 1.19는 환원된 플라보독신을 공여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4. 19. 1. EC 1.19.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플라보독신-NADP+ 환원효소[1]

4. 19. 2. EC 1.19.6 (질소 분자가 전자수용체)

니트로게나아제(플라보독신) (EC 1.19.6.1)

4. 20. EC 1.20 (인 또는 비소에 작용)

EC 1.20은 인 또는 비소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를 포함한다.

4. 20. 1. EC 1.20.1 (NAD(P)가 전자수용체)

인산 탈수소 효소는 EC 1.20.1.1에 속한다.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1/20/1/1.html EC 1.20.1.1

4. 20. 2. EC 1.20.2 (시토크롬이 전자수용체)

비소산 환원효소 (시토크롬 c)는 시토크롬을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의 일종이다.[1]

4. 20. 3. EC 1.20.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 EC 1.20.4.1 Arsenate reductase (glutaredoxin)|비산 환원효소 (글루타레독신)영어[1]
  • EC 1.20.4.2 Methylarsonate reductase|메틸알손산 환원효소영어[2]
  • EC 1.20.4.3 Mycoredoxin|마이콜레독신영어[3]

4. 20. 4. EC 1.20.9 (구리 단백질이 전자수용체)

비소산 환원 효소 (아주린)은 구리 단백질인 아주린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효소이다.[1]

4. 20. 5. EC 1.20.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EC.1.20.98.1는 EC.1.20.9.1로 변경되었다.

4. 20. 6. EC 1.20.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비소산 환원효소 (공여체)[1]

4. 21. EC 1.21 (X-H와 Y-H에 작용하여 X-Y 결합 형성)

EC 1.21은 X-H와 Y-H에 작용하여 X-Y 결합을 형성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EC 1.21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들이 있다.

  • EC 1.21.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이다.
  • EC 1.21.3: 산소가 전자수용체이다.
  • EC 1.21.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이다.
  • EC 1.21.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를 사용한다.
  • EC 1.21.99: 생리적 전자수용체가 알려지지 않았다.

4. 21. 1. EC 1.21.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 EC 1.21.1.1 요오드티로신 탈요오드화 효소
  • EC 1.21.1.2 2,4-다이클로로벤조일-CoA 환원 효소

4. 21. 2. EC 1.21.3 (산소가 전자수용체)

효소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21.3.1이소페니실린 N 합성효소
EC 1.21.3.2콜룸바민 산화효소
EC 1.21.3.3레티쿨린 산화효소
EC 1.21.3.4스로클린 산화효소 ((+)-비스데클로로게오딘 형성)
EC 1.21.3.5스로클린 산화효소 ((-)-비스데클로로게오딘 형성)
EC 1.21.3.6오레우시딘 합성효소


4. 21. 3. EC 1.21.4 (다이설파이드가 전자수용체)

EC 번호이름반응비고
EC 1.21.4.1D-프롤린 환원효소 (디티올)
EC 1.21.4.2글리신 환원효소
EC 1.21.4.3사르코신 환원효소
EC 1.21.4.4베타인 환원효소


4. 21. 4. EC 1.21.98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 사용)

사이클릭데히포키산티닐프탈로사이닌 합성효소는 기타 생리적 전자수용체를 사용하는 산화환원효소이다.[1]

4. 21. 5. EC 1.21.99 (생리적 전자수용체 불명)

β-사이클로피아존산 탈수소효소는 EC 번호 1.21.99.1을 갖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1]

EC 번호명칭
1.21.99.1β-사이클로피아존산 탈수소효소



4. 22. EC 1.22 (할로겐에 작용)

EC 1.22는 할로겐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를 포함한다.

EC 1.22의 하위 분류인 EC 1.22.1은 EC 1.21.1.1로 변경되었다.

4. 22. 1. EC 1.22.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EC 1.21.1.1로 변경되었다.

4. 23. EC 1.23 (C-O-C에 작용)

EC 1.23은 C-O-C 결합에 작용하는 산화 환원 효소이다.

4. 23. 1. EC 1.23.1 (NAD 또는 NADP가 전자수용체)

EC 번호명칭
EC 1.23.1.1(+)-피노레지놀 환원 효소
EC 1.23.1.2(+)-라리시레지놀 환원 효소
EC 1.23.1.3(-)-피노레지놀 환원 효소
EC 1.23.1.4(-)-라리시레지놀 환원 효소


4. 23. 2. EC 1.23.5 (퀴논 및 유사체가 전자수용체)

비올라잔틴 디에폭시다제[1]

4. 24. EC 1.97 (기타 산화 환원 효소)

EC 1.97은 다른 산화 환원 효소들을 포함한다.

  • EC 1.97.1.1 염소산 환원 효소
  • EC 1.97.1.2 피로갈롤 하이드록시트랜스퍼레이스
  • EC 1.97.1.3 황 환원 효소
  • EC 1.97.1.4 (폼산-C-아세틸트랜스퍼레이스) 활성화 효소
  • EC 1.97.1.8 테트라클로로에텐 환원적 탈할로젠화효소
  • EC 1.97.1.9 셀렌산 환원 효소
  • EC 1.97.1.10 티록신 5'-탈아이오딘화효소
  • EC 1.97.1.11 티록신 5-탈아이오딘화효소

참조

[1] 서적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Protein Evolution https://books.google[...] Wiley-Interscience
[2] 서적 Fundamentals of Enzymology: The Cell and Molecular Biology of Catalytic Protei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Superfamilies of single-pass transmembrane oxidoreductases http://membranome.or[...]
[4]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5] 서적 理化学辞典 岩波書店
[6] 서적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Protein Evolution https://books.google[...] Wiley-Interscience
[7] 서적 Fundamentals of Enzymology: The Cell and Molecular Biology of Catalytic Protei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Superfamilies of single-pass transmembrane oxidoreductases http://membranom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