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절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절역은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명은 신사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고유어인 '새절'로 변경되었다. 주변에는 응암3동주민센터, 응암시장, 불광천 등이 위치해 있으며, 2016년에는 역 화장실에서 출산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구산역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이 위치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새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새절역 역명판
역명판
역 이름새절(신사)
로마자 표기Saejeol(Sinsa)
한자 표기(표기 없음)
역 번호616
주소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지하 400 (신사동)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개업일2000년 12월 15일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3선 (혼합식 승강장)
노선 정보
노선서울 지하철 6호선
영업 거리응암역 기점 7.5 km
이전 역응암역
이전 역 거리0.9 km
다음 역증산
다음 역 거리0.9 km
출입구 정보
새절역 3번 출입구
3번 출입구 (2019년 10월)
지도 정보

2. 역사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이 개시되었다.[1]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2]

2. 1. 역명 변경 과정

계획 단계에서의 가칭은 부역명이기도 했던 "신사(新寺, シンサ일본어)"역이었다. 그러나 발음이 신사역과 같아지기 때문에 고유어로 바꾼 "세종(세종로, セジョル일본어)"역으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새절역은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역 방향 중앙 승강장은 아침에 새절역에서 출발하는 신내역행 첫차와 심야에 새절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열차가 사용하는 주박 선로가 설치된 곳이다. 평상시에는 측선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시설
지상도로, 출구
L1 (대합실)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L2 (승강장)응암 방면 (종착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행선
증산 방면 → 서울 지하철 6호선 동행선


3. 1. 개요

새절역은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역 방향 중앙 승강장은 아침에 새절역에서 출발하는 신내역행 첫차와 심야에 새절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열차가 사용하는 주박 선로가 설치된 곳이다. 평상시에는 측선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역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시설
지상도로, 출구
L1 (대합실)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L2 (승강장)응암 방면 (종착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행선
증산 방면 → 서울 지하철 6호선 동행선



측면 승강장이며, 오른쪽 문이 열린다.

3. 2. 승강장 구조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역 방향 중 중앙 승강장은 아침에 새절역 출발 신내행 첫차와 심야에 새절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새절역 주박 열차에만 이용하는 주박 선로가 설치된 곳이다. 그 이외의 평시 운행 시간에는 측선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4개가 있다.[1]

  • '''내리는 문의 위치'''[2]
  • * 상행선(응암 방향): 오른쪽
  • * 하행선(신내 방향): 왼쪽


3디지털미디어시티·효창공원앞·신내 방면
2당역 종착
1응암 방면


3. 3. 승강장 번호 (안내상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음)

혼합식 승강장 구조로 2면 3선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역 방향 중 중앙 승강장은 아침에 새절역에서 출발하는 신내행 첫차와 심야에 새절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열차에만 이용되는 주박 선로가 설치된 곳이다. 그 이외의 평시 운행 시간에는 측선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4개가 있다.

하행-- 6호선DMC·삼각지·신내 방면
중선도착용 승강장
상행응암 방면


4. 역 주변

새절역 주변은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이 혼재되어 있으며, 역 동쪽으로 불광천이 흘러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잘 조성되어 있다.

주변 시설로는 응암3동, 신사1동, 신사2동 등 주거 지역과 응암시장, 대림시장 등 재래시장이 있다. 불광천변에는 불광천작은도서관이 있다.

교육 시설로는 응암초등학교, 신사초등학교, 서신초등학교, 연서중학교, 상신중학교, 숭실중학교, 숭실고등학교 등이 있다. 충암고등학교명지전문대학도 인근에 위치한다.

4. 1. 1번 출구

응암3동주민센터
응암3치안센터
응암동우체국
응암시장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응암초등학교
은평창의예술교육센터
구립은평노인복지관


4. 2. 2번 출구

4. 3. 3번 출구

4. 4. 4번 출구

4. 5. 기타

새절역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출구 번호주요 시설
1번 출구응암3동주민센터, 응암3치안센터, 응암동우체국, 응암시장,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응암초등학교, 은평창의예술교육센터, 구립은평노인복지관
2번 출구응암3동, 응암4치안센터, 대림시장, 불광천 산책로, 불광천작은도서관, 와상교
3번 출구신사2동, 연서중학교, 상신중학교, 서신초등학교, 숭실중학교·숭실고등학교 방면, 미성아파트
4번 출구신사1동, 신사초등학교, 신사동고개, 새절역현대아파트



이 외에도 불광천이 역 바로 동쪽에 흐르고 있으며, 신정공원, 연은초등학교, 충암고등학교, 명지전문대학 등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노선2016년2017년출처
-- 6호선승차 인원13,93813,859[3]
하차 인원13,19413,189
승하차 인원27,13227,048


5. 1. 개요

'''새절역'''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전철역이다. 개통 당시 역명은 역이 위치한 지명인 '새절'에서 따왔지만, 실제 새절은 신사동과 응암동에 걸쳐 있다.

역 인근에는 숭실중학교, 숭실고 등의 학교가 있다.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6호선승차4,6527,3109,31810,47611,47511,85812,20412,33912,21411,872
하차4,1196,4788,5719,81810,83511,26411,53211,56711,51311,245
승하차8,77013,78817,88920,29422,31023,12223,73623,90523,72723,118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6호선승차12,23312,45912,96313,47213,96713,85913,93813,859
하차11,49311,73312,23812,70813,22513,15813,19413,189
승하차23,72524,19225,20126,18027,19227,01727,13227,048


5. 2. 연도별 이용객 변동

2000년 자료는 새절역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6호선승차4,6527,3109,31810,47611,47511,85812,20412,33912,21411,87212,23312,45912,96313,47213,96713,85913,93813,859[6]
하차4,1196,4788,5719,81810,83511,26411,53211,56711,51311,24511,49311,73312,23812,70813,22513,15813,19413,189
승하차8,77013,78817,88920,29422,31023,12223,73623,90523,72723,11823,72524,19225,20126,18027,19227,01727,13227,048


6. 사건/사고

2016년 9월 7일 오전 10시쯤, 20대 후반의 산모가 갑작스러운 산통으로 이 역 여자 화장실에서 출산 예정일이 한 달 남은 임산부가 출산하는 일이 있었다.[7]

7.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새절역 https://terms.naver.[...] Doopedia 2019-08-26
[2] 웹사이트 새절(신사)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19-08-26
[3] 웹사이트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서울도시철도공사
[4] 뉴스 서울시, 공암대교 등 20개 명칭 의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1-27
[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 역명
[6] 웹사이트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서울교통공사
[7] 웹인용 20대 후반 산모, 지하철역 화장실에서 아기 낳아 https://news.naver.c[...] 2020-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