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내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경춘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난다. 2010년 경춘선 신내역 공사가 시작되어 2013년 12월 28일에 개통했으며, 2019년 12월 21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경춘선 역사는 지상 3층, 6호선은 지상 1층에 위치하며, 6호선은 신내차량사업소 내 단선 승강장 형태의 임시 지상역으로 건설되었다. 주변에는 중랑공영차고지, 서울의료원 등이 있으며, 6호선과 서울 경전철 면목선 연장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 - 봉화산역
봉화산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전철역으로, 2000년 개통하여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신내차량사업소, 홈플러스 신내점, 서울의료원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 - 망우역
망우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역명의 유래는 태조 이성계의 망우고개에서 비롯되었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춘선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경춘선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신내역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320-2 |
좌표 | 37.6129, 127.1032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
노선 | |
승강장 | 2 (경춘선), 1 (6호선) |
선로 | 2 (경춘선), 1 (6호선) |
구조 | 지상역 |
역 번호 | 648 (6호선) P122 (경춘선) |
개업일 | 2013년 12월 28일 (경춘선) 2019년 12월 21일 (6호선)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신내역 |
한자 | 新內驛 |
로마자 표기 | Sinnae-yeok |
인접 역 | |
6호선 | 봉화산 |
경춘선 | 망우 - 갈매 (상봉, 청량리 또는 광운대 방면) |
한국철도공사 역 정보 | |
관리역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망우관리역 |
노선 | 경춘선 |
영업 거리 | 망우역 기점 2.1 km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
전역 | 망우 |
전역 거리 | 2.1 km |
후역 | 갈매 |
후역 거리 | 2.6 km |
서울교통공사 역 정보 | |
노선 | 6호선 |
영업 거리 | 응암역 기점 36.4 km |
승강장 | 1면 1선 (단선) |
전역 | 봉화산 |
전역 거리 | 1.3 km |
2. 연혁
2010년 2월 경춘선 신내역이 착공되어[4] 2010년 12월 21일 선로가 개통되었다. 2012년 10월 30일 역명이 확정되었으며,[4] 2013년 4월 10일 2013년 9월 14일로 개통일이 최종 확정되었다.[5] 2013년 12월 28일 경춘선 신내역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개시하였고,[5] 2015년 3월 7일 경춘선 신내역 2·3번 출구가 개통되었다. 2019년 2월 20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이 착공되었으며, 2019년 12월 21일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신내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6]
경춘선 역사는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합실이 지상 2층에, 승강장의 경우 경춘선은 지상 3층에 있으며, 6호선은 지상 1층에 있다.
3. 역 구조
6호선 신내역은 7호선 장암역,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과 같은 단선역이며, 역 구조를 놓고 진통을 겪은 끝에 신내차량기지 구내에 단선 임시승강장 형태로 건설하였다. 2019년 12월 21일부터 6호선 전동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7] 그 외에 서울 경전철 면목선과, 6호선의 구리시, 남양주시 연장이 계획되고 있다. 연장개통 되면 수인·분당선 보정역처럼 지하역사로 개업하게 된다.
출구는 경춘선 역사와 공용하며, 4개가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경춘선 개찰구를 6호선 개찰구와 공유하므로 6호선 이용 시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에 다시 개찰구 안으로 들어오더라도 환승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L3
승강장'''
:* 서행선: ← 응암 방향 (봉화산)
'''L2
승강장'''
:* 동행선: '''경춘선''' 방향 () →
:* 서행선: ← '''경춘선''' , 또는 광운대 방향 ()
'''L1
대합실'''
'''G'''
== 경춘선 승강장 ==
신내역 경춘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6호선 승강장 ==
신내차량사업소 내 단식 승강장을 갖춘 임시승강장 형태의 지상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행 | 봉화산 방면 |
---|---|
하행 | 없음 (종착역) |
== 배선도 ==
신내역과 신내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3. 1. 경춘선 승강장
신내역 경춘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6호선 승강장
신내차량사업소 내 단식 승강장을 갖춘 임시승강장 형태의 지상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상행 | 봉화산 방면 |
---|---|
하행 | 없음 (종착역) |
3. 3. 배선도
신내역과 신내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4. 이용객 변동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3년 1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4일간의 자료만 반영된 것이다.[8]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경춘선 | 승차 | 미개통 | 135 | 428 | 631 | 700 | 745 | 737 | 817 | 963 | 1,170 | 1,493 | [8] | ||
하차 | 213 | 526 | 708 | 777 | 808 | 790 | 861 | 948 | 1,117 | 1,375 |
5. 역 주변
역 북쪽에는 중랑공영차고지와 신내차량사업소가 있고, 역 남쪽에는 서울의료원, 서울중랑경찰서, 국제청소년연합(IYF) 링컨학교, FLEX 지식 산업센터 등이 있다.
6. 향후 계획
경춘선은 6호선 신내차량사업소를 고가로 통과하며, 6호선과 서울경전철 면목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1] 6호선은 예산 문제로 공사가 지연되었으나 2019년 말에 개통되었으며, 유일한 지상역이다.[1] 또한 6호선을 신내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농역까지 연장하는 계획도 검토되고 있다.[1]
7. 인접한 역
; 한국철도공사
: 경춘선
:: 급행
:::; 통과
:: 완행
::: 망우역 (K121) - '''신내역 (P122)''' - 갈매역 (P123)
; 서울교통공사
: 6호선
::: 봉화산역 (647) - '''신내역 (648)'''
참조
[1]
뉴스
신내역, “복선으로 조기 개통해야” 주민들 "개통 지연에 원성"
https://web.archive.[...]
중랑신문
[2]
웹사이트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3]
기타
[4]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726호
http://gwanbo.mois.g[...]
2012-10-30
[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23호
http://gwanbo.mois.g[...]
2013-04-10
[6]
웹사이트
http://opengov.seoul[...]
[7]
뉴스
녹지공간 풍부한 중랑구 '신내데시앙'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8-04-16
[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