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덜릭 -69도 202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덜릭 -69° 202는 대마젤란운의 타란툴라 성운 내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과거 초신성 SN 1987A를 발생시킨 별 1을 포함하고 있었다. 별 1은 밝은 청색 초거성이었으며, 초신성 폭발 이후에는 세 개의 고리를 가진 초신성 잔해가 남았다. 2024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중심에 중성자별이 새롭게 탄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밝은 청색변광성 - 용골자리 에타
용골자리 에타는 태양 근처의 극대거성이자 쌍성계로, 과거 두 차례의 폭발을 일으켰으며 미래에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밝은 청색변광성 - LBV 1806-20
LBV 1806-20은 전파성운 G10.0-0.3 중심부에 있는, 태양 질량의 130~150배에 달하는 막대한 질량과 태양의 약 5백만 배에 이르는 밝기를 지닌 별로, 고광도 청색 변광성 후보로 분류되지만 광도 및 분광 변화가 아직 관측되지 않았고 단독성인지 쌍성인지 논란이 있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 위치한 R136은 태양 질량의 약 45만 배에 달하는 거대한 성단으로, 높은 별의 밀도와 WNh형 별, O형 초거성 등 질량이 큰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향후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 B형 초거성 - 청색초거성
청색 초거성은 태양 질량의 10배에서 300배에 달하는 매우 무거운 별로, O형 및 B형 주계열성이 진화하며 형성되고, 빠른 항성풍과 방출선 스펙트럼을 가지며, 질량에 따라 적색 초거성이나 울프-레이에 별을 거쳐 초신성으로 폭발하기도 한다. - B형 초거성 - 알닐람
알닐람은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를 이루는 청백색 초거성이자 엡실론별로, 밝기, 온도, 반지름, 질량 등이 추정되었고 성간 매질 연구에 활용되며 초신성 폭발이나 블랙홀 진화 가능성이 있고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이자 천측항법에도 활용된다.
샌덜릭 -69도 202a | |
---|---|
개요 | |
![]() |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특징 | |
분광형 | B3 Ia |
천체 측정 | |
거리 (광년) | 168,000 |
거리 (파섹) | 51,400 |
세부 정보 | |
질량 | ~20 태양 질량 |
반지름 | 41.15 태양 반지름 |
광도 | ~100,000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16,000 켈빈 |
식별 부호 | |
이름 | Sk -69 202, GSC 09162-00821 |
참고 자료 | |
심바드 (SIMBAD) | SK+-69+202 |
2. 항성계
샌덜릭 -69° 202는 태양계에서 16만 8000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운의 타란툴라 성운 내에 존재한다. 이 성운은 지름 650광년(200파섹)의 초거대 H II 영역으로, 별의 형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k -69 202는 이 성운 부근에 다수 존재하는 대질량 별 중 하나였다.
삼중성 중 가장 밝은 항성 1(Star 1)은 지구에서 12등급으로 관측되었다. 스펙트럼형 B3I의 매우 밝은 청색 초거성으로, 광도는 태양광도의 10만 배에 해당하는 (3-6)×1038에르그/초로 추정된다. 원래는 태양의 20배의 질량을 가진 주계열성이었지만, 질량 방출에 의해 수소의 외층 일부를 잃어, 폭발 전에 질량이 가벼워졌다.
연성계에 포함된 다른 두 천체(항성 2와 항성 3)도 고온의 대질량 천체지만, 밝기는 항성 1에 미치지 못한다. 이들은 항성 1에서 2.9초와 1.6초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쌍방 모두 스펙트럼형 B형의 주계열성으로 생각된다.
2. 1. 구성원
샌덜릭 -69° 202는 태양계에서 16만 8000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운의 타란툴라 성운 내에 존재한다. 이 성운은 지름 650광년(200파섹)의 초거대 H II 영역으로, 별의 형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k -69 202는 이 성운 부근에 다수 존재하는 대질량 별 중 하나였다.삼중성 중 가장 밝은 항성 1(Star 1)은 지구에서 12등급으로 관측되었다. 스펙트럼형 B3I의 매우 밝은 청색 초거성으로, 광도는 태양광도의 10만 배에 해당하는 (3-6)×1038에르그/초로 추정된다. 원래는 태양의 20배의 질량을 가진 주계열성이었지만, 질량 방출에 의해 수소의 외층 일부를 잃어, 폭발 전에 질량이 가벼워졌다.
연성계에 포함된 다른 두 천체(항성 2와 항성 3)도 고온의 대질량 천체지만, 밝기는 항성 1에 미치지 못한다. 이들은 항성 1에서 2.9초와 1.6초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쌍방 모두 스펙트럼형 B형의 주계열성으로 생각된다.
3. 초신성 폭발 (SN 1987A)
초신성 "SN 1987A"가 1987년 2월 23일에 발견되었는데, 이는 지난 400년 동안 관측된 초신성 중 가장 밝은 것이었다.[15] 곧 샌덜릭 -69° 202의 별 1이 폭발한 것으로 밝혀졌고[8], 실제로 이 별이 별 2와 별 3을 남기고 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11]
초신성 폭발 전에도 샌덜릭 -69° 202는 관측되었지만, 폭발을 예고하는 이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당시 모델에서는 초신성 폭발은 적색 초거성이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Sk -69 202와 같은 고온의 청색 초거성이 폭발한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12] 폭발 당시 Sk -69 202가 청색이었던 원인으로는, 질량 방출에 따른 외층부의 손실이나 중원소의 결핍[13], 근접한 쌍성의 영향[14] 등의 설이 제안되었다.
별 1이 있던 위치에는 초신성 폭발 후 세 개의 고리를 가진 초신성 잔해가 형성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별이 폭발하기 2만 년 전에 방출했던 물질에 초신성의 충격파가 부딪히는 모습을 촬영했다.[15] 중심에는 새롭게 중성자별이 탄생한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2005년까지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중성자별이 예상보다 두꺼운 먼지에 덮여 있거나, 혹은 더 작게 블랙홀로 붕괴했을 가능성이 있다.[16]
2024년 2월 23일, 중심에 새롭게 중성자별이 탄생한 것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의해 확인되었다.[17]
3. 1. 폭발 이전
1987년 2월 23일, 초신성 "SN 1987A"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지난 400년 동안 관측된 초신성 중 가장 밝은 수준이었다.[15] 곧 샌덜릭 -69° 202의 별 1이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으며[8], 이 별은 별 2와 별 3을 남기고 사라졌다.[11]초신성 폭발 전 샌덜릭 -69° 202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졌지만, 폭발을 예고하는 이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당시에는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는 별은 적색 초거성일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Sk -69 202와 같은 고온의 청색 초거성이 폭발한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12] Sk -69 202가 폭발 당시 청색이었던 원인으로는, 질량 방출로 인한 외층부 손실이나 중원소 결핍[13], 근접한 쌍성의 영향[14] 등이 제시되었다.
3. 2. 폭발 원인 (가설)
3. 3. 초신성 잔해
1987년 2월 23일, 초신성 "SN 1987A"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지난 400년 동안 관측된 초신성 중 가장 밝은 수준이었다.[15] 곧 샌덜릭-69° 202의 별 1이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으며,[8] 실제로 이 별이 별 2와 별 3을 남기고 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11]초신성 폭발 전에도 샌덜릭-69° 202의 관측이 이루어졌지만, 폭발을 예고하는 이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당시 모델에서는 초신성 폭발은 적색 초거성이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Sk -69 202와 같은 고온의 청색 초거성이 폭발한 것은 놀라움으로 받아들여졌다.[12] 폭발 당시 Sk -69 202가 청색이었던 원인으로는, 질량 방출에 따른 외층부의 손실이나 중원소의 결핍[13], 근접한 쌍성의 영향[14] 등의 설이 제안되었다.
별 1이 있던 위치에는 초신성 폭발 후 세 개의 고리를 가진 초신성 잔해가 형성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별이 폭발 2만 년 전에 방출했던 물질에 초신성의 충격파가 부딪히는 모습을 촬영했다.[15] 중심에는 새롭게 중성자별이 탄생한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2005년까지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중성자별이 예상 이상으로 두꺼운 먼지에 덮여 있거나, 혹은 더 작게 블랙홀로 붕괴했을 가능성이 있다.[16]
2024년 2월 23일, 중심에 새롭게 중성자별이 탄생한 것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의해 확인되었다.[17]
3. 4. 중성자별 발견
1987년 2월 23일, 초신성 SN 1987A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지난 400년 동안 관측된 초신성 중 가장 밝은 수준이었다.[15] 샌덜릭 -69° 202의 별 1이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고,[8] 실제로 이 별이 별 2와 별 3을 남기고 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11]별 1이 있던 위치에는 초신성 폭발 후 세 개의 고리를 가진 초신성 잔해가 형성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별이 폭발 2만 년 전에 방출했던 물질에 초신성의 충격파가 부딪히는 모습을 촬영했다.[15] 중심에는 새롭게 중성자별이 탄생한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2005년까지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중성자별이 예상 이상으로 두꺼운 먼지에 덮여 있거나, 혹은 더 작게 블랙홀로 붕괴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6]
2024년 2월 23일, 중심에 새롭게 중성자별이 탄생한 것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의해 확인되었다.[17]
4. 영향 및 의의
참조
[1]
논문
Discovery of a Nearby Twin of SN 1987A's Nebula around the Luminous Blue Variable HD 168625: Was Sk -69 202 an LBV?
[2]
논문
A deep objective-prism survey for Large Magellanic Cloud members
[3]
웹사이트
SN 1987A
http://www.aavso.org[...]
AAVSO –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9-08-19
[4]
논문
The progenitor of SN 1987 A
[5]
논문
The different progenitors of type Ib, Ic SNe, and of GRB
[6]
웹사이트
Deep Objective-Prism Survey for LMC Members (Sanduleak 1970)
http://vizier.u-stra[...]
VizieR
2009-11-11
[7]
간행물
Distance to SN 1987 A and the LMC
https://ui.adsabs.ha[...]
[8]
간행물
Astrometry of SN 1987A and Sanduleak-69 202
https://ui.adsabs.ha[...]
[9]
웹사이트
CPD-69 402, SIMBAD query result
https://simbad.u-str[...]
SIMBAD
2009-11-14
[10]
간행물
The stellar content of 30 Doradus
https://ui.adsabs.ha[...]
[11]
간행물
The progenitor of SN1987A
https://ui.adsabs.ha[...]
[12]
간행물
Supernova 1987A
https://ui.adsabs.ha[...]
[13]
간행물
Supernova 1987A - Six weeks later
https://ui.adsabs.ha[...]
[14]
간행물
Presupernova evolution in massive interacting binaries
https://ui.adsabs.ha[...]
[15]
웹사이트
Hubble Images Chronicle the Inner Ring's Light Show
https://esahubble.or[...]
Hubble Information Center
2009-11-13
[16]
간행물
Limits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on a Point Source in SN 1987A
https://ui.adsabs.ha[...]
[17]
웹사이트
Uncovered with JWST: A neutron star in the remnant of Supernova 1987A
https://www.eurekale[...]
2024-02-26
[18]
논문
Discovery of a Nearby Twin of SN 1987A's Nebula around the Luminous Blue Variable HD 168625: Was Sk -69 202 an LBV?
[19]
논문
A deep objective-prism survey for Large Magellanic Cloud members
[20]
논문
The progenitor of SN 1987 A
[21]
논문
The different progenitors of type Ib, Ic SNe, and of GR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