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조 (목회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경조는 1852년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출생하여 1938년 중국 상하이에서 사망한 한국 장로교회 초기 목사이다. 그는 형 서상륜과 함께 황해도 최초의 장로교회인 소래교회를 건립했으며, 1907년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인 최초의 목사 7인 중 한 명이 되었다. 이후 새문안교회 협동목사, 순회 목사 등을 역임했으며, 1926년 이후에는 독립운동가인 아들 서병호와 함께 중국 상하이에서 말년을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개신교도 - 이수정 (1842년)
이수정은 조선 말기 관료이자 개신교 신자, 성경 번역가로, 고종의 허락을 받아 일본으로 건너가 개신교로 개종한 후 한국어 성경 번역에 힘썼으며, 《현토한한신약전서》 발간과 《신약마가전복음서언해》 출판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조선의 개신교도 - 백홍준
백홍준은 조선 말기 개신교 신자로서 만주에서 개종 후 성경 번역과 교회 활동에 기여하고 만주 선교에도 참여했으나, 불법 집회 혐의로 체포되어 옥사, 한국 최초의 개신교 순교자가 되었다. - 대한제국의 개신교도 - 차미리사
차미리사는 여성 교육과 독립운동에 헌신한 교육가로, 근화여학교 등을 설립하고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여성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강조했다. - 대한제국의 개신교도 - 박희도 (1889년)
박희도는 일제강점기 감리교 목사이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으나, 이후 친일 활동을 한 인물이다. - 개신교도 - 조나스 사빔비
조나스 사빔비는 앙골라의 정치가이자 게릴라 지도자로,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을 창설하여 앙골라 내전을 주도했으며, 마오쩌둥 사상에서 반공주의로 전향, 30년 이상 MPLA와 대립하다 1992년 대통령 선거 낙선 후 다시 내전을 일으켰고 2002년 사망하여 그의 유산은 앙골라 역사에서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 개신교도 - 야니네 바이겔
야니네 바이겔은 태국계 독일인 가수이자 배우, 모델로, 태국과 독일에서 성장하며 여러 언어에 능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서경조 (목회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852년 14월 12일 |
출생지 | 조선 |
사망지 | 일제강점기 |
사망일 | 1938년 7월 |
국적 | 조선 → 일제강점기 |
직업 | 선교사 |
종교 | 개신교 |
2. 생애
서경조는 1852년 12월 14일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상우(相佑)이고 자는 경조(景祚)였으나, 훗날 '경조'로 개명하였다. 한국 장로교회 초기 목사 중 한 명으로, 일찍 부모를 여의고 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했으며, 독학으로 한학을 공부하였다. 형 서상륜을 따라 장사하다가 1878년 처음으로 기독교 선교사를 만나 장로교인이 되었다. 1884년 황해도 장연의 솔내(松川)로 가, 형과 함께 황해도 최초의 장로교회인 소래교회를 건립하였다.
1887년 미국인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솔내를 방문, 서경조 등 100여 명에게 한국 최초로 세례를 베풀었다. 그의 아들 서병호는 유아 세례를 받아 한국 최초의 유아세례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898년 6월 교회 전도와 설립 제한이 풀리자, 서경조와 서상륜은 옹진군 백령면 연화리의 한학서당에 중화동교회를 설립하고 예배를 인도하였다. 1899년 소래교회에서 건축 자재를 지원받아 40m2의 예배당을 건축하였다.
1900년 소래교회 장로가 되어 황해도 지역 교회 설립에 힘썼으며, 각 지역 목사와 장로들의 모임을 조직하였다. 1901년 5월 15일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 1907년 6월 제1회로 졸업하였다.
1907년 6월,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로회에서 길선주, 이기풍 등 다른 한국인 6명과 함께 목사 안수를 받았다. 안수자 중 연장자로 축도를 하였고, 이후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로회를 이끄는 목사 중 한 명이 되었다.
황해도 전도목사로 파견되어 장연군, 옹진 등에서 2년간 미국인 선교사 C. E. 샤프 등과 전도 활동을 하였다. 1910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세운 새문안교회 협동목사로 초빙되어 5월 29일부터 시무하였다. 이후 경기도 고양군, 시흥군, 파주군 등에서 순회 목사로 활동하였다.
1913년 새문안교회 협동목사를 사임하고 은퇴, 고향 솔내로 내려갔다. 1916년 경성부 안국교회 담임목사가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다.
2. 1. 초기 활동
1852년 12월 14일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서석순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상우(相佑), 자(字)는 경조인데, 훗날 경조라는 이름을 계속 쓰게 되어 나중에는 경조로 개명하였다. 그는 한국장로교회 초기 목사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일찍 부모를 여의고 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하였으며, 독학으로 한학을 공부하였다. 형 서상륜을 따라 장사에 종사하다가 1878년 처음으로 기독교 선교사를 만나 장로교를 접하고 교인이 되었다. 1884년 황해도 장연의 솔내(松川)로 가, 형 서상륜과 함께 황해도 최초의 장로교회인 소래교회를 건립하였다.2. 2. 신앙 활동
1887년(고종 24) 미국인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황해도 장연 솔내에 와서 서경조, 서상륜, 정공빈 등 100여 명의 신자에게 한국 최초로 세례를 하였다. 서경조의 아들 서병호는 유아 세례를 받아, 한국 최초의 유아세례자 중 한 명이 되었다.1898년 6월 교회 전도와 교회 설립 등에 대한 제한이 풀리자 서경조와 서상륜은 옹진군 백령면 연화리의 한학서당에 중화동교회(中和洞敎會)를 개설하여 설립 예배를 인도하였고, 1899년 소래교회에서 건축자재를 구하여 40m2의 예배당을 건축하였다.
1900년(광무 3년) 소래교회 장로가 되어 해서지방의 교회 설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소래교회에서 각 지역 목사와 장로의 회합을 조직하였다. 1901년(광무 4년) 5월 15일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여 1907년(융희 1년) 6월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제1회로 졸업하였다.
2. 3. 목사 활동
1907년 6월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로회에서 신학교 졸업생들을 목사로 안수할 때 길선주, 이기풍 등 다른 한국인 6명과 함께 목사가 되었다. 안수자 7명 중 연장자로 축도를 하였다. 이후 그는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로회를 이끄는 목사의 한 사람이 되었다.황해도 전도목사로 파견되어 황해도 장연군, 옹진 등에서 2년간 미국인 선교사 C. E. 샤프 등과 함께 전도목사로 활동하였다. 1910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세운 새문안교회에 초빙되어 5월 29일부터 새문안교회 협동목사로 시무하였다. 이후 경기도 고양군, 시흥군, 파주군 등 경기도 일원에서 순회 목사로 전도활동과 강연 활동을 하였다.
1913년 새문안교회 협동목사를 사임하고 목사직에서 은퇴한 뒤 고향 장연군 솔내로 내려갔다. 1916년 경성부 안국교회 담임목사가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서석순(徐奭淳) | |
형 | 서상륜 | 1848년 7월 19일 ~ 1926년 1월 |
조카딸 | 서윤애 | |
부인 | ? | |
아들 | 서광호 | |
아들 | 서병호 | 1885년 7월 7일 ~ 1972년 6월 7일, 형 서상륜의 양자로 입양 |
손자 | 서재현 | 서병호의 아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