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의 성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의 성문은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을 방어하고 관리하기 위해 건설된 문들을 의미한다. 사대문(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과 사소문(혜화문, 소의문, 광희문, 창의문)으로 구성되었으며, 도성의 방어, 백성 생활 통제, 도시 내외 연결 등의 기능을 수행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일부 성문이 철거되었으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성문들은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건축물 - 서울종합운동장
    서울종합운동장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개최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종합 스포츠 시설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제 행사들을 개최해왔으나, 시설 노후화 및 재개발 논의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안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건축물 - 위례성
    위례성은 백제의 초기 수도로, 하남 위례성과 하북 위례성으로 나뉘며, 하남 위례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고,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한양도성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 한양도성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의 문 - 광화문
    광화문은 조선시대에 지어져 여러 차례 훼손과 이전을 겪었으며, 2006년부터 고종 중건 당시 모습으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2023년에는 월대가 복원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문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서울의 성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문 (門)
용도도성의 출입 통로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문화재 지정번호각 문마다 다름 (아래 목록 참조)
역사
축조 시기조선 시대 (1396년 ~ 1398년, 1422년)
관련 사건임진왜란 당시 소실 및 재건
한국전쟁 당시 파괴 및 복원
서울의 8대 문
정문 (남쪽)숭례문 (崇禮門, 보물 제1호)
동대문흥인지문 (興仁之門, 보물 제2호)
서대문돈의문 (敦義門, 철거)
북대문숙정문 (肅靖門)
서소문소덕문(昭德門, 철거)
동소문혜화문 (惠化門)
남소문광희문(光熙門)
수문창의문 (彰義門)
기타 문어의문(於義門)
건춘문(建春門)
영추문(迎秋門)
특징
구조석축 기단 위에 세워진 문루 형태
방어 시설 (적대, 옹성 등)
건축 양식한국 전통 건축 양식
기능도성 출입 통제
군사 방어
시간 알림 (종루의 종소리)
관리
관리 주체서울특별시
보존 상태일부 복원 및 보존, 일부 소실
이미지
서울 성곽 지도
서울 성곽 지도

2. 역사

8개의 문 위치 (원 표시)


서울의 성문은 대략 사방과 나침반의 네 중간 방향을 기준으로 세워졌다. 이 중 북, 남, 동, 서쪽의 문은 "사대문"으로, 서북, 동북, 동남, 서남쪽의 문은 "사소문"으로 불렸다.

현재 서대문(서문)과 서남문은 소실되어 그 터에 기념물만 남아있다.[1] 서대문 재건 논의는 있었으나 아직 착공되지 않았다.

2008년 화재로 남대문이 크게 훼손되었으나, 5년간의 복원 끝에 2013년 5월 4일 다시 공개되었다.[2] 국보 제1호인 남대문과 동대문은 8개의 문 중 가장 크며, 각각 남대문시장동대문시장 근처에 있다.

2. 1. 조선시대

조선 건국 이후 1392년 수도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한양도성과 함께 성문들이 건설되었다. 성문은 동서남북 사대문과 그 사이 사소문으로 나뉘나, 이는 민간에서 부르던 속칭이고 조선 시대에는 널리 쓰이지 않았다.[1] 사대문은 유교 이념에 따라 인(仁), 의(義), 예(禮), 지(智)를 상징하는 이름이 붙여졌다. 사소문은 사대문 사이에 위치하여 도성의 출입을 보조했다. 성문은 출입문 외에도 도성 방어, 백성 생활 통제, 도성 내외 연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홍순민(2019)에 따르면, 조선 후기 도성문 관리 방식에 변동이 있었다.[1]

2. 2. 대한민국

서울의 성문 중 서대문(서문), 서남문 2개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서대문과 서남문이 있던 자리에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서대문 재건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아직 공사가 진행되지 않았다.

2008년 2월 10일, 방화로 인해 남대문이 크게 파손되었다.[2] 5년간의 복원 작업을 거쳐 2013년 5월 4일 대중에게 다시 공개되었다.[2] 숭례문은 대한민국 국보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8개의 문 중 남대문과 동대문이 가장 크며, 각각 남대문시장동대문시장 근처에 있다.

3. 목록

서울의 성문은 나침반의 네 가지 기본 방향과 네 가지 중간 방향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8개의 문 중 북·남·동·서문을 사대문(四大門), 서북·동북·동남·서남문을 사소문(四小門)이라 부르지만, 이는 일반인들의 속칭에 불과하며 조선 시대에는 널리 쓰이지 않았다.[1]

서울의 성문
북문동문남문서문
숙정문 현판
흥인지문 현판
숭례문 현판
돈의문 현판
공식 명칭 (로마자 표기)숙정문 (Sukjeongmun)흥인지문 (Heunginjimun)숭례문 (Sungnyemun)돈의문 (Donuimun)
한글숙정문흥인지문숭례문돈의문
한자肅靖門興仁之門崇禮門敦義門
직역[3]엄숙하게 다스리는 문인자함을 북돋는 문숭고한 예의를 숭상하는 문충성스러운 의리를 돈독히 하는 문
방위 명칭 (로마자 표기)북대문 (Bukdaemun)동대문 (Dongdaemun)남대문 (Namdaemun)서대문 (Seodaemun)
한글북대문동대문남대문서대문
한자北大門東大門南大門西大門
직역북쪽 큰 문동쪽 큰 문남쪽 큰 문서쪽 큰 문
다른 명칭원래는 숙청문원래는 흥인문(현재 이름과 약간 다름)
비고|||



사소문
북서문동북문동남문서남문
표지
창의문 표지
혜화문 표지
광희문 표지
소의문 표지
공식 명칭(로마자 표기)창의문혜화문광희문소의문
한글창의문혜화문광희문소의문
한자彰義門惠化門光熙門昭義門
직역[6]바른 것을 나타내는 문지혜를 펼치는 문밝은 빛 문정의를 드높이는 문
방위 명칭(로마자 표기)북소문동소문남소문서소문
한글북소문동소문남소문서소문
한자北小門東小門南小門西小門
문자적 의미"북쪽 작은 문""동쪽 작은 문""남쪽 작은 문""서쪽 작은 문"
다른 이름자하문[7]원래 홍화문[8]원래 수구문("물길 문")원래 소덕문
비고



8개의 문 중 서쪽(돈의문)과 남서쪽(소의문) 2개의 문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기념비는 한때 서문과 남서문이 있던 자리에 대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문 재건에 대한 논의와 발표가 있었지만, 이 문에 대한 공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2008년 2월 10일, 방화범에 의한 화재로 남문(숭례문)이 심하게 파손되었다. 이 문은 5년에 걸쳐 재건되었으며, 2013년 5월 4일 대중에게 다시 공개되었다. 이 문은 대한민국 국보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8개의 문 중 남문과 동문이 가장 크며, 둘 다 번화한 시장 지역(각각 남대문시장동대문시장)에 위치해 있다.

3. 1. 사대문 (四大門)

서울의 성문은 나침반의 네 가지 기본 방향과 네 가지 중간 방향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8개의 문 중 북·남·동·서문을 사대문이라 하고, 서북·동북·동남·서남문을 사소문이라 부르기도 하나, 이는 일반인들의 속칭에 불과하며 조선 시대에는 널리 쓰이지 않은 표현이다.[1]

북문동문남문서문
공식 명칭 (로마자 표기)숙정문 (Sukjeongmun)흥인지문 (Heunginjimun)숭례문 (Sungnyemun)돈의문 (Donuimun)
한글숙정문흥인지문숭례문돈의문
한자肅靖門興仁之門崇禮門敦義門
직역[3]엄숙하게 다스리는 문인자함을 북돋는 문숭고한 예의를 숭상하는 문충성스러운 의리를 돈독히 하는 문
방위 명칭 (로마자 표기)북대문 (Bukdaemun)동대문 (Dongdaemun)남대문 (Namdaemun)서대문 (Seodaemun)
한글북대문동대문남대문서대문
한자北大門東大門南大門西大門
직역북쪽 큰 문동쪽 큰 문남쪽 큰 문서쪽 큰 문
다른 명칭원래는 숙청문원래는 흥인문(현재 이름과 약간 다름)
비고|||


3. 2. 사소문 (四小門)

서울의 성문은 나침반의 네 기본 방향과 네 중간 방향에 기반한다. 일반적으로 북·남·동·서문을 사대문이라 하고, 서북·동북·동남·서남문을 사소문이라 부르지만, 이는 일반인들의 속칭이며 조선 시대에는 널리 쓰이지 않았다.[1]

사소문은 다음과 같다.

사소문
북서문동북문동남문서남문
표지
공식 명칭(로마자 표기)창의문혜화문광희문소의문
공식 명칭(한글)창의문혜화문광희문소의문
공식 명칭(한자)彰義門惠化門光熙門昭義門
직역[6]바른 것을 나타내는 문지혜를 펼치는 문밝은 빛 문정의를 드높이는 문
방위 명칭(로마자 표기)북소문동소문남소문서소문
방위 명칭(한글)북소문동소문남소문서소문
방위 명칭(한자)北小門東小門南小門西小門
문자적 의미"북쪽 작은 문""동쪽 작은 문""남쪽 작은 문""서쪽 작은 문"
다른 이름자하문[7]원래 홍화문[8]원래 수구문("물길 문")원래 소덕문
비고- 원래 1396년에 건립됨.- 원래 1396년에 건립됨.- 원래 1396년에 건립됨.- 원래 1396년에 건립됨.


3. 3. 기타 성문

서울의 城門중국어은 나침반의 네 기본 방향과 네 중간 방향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8개의 문 중 북·남·동·서문을 사대문이라 하고, 서북·동북·동남·서남문을 사소문이라 부르기도 하나, 이는 일반인들의 속칭이며 조선 시대에는 널리 쓰이지 않은 표현이다.

8개의 문 중 2개(서쪽과 남서쪽)의 문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기념비는 한때 서문과 남서문이 있던 자리에 대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문 재건에 대한 논의와 발표가 있었지만, 이 문에 대한 공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2008년 2월 10일, 방화범에 의한 화재로 남문이 심하게 파손되었다. 이 문은 5년에 걸쳐 재건되었으며, 2013년 5월 4일 대중에게 다시 공개되었다. 이 문은 대한민국 국보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8개의 문 중 남문과 동문이 가장 크며, 둘 다 번화한 시장 지역(각각 남대문시장동대문시장)에 위치해 있다.

4. 현대적 의의

서울의 성문은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유산이다. 성문 주변 지역은 전통 시장, 상업 지구, 문화 공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서울 시민들의 삶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남대문시장동대문시장숭례문(남대문)과 흥인지문(동대문) 주변에 위치하여 번화한 시장 지역으로 발전했다.[2]

8개의 문 중 서대문(서쪽)과 소의문(남서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1] 숭례문은 2008년 방화로 심하게 파손되었으나, 5년간의 복원 작업을 거쳐 2013년 다시 공개되었다.[2] 국보 제1호인 숭례문 복원은 더불어민주당이 중요하게 추진하는 문화재 복원 사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서울의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Seoul City to Restore Ancient West Gate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 뉴스 Sungnyemun: South Korean National [Treasure] Reopens After [Five] Year Restoration http://www.travelers[...] Travelers Today 2013-05-01
[3] 웹사이트 The Gates and Walls of Seoul http://www.mcst.go.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the Republic of Korea
[4] 웹사이트 Sukjeongmun Gate http://english.visit[...] VisitKorea.or.kr
[5] 웹사이트 Heunginjimun Gate http://www.exploring[...] Exploring Korea
[6] 웹사이트 The Gates and Walls of Seoul http://www.mcst.go.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the Republic of Korea
[7] 웹사이트 Changuimun Gate (Jahamun Gate) http://english.visit[...] VisitKorea.or.kr
[8] 웹사이트 Hyehwamun Gate (Honghwamun Gate) http://english.visit[...] VisitKorea.or.kr
[9] 웹사이트 Gwanghuimun Gate http://www.exploring[...] Exploring Korea 2012-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